KR200413166Y1 -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166Y1
KR200413166Y1 KR2020060000801U KR20060000801U KR200413166Y1 KR 200413166 Y1 KR200413166 Y1 KR 200413166Y1 KR 2020060000801 U KR2020060000801 U KR 2020060000801U KR 20060000801 U KR20060000801 U KR 20060000801U KR 200413166 Y1 KR200413166 Y1 KR 200413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scape
emergency
pulley
rope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김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철 filed Critical 김재철
Priority to KR2020060000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1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1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창문을 통하여 비상시 탈출하도록 하는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창문틀의 일측으로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고 덮개가 구비되는 비상탈출블럭, 상기 비상탈출블럭의 내부 수용부의 일측으로 회동축이 지지되며 회전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풀리, 상기 풀리에 복수 회 권취되어 감겨지도록 하는 비상탈출용로프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풀리에 상기 비상탈출용로프가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고, 비상시에는 상기 풀리에 권취되어 있는 상기 비상탈출용로프를 풀어 창문 밖으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출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평상시에 외부 조망을 위하여 설치된 창문틀의 하측부분에 일체로 또는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함체형상인 비상탈출장치를 구비하여, 외관상 실내장식과 다른 분위기가 연출되는 장비에 비해 실내내장과 잘 어울리도록 하여, 미관상 양호하도록 하는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상탈출, 로프

Description

비상탈출장치{Emergency Evacuating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 비상탈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비상탈출장치의 일 실시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비상탈출장치의 다른 실시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비상탈출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상탈출장치 5 : 창문
10 : 비상탈출블럭 20 : 풀리
23 : 비상탈출용로프 31 : 보조걸이
본 고안은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 외부 조망을 위하여 설치된 창문틀의 하측부분에 일체로 또는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함체 형상인 비상탈출장치를 구비하여, 외관상 실내장식과 다른 분위기가 연출되는 장비에 비해 실내내장과 잘 어울리도록 하여, 미관상 양호하도록 하는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구촌은 인구의 증가와 대지의 효율적 이용가치를 위하여 사람의 주거건물을 비롯한 모든 건물이 대형화 고층으로 건설 되어가고 있다. 경제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건물 및 주거환경의 내부가구와 내장재가 고급화로 변해 인화성과 유독성이 강한 재질을 많이 사용하여 화재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는 반면 화재 시 인명은 구출하는 종래의 장비는 턱없이 미약한 상태이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건물 화재 시 인명 피난 기구인 완강기는 아파트 화재나 긴급상황 시 인명 피난 기구 및 장비의 사용이 복잡하고 불편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특히 별도로 완강기틀리 설치되어, 평상시에도 건물 내부 실내에 외관이 그대로 드러나 있어, 실내 건축 장식을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상탈출용 로프 및 고리와 같은 기타 장비는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별한 장소에 보관하게 되면, 분실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비상시에 찾지 못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별도의 설치장치 없이 비상 시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외부 조망을 위하여 설치된 창문틀의 하측부분에 일체로 또는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함체형상인 비상탈출장치를 구비하여, 외관상 실내장식과 다른 분위기가 연출되는 장비에 비해 실내내장과 잘 어울리도록 하여, 미관상 양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함체형상인 비상탈출블럭에 비상탈출용로프 및 기타 비상장비를 수용하기 때문에 비상시에는 즉시 비상탈출장비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하여 피해를 줄이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물의 창문을 통하여 비상시 탈출하도록 하는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창문틀의 일측으로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고 덮개가 구비되는 비상탈출블럭, 상기 비상탈출블럭의 내부 수용부의 일측으로 회동축이 지지되며 회전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풀리, 상기 풀리에 복수 회 권취되어 감겨지도록 하는 비상탈출용로프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풀리에 상기 비상탈출용로프가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고, 비상시에는 상기 풀리에 권취되어 있는 상기 비상탈출용로프를 풀어 창문 밖으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 풀리는 상기 비상탈출블럭의 내부 수용부의 일측으로 회동축이 지 지되며 회전하는 제1풀리, 상기 제1풀리의 타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풀리, 상기 비상탈출용로프가 상기 제1풀리 및 제2풀리에 번갈아가며 복수 회 권취되도록 구비하여, 비상시에는 상기 제1풀리 및 제2풀리에 권취되어 있는 상기 비상탈출용로프가 길게 구비되어 고층에서 사용이 용이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비상탈출용로프의 끝단에는 사용자의 허리 벨트의 고리, 비상탈출용 의자의 고리, 또는 비상탈출용 포대의 고리에 체결되도록 하는 연결고리가 구비되어, 평상시에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전체 형상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이 창문틀 저부 상면을 감싸도록 하며, 외면으로 상기 비상탈출용로프가 위치하도록 하는 보조걸이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걸이의 외면에 지지되는 상기 비상탈출용로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보조걸이에 상기 비상탈출용로프가 위치하는 외면으로 요홈인 안내홈을 형성하여 비상탈출용로프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풀리 또는 제1풀리는 수동 조작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손잡이를 구비하거나, 또는 풀리의 내주면과 회전축 사이에 탄성체인 탄성스프링 또는 태엽이 구비되거나, 또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벨트, 체인 또는 기어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 작동을 조작하여 상기 비상탈출용로프에 체결되는 상기 연결고리가 상승, 정지 또는 하강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 그리고 주전원이 비상시에 끊어지게 되면 상기 조작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비상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비상탈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 비상탈출장치의 일 실시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 비상탈출장치의 다른 실시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 비상탈출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고안 비상탈출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창문(5)을 통하여 비상시 탈출하도록 하는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문틀(6)의 일측으로 내부에 수용부(11)가 구비되고 덮개(12)가 구비되는 비상탈출블럭(10)을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외관상의 비상탈출블럭(10)을 실내 장식에 알맞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철재와 같은 금속재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또한 화려한 미관 장식을 위하여 특별한 형상의 사출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실내 환경에 따라 알맞은 형상으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본 고안 비상탈출장치(1)의 상기 비상탈출블럭(10)의 내부 수용부(11)의 일측으로 회동축이 지지되며 회전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풀리(20)를 구비하고, 상기 풀리(20)에 복수 회 권취되어 감겨지도록 하는 비상탈출용로프(23)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풀리(20)에 상기 비상탈출용로프 (23)가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고, 비상시에는 상기 풀리(20)에 권취되어 있는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를 풀어 창문 밖으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출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였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풀리(20)로 구비되어 이용하는 것은 저층에서와 같이, 짧은 비상탈출용로프(23)를 이용할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를 복수개로 구비하되, 상기 비상탈출블럭(10)의 내부 수용부(11)의 일측으로 회동축이 지지되며 회전하는 제1풀리(21)와, 상기 제1풀리(21)의 타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풀리(22)를 각각 알맞은 거리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상기 제1풀리(21) 및 제2풀리(22)에 비상탈출용로프(23)를 서로 돌아가며 번갈아가며 복수 회 권취되어 감겨지도록 하였다. 즉 두 개의 풀리인 제1풀리(21) 및 제2풀리(22)를 돌아가며 권취되는 비상탈출용로프(23)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고층용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제1풀리(21) 및 제2풀리(22)에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가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고, 비상시에는 상기 제1풀리(21) 및 제2풀리(22)에 권취되어 있는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를 풀어 창문(5) 밖으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출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의 끝단에는 사용자의 허리 벨트의 고리(미도시됨), 비상탈출용 포대의 고리,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탈출용 의자(7)의 고리(8)에 체결되도록 하는 연결고리(25)를 구비하여, 평상시에 수용부(11)에 수용되도록 하며, 비상시에는 사용이 비상용으로 신속하게 비상탈출장비의 고리 에 체결되도록 하여 응급사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체 형상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이 창문틀(6) 저부 상면을 감싸도록 하며, 외면으로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가 위치하도록 하는 보조걸이(31)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걸이(31)의 외면에 지지되는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즉 비상시 비상탈출용로프(23)가 그대로 창문틀(6)에 지지된 상태에서 비상탈출용로프(23)를 사용하게 되면 단단한 재질인 창문틀(6)에 의하여 비상탈출용로프(23)가 손상되어 끊어질 우려가 있으나, 본 고안의 보조걸이(31)에 의하여 비상탈출용로프(23)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보조걸이(31)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가 위치하는 외면으로 요홈인 안내홈(32)을 형성하여 비상탈출용로프(23)가 비상 사용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비상탈출하는 사용자가 안전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고안 비상탈출장치(1)의 상기 제2풀리(22) 또는 제1풀리(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1)의 구동력을 벨트(42), 체인 또는 기어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구동모터(41)의 구동 작동을 조작하여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에 체결되는 상기 연결고리(25)가 상승, 정지 또는 하강하도록 조작하는 상승버튼(46), 정지버튼(47), 하강버튼(48)인 조작부(45)를 구비하였다. 또한 주전원이 비상시에 끊어지게 되면 상기 조작부(45)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비상전원공급부(미도시됨)를 구비하였다.
또한 비상탈출용로프(23)가 감겨져 있는 제1풀리(21) 또는 제2풀리(22)의 일 측면으로 회동가능한 회전손잡이(43)를 구비하여, 전원공급에 이상 문제가 발생할 경우 수동으로 비상탈출용로프(23)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로는 제2풀리(22) 또는 제1풀리(21)의 회전축과 각 풀리의 내주연 사이에 태엽과 같은 탄성스프링(미도시됨) 및 일시 걸림장치(미도시됨)를 구비하여, 비상탈출용로프(23)를 풀때는 풀리로부터 비상탈출용로프(23)를 잡아당기면 풀어지되, 다시 감고자 할 경우에는 걸림장치가 해제되도록 하여 비상탈출용로프(23)가 제2풀리(22)에 다시 감겨지도록 구비하였다. 이와 같은 되 감는 장치의 구성은 원동기 엔진의 시동장치, 또는 줄자의 구성과 같이 일반적인 기술적 사상에 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작동을 살펴보면 본 고안 비상탈출장치(1)는, 평상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5)의 창문틀(6) 저부의 비상탈출블럭(10)의 덮개(12)를 닫아 놓은 채로 설치되게 된다. 이에 개방손잡이(13)를 잡아당겨 덮개(12)를 연 후, 조작부(45) 또는 회전손잡이(43)를 이용하여, 비상탈출용로프(23)를 지면으로 늘어뜨리게 된다. 이에 앞서, 창문틀(6)의 저부 상면에 보조걸이(31)를 위치시킨 후, 안내홈(32)의 위치에 비상탈출용로프(23)를 위치시켜, 비상탈출용로프(23)가 손상되지 않돌고 주의한다. 그런 후, 비상탈출용로프(23)의 끝단에 구비되는 연결고리(25)에 비상탈출용 의자(7), 비상탈출용 포대 또는 탈출용허리벨트 등의 고리(8)를 체결한 후, 비상탈출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비상탈출용로프(23)의 중간 중간에 매듭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직접 비상탈출용로프(23)를 잡고 내려올 수 있으며, 안전한 장비와 경험이 있는 요원들은 자일과 같이 특수장비를 적용하여 내려올 수 있는 것이 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고안 비상탈출장치(1)는 비상탈출블럭(10)의 설치를 첨부되는 도면에서는 창문(5)의 아래쪽에 설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창문(5)의 양 측면 또는 상부측에 설치하여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에 건축물의 실내 내장, 실외 설치물 그리고 비상탈출시 적절한 조건 등을 고려하여 창문(5)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에도 상기에 기술된 본 고안의 구성은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 비상탈출장치(1)는 창문틀(6)과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별체로 구비되는 창문틀(6)에 별도로 결합시키거나 위치시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정집의 베란다 등의 창문틀에는 꽃을 기르는 화분을 구성하는 화분대가 있을 경우에는 화분대 하측으로 하여 별체로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벽면 또는 창문틀(6)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비상탈출블럭(10)에 화분대 등의 설치물이 지지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고안은 별도의 설치장치 없이 비상시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외부 조망을 위하여 설치된 창문틀의 하측부분에 일체로 또는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함체형상인 비상탈출장치를 구비하여, 외관상 실내장식과 다른 분위기가 연출되는 장비에 비해 실내내장과 잘 어울리도록 하여, 미관상 양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함체형상인 비상탈출블럭에 비상탈출용로프 및 기타 비상장비를 수용하기 때문에 비상시에는 즉시 비상탈출장비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하여 피해를 줄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건물의 창문(5)을 통하여 비상시 탈출하도록 하는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창문틀(6)의 일측으로 내부에 수용부(11)가 구비되고 덮개(12)가 구비되는 비상탈출블럭(10),
    상기 비상탈출블럭(10)의 내부 수용부(11)의 일측으로 회동축이 지지되며 회전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풀리(20),
    상기 풀리(20)에 복수 회 권취되어 감겨지도록 하는 비상탈출용로프(23)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풀리(20)에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가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고, 비상시에는 상기 풀리(20)에 권취되어 있는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를 풀어 창문 밖으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상기 비상탈출블럭(10)의 내부 수용부(11)의 일측으로 회동축이 지지되며 회전하는 제1풀리(21),
    상기 제1풀리(21)의 타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풀리(22)를 구비하 여,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가 상기 제1풀리(21) 및 제2풀리(22)에 번갈아가며 복수 회 권취되도록 구비하여,
    비상시에는 상기 제1풀리(21) 및 제2풀리(22)에 권취되어 있는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가 길게 구비되어 고층에서 사용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의 끝단에는 사용자의 허리 벨트의 고리, 비상탈출용 의자의 고리, 또는 비상탈출용 포대의 고리에 체결되도록 하는 연결고리(25)가 구비되어,
    평상시에 수용부(11)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전체 형상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이 창문틀 저부 상면을 감싸도록 하며, 외면으로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가 위치하도록 하는 보조걸이(31)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걸이(31)의 외면에 지지되는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걸이(31)는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가 위치하는 외면으로 요홈인 안내홈(32)을 형성하여 비상탈출용로프(23)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풀리(22) 또는 제1풀리(21)는
    수동 조작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손잡이(43)를 일측면에 구비하거나, 또는
    풀리의 내주면과 회전축 사이에 탄성체인 탄성스프링 또는 태엽이 구비되거나, 또는
    구동모터(41)의 구동력을 벨트, 체인 또는 기어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구동모터(41)의 구동 작동을 조작하여 상기 비상탈출용로프(23)에 체결되는 상기 연결고리가 상승, 정지 또는 하강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45),
    그리고 주전원이 비상시에 끊어지게 되면 상기 조작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 도록 하는 비상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KR2020060000801U 2006-01-11 2006-01-11 비상탈출장치 KR200413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801U KR200413166Y1 (ko) 2006-01-11 2006-01-11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801U KR200413166Y1 (ko) 2006-01-11 2006-01-11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166Y1 true KR200413166Y1 (ko) 2006-04-07

Family

ID=4176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801U KR200413166Y1 (ko) 2006-01-11 2006-01-11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1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6867A3 (ko) * 2017-05-26 2019-01-24 주식회사 코닥트 로프형 승강장치
KR102058095B1 (ko) * 2018-05-23 2019-12-23 주식회사 호산 케이블카의 비상탈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6867A3 (ko) * 2017-05-26 2019-01-24 주식회사 코닥트 로프형 승강장치
CN110662582A (zh) * 2017-05-26 2020-01-07 肯泰特有限公司 线缆型升降装置
CN110662582B (zh) * 2017-05-26 2021-08-13 肯泰特有限公司 线缆型升降装置
US11097135B2 (en) 2017-05-26 2021-08-24 Koduct Co., Ltd. Rope type elevating device
KR102058095B1 (ko) * 2018-05-23 2019-12-23 주식회사 호산 케이블카의 비상탈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46085B (zh) 一种多功能防护窗
KR101243061B1 (ko)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CN203710561U (zh) 家用火灾逃生舱
US3861496A (en) Fire escape device
TWI513890B (zh) Horizontal blinds of the blade drive device
US8167090B2 (en) Apparatus for safely lowering user from structure
KR200413166Y1 (ko) 비상탈출장치
CN209865087U (zh) 一种具有自动报警装置的多功能消防器材箱
US9731945B2 (en) Safety arrangement for a portable power driven system
KR101646497B1 (ko) 인명 구조용 리프팅 장치
KR20120090885A (ko) 태양발전 겸용 비상대피구
JP2006233418A (ja) 操作コード式回転軸制御クラッチ機構
JP4504952B2 (ja) 物干し
KR200190542Y1 (ko) 구조(救助)용 기구
CN210020891U (zh) 一种用于高楼火灾逃生的具有保护功能的逃生装置
CN113089279A (zh) 晾杆机构及晾衣机
CN204502160U (zh) 一种楼房逃生装置
KR200207854Y1 (ko) 휴대형 비상 하강기
KR101793211B1 (ko) 주택용 소방 완강기
CN212614473U (zh) 一种阳台逃生装置
KR100784482B1 (ko) 비상용 탈출 사다리 장치
KR101082176B1 (ko) 마이크의 승하강 시스템
CN215481821U (zh) 晾杆机构及晾衣机
CN219222271U (zh) 一种可循环利用的室内装饰吊挂器
CN217612677U (zh) 一种方便快速取用的消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