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282B1 -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 - Google Patents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282B1
KR102008282B1 KR1020190069686A KR20190069686A KR102008282B1 KR 102008282 B1 KR102008282 B1 KR 102008282B1 KR 1020190069686 A KR1020190069686 A KR 1020190069686A KR 20190069686 A KR20190069686 A KR 20190069686A KR 102008282 B1 KR102008282 B1 KR 102008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building
sensing
user
main body
contac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혁
Original Assignee
최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한혁 filed Critical 최한혁
Priority to KR1020190069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상기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이 모형 건축물, 승강 부재, 키오스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모형 건축물이 상승되면서 상기 모형 건축물을 구성하는 지하부가 노출됨과 함께, 상기 키오스크에는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상기 지하부까지의 이동 정보 및 상기 지하부의 주차 정보가 출력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형 건축물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키오스크 주변에 있더라도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출력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모형 건축물의 지하부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Model houses with lift-type model architecture}
본 발명은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에 관한 것이다.
견본 주택(Model house)은 실제 아파트 등의 건축 대상물이 건설되기 전 홍보를 위해 실제 건설될 아파트를 축소시켜 만든 모형 건축물이다.
상세히, 상기 견본 주택은 아파트 분양 전 입주 대상자들에게 아파트 각 세대의 동과 호실의 위치, 내부 면적에 따른 각 세대의 내부 집 구조 및 아파트 단지 내 시설 정보 등 건설될 아파트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상기 입주 대상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이러한 견본 주택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것들이다.
아래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견본 주택은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그 내부 면적에 따라 분류된 복수 개의 모형 건축물을 포함하는데, 사용자가 동일한 내부 면적을 가진 모형 건축물 등 알고 싶은 정보를 키오스크로 입력하게 되면, 상기 키오스크는 복수 개의 상기 모형 건축물 중 상기 사용자에게서 전달된 명령에 적합한 상기 모형 건축물을 점등시키는 등의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키오스크와 상기 모형 건축물 사이에 이격 거리가 있고, 상기 모형 건축물이 복수 개로 형성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모형 건축물의 건설되는 방향도 각각 상이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한 출력 결과가 상기 모형 건축물에 출력되더라도 상기 키오스크 앞에 있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력 결과를 전체적으로 확인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 건설되는 아파트는 지상 주차장이 사라지고 차량을 지하 주차장에 주차하게 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모형 건축물의 지하가 서로 연결되는데, 외부에서 각각의 상기 모형 건축물까지의 차량 이동 경로, 각각의 상기 모형 건축물에서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 등에 대한 정보는 상기 견본 주택에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19-0030885 호, 공개일자: 2019.03.25, 발명의 명칭: 한옥과 목조 주택을 조합한 견본주택(모델하우스) 시공 방법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모형 건축물 중 사용자로부터 전달된 명령에 따른 상기 모형 건축물의 출력 결과를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형 건축물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키오스크 주변에 있더라도 상기 출력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모형 건축물의 지하부에 대한 정보도 확인 가능한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은 주거부 및 지하부로 이루어지면서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모형 건축물; 상기 모형 건축물을 승강시키는 승강 부재;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모형 건축물 및 상기 승강 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및 상기 모형 건축물에 설치되어 상기 모형 건축물의 수직 정렬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는 상기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의 외곽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중력 방향을 향햐도록 배치되면서 수직 정렬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측 케이스와, 상기 본체측 케이스의 중앙부에서 일정 깊이 함몰된 삽입홈부와, 상기 본체측 케이스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서 상기 삽입홈부 쪽으로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삽입홈부 쪽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형 연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복수 개가 일정 각도 이격되면서 그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감지 몸체와, 상기 감지 몸체의 중앙부에서 상기 삽입홈부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감지부측 축과, 상기 감지 몸체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감지 몸체에 무게를 부여하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는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 중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상측 접촉 센서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 중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의 하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1 하측 접촉 센서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2 상측 접촉 센서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의 하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2 하측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오스크에 표시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승강 부재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모형 건축물 중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적합한 상기 모형 건축물을 상승시켜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적합한 상기 모형 건축물의 상기 지하부가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지하부가 노출된 동안 상기 출력부에는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상기 지하부까지의 이동 정보 및 상기 지하부의 주차 정보가 출력되고, 상기 이동 정보 및 상기 주차 정보의 출력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이동 정보 및 상기 주차 정보의 출력이 종료됨과 함께, 상승된 상기 모형 건축물이 상기 승강 부재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지하부가 비노출되고, 상기 모형 건축물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모형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상기 감지 몸체에 상기 제 1 상측 접촉 센서 및 상기 제 2 하측 접촉 센서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모형 건축물의 일 방향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고, 상기 모형 건축물이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모형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상기 감지 몸체에 상기 제 2 상측 접촉 센서 및 상기 제 1 하측 접촉 센서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모형 건축물의 타 방향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에 의하면, 상기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이 모형 건축물, 승강 부재, 키오스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모형 건축물이 상승되면서 상기 모형 건축물을 구성하는 지하부가 노출됨과 함께, 상기 키오스크에는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상기 지하부까지의 이동 정보 및 상기 지하부의 주차 정보가 출력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형 건축물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키오스크 주변에 있더라도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출력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모형 건축물의 지하부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를 구성하는 모형 건축물 및 승강 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모형 건축물이 상승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를 구성하는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가 타 방향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를 구성하는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 중 삽입홈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를 구성하는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 중 삽입홈부에 감지부측 축이 삽입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삽입홈부에서 감지부측 축이 하강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를 구성하는 모형 건축물 및 승강 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모형 건축물이 상승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를 구성하는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가 타 방향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를 구성하는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 중 삽입홈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를 구성하는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 중 삽입홈부에 감지부측 축이 삽입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삽입홈부에서 감지부측 축이 하강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100)은 모형 건축물(110)과, 승강 부재(120) 및 키오스크(1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100)은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형 건축물(110)은 사람이 주거할 수 있는 주거부(111) 및 상기 주거부(111)의 주거자들이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이 형성되거나 서로 이격된 상기 주거부(111)끼리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로가 형성된 지하부(112)로 이루어지면서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모형 건축물(110)은 모델 하우스를 방문하는 방문객들이 향후 건설되는 아파트 단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상기 모델 하우스에 내에 각 동별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모형 아파트 건축물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13은 상기 모형 건축물(110)이 설치됨과 함께, 외부에서 상기 모형 건축물(110)까지 이동하는 차량 도로, 복수 개의 상기 모형 건축물(110) 사이의 조경 등을 나타내는 베이스부(113)이다.
상기 베이스부(113)의 상면은 실제 아파트 단지의 지면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은 입주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상기 주거부(111)와, 상기 주거부(111)의 최하단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베이스부(113)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베이스부(11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상기 지하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주거부(111)는 상기 아파트의 각 세대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고, 상기 지하부(112)는 지하 주차장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부재(120)는 상기 모형 건축물(110)을 승강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승강 부재(120)는 상기 베이스부(113)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 몸체(121)와, 상기 실린더 몸체(121)에서 돌출되거나 상기 실린더 몸체(121)로 삽입되는 피스톤(122)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 부재(120)는 상기 베이스부(113)의 내부에 설치되고, 초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122)이 상기 실린더 몸체(121)의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지하부(112)가 상기 베이스부(113)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 키오스크(125)에 의해 명령이 전달되면서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피스톤(122)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을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지하부(112)가 상기 베이스부(113)의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키오스크(125)는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모형 건축물(110) 및 상기 승강 부재(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26)와,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26)에는 상기 주거부(111)의 특성에 따라 미리 분류된 아이콘 등의 명령 전달체가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명령 전달체를 통해 상기 제어부(126)에 명령을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모형 건축물(110) 및 상기 승강 부재(120)를 제어하고, 상기 모형 건축물(110) 및 상기 승강 부재(120)의 제어 결과가 모니터 등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오스크(125),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어부(126)에 표시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키오스크(125)는 상기 승강 부재(120)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모형 건축물(110) 중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적합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을 상승시켜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적합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상기 지하부(112)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지하부(112)가 노출된 동안 상기 출력부에는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상기 지하부(112)까지의 이동 정보 및 상기 지하부(112)의 주차 정보가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 정보는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주차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적합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상기 지하부(112)에 주차할 수 있는 주차 대수, 차량 한 대당 주차 크기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적합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상기 지하부(112)에 주차 후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적합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상기 주거부(111)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도 함께 포함한다.
상기 이동 정보 및 상기 주차 정보의 출력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이동 정보 및 상기 주차 정보의 출력이 종료됨과 함께, 상승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이 상기 승강 부재(120)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지하부(112)가 비노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26)에 상기 주거부(111)에 따라 58m2 A형, 58m2 B형, 84m2 A형, 84m2 B형의 4개의 아이콘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84m2 A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26)는 복수 개의 상기 모형 건축물(110) 중 상기 84m2 A에 해당하는 상기 모형 건축물(110)에 배치된 상기 승강 부재(120)에 명령을 전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84m2 A에 해당하는 상기 모형 건축물(110)에 배치된 상기 피스톤(122)이 돌출됨으로써, 상기 84m2 A에 해당하는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상기 지하부(112)가 상기 베이스부(113) 상부로 노출된다. 이 때, 상기 출력부에는 상기 승강형 모형 건축물(110)이 적용된 견본 주택(100)의 정문에서 상기 84m2 A에 해당하는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상기 지하부(112)까지의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와, 상기 84m2 A에 해당하는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상기 지하부(112)에 주차 가능한 주차대수, 주차 공간 등이 출력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84m2 A에 해당하는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상기 지하부(112) 정보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 정보 및 상기 주차 정보의 출력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된 상기 이동 정보 및 상기 주차 정보의 출력은 종료되고,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승강 부재(120)를 제어하여 상기 피스톤(122)을 하강시키고, 상기 피스톤(122)의 하강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적합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상기 지하부(112)가 상기 베이스부(113)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130)는 상기 모형 건축물(110)에 설치되어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수직 정렬도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130)는 상기 승강 부재(120)의 승강 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수직 정렬도를 상대적으로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130)는 본체부(140)와, 감지부(150)와, 접촉 감지 센서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40)는 상기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130)의 외곽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본체부(140)는 본체측 케이스(141)와, 삽입홈부(142)와, 경사형 연장체(145)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측 케이스(141)는 육면체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홈부(14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141)의 중앙부에서 일정 깊이 함몰된 것으로, 후술되는 감지부측 축(156)의 일부가 삽입된다.
도 8 및 도 9에서 상기 삽입홈부(14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141)의 후면, 즉 상기 감지부(15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삽입홈부(14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141)의 전면 및 후면에서 한 쌍이 대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형 연장체(145)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141)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서 상기 삽입홈부(142) 쪽으로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삽입홈부(142) 쪽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45)는 상기 삽입홈부(14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면서 삼각형 형태를 이루게 되고, 그에 따라, 상부 및 하부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감지부(150)는 상기 본체부(140)의 내부에서 중력 방향을 향햐도록 배치되면서 수직 정렬도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감지부(150)는 감지 몸체(151)와, 상기 감지부측 축(156)과, 무게추(157)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 몸체(151)는 복수 개가 일정 각도 이격되면서 그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 몸체(151)는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45) 중 일측부에 형성된 것에서 상공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상측 날개(152)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45) 중 일측부에 형성된 것에서 하부 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하측 날개(153)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45) 중 타측부에 형성된 것에서 상공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상측 날개(154)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45) 중 타측부에 형성된 것에서 하부 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하측 날개(155)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측 축(156)은 상기 감지 몸체(151)의 중앙부에서 상기 삽입홈부(142) 쪽으로 양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부(142)에 삽입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삽입홈부(142)에 상기 감지부측 축(156)이 각각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감지 몸체(151)는 상기 감지부측 축(156)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무게추(157)는 상기 무게추(157)의 자중에 의해 상기 감지 몸체(151)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감지 몸체(151)에 무게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 몸체(151)의 중심부에서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본체부(140)가 회전되면서 상기 감지 몸체(151)가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160)와 접촉될 때, 상기 감지 몸체(151)에는 순간적인 충격이 발생되고, 이러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감지 몸체(151)는 일정 각도 회동하게 되는데, 상기 무게추(157)가 상기 감지 몸체(151)의 하부에 무게를 부여하여 상기 감지 몸체(151)의 회동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감지 몸체(151)가 중력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160)는 상기 본체부(14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150)의 접촉을 감지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160)는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45) 중 일측부에 형성된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45)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상측 접촉 센서(162)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45) 중 일측부에 형성된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45)의 하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1 하측 접촉 센서(163)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45) 중 타측부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45)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2 상측 접촉 센서(164)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45) 중 타측부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45)의 하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2 하측 접촉 센서(165)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13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모형 건축물(110)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모형 건축물(110) 내부에 설치된 상기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130)를 구성하는 상기 감지 몸체(151) 중 상기 제 1 상측 날개(152) 및 상기 제 2 하측 날개(155)에 상기 제 1 상측 접촉 센서(162) 및 상기 제 2 하측 접촉 센서(165)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일 방향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이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모형 건축물(110) 내부에 설치된 상기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130)를 구성하는 상기 감지 몸체(151) 중 상기 제 2 상측 날개(154) 및 상기 제 1 하측 날개(153)에 상기 제 2 상측 접촉 센서(164) 및 상기 제 1 하측 접촉 센서(163)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타 방향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 몸체(151) 중 상기 제 1 상측 날개(152) 및 상기 제 2 하측 날개(155)에 상기 제 1 상측 접촉 센서(162) 및 상기 제 2 하측 접촉 센서(165)가 접촉됨으로써 감지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일 방향 기울어짐, 또는 제 2 상측 날개(154) 및 상기 제 1 하측 날개(153)에 상기 제 2 상측 접촉 센서(164) 및 상기 제 1 하측 접촉 센서(163)가 접촉됨으로써 감지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타 방향 기울어짐에 대한 정보는 상기 키오스크(125)에 전달될 수도 있고,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제어 부재(미도시)에 전달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삽입홈부(14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141)의 후면 및 전면에서 일정 깊이 함몰되면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장형 삽입홈(143)과, 상기 장형 삽입홈(143)의 각 내면에서 상기 장형 삽입홈(143)의 내측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태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감지부측 축(156)의 일부가 걸리도록 하는 축 걸림 돌기(144)를 포함한다.
상기 축 걸림 돌기(144)는 상기 삽입홈부(142)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144) 중 최상측의 것에 상기 감지부측 축(156)이 걸린 상태로 상기 감지부(150)가 중력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가, 상기 모형 건축물(110)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순간 낙하하게 되는 경우, 상기 모형 건축물(110) 내부에 배치된 상기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130) 역시 낙하하게 되면서 상기 감지부측 축(156)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144) 중 최상측의 것에서 이탈되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144) 중 최상측의 것 바로 아래의 것으로 하강되어 걸리게 되고, 이러한 상기 감지부측 축(156)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감지 몸체(151)가 일정 높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감지 몸체(151) 중 상기 제 1 상측 날개(152) 및 상기 제 2 상측 날개(154)가 상기 제 1 상측 접촉 센서(162) 및 상기 제 2 상측 접촉 센서(164)에 동시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모형 건축물(110)에 중력 방향으로 가해진 충격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 몸체(151)가 상기 제 1 상측 접촉 센서(162) 및 상기 제 2 상측 접촉 센서(164)에 동시에 접촉됨으로써 감지된 충격 정보는 상기 키오스크(125)로 전달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 부재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110)이 적용된 견본 주택(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오스크(125)에 표시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키오스크(125)는 상기 승강 부재(120)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모형 건축물(110) 중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적합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을 상승시켜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적합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상기 지하부(112)가 노출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지하부(112)가 노출된 동안 상기 출력부에는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상기 지하부(112)까지의 이동 정보 및 상기 지하부(112)의 주차 정보가 출력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이동 정보 및 상기 주차 정보의 출력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이동 정보 및 상기 주차 정보의 출력이 종료된다.
이 때, 상승된 상기 모형 건축물(110)은 상기 승강 부재(120)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지하부(112)가 비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100)이 상기 모형 건축물(110), 상기 승강 부재(120), 상기 키오스크(125)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모형 건축물(110)이 상승되면서 상기 지하부(112)가 노출됨과 함께, 상기 키오스크(125)에는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상기 지하부(112)까지의 상기 이동 정보 및 상기 지하부(112)의 주차 정보가 출력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형 건축물(11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키오스크(125) 주변에 있더라도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출력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모형 건축물(110)의 지하부(112)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모형 건축물이 상승되면서 상기 모형 건축물을 구성하는 지하부가 노출됨과 함께, 상기 키오스크에는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상기 지하부까지의 이동 정보 및 상기 지하부의 주차 정보가 출력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형 건축물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키오스크 주변에 있더라도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출력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모형 건축물의 지하부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 110 : 모형 건축물
120 : 승강 부재 125 : 키오스크
130 :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 140 : 본체부
150 : 감지부 160 : 접촉 감지 센서부

Claims (3)

  1. 주거부 및 지하부로 이루어지면서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모형 건축물;
    상기 모형 건축물을 승강시키는 승강 부재;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모형 건축물 및 상기 승강 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및
    상기 모형 건축물에 설치되어 상기 모형 건축물의 수직 정렬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는
    상기 수직 정렬도 감지 부재의 외곽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중력 방향을 향햐도록 배치되면서 수직 정렬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측 케이스와,
    상기 본체측 케이스의 중앙부에서 일정 깊이 함몰된 삽입홈부와,
    상기 본체측 케이스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서 상기 삽입홈부 쪽으로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삽입홈부 쪽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형 연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복수 개가 일정 각도 이격되면서 그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감지 몸체와,
    상기 감지 몸체의 중앙부에서 상기 삽입홈부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감지부측 축과,
    상기 감지 몸체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감지 몸체에 무게를 부여하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는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 중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상측 접촉 센서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 중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의 하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1 하측 접촉 센서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2 상측 접촉 센서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의 하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2 하측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오스크에 표시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승강 부재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모형 건축물 중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적합한 상기 모형 건축물을 상승시켜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적합한 상기 모형 건축물의 상기 지하부가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지하부가 노출된 동안 상기 출력부에는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상기 지하부까지의 이동 정보 및 상기 지하부의 주차 정보가 출력되고,
    상기 이동 정보 및 상기 주차 정보의 출력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이동 정보 및 상기 주차 정보의 출력이 종료됨과 함께, 상승된 상기 모형 건축물이 상기 승강 부재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지하부가 비노출되고,
    상기 모형 건축물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모형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상기 감지 몸체에 상기 제 1 상측 접촉 센서 및 상기 제 2 하측 접촉 센서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모형 건축물의 일 방향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고,
    상기 모형 건축물이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모형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상기 감지 몸체에 상기 제 2 상측 접촉 센서 및 상기 제 1 하측 접촉 센서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모형 건축물의 타 방향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
  2. 삭제
  3. 삭제
KR1020190069686A 2019-06-13 2019-06-13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 KR102008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686A KR102008282B1 (ko) 2019-06-13 2019-06-13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686A KR102008282B1 (ko) 2019-06-13 2019-06-13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282B1 true KR102008282B1 (ko) 2019-08-07

Family

ID=6762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686A KR102008282B1 (ko) 2019-06-13 2019-06-13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2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410A (ko) * 2019-08-14 2021-02-24 김영욱 유브이젤 스티커 매니큐어 조성물 및 상기 유브이젤 스티커 매니큐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교반 장치
CN113475916A (zh) * 2021-08-19 2021-10-08 浙江兴农土地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土地规划用多功能研讨展示设备
KR102394919B1 (ko) * 2021-12-21 2022-05-09 오상훈 분양용 건축 모형 및 그 제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294B1 (ko) * 2006-12-11 2007-11-28 윤은석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
KR100905935B1 (ko) * 2009-03-13 2009-07-06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건축물의 기초부 안전계측장치
CN207367477U (zh) * 2017-07-04 2018-05-15 四川奥林模型设计制作有限公司 一种建筑模型智能选层升降装置
KR20190030885A (ko) 2017-09-15 2019-03-25 (주)씨드종합건축 한옥과 목조 주택을 조합한 견본주택(모델하우스)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294B1 (ko) * 2006-12-11 2007-11-28 윤은석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
KR100905935B1 (ko) * 2009-03-13 2009-07-06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건축물의 기초부 안전계측장치
CN207367477U (zh) * 2017-07-04 2018-05-15 四川奥林模型设计制作有限公司 一种建筑模型智能选层升降装置
KR20190030885A (ko) 2017-09-15 2019-03-25 (주)씨드종합건축 한옥과 목조 주택을 조합한 견본주택(모델하우스) 시공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410A (ko) * 2019-08-14 2021-02-24 김영욱 유브이젤 스티커 매니큐어 조성물 및 상기 유브이젤 스티커 매니큐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교반 장치
WO2021029623A3 (ko) * 2019-08-14 2021-04-15 김영욱 유브이젤 스티커 매니큐어 조성물 및 상기 유브이젤 스티커 매니큐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교반 장치
KR102297105B1 (ko) * 2019-08-14 2021-09-01 김영욱 유브이젤 스티커 매니큐어 조성물 및 상기 유브이젤 스티커 매니큐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교반 장치
CN113475916A (zh) * 2021-08-19 2021-10-08 浙江兴农土地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土地规划用多功能研讨展示设备
KR102394919B1 (ko) * 2021-12-21 2022-05-09 오상훈 분양용 건축 모형 및 그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282B1 (ko)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
JP5815306B2 (ja) 自走式装置並びにこのような装置の操作方法
US10365660B2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indoor surveying by robots
JP7303986B2 (ja) 屋根構造
JP2010255377A (ja) 機械式駐車装置に入庫する車両のはみ出し部検知方法及び装置
JP2001302130A (ja) 昇降機のペイロードレセプタクルを移動させる補助装置および昇降機シャフト内のケージの位置および動作をモニタする装置
TW200840631A (en) Premium getting game machine and humanoid bipedal walking robot
US20220005236A1 (en) Multi-level premise mapping with security camera drone
KR100859944B1 (ko)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그릴 결합방법
ES2258942B1 (es) "edificio multiplanta".
JP5312866B2 (ja) 集合住宅の防犯構造
KR20150018216A (ko) 지진감지 기능을 내장한 핸들 시스템이 탑재된 배전반 및 그 구동방법
JP6805057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
KR102516368B1 (ko) 승강장치
US20220414980A1 (en) Computer Vis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Building Models Using Three-Dimensional Sensing and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US20230347514A1 (en) Robot controlling method, robot and storage medium
KR102593022B1 (ko) 핸들 조립체
KR101969824B1 (ko) 스마트 도어락을 이용한 공실 확인 시스템
JP3112402B2 (ja) プッシュアップ工法用の水平変位計測法
US20240167237A1 (en) Vehicle Barrier Gate System
JP2008231895A (ja) 移動式収納ボックス
CN114563797A (zh) 自动地图探索系统和方法
WO2024044346A1 (en) Computer vis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building models using three-dimensional sensing and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JP4359706B2 (ja) 防犯シャッターシステム
KR20230127003A (ko) 지능형 방화 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