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003A - 지능형 방화 셔터 - Google Patents

지능형 방화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003A
KR20230127003A KR1020220024537A KR20220024537A KR20230127003A KR 20230127003 A KR20230127003 A KR 20230127003A KR 1020220024537 A KR1020220024537 A KR 1020220024537A KR 20220024537 A KR20220024537 A KR 20220024537A KR 20230127003 A KR20230127003 A KR 20230127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unit
entrance
sector
obs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220024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7003A/ko
Publication of KR2023012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36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obs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출입구를 형성하는 셔터프레임, 셔터프레임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셔터판을 통해 출입구를 개폐하는 셔터부, 셔터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출입구와 그 주변 영역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 감지센서부와 연동하여 셔터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감지센서부에 의해 출입구 및 그 주변 영역에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방화 셔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능형 방화 셔터{Intelligent fireproof shutter}
본 발명은 지능형 방화 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 셔터의 출입구 주변 영역에 장애물이 놓여지는 것을 감지하여 경보를 줄 수 있는 지능형 방화 셔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화 셔터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기존 연기 및 열감지기의 고장 및 오작동을 이중으로 체크하며, 대피자의 탈출이 용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지능형 방화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 셔터는 방화 구획의 용도로 화재시 연기 또는 화재열이 감지되면 출입구를 자동 폐쇄되는 용도로 사용되며, 대형 건물, 공항, 체육관 등 넓은 공간에 부득이하게 내화 구조로 형성된 벽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즉, 방화 셔터는 평상시에는 개방되어 있다가 화재시 주변에 설치된 연기감지기 및 열감지기에 의해 연기나 화재열이 감지되면 셔터판이 하강하여 출입구를 완전 폐쇄함으로써 방화 구획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종래의 방화 셔터는, 화재 발생에 의해 방화 셔터의 셔터판이 출입구를 폐쇄하도록 하강하는 도중 셔터판의 하단에 대피자 또는 물체가 부딪히거나 걸리게 되는 경우에도 사람이 직접 셔터판 동작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는 한 셔터판이 계속 하강하도록 작동됨으로써, 인명 손실이나 물건 파손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강하는 셔터판에 물건이 끼는 경우, 화재시 출입구를 폐쇄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더불어 방화 셔터의 고장 원인이 됨으로써, 평상시 출입구 주변에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물체가 있는지 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승강하는 셔터판의 하단부에 버튼식 또는 압력 감지식 하장바를 설치하여, 셔터판이 하강하는 도중 하장바에 대피자나 물체가 눌려지는 경우 셔터판을 정지시킬 수 있는 방화 셔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기는 하나, 이 역시 대피자 또는 물체가 셔터판에 부딪히거나 걸리는 경우 셔터판이 정지됨으로써 여전히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방화 셔터의 경우 주기적으로 유지보수를 수행해야 하는데, 셔터판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점검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직접 방화 셔터 쪽으로 이동하여 셔터부의 동작을 점검해야 함으로써 많은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해도 연기감지기, 열감지기 고장 및 오작동으로 방화 셔터가 작동하지 않아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7098호, ‘안전 방화 셔터, (2009.07.09. 공고)
본 발명에서는 지능형 방화 셔터, 구체적으로는 감지센서부를 통해 방화 셔터의 출입구 및 그 주변 영역을 감지하여, 출입구 주변에 놓인 사물이 감지되는 경우 경우 실시간으로 경보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출입구 주변에 사물을 놓는 사람이나 관리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는 지능형 방화 셔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화재 발생시, 감지센서부에 의해 방화 셔터의 출입구 주변에 대피자가 감지되는 경우, 셔터판의 하강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고, 대피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셔터판의 동작을 재개할 수 있는 지능형 방화 셔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자체적으로 방화 셔터의 고장 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지능형 방화 셔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연기감지기, 열감지기 고장 및 오작동으로 방화 셔터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를 이중으로 체크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지능형 방화 셔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출입구를 포함한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대상을 감지할 수 지능형 방화 셔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출입구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대상이 동일 높이, 동일 섹터에서 시간의 연속성을 가지는지를 기초로 해당 대상이 사람인지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사물인지 판단할 수 있는 지능형 방화 셔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출입구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장애물이 고정된 사물인지 판단하여 관리자 또는 경보를 출력하는 구성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지능형 방화 셔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출입구를 형성하는 셔터프레임, 상기 셔터프레임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셔터판을 통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셔터부, 상기 셔터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의 주변 영역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 상기 감지센서부와 연동하여 상기 셔터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상기 주변 영역에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는, 상기 셔터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셔터판 및 상기 출입구의 주변 영역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 범위는, 상기 셔터판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구의 전면 1m ~ 3m 및 상기 출입구의 후면 1m ~ 3m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상기 셔터판을 하강 동작시키고, 상기 감지센서부를 통해 상기 셔터판의 하강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셔터부의 고장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와 연동하여, 상기 연기감지기 및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셔터판을 1단 하강 동작시켜 상기 출입구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폐쇄하고, 상기 열감지기 및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셔터판을 2단 하강 동작시켜 상기 출입구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판이 하강 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상기 출입구 주변에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셔터판의 하강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셔터판의 하강 동작을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부과 근접한 이상 물체 감지 영역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셔터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감지방향이 상기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셔터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바닥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구성된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고정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둘레를 이루는 일면이 상기 회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360도 회전되되, 방사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라이다(LiDAR) 센서를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을 복수 개의 단위면적으로 분할하여 섹터(sector)화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로 획득한 각 섹터별 거리값을 저장하여 저장된 각 섹터별 거리값을 기초로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판단하며, 상기 거리측정센서로 획득한 섹터별 거리값이 상기 기저장된 섹터별 거리값 대비 작은 경우 해당 섹터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이 존재하는 섹터의 거리값이 동일 거리값으로 반복 획득되어 일정횟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장애물을 고정된 사물로 판단하여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장애물이 존재하는 섹터의 거리값이 상기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으로 획득될 경우 고정된 사물이 사라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이 존재하는 섹터에서 동일 거리값이 반복적으로 획득될 경우 해당 장애물로 모델링된 도형을 해당 섹터에서 높이 단위로 적층시켜 연산하되, 상기 적층된 도형이 일정 높이를 초과할 경우 감지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장애물이 존재하는 섹터의 거리값이 상기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으로 획득될 경우 상기 연산한 적층 높이를 초기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는, 방화 셔터의 출입구 및 그 주변 영역에 놓인 물체가 감지되면, 출입구 주변에 물건을 놓는 사람에게 주의를 줄 수 있도록 경보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출입구 주변에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사물이 방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일정 시간 이상 출입구 주변에 방치된 물건이 치워지지 않는 경우, 방재실로 통보함으로써 관리자에 의해 사물을 치우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 기 설정된 주기로 방화 셔터의 셔터판을 하강 동작시키고, 감지센서부를 통해 셔터판이 제대로 하강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방화 셔터의 고장을 주기적으로 자체 점검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방화 셔터 주변에 설치된 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에 의한 화재 감지 외에도, 방화 셔터에 구비된 감지센서부를 통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여 셔터판을 동작시킴으로써, 화재 감지를 이중으로 체크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한 방화 셔터의 작동이 가능하고, 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가 오작동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감지센서부에 의해 방화 셔터의 출입구 주변에 대피자가 감지되는 경우, 셔터판의 하강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고, 대피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셔터판의 동작을 재개할 수 있어, 셔터판과 사람의 충돌을 방지하는 동시에, 출입구를 통한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출입구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대상을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감지신호를 전달하거나 경보를 출력하는 구성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 출입구 주변 영역에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사물이 방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출입구 주변 영역에 놓인 해당 대상이 동일 높이, 동일 섹터에서 시간의 연속성을 가지는지를 기초로 해당 대상이 사람인지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사물인지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어 불필요한 감지신호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출입구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장애물이 고정된 사물인지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감지신호를 전달하거나 경보를 출력하는 구성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 출입구 주변 영역에 장애물로 작용하는 사물이 장시간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거리측정센서를 이용하여 고정된 사물에 대한 형상 치수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장애물로 작용하는 사물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의 구성을 정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의 구성을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의 평상시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의 화재 발생시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셔터부의 상부에 위치된 거리측정센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셔터프레임의 상부프레임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센서의 감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단위면적으로 분할된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장애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고정된 사물이 다른 장애물에 의해 가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장애물을 고정된 사물로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구성을 정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구성을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100)는, 셔터프레임(110), 셔터부(120), 감지센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프레임(110)은 건물 내의 벽면에 설치되어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출입구를 형성하고, 셔터부(120)를 지지하는 동시에 셔터부(120)를 통한 출입구 개폐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셔터프레임(110)은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11)과, 출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상부프레임(111)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111)에는 셔터부(120)가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수직프레임(112)에는 셔터부(120)의 셔터판(121)이 가이드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셔터부(120)는 셔터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셔터부(120)는, 상부프레임(11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122)과, 회전축(122)에 고정되어 회전축(122)의 회전에 따라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승강하는 셔터판(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122)의 일측에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수단(미도시)이 연결되어 있어, 구동수단(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축(122)이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축(122)의 회전에 따라 셔터판(121)이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승강할 수 있다.
더욱이, 셔터판(121)의 승강시에는 셔터판(121)의 양측부가 수직프레임(112)에 형성된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의 셔터부(120)는, 셔터판(121)이 상부프레임(111)의 내측에 구비된 회전축(122)에 롤(roll) 형태로 권취되어 있어, 출입문 폐쇄시에는 회전축(122)에 권취된 셔터판(121)이 상부프레임(111)의 하부로 권출되면서 출입구의 바닥까지 하강하여 출입구를 폐쇄할 수 있고, 출입문 개방시에는 셔터판(121)이 회전축(122)에 권취되면서 상부프레임(111) 쪽으로 상승하여 복귀됨으로써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감지센서부(130)는 셔터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셔터프레임(110)의 출입구와 그 주변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센서부(130)는 셔터프레임(110)의 출입구 및 그 주변 영역을 감지하여, 출입구 주변에 이상 물체가 놓여지는 것을 감지하고, 더불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출입구 주변에 물건이 방치되어 있는 경우, 화재 발생시 셔터판(121)이 출입구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물건이 셔터판(121)에 끼는 등의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어, 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출입구 주변을 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도 1을 살펴보면, 감지센서부(130)의 감지 범위가 출입구 전면에만 도시되었으나, 출입구의 후면을 동시에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부(130)는 셔터프레임(110)이 설치된 벽면에 구비되어, 감지센서부(130)를 통해 출입구의 주변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부(130)는 벽면에 직접 설치될 수 있으나, 벽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센서고정바(15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센서고정바(150)는 상부프레임(1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센서고정바(150)는 감지센서부(130)의 감지방향이 셔터판(12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도 2의 (a)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테나와 같이 다단으로 인입 및 출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감지센서부(130)는, 센서고정바(150)의 일단에서 감지방향이 바닥면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감지센서부(130)의 감지 범위는, 셔터판(12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우측(도 1 기준 후면) 1m ~ 3m, 좌측(도 1 기준 전면) 1m ~ 3m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셔터판(12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측(도 1기준 전면) 1m ~ 3m만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부(13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프레임(110)이 설치된 벽면의 안쪽 및 바깥쪽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의 감지센서부(130)를 통해 출입구 안쪽 및 바깥쪽의 주변 영역을 동시에 감지할 수도 있다.
도 2이 (b)를 참조하면, 감지센서부(130) 중 한 쪽의 감지센서부(130)가 출입구 안쪽으로 출입구 하부 주변의 1m ~ 3m 범위를 감지하고, 다른 쪽의 감지센서부(130)가 출입구 바깥쪽으로 출입구 하부 주변의 1m ~ 3m 범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일 예로써, 감지센서부(130)는 출입구의 하부 영역을 감지하여 셔터판(121)의 작동을 감지할 수 있고, 출입구 주변의 대략 1m 범위의 영역을 감지하여 출입구 주변에 이상 물체가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출입구 주변의 대략 3m 범위의 영역을 감지하여 화재에 의한 연기, 불꽃 또는 대피자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감지센서부(130)를 통해 출입구의 안쪽 및 바깥쪽의 주변 영역을 감지하는 이유는, 출입구의 안쪽 및 바깥쪽 주변 영역에 이상 물체가 놓여지는 것을 감지함은 물론, 화재 발생시 셔터판(121)에 의해 출입구가 폐쇄되더라도 복사열에 의해 폐쇄된 셔터판(121)의 반대편에도 불이 옮겨붙을 수 있기 때문에 셔터판(121)의 안쪽 및 바깥쪽을 동시에 감지하기 위함에 있다.
감지센서부(130)는 출입구 및 그 주변 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비전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출입구 및 그 주변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부(130)는 카메라 외에도 출입구 주변 영역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고주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감지센서부(130)에는 제어부(14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셔터프레임(110)의 일측에 구비되고, 감지센서부(130)와 연동하여 셔터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며, 감지센서부(130)에 의해 셔터프레임(110)의 출입구 및 그 주변 영역에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통신을 위한 통신부(미도시)와,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141) 및 감지센서부(13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를 판독하여, 판독 결과에 따라 셔터부(120) 또는 경보부(14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미도시)는 감지센서부(130)와 통신하여 감지센서부(130)로부터 감지신호를 송신받을 수 있고, 지능형 방화 셔터(100)가 설치된 건물 내의 방재실(200)과도 통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미도시)는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경보부(141)는 제어부(140)에 구비되는 스피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피커와 함께 경보램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감지센서부(13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를 판독하여, 감지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되는 물건, 사람, 불꽃 또는 연기 등을 판별할 수 있고, 판독 결과에 따라 셔터부(120) 또는 경보부(14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미도시)에는 판별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어, 판별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감지센서부(13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를 판독하여 감지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되는 물건, 사람, 불꽃 또는 연기 등을 판별할 수 있다.
즉, 제어부(미도시)는 감지센서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출입구 및 그 주변 영역의 감지영상을 판독하여 출입구 주변에 물체가 있는 경우, 해당 물체의 움직임이나 형상을 인지하여 사람인지 물건인지를 판별하고, 물건인 경우 실시간으로 경보부(141)를 통해 경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는, 출입구 주변에 물건이 놓여지는 경우, 실시간으로 경보부(141)의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물건을 치워달라는 안내 방송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출입구 주변에 물건을 놓는 사람에게 주의를 줄 수 있다.
또한, 경보음 및 안내 방송에도 불구하고 출입구 주변에 놓여진 물건이 일정 시간 이상 방치되는 경우, 건물 내의 방재실(200)과 통신하여 출입구 주변 상황을 통보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제어부(140)의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방재실(200)에 구비된 경보기(210)와 통신하여 경보기(210)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관리자의 휴대단말기(220)와 통신하여 관리자에게 물건이 놓여진 출입구 주변 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또는 방재실(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30)에 물건이 놓여진 출입구 및 그 주변 영역의 감지영상을 송출함으로써, 관리자에 의해 해당 물건을 치우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감지센서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연기 또는 불꽃 영상을 판별하여 셔터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감지센서부(130)를 통해 출입구 및 그 주변 영역을 촬영하여 감지하는 과정에서, 감지센서부(130)에 의해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이를 판별하여 셔터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는 셔터부(120)의 셔터판(121)이 출입구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1단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부(130)에 의해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셔터부(120)의 셔터판(121)이 출입구의 바닥까지 하강하여 출입구를 완전히 폐쇄하는 2단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미도시)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주변에 설치되는 연기감지기(미도시) 또는 열감지기(미도시)와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연기감지기(미도시) 또는 열감지기(미도시)의 감지신호에 따라 셔터판(121)을 1단 또는 2단 하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100)는 연기감지기(미도시) 또는 열감지기(미도시)에 의해 연기 또는 화재열이 감지되는 경우 출입구를 개폐하는 셔터판(121)이 작동됨은 물론, 감지센서부(130)를 통해 연기 또는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셔터판(121)이 작동됨으로써, 화재 감지를 이중으로 체크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한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작동이 가능하고, 연기감지기(미도시) 또는 열감지기(미도시)가 오작동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불꽃이나 연기 감지에 의해 셔터부(120)의 셔터판(121)이 하강 동작하는 과정에서는 감지센서부(130)를 통해 출입구 주변에 사람이 있는지 감지하게 되는데, 출입구 주변에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셔터판(121)의 하강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후, 대피자가 출입구를 통과하면 셔터판(121)을 다시 하강시킴으로써, 셔터판(121)과 대피자의 충돌을 방지하는 동시에, 출입구를 통한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100)는 자체적으로 셔터부(120)의 동작을 점검할 수 있다.
종래의 지능형 방화 셔터의 경우 셔터판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점검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직접 지능형 방화 셔터 쪽으로 이동하여 셔터부의 동작을 점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경우에는 일정 주기로 셔터부(120)를 동작시키고 감지센서부(130)를 통해 이를 점검함으로써, 자체적인 자동 점검이 가능하고 이상이 있을 때에만 방재실(200)로 통보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주기적으로 셔터부(120)의 셔터판(121)을 하강 동작시키게 되는데, 감지센서부(130)에 의해 하강하는 셔터판(121)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셔터부(120)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방재실(200)에 셔터 고장을 통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평상시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화재 발생시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평상시,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감지센서부(130)는 셔터프레임(110)의 출입구 및 그 주변 영역을 감지하고, 출입구 주변에 이상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제어부(140)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에서는 감지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물체가 사람인지 물건인지를 판별하고, 물건인 경우 경보부(141)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출입구 주변에 놓인 물체가 감지되면, 실시간으로 경보부(141)의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물건을 치워달라는 안내 방송을 출력함으로써, 출입구 주변에 물건을 놓는 사람에게 주의를 줄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부(130)에 의해 해당 물건이 일정 시간 이상 계속하여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건물 내의 방재실(200, 도1 참조)과 통신하여 출입구 주변의 이상 상황을 통보함으로써, 관리자에 의해 해당 물건을 치우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를 참조하면, 평상시, 지능형 방화 셔터(100)는 제어부(140)에서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셔터판(121)을 하강 동작시키는 동시에, 감지센서부(130)를 통해 셔터판(121)의 하강 동작을 감지하여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고장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부(130)에 의해 하강하는 셔터판(121)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방재실(200, 도1 참조)에 지능형 방화 셔터(100) 고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화재 발생시,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감지센서부(130)에 의해 연기 또는 불꽃이 감지될 수 있는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부(130)에 의해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셔터판(121)을 1단 하강 동작시켜 출입구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주변에 설치된 연기감지기(미도시)에 의해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에도, 제어부(140)는 연기감지기(미도시)와 연동하여 셔터판(121)을 1단 하강 동작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140)는 셔터판(121)이 동작하면 방재실(200, 도1 참조)에 화재 신호를 전송하고, 방재실(200, 도1 참조)에서는 화재경보기 및 스프링쿨러 등의 화재 시스템(미도시)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부(130)에 의해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셔터판(121)을 2단 하강 동작시켜 출입구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주변에 설치된 열감지기(미도시)에 의해 화재열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제어부(140)는 열감지기(미도시)와 연동하여 셔터판(121)을 2단 하강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에도 역시, 제어부(140)는 셔터판(121)이 동작하면 방재실(200)에 화재 신호를 전송하고, 방재실(200)에서는 화재경보기(210) 및 스프링쿨러 등의 화재 시스템(미도시)을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재 발생시 셔터판(121)이 하강 동작하는 과정에서는 감지센서부(130)를 통해 출입구 주변에 사람이 있는지 감지하여, 출입구 주변에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셔터판(121)의 하강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출입구를 통한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출입구 주변에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셔터판(121)의 동작을 재개하여 셔터판(121)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100)는,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출입구 및 그 주변 영역에 놓인 물체가 감지되면, 출입구 주변에 물건을 놓는 사람에게 주의를 줄 수 있도록 경보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출입구 주변에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물건이 방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일정 시간 이상 출입구 주변에 방치된 물건이 치워지지 않는 경우, 방재실(200)로 통보함으로써 관리자에 의해 물건을 치우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 기 설정된 주기로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셔터판(121)을 하강 동작시키고, 감지센서부(130)를 통해 셔터판(121)이 제대로 하강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고장을 주기적으로 자체 점검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지능형 방화 셔터(100) 주변에 설치된 연기감지기(미도시) 또는 열감지기(미도시)에 의한 화재 감지 외에도, 지능형 방화 셔터(100)에 구비된 감지센서부(130)를 통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여 셔터판(121)을 동작시킴으로써, 화재 감지를 이중으로 체크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한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작동이 가능하고, 연기감지기(미도시) 또는 열감지기(미도시)가 오작동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감지센서부(130)에 의해 지능형 방화 셔터(100)의 출입구 주변에 대피자가 감지되는 경우, 셔터판(121)의 하강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고, 대피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셔터판(121)의 동작을 재개할 수 있어, 셔터판(121)과 대피자의 충돌을 방지하는 동시에, 출입구를 통한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의 구성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1000)는 셔터프레임(1110), 셔터부(1120), 거리측정센서(1130), 제어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프레임(1110)은 건물 내의 벽체에 설치되어 지능형 방화 셔터(1000)(1000)의 출입구를 형성하고, 셔터부(1120)를 지지하는 동시에 셔터부(1120)를 통한 출입구 개폐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셔터프레임(1110)은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111)과, 출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상부프레임(1111)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1111)에는 셔터부(1120)가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2)에는 셔터부(1120)의 셔터판(1121)이 가이드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셔터부(1120)는 셔터프레임(1110)에 구비되어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셔터부(1120)는, 상부프레임(111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미도시)과,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승강하는 셔터판(1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의 일측에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수단(미도시)이 연결되어 있어,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축이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셔터판(1121)이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승강할 수 있다.
더욱이, 셔터판(1121)의 승강시에는 셔터판(1121)의 양측부가 수직프레임(1112)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의 셔터부(1120)는, 셔터판(1121)이 상부프레임(1111)의 내측에 구비된 회전축에 롤(roll) 형태로 권취되어 있어, 출입문 폐쇄시에는 회전축에 권취된 셔터판(1121)이 상부프레임(1111)의 하부로 권출되면서 출입구의 바닥까지 하강하여 출입구를 폐쇄할 수 있고, 출입문 개방시에는 셔터판(1121)이 회전축에 권취되면서 상부프레임(1111) 쪽으로 상승하여 복귀됨으로써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거리측정센서(1130)는, 셔터부(1120)과 근접한 이상 물체 감지 영역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거리측정센서(1130)는, 셔터부(1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감지방향이 출입구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거리측정센서(1130)의 감지방향은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은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감지하기 위해 지정되는 영역으로,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은 해당 영역의 바닥을 의미한다.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은 거리측정센서(1130)의 감지 범위에 의해 자동으로 할당되거나, 제어부(1140)를 통해 관리자가 수동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거리측정센서(1130)는 후술할 제어부(114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거리측정센서(1130)가 출입구의 전면에만 구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출입구의 후면에도 구성되어 한 쌍으로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장애물이 사람 또는 고정된 사물인지 판단하여 고정된 사물인 경우 관리자 또는 경보를 출력하는 구성에 감지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는, 거리측정센서(1130)와 함께 상술한 감지센서부(130)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장애물이 고정된 사물인지 판단하는 기능과 셔터부(1120)의 고장 여부, 연기 감지 및 불꽃 감지 기능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거리측정센서(1130)는 상술한 감지센서부(130)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1140)는 셔터프레임(1110)의 일측에 구비되고, 거리측정센서(1130)와 연동하여 셔터부(1120)의 구동을 제어하며, 거리측정센서(1130)에 의해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에 고정된 사물이 감지될 경우 관리자 또는 경보를 출력하는 구성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40)는 통신을 위한 통신부(미도시)와,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1141)를 포함하며, 셔터부(11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40)의 통신부(미도시)는 거리측정센서(1130)와 통신하여 거리측정센서(1130)(130)로부터 감지신호를 송신받을 수 있고, 지능형 방화 셔터(1000)이 설치된 건물 내의 방재실과도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140)는 거리측정센서(1130)에 의해 감지된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장애물이 고정된 사물로 판단될 경우, 관리자가 위치하는 방재실 또는 경보부(1141)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미도시)는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경보부(1141)는 제어부(1140)에 구비되는 스피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피커와 함께 경보램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셔터부의 상부에 위치된 거리측정센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방화 셔터(1000)은 벽면(미부호)으로 벽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센서고정바(1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고정바(1150)는 상부프레임(11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센서고정바(1150)는 거리측정센서(1130)의 감지방향이 셔터부(112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테나와 같이 다단으로 인입 및 출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거리측정센서(1130)는, 센서고정바(1150)의 일단에서 감지방향이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센서고정바(1150)는 거리측정센서(1130)의 개수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거리측정센서(1130)가 복수 개로 구성될 경우 센서고정바(1150)도 해당 거리측정센서(11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셔터프레임의 상부프레임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방화 셔터(1000)의 상부프레임(1111)은 도 7과 같이 전면(도 7기준 좌측)이 수직프레임(1112)보다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거리측정센서(1130)는, 돌출된 상부프레임(1111)의 전면 일단에서 감지방향이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1111)은 전면만 아니라 후면(도 7 기준 우측)이 돌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프레임(1111)을 통해 거리측정센서(1130)의 감지방향이 셔터부(112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거리측정센서(1130)는, 상기 거리측정센서(1130)는, TOF카메라(Time of Flight camera), 라이다(LiDAR)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OF카메라는, 빛이 피사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하여 물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피사체에 조사한 펄스빛의 반사시간을 화소마다 계측하여 삼차원적인 정보를 계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장애물의 형상 치수(폭W, 깊이 D, 높이 H) 계측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라이다 센서는 특정 주파수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변조되는 레이저 를 방출하고,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레이저 신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측정센서(1130)가 TOF카메라 및 라이다 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경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113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센서(1130)는 도 8의 (a)와 같이 상부프레임(1111)의 양측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부프레임(1111) 또는 상부프레임(1111)의 상부(벽면)에 설치되거나, 도 8의 (b)와 같이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되, 이상 물체 감지 영역에 미해당되는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2)의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으로 구성되는 거리측정센서(1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TOF센서, 라이다 센서, 비전센서 및 적외선 비전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비전센서 및 적외선 비전센서의 경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장애물의 형상 치수(폭W, 깊이 D, 높이 H) 계측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거리측정센서(1130)는, 상하 방향으로 틸팅(Tilting)되고, TOF센서, 라이다 센서, 비전센서 및 적외선 비전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 또는 이상 물체 감지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의 거리값을 획득하는 센싱부(1132), 수직프레임(1112)의 하부 또는 이상 물체 감지 영역에 미해당되는 바닥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센싱부(1132)를 일정각도 회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센서(113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센서(1130)는 셔터부(1120)의 상부에 고정되며, 바닥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구성된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고정부(1131),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둘레를 이루는 일면이 회동축과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360도 회전되되, 방사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센싱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거리측정센서(1130)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센서고정바(1150)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7에 도시된 상부프레임(111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센서고정바(1150)가 벽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부프레임(1111)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132)의 포함되는 센서는 라이다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거리측정센서(1130)의 고정부(1131)는 모터의 기어와 맞물리는 웜기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라이다 센서의 분해능 해상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 웜기어와 모터 기어의 기어비는 1:5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거리측정센서(1130)는 도 10과 같은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방화 셔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측정센서의 감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와 같이 구성되는 거리측정센서(1130)는 원형 범위의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레이저를 방출하는 라이다 센서를 이상 감지 영역의 바닥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센싱부(1132)와 센싱부(1132)를 이상 감지 영역의 바닥면과 수평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고정부(1131)에 의해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1140)는 라이다 센서의 발광부(미도시)의 발광을 제어하고 수광부(미도시)에서 수광된 반사 펄스의 수신 시간과 발광부에서의 광 펄스 발신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TOF(Time Of Flight) 방식으로 이상 물체 감지 영역에 존재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제어부(1140)는 거리측정센서(1130)로 획득한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을 지정하고, 지정된 바닥면에 대한 장애물 감지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1은 단위면적으로 분할된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140)는 거리측정센서(1130)로 획득한 이상 물체 감시 영역의 바닥면을 복수 개의 단위면적으로 분할하여 섹터(sector)화할 수 있다.
섹터화 대상이 되는 바닥면의 x축 길이는 수직프레임(1112)의 간격에 따라 지정되나, y축 길이는, 제어부(1140)에 의해 지정되거나, 거리측정센서(1130)의 감지 범위를 조절하여 지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140) 지정의 경우 이상 물체 감지 영역에 포함된 바닥면의 y축 길이를 설정값에 따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값은 관리자가 입력한 y축 길이일 수 있으며, 설정값에 의해 지정된 y축 길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밀착된 셔터부(1120)의 중앙부로부터 연장된 길이(d)일 수 있다.
거리측정센서(1130) 지정의 경우 도 10에 도시된 원형의 감지 범위의 반지름(크기)을 조절하는 것으로 가능할 수 있으며, 반지름의 기준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밀착된 셔터부(1120)의 중앙부로터 연장된 길이(d)일 수 있다.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의 y축 길이(d)는 1m 내지 3m로 지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m로 지정될 수 있다.
제어부(1140)는 이와 같이 지정된 이상 물체 감시 영역의 바닥면을 복수 개의 단위면적으로 분할하여 섹터화할 수 있으며, 섹터는 이상 물체 감시 영역의 바닥면의 면적에 따라 균등하게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상 물체 감시 영역의 바닥면 지정이 변경될 경우, 해당 바닥면의 섹터화는 재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섹터의 부호는 임의로 지정이 가능하나, 섹터별로 좌표를 부여하고, 해당 좌표의 위치에 따라 부호를 지정할 수 있다. 도 11을 일 예로, x1, y1 좌표는 제1 섹터로 지정될 수 있으며, x1, y2 좌표의 부호는 제2 섹터로 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방화 셔터(1000)의 제어부(1140)는, 이상 물체 감시 영역의 바닥면의 섹터화가 완료되면 거리측정센서(1130)를 제어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섹터별(s1, s2 ??)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140)는 거리측정섹서로 측정된 각 섹터별 거리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는, 각 섹터별 거리값을 기초로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1140)는 거리측정센서(1130)를 제어하여 지속적으로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에 지정된 섹터별 거리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장애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고정된 사물이 다른 장애물에 의해 가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에 장애물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존재할 경우, 제어부(1140)는 해당 장애물이 위치되는 섹터의 거리값과 기저장된 해당 섹터의 거리값을 비교하여 장애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2를 일 예로 설명하면, 제2 섹터(s2) 내지 제4 섹터(미부호), 제17 섹터(s17) 내지 제19 섹터(미부호), 제32 섹터(s32) 내지 제34 섹터(미부호), 제47 섹터(s47) 내지 제49 섹터(미부호), 제62 섹터(s62) 내지 제64 섹터(미부호)를 점유하는 장애물(o)이 있을 경우, 해당 장애물(o)에 의해 해당 섹터(s17, s32, s 47, s62 등등, 이하 생략)의 거리값은 짧아지게 되며, 제어부(1140)는 기저장된 섹터별 거리값 대비 작은 거리값으로 획득된 섹터에 장애물(o)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40)는 3프레임에 대한 거리값 변화가 확인될 경우에만 장애물(o)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거리측정센서(1130)가 라이다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경우, 해당 장애물의 형상을 3차원 점군(Point Cloud) 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애물의 형상 치수(폭W, 깊이 D, 높이 H)계측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40)는 연속 획득되는 특정 장애물에 대한 점군 개수의 오차율이 10% 내지 20% 내일 경우 동일 장애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오차율 10% 기준일 때, 1프레임에서 획득된 장애물에 대한 점군 개수가 20포인트이고, 2프레임에서 획득된 장애물에 대한 점군 개수가 19포인트 일 경우 1프레임 및 2프레임에서 획득된 장애물은 동일 장애물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당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장애물 또는 고정된 사물을 3차원 형상으로 모델링하여 후술할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나타낼 수 있다.
즉, 제어부(1140)는, 거리측정센서(1130)로 획득한 특정 센터를 점유하고 있는 장애물(o)과의 거리값과 기저장된 해당 섹터 거리값을 대비하여 어떤 섹터에 장애물(o)이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거리측정센서(1130)로 획득한 3차원 점군 데이터를 통해 형상 치수 계측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40)는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장애물(o)이 고정된 사물인지 판단하여 관리자 또는 경보부(1141)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방화 셔터(1000)은, 시간 또는 거리값 획득 횟수를 기초로 장애물이 고정된 사물인지 판단할 수 있다.
먼저, 시간 기준 판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140)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섹터의 거리값이 일정시간 동안 동일할 경우 해당 섹터의 존재하는 장애물이 고정된 사물인 것으로 판단하여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 섹터의 거리값이 최초로 변화된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시간 동안 기저장된 섹터의 거리값으로 회복되지 않으면 해당 섹터의 존재하는 장애물이 고정된 사물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 시간은 관리자가 설정한 시간일 수 있다.
도 12를 일 예로 시간 기준 판단 방법을 설명하면, 제2 섹터 내지 제4 섹터, 제17 섹터 내지 제19 섹터, 제32 섹터 내지 제34 섹터, 제47 섹터 내지 제49 섹터, 제62 섹터 내지 제64 섹터를 점유하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 해당 장애물에 의해 해당 섹터별 거리값은 짧아지게 되며, 제어부(1140)는 기저장된 섹터별 거리값 대비 작은 거리값으로 획득된 섹터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존재가 확인된 시점부터 설정시간 동안 해당 섹터의 거리값이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으로 획득되지 않으면 해당 섹터의 장애물을 고정된 사물로 판단하여 방재실 또는 경보부(1141)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이상 물체 감시 영역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장애물이 동일 높이 및 동일 좌표에서 시간의 연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고정된 사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섹터의 거리값이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으로 획득될 경우 해당 섹터에 위치한 고정된 사물이 사라진 것으로 판단하고, 카운팅(counting) 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와 같이 섹터에 존재하는 장애물(o1) 주변에 다른 사물이나 사람(o2)이 출현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하여, 해당 섹터의 거리값이 설정된 시간 내에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으로 획득될 경우 해당 섹터에 위치한 고정된 사물이 사라진 것으로 판단하고, 카운팅 시간을 초기화하되, 해당 섹터의 거리값과 해당 섹터의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이 모두 획득되지 않으면 해당 고정된 사물이 가려진 것으로 판단하여 시간에 대한 카운팅을 중단할 수 있다.
이후, 해당 섹터의 거리값이 도 12과 같이 재획득되면, 중단된 카운팅을 이어서 수행하며, 도 11과 같이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으로 획득되면 고정된 사물이 사라진 것으로 판단하고, 카운팅된 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획득 횟수 기준 판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140)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섹터의 거리값이 동일 거리값으로 반복 획득되어 일정횟수를 초과할 경우 해당 장애물을 고정된 사물로 판단하여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 섹터의 거리값이 최초로 변화된 시점부터 동일 거리값이 재획득되는 횟수를 카운팅하고, 일정횟수까지 기저장된 섹터의 거리값으로 회복되지 않으면 해당 섹터의 존재하는 장애물이 고정된 사물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 횟수는 관리자가 설정한 시간일 수 있다.
도 12를 일 예로 획득 횟수 기준 판단 방식을 설명하면, 제2 섹터 내지 제4 섹터, 제17 섹터 내지 제19 섹터, 제32 섹터 내지 제34 섹터, 제47 섹터 내지 제49 섹터, 제62 섹터 내지 제64 섹터를 점유하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 해당 장애물에 의해 해당 섹터별 거리값은 짧아지게 되며, 제어부(1140)는 기저장된 섹터별 거리값 대비 작은 거리값으로 획득된 섹터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존재가 확인된 시점부터 동일 거리값이 재획득되는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할 경우, 즉, 일정횟수까지 해당 섹터의 거리값이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으로 획득되지 않으면 해당 섹터의 장애물을 고정된 사물로 판단하여 방재실 또는 경보부(1141)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이상 물체 감시 영역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장애물이 동일 높이 및 동일 좌표에서 시간의 연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고정된 사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섹터의 거리값이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으로 획득될 경우 해당 섹터에 위치한 고정된 사물이 사라진 것으로 판단하고, 카운팅 횟수를 초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와 같이 섹터에 존재하는 장애물(o1) 주변에 다른 사물이나 사람(o2)이 출현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하여, 해당 섹터의 거리값이 일정횟수 내에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으로 획득될 경우 해당 섹터에 위치한 고정된 사물이 사라진 것으로 판단하고, 카운팅 시간을 초기화하되, 해당 섹터의 거리값과 해당 섹터의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이 모두 획득되지 않으면 해당 고정된 사물이 가려진 것으로 판단하여 횟수에 대한 카운팅을 중단할 수 있다.
이후, 해당 섹터의 거리값이 도 12과 같이 재획득되면, 중단된 카운팅을 이어서 수행하며, 도 11과 같이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으로 획득되면 고정된 사물이 사라진 것으로 판단하고, 카운팅된 횟수를 초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정확한 횟수를 획득하여 고정된 사물에 대한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시간 기준 판단 및 획득 횟수 판단 방식의 경우 다른 사물이나 사람의 출현에 의해 일시적으로 거리값이 획득되지 않을 경우 새로 출현한 장애물에 의해 시간 및 횟수 카운팅을 중단해야 하므로, 기존 장애물을 고정된 사물로 판단하는데 있어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여, 제어부(1140)는, 기존 장애물이 존재하는 섹터의 거리값이 동일 거리값으로 반복 획득되되, 일정시간 또는 일정횟수 미만인 상태에서 기존 장애물이 존재하는 섹터의 거리값이 미획득되는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할 경우 기존 장애물을 고정된 사물로 판단하여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을 참조하여 부가적으로 설명하면, 기존 장애물이 고정된 사물인지 판단하는 과정, 즉, 고정된 사물로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 기준 판단 방식의 일정시간 또는 획득 횟수 기준 판단 방식의 일정횟수 미만인 상태에서 기존 장애물에 대한 거리값이 미획득되는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할 시 시간 기준 판단 방식의 일정시간 또는 획득 횟수 기준 판단 방식의 일정횟수를 초과하지 않더라도 기존 장애물을 고정된 사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장애물을 고정된 사물로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기로 한다.
도 14는 장애물을 고정된 사물로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140)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섹터에서 동일 거리값이 반복적으로 획득될 경우 해당 장애물로 모델링된 도형을 해당 섹터에서 높이 단위로 적층시켜 연산하고, 적층된 도형이 일정 높이를 초과할 경우 방재실 또는 경보부(1141)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해당 장애물이 존재하는 섹터의 거리값이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으로 획득될 경우 연산한 적층 높이를 초기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에 제1 장애물(o1), 제2 장애물(o2), 제3 장애물(o3)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제어부(1140)는 도 14의 (a)와 같이 각 장애물이 점유하고 있는 섹터에 각 장애물로 모델링된 도형(o1m1, o2m1, o3m1)을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제2 장애물(o2) 및 제3 장애물(o3)이 사라진 것으로 확인될 경우 도 14의 (b)와 같이 도형을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장애물(o1)이 고정된 사물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도 10의 (b)와 같이 제1 장애물(o1)로 모델링된 도형(o1m1, o1m2, o1m3, ??)을 획득 횟수만큼 높이 단위로 적층시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적층된 높이가 일정 높이 미만인 상태에서 기존 장애물에 대한 거리값이 미획득되는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할 시 적층된 높이가 일정 높이를 초과하지 않더라도 기존 장애물을 고정된 사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3와 같이 섹터에 존재하는 장애물(o1) 주변에 다른 사물이나 사람(o2)이 출현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하여, 해당 섹터의 거리값과 해당 섹터의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이 모두 획득되지 않으면 해당 고정된 사물이 가려진 것으로 판단하여 적층을 중단할 수 있다.
이후, 일정시간 내에 해당 섹터의 거리값이 도 12과 같이 재획득되면, 중단된 적층을 이어서 수행하며, 도 11과 같이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으로 획득되면 고정된 사물이 사라진 것으로 판단하고, 연산한 적층 높이를 초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정확한 적층 높이를 획득하여 고정된 사물에 대한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높이 단위 판단 방식은 시간 기준 판단 방식과 획득 횟수 기준 판단 방식에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시간 기준 판단 방식에서의 고정된 사물 판단 기준은 설정된 시간 및 설정된 적층 높이 중 먼저 충족되는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획득 횟수 기준 판단 방식의 고정된 사물 판단 기준은 설정된 횟수 및 설정된 적층 높이 중 먼저 충족되는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방화 셔터(1000)은, 상술한 모델링 도형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관리자가 위치하는 방재실에 구성될 수 있으며, 관리자는 모델링된 도형의 적층 높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직관적으로 고정된 사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선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1000 : 지능형 방화 셔터 110 : 셔터프레임
120 : 셔터부 121 : 셔터판
130 : 감지센서부 140 : 제어부
141 : 경보부 200 : 방재실
1110: 셔터프레임 1111: 상부프레임
1112: 수직프레임
1120: 셔터부
1121: 셔터판
1130: 거리측정센서 1131: 고정부
1132: 센싱부
1140: 제어부 1141: 경보부
1150: 센서고정바

Claims (10)

  1.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출입구를 형성하는 셔터프레임;
    상기 셔터프레임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셔터판을 통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셔터부;
    상기 셔터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의 주변 영역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
    상기 감지센서부와 연동하여 상기 셔터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상기 주변 영역에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방화 셔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상기 셔터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셔터판 및 상기 출입구의 주변 영역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 범위는,
    상기 셔터판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구의 전면 1m ~ 3m 및 상기 출입구의 후면 1m ~ 3m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화 셔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상기 셔터판을 하강 동작시키고, 상기 감지센서부를 통해 상기 셔터판의 하강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셔터부의 고장 여부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화 셔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와 연동하여,
    상기 연기감지기 및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셔터판을 1단 하강 동작시켜 상기 출입구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폐쇄하고,
    상기 열감지기 및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셔터판을 2단 하강 동작시켜 상기 출입구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화 셔터.
  5.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판이 하강 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상기 출입구 주변에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셔터판의 하강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셔터판의 하강 동작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화 셔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과 근접한 이상 물체 감지 영역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셔터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감지방향이 상기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화 셔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셔터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바닥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구성된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고정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둘레를 이루는 일면이 상기 회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360도 회전되되, 방사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라이다(LiDAR) 센서를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화 셔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물체 감지 영역의 바닥면을 복수 개의 단위면적으로 분할하여 섹터(sector)화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로 획득한 각 섹터별 거리값을 저장하여 저장된 각 섹터별 거리값을 기초로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판단하며,
    상기 거리측정센서로 획득한 섹터별 거리값이 상기 기저장된 섹터별 거리값 대비 작은 경우 해당 섹터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화 셔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이 존재하는 섹터의 거리값이 동일 거리값으로 반복 획득되어 일정횟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장애물을 고정된 사물로 판단하여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장애물이 존재하는 섹터의 거리값이 상기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으로 획득될 경우 고정된 사물이 사라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횟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화 셔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이 존재하는 섹터에서 동일 거리값이 반복적으로 획득될 경우 해당 장애물로 모델링된 도형을 해당 섹터에서 높이 단위로 적층시켜 연산하되, 상기 적층된 도형이 일정 높이를 초과할 경우 감지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장애물이 존재하는 섹터의 거리값이 상기 기저장된 섹터 거리값으로 획득될 경우 상기 연산한 적층 높이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방화 셔터.

KR1020220024537A 2022-02-24 2022-02-24 지능형 방화 셔터 KR20230127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537A KR20230127003A (ko) 2022-02-24 2022-02-24 지능형 방화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537A KR20230127003A (ko) 2022-02-24 2022-02-24 지능형 방화 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003A true KR20230127003A (ko) 2023-08-31

Family

ID=8784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537A KR20230127003A (ko) 2022-02-24 2022-02-24 지능형 방화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700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098B1 (ko) 2008-12-12 2009-07-09 주식회사 대륙기업 안전 방화 셔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098B1 (ko) 2008-12-12 2009-07-09 주식회사 대륙기업 안전 방화 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4012B2 (en) Fire alarm and fire alarm system
CN107367961B (zh) 用于旋转门的人体安全防护激光传感器
EP2441060B1 (en) Subject detection
KR102108343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재실 인원 카운트 방법
US20080074652A1 (en) Retroreflector-bas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ntrusion into a restricted area
KR101575011B1 (ko) 영상을 이용한 적외선감지기와 그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안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US2009024384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blockage detection
US20110073416A1 (en) Elevator Security System
KR102265002B1 (ko)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CN106395529A (zh) 监测系统、具有监测系统的电梯门系统和方法
EP3644290B1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KR20170006505A (ko) 장애물 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스크린도어용 장애물감지 시스템
EP1491709A1 (en)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KR101984291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11847898B2 (en) Adaptive fire detection
KR102112661B1 (ko) 방화 셔터 장애물 감지 및 통보 장치
KR20230127003A (ko) 지능형 방화 셔터
KR100750651B1 (ko) 층수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수표시방법
KR10204908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기능을 갖는 스마트 비상등 시스템
KR20230127009A (ko) 지능형 방화 셔터 시스템
EP35967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 sensing and controlling escape path guide signs accordingly
KR20200074620A (ko) 외벽 부착형 화재 연기 확산 차단 펜스
JPS585838Y2 (ja) 自動シャッタ装置
KR20040039661A (ko) 마이크로웨이브 감지기
KR20190069743A (ko) 장애물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