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379B1 - 곤도라의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곤도라의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379B1
KR100337379B1 KR1019990019855A KR19990019855A KR100337379B1 KR 100337379 B1 KR100337379 B1 KR 100337379B1 KR 1019990019855 A KR1019990019855 A KR 1019990019855A KR 19990019855 A KR19990019855 A KR 19990019855A KR 100337379 B1 KR100337379 B1 KR 100337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arm
sprocket
count weight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329A (ko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임종남
주식회사 경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남, 주식회사 경성기업 filed Critical 임종남
Priority to KR1019990019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379B1/ko
Publication of KR2000007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03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flattening or rim-rolling; Shaping by bending, folding or rim-rolling combined with joining; Apparatus therefor
    • B31F1/0006Bending or folding; Folding edges combined with joining; Reinforcing edges during the fold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도라의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케이지 아암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이 단동식으로 되어 있어 그 신장범위가 제한될 수 밖에 없고, 이로인해 케이지와 빌딩벽 간의 적정거리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프트를 지지하는 로프가 케이지 및 카운트웨이트의 위치 이동과 관계없이 프레임 중간부에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최대 신장 위치에서는 심한 흔들림이 발생되고, 이로인해 작업 및 탑승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레임(1) 상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1,2,3케이지 아암부재(21)(22)(23) 사이의 원동스프로킷(24) 및 케이지 아암 스프로킷A,B,C(25)(26)(27)를 체인(28)으로 연결하여 상기 체인(28) 전동으로 동방향 다단계로 신축되는 한 쌍의 케이지 아암(2)과; 상기 케이지 아암(2) 사이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1,2,3카운트웨이트 아암(31)(32)(33) 사이의 원동스프로킷(34)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 스프로킷A,B,C(35)(36)(37)를 체인(38)으로 연결하여 상기 체인(38) 전동으로 상기 케이지 아암(2)의 역방향으로 함께 다단계로 신축되는 한 쌍의 카운트웨이트 아암(3)과; 상기 케이지 아암(2)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3)을 구동모터(41)의 구동력으로 연동시키는 연동부(4)와; 상기 케이지 아암(2)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3) 상에 위치되는 케이지(6) 및 카운트웨이트(7)에 각각 연결되는 로프(5)로 구성함으로써 그 신축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지와 빌딩벽 간의 적정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케이지 및 카운트웨이트의 위치 이동과 함께 리프트를 지지하는 로프도 그 지지폭을 삼각형의 안정된 구조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심한 흔들림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작업 및 탑승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곤도라의 리프트장치{LIFT APPARATUS FOR GONDOLAR}
본 발명은 곤도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물 또는 작업자가 직접 적재 또는 탑승되어 승강하는 곤도라의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도라(gondolar)는 고층빌딩의 옥상에 설치되어 화물을 승.하강시키거나 빌딩의 외벽수리 및 유리창청소 등을 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곤도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상에 설치된 곤도라몸체(100) 상에 외팔보 형태로 아암(110)이 설치되고, 상기 아암(110)의 끝부분에는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리프트(Lift)(120)가 로프(126)로 현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120)의 일측부 상에는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화물이 적재되는 케이지(121)가 설치되어 있고, 이의 타측부 상에는 상기 케이지(121)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카운트웨이트(Countweight)(1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120)와 빌딩벽 간의 간격유지를 위해 아암(110)의 끝부분은 상기 빌딩벽과 간격을 가지며, 상기 리프트(120) 상의 케이지(121) 및 카운트웨이트(122)는 자체적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함께 상기 아암(110)과 리프트(120)는 로프(126)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로프(126)는 아암(110) 내부에 구비된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풀고 감아지는 식으로 구동되어 리프트(120)를 승강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근래에는 빌딩의 외벽에 형성된 돌출물의 크기에 따라 케이지(121)와 빌딩벽 사이의 이격거리 조정폭을 크게 하고, 비작업시에는 아암(110)을 완전 단축시키기 위해 상기 아암(110)을 다단계로 신장 및 단축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아암(110)을 제1아암부재(111), 제2아암부재(112), 제3아암부재(113)의 다단으로 구성하고, 이들은 내부 구동장치(미도시됨)에 의해서 다단계로 신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6은 종래의 곤도라의 리프트 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프트(120)는 프레임(123) 상에 케이지 아암(124)과 카운트웨이트 아암(125)이 구비되고, 이들은 구동장치(미도시됨)에 의해서 상호 역방향으로 신축되면서 빌딩벽과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120)를 곤도라몸체(100)의 아암(110)에 현수시키는 로프(126)는 프레임(123)의 중간부에 서로 평행하게 고정 및 위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곤도라의 리프트 장치는 케이지(121) 및 카운트웨이트(122)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케이지 아암(124)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125)이 각각 단독으로 되어 있는 단동식으로 되어 있어, 그 신축범위가 제한될 수 밖에 없고, 이로인해 돌출 및 인입 범위가 큰 빌딩벽 상에서는 케이지(121)와 빌딩벽 간의 적정거리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케이지(121) 및 카운트웨이트(122)의 신장길이에 관계없이 리프트(120)를 지지하는 로프(126)의 위치가 프레임(123)의 중간부에 수직선 상의평행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리프트(120)에 심한 흔들림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인해 탑승자로 하여금 불안감을 조성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지 및 카운트웨이트의 신장범위를 보다 확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장되는 케이지 및 카운트웨이트의 위치 이동에 따라 로프의 위치도 함께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레임 상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1,2,3케이지 아암부재 사이의 원동스프로킷 및 케이지 아암 스프로킷A,B,C를 체인으로 연결하여 상기 체인 전동으로 동방향 다단계로 신축되는 한 쌍의 케이지 아암과; 상기 케이지아암 사이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1,2,3카운트웨이트 아암부재 사이의 원동스프로킷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 스프로킷A,B,C를 체인으로 연결하여 상기 체인 전동으로 상기 케이지 아암의 역방향으로 함께 다단계로 신축되는 한 쌍의 카운트웨이트 아암과; 상기 케이지 아암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을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연동시키는 연동부와; 상기 케이지 아암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 상에 위치되는 케이지 및 카운트웨이트에 각각 연결되는 로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곤도라의 리프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동부는 구동모터 양측의 카운트웨이트 아암의 원동스프로킷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카운트웨이트 아암 및 케이지 아암 사이의 구동모터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케이지 아암의 원동스프로킷과 축으로 연결되는 전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 및 종동스프로킷 사이에 위치되어 구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고, 일측에는 원동기어를 갖는 종동스프로킷과; 상기 종동스프로킷의 원동기어와 치합되는 피동기어를 가지며 전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연동스프로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지 아암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연동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일반적인 곤도라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
도 6는 종래의 곤도라의 리프트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프레임 2:케이지 아암
3:카운트웨이트 아암 4:연동부
5:로프 6:케이지
7:카운트웨이트 21,22,23:제1,2,3케이지 아암부재
24,34:원동스프로킷25,26,27:케이지 아암 스프로킷A,B,C28,38,47,48:체인 31,32,33:제1,2,3카운트웨이트 아암부재
35,36,37:카운트웨이트 아암 스프로킷A,B,C41:구동모터 42:회전축
43:구동스프로킷 44:전동스프로킷
45:종동스프로킷 45A:원동기어
46:연동스프로킷 46A:피동기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1) 상에 케이지 아암(2)과 카운트웨이트 아암(3)이 상호 역방향 구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 아암(2)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3)은 다단계 신축 구동되도록 제1,2,3케이지 아암부재(21)(22)(23) 및 제1,2,3카운트웨이트 아암부재(31)(32)(33)의 다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3케이지 아암부재(23) 및 제3카운트웨이트 아암부재(33) 상에는 각각 케이지(6) 및 카운트웨이트(7)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6) 및 카운트웨이트(7)에 각각 로프(5)가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지 아암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지 아암(2)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3)은 제1,2,3케이지 아암부재(21)(22)(23) 및 제1,2,3카운트웨이트 아암부재(31)(32)(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3케이지 아암부재(21)(22)(23) 및 제1,2,3카운트웨이트 아암부재(31)(32)(33) 사이에는 원동기어(24)(34)와 함께 스프로킷A(25)(35),스프로킷B(26)(36),스프로킷C(27)(37)가 설치되고, 이들 사이는 체인(28)(38)으로 연결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연동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케이지 아암(2)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 상에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동방향의 한 쌍으로 설치되고, 카운트웨이트 아암(3)은 상기 케이지 아암(2) 사이에 간격을 두고 케이지 아암(2)의 역방향으로 함께 한 쌍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카운트웨이트 아암(3) 사이에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41)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41) 양측의 회전축(42) 상에는 카운트웨이트 아암(3)의 원동기어(45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카운트웨이트 아암(3)과 케이지 아암(2) 사이의 회전축(42) 사이에는 구동스프로킷(43)이 설치되고, 케이지 아암(2)의 원동기어(45A)에는 전동스프로킷(44)이 축으로 연결된다. 이와함께 상기 구동스프로킷(43)과 전동스프로킷(44) 사이에는 구동스프로킷(43)과 체인(47)으로 연결되는 종동스프로킷(45)과, 전동스프로킷(44)과 체인(48)으로 연결되는 연동스프로킷(46)이 설치된다. 또한 역구동 변환을 위해 상기 종동스프로킷(45) 및 연동스프로킷(46)에는 각각 원동기어(45A) 및 피동기어(46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호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연동부(4)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케이지 아암(2)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3)은 통상의 다단계 신축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의 작동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구동모터(41)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41)의 양측으로 연결된 회전축(42)이 회전하게 되고, 이의 회전력은 체인(38) 전동으로 카운트웨이트 아암(3)의 원동기어(34)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 스프로킷A,B,C(35)(36)(37) 측으로 전달되면서 다단계 신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42)의 회전력은 상기 카운트웨이트 아암(3)과 케이지 아암(2) 사이의 구동스프로킷(43) 측으로 동시에 전달되고, 이의 회전력은 다시 체인(47) 전동을 통해 종동스프로킷(45) 및 연동스프로킷(46)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종동스프로킷(45) 및 연동스프로킷(46)은 원동기어(45A) 및 피동기어(46A)의 치합에 의한 기어전동으로 그 회전방향이 역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그 변환된 회전력은 다시 상기 연동스프로킷(46)과 체인(48)으로 연결된 전동스프로킷(44)으로 전달되고, 상기 전동스프로킷(44)의 회전력은 축으로 연결된 케이지 아암(2)의 원동스프로킷(24)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케이지 아암(2)을 카운트웨이트 아암(3)의 역방향으로 함께 다단계로 신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빌딩벽(B)의 돌출 및 인입 범위에 따라 케이지(6) 및 카운트웨이트(7)가 신장 또는 단축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지(6) 및 카운트웨이트(7)를 지지하는 케이지 아암(2)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3)은 다단계로 신장되므로 그 범위가 클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상기 케이지(6)와 빌딩벽(B) 간의 적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호 대칭되게 동시 신장 또는 축소되는 케이지 아암(2)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3)과 함께 상기 케이지 아암(2)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3)의 각 단부측에 구비된 케이지(6) 및 카운트웨이트(7)를 지지하는 로프(5)(도 1 참조.) 간의 폭 또한 동시 가변되어 상기 로프(5)를 중심으로 한 삼각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상기 케이지(6)와 카운트웨이트(7)가 일측으로 기울어짐이 없이 균형을 이루는 안정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이의 작용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로프(126)가 케이지 아암(124)과 카운트 웨이트(125)의 각 단부측에 구비된 케이지(121)와 카운트웨이트(122)를 직접 지지하지 않고, 이들 사이의 중간에서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심한 흔들림이 발생되는데 반해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5)가 상호 대칭되게 동시 신축 및 축소되는 케이지 아암(2)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3)의 각 단부측에 구비된 케이지(6)와 카운트웨이트(7)를 직접 지지하는 삼각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종래보다 현저하게 안정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지 및 카운트웨이트를 지지하는 케이지 아암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을 다단계로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신축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지와 빌딩벽 간의 적정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지 아암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의 다단계 신장에 의한 케이지 및 카운트웨이트의 위치 이동과 함께 상기 케이지 및 카운트웨이트를 직접 지지하는 로프도 상호 대칭되게 동시 신장 및 축소되는 케이지 아암과 카운트웨이트 아암과 함께 삼각 형태를 이루면서 그 지지폭도 가변됨으로써 케이지와 카운트웨이트 사이의 중간을 로프로 지지하는 기존의 리프트 장치보다 현저하게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인해 작업 및 탑승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2)

  1. 프레임(1) 상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1,2,3케이지 아암부재(21)(22)(23) 사이의 원동스프로킷(24) 및 케이지 아암 스프로킷A,B,C(25)(26)(27)를 체인(28)으로 연결하여 상기 체인(28) 전동으로 동방향 다단계로 신축되는 한 쌍의 케이지 아암(2)과;
    상기 케이지 아암(2) 사이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1,2,3카운트웨이트 아암부재(31)(32)(33) 사이의 원동스프로킷(34)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 스프로킷A,B,C(35)(36)(37)를 체인(38)으로 연결하여 상기 체인(38) 전동으로 상기 케이지 아암(2)의 역방향으로 함께 다단계로 신축되는 한 쌍의 카운트웨이트 아암(3)와;
    상기 케이지 아암(2)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3)을 구동모터(41)의 구동력으로 연동시키는 연동부(4)와;
    상기 케이지 아암(2) 및 카운트웨이트 아암(3) 상에 위치되는 케이지(6) 및 카운트웨이트(7)에 각각 연결되는 로프(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곤도라의 리프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4)는 구동모터(41) 양측의 카운트웨이트 아암(3)의 원동스프로킷(34)에 연결되는 회전축(42)과;
    상기 카운트웨이트 아암(3) 및 케이지 아암(2) 사이의 구동모터 회전축(42)상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43)과;
    상기 케이지 아암(2)의 원동스프로킷(24)과 축으로 연결되는 전동스프로킷(44)과;
    상기 구동스프로킷(43) 및 종동스프로킷(45) 사이에 위치되어 구동스프로킷(43)과 체인(47)으로 연결되고, 일측에는 원동기어(45A)를 갖는 종동스프로킷(45)과;
    상기 종동스프로킷(45)의 원동기어(45A)와 치합되는 피동기어(46A)를 가지며, 전동스프로킷(44)과 체인(48)으로 연결되는 연동스프로킷(4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곤도라의 리프트장치.
KR1019990019855A 1999-05-31 1999-05-31 곤도라의 리프트장치 KR100337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855A KR100337379B1 (ko) 1999-05-31 1999-05-31 곤도라의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855A KR100337379B1 (ko) 1999-05-31 1999-05-31 곤도라의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329A KR20000075329A (ko) 2000-12-15
KR100337379B1 true KR100337379B1 (ko) 2002-05-21

Family

ID=1958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855A KR100337379B1 (ko) 1999-05-31 1999-05-31 곤도라의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2198A (zh) * 2018-09-25 2018-12-21 惠博普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桅杆悬臂吊
CN112623444A (zh) * 2020-12-02 2021-04-09 中国水利水电第三工程局有限公司 一种钢筋分类存放货架
CN114906729A (zh) * 2021-02-09 2022-08-16 五原县金麦提升科技有限公司 筛床链条提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329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10355B2 (ja) クレ−ン等の入れ子式ブ−ム
KR100337379B1 (ko) 곤도라의 리프트장치
JPH06298495A (ja) 高所作業車
RU2271330C2 (ru) Кран с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й стрелой
JPS6359959B2 (ko)
CN214935438U (zh) 一种装配式建筑墙板吊装装置
JP7042080B2 (ja) 水平ジブを備えた揚重装置
CN209778087U (zh) 一种双梁式起重机防摇摆结构
KR200230101Y1 (ko) 건축용 리프트
JP6956628B2 (ja) 水平ジブを備えた揚重装置の横行制御方法
KR19980033622A (ko) 멀티 체인구조를 갖는 곤도라 아암의 다단 신축장치
KR100261135B1 (ko)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 장치
CN111411783B (zh) 多节伸缩复合桁架及具有其的电梯井式直臂施工设备
CN216512438U (zh) 起吊机构及其起吊机
JP7039291B2 (ja) 水平ジブを備えた揚重装置
JP7028635B2 (ja) 水平ジブを備えた揚重装置
KR100452914B1 (ko) 고층 빌딩에의 패널 부재 반송 방법 및 이것에 사용하는보조 반송 장치
JP2881677B2 (ja) 足場装置
CN212581466U (zh) 一种工程机械维修用吊装装置
JP7028636B2 (ja) 水平ジブを備えた揚重装置
CN219009728U (zh) 升降装置、吊运设备及电镀系统
JPH07471Y2 (ja) 水平屈曲式昇降クレ−ン
KR20060079691A (ko) 고소작업차의 신축식 다단붐
RU2463242C1 (ru) Подъемник
JPH09188495A (ja) クレーン装置および構造物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