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525B1 - 리프트 - Google Patents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525B1
KR970006525B1 KR1019940036695A KR19940036695A KR970006525B1 KR 970006525 B1 KR970006525 B1 KR 970006525B1 KR 1019940036695 A KR1019940036695 A KR 1019940036695A KR 19940036695 A KR19940036695 A KR 19940036695A KR 970006525 B1 KR970006525 B1 KR 970006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wire
building
lift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248A (ko
Inventor
이훈주
Original Assignee
이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주 filed Critical 이훈주
Priority to KR1019940036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525B1/ko
Publication of KR960022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리프트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의 또다른 실시예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구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치 10 : 제1고정구
15 : 도르레 20 : 제2고정구
30 : 와이어 40 : 적재대
50 : 보호구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 물품을 안전하게 들어 올리기 위한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샤시문을 들어 올리는데 적당한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들어올리기 위한 수단으로 대표적인 것이 곤도라, 크레인등이 있다.
곤도라의 경우 주로 아파트건물의 옥상에 설치되어 이삿짐을 들어 올리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아파트 거주자의 공동소유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영업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건축업자들이 건축자재나 설비등을 운반하는데 원칙적으로 불허하고 있다. 그리고 곤도라는 이삿짐을 올릴때 적재대가 흔들리기 때문에 적재대가 건물외벽에 부딪혀 이삿짐의 파손 우려도 있으며, 이삿짐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자가 필요하므로 작업인원도 많아야 하는 단점도 있었다.
크레인의 경우 이삿짐이나 건축자재등을 고층건물에 들어 올리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전성이 높은 반면, 크레인은 고가장비이므로 사용료가 비싸고 건물이 고층일수록 운반능력이 큰 크레인이 요구되는 단점도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 물품을 안전하게 올릴 수 있으며, 차량으로 운반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 된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건물 외부의 상층부에 고정되며 도르레(15)가 구비된 제1고정구(10); 건물 외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2고정구(20); 상기 제1고정구(10)와 상기 제2고정구(2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와이어(30); 통상의 윈치(1)구동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3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윈치용 와이어(1)를 상기 도르레(15)에 걸어 연결되게 하며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대(4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재대(40) 및 상기 적재대(40)에 적재된 물품이 건물 외벽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적재대(40)에 적재된 물품에 부착되는 보호구(50)를 더 구비한다.
제1도 및 제4도에서, 제1고정구(10)는 각층에 있는 난간 상단이나 옥상의 보호벽 상단에 걸쳐놓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하면 된다. 이 제1고정구(10)의 하단 양측에는 와이어(3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샤클(11)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단 중앙에는 도르레(15)를 매달 수 있는 후크(1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면에는 제1고정구(10)가 벽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롤러(1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고정구(10)를 건물의 따라 견고한 불특정 구조물에 임의의 와이어 연결할 수 있게 상단 중앙에 후크(13)를 마련하였다.
제2고정구(20)는 판넬형상으로 형성하면 된다. 이 제2고정구(20)는 와이어(3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면 양측에 후크(21)가 입설되어 있다.
와이어(30)는 2개가 마련되어 있으며, 각각의 일단이 제1고정구(10)의 샤클(11)에 연결되며 각각의 타단은 제2고정구(20)의 후크(21)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적정한 길이로 구비하면 된다. 그리고 이 와이어(30) 각 단부에는 턴버클(31)을 마련하여 와이어(30)의 길이조정이 가능케하였다. 부언하여 제1고정구(10)의 두 샤클(11) 간격과 제2고정구(20)의 두 후크(21)의 간격이 서로 일치하여야 와이어(30)가 평행으로 연결되고 적재대(40)의 승강이 원활해진다.
적재대(40)는, 제1도 및 제2도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면에서 볼때 대략 ㄴ자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적재대(40,40a)는 와이어(30)가 직선적으로 통과되도록 양측 상하단에 관통보스(41,41a)가 마련되어 있으며, 윈치용 와이어(1a)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 중앙에는 후크(42,42a)가 마련되어 있다.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한 적재대(40)는, 샤시문과 같이 크기가 크고 외부 충격에 취약한 물품의 적재에 적합하도록 설계한 것으로, 수직프레임(43)과 수평프레임(44) 구성하며, 수평프레임(44)이 수직 프레임(43)에 대하여 내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수직프레임(43)의 상단에 회전축(45)을 축설하고 수직프레임(43)에 수평프레임(44)을 고정할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43)의 하단 양측에 고정레버(46)를 마련하였다. 이때 후크(42)는 회전축(45)의 중앙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에 도시한 적재대(40a)는, 한번에 많은량의 물품을 적재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한 것으로, 수직프레임(43a)과 수평프레임(44a)으로 구성하되, 수평프레임(44a)과 수직프레임(43a)이 직각이 되게 일체로 형성하며, 보다 많은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44a)에 대하여 180도로 절첩되는 보조판(46a)을 마련하고 이 보조판(46a)이 수직프레임(43a)에 지지되게 체인(45a)으로 연결하였다.
그리고 상기 보호구(50)는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적재대(40,40a)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 하단이 굴곡되어 있다. 보호구(50)에 통상의 부착구(51)를 마련하여 레버(52)조작에 의하여 고무빨판(53)이 적재대(40,40a)의 수직 프레임(43,43a)의 양쪽면에 부착되게 하였다. 이 보호구(50)의 길이는 통상의 건물 1층 높이에 상당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조로된 본 발명의 사용을 고층아파트에 샤시문을 들어 올리는 것에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제3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를 설치할 때; 제1고정구(10)는 건물 옥상의 보호벽 상단이나 물품을 옮기고자 하는 층수보다 높은층의 난간 상단에 걸쳐 놓는다. 그리고 제1고정구(10)의 하단 중앙에 있는 후크(12)에 마련된 도르레(15)를 결착하고, 필요에 따라 제1고정구(10) 상단 중앙에 있는 후크(13)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인근의 고정구조물에 결속하여 제1고정구(1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제2고정구(20)는 제1고정구(10)의 수직하방에 위치되게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시킨다. 이때 유압잭(3)을 이용하여 건물 1층의 나간 저면에 고정하면 편리하다. 유압잭(3)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 차량의 하중으로 제2고정구(20)를 고정하여도 된다.
그런다음 적재대(40)를 제2고정구(20) 상면에 올려놓은 다음 각각의 와이어(30)를 적재대(40)의 관통보스(41)에 수직방향으로 통과시키고 그 양단을 각기 제1고정구(10)와 제2고정구(20)에 연결한다. 이때 와이어(30)의 상단은 제1고정구(10)의 샤클(11)에 연결하고, 와이어(30)의 하단은 제2고정구(20)의 후크에 연결한 다음 턴버클(31)을 조여 와이어(30)를 평행하게 당겨야 한다.
이후 마련된 윈치(1)에서 윈치용 와이어(1a)를 인출시켜 제1고정구(10)에 있는 도르레(15)에 건 다음 그 일단을 적재대(40)의 상단 중앙에 있는 후크(42)에 연결하면 리프트의 설치가 완료된다.
리프트의 설치한후 샤시문을 적재대(40)에 올려 놓고 밧줄등으로 고정시킨 다음, 보호구(50)를 적재대(40)의 전방에 부착하여 놓는다. 보호구(50)의 부착시에는 부착구(51)를 이용하여 적재대(40)에 적재대 샤시문의 유리부분에 부착하면 된다.
이와같이 리프트에 물품을 적재한 다음 윈치(1)를 구동시켜 샤시를 들어 올리면 된다. 이때 차량용 윈치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윈치(1)가 구동함에 따라 윈치용 와이어(1a)가 당겨지면 적재대(40)가 와이어(30)를 따라 상승된다. 적재대(40)가 올라가는 도중 난간등 건물의 돌출부에 이르더라도 보호구(50)에 의하여 적재대(40) 및 물품이 부딪치지 않고 자연스럽게 올라가게 된다. 적재대(40)가 소망하는 층에 이르면 윈치(1)의 구동을 멈추어 적재대(40)를 고정시킨 다음, 편의에 따라 적재대(40)의 고정레버(46)를 해제한 다음 수평프레임(44)을 건물 내측으로 당기면 수평프레임(44)이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샤시가 건물 내측으로 당겨지므로 샤시를 내리기에 편리하다.
적재대(40)에서 물품을 내린다음 고정레버(46)를 잠궈 수평프레임(44)을 수직프레임(43)에 고정하고 나서, 윈치(1)의 구동방향을 역전시키면 윈치용 와이어(1a)가 풀어지므로 적재대(4)가 와이어(30)를 따라 하강한다. 적재대(40)가 제2고정구(20)의 상면에 안착되면 윈치(1)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또다시 전술한 과정을 반복수행하여 샤시를 들어올리면 된다.
한편, 작업위치를 변경하고자 할때 제1고정구(10)는 롤러(14)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고정구(10)를 한쪽 방향으로 밀면 벽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된다.
리프트의 해체시에는 설치시와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30)의 길이조정에 따라 고층도 가능하며, 설치 및 해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작업대의 흔들림이 거의 없이 물품의 이송이 안정하게 이루어지고, 비교적 적은 인원으로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인원절감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리프트가 소형이므로 차량으로 이동의 편리하고, 차량용 윈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단가의 절감은 물론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건물 외부의 상층부에 고정되며 도르레(15)가 구비된 제1고정구(10)와, 건물 외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2고정구(20)와, 상기 제1고정구(10)와 상기 제2고정구(2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와이어(30)와, 통상의 윈치(1)구동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3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윈치용 와이어(1a)를 상기 도르레(15)에 걸어 연결되게 하며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40) 및 상기 적재대(40)에 적재된 물품이 건물 외벽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적재대(40)에 적재된 물품에 부착되는 보호구(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40)는 상기 와이어(30)가 직선적으로 통과되도록 양측 상하단에 관통보스(41)를 마련하고, 상기 윈치용 와이어(1a)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 중앙에 후크(42)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40)는 수직프레임(43)과 수평프레임(44) 구성하며, 상기 수평프레임(44)이 상기 수직프레임(43)에 대하여 내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수직프레임(43)의 상단에 회전축(45)을 축설하는 동시에 상기 후크(42)를 일체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KR1019940036695A 1994-12-26 1994-12-26 리프트 KR970006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695A KR970006525B1 (ko) 1994-12-26 1994-12-26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695A KR970006525B1 (ko) 1994-12-26 1994-12-26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248A KR960022248A (ko) 1996-07-18
KR970006525B1 true KR970006525B1 (ko) 1997-04-29

Family

ID=1940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695A KR970006525B1 (ko) 1994-12-26 1994-12-26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277A (ko) * 2015-06-23 2017-01-02 삼성물산 주식회사 입상배관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294B1 (ko) * 2023-02-13 2023-07-27 조태국 로프 결박이 가능한 구조 개선된 건설 자재 리프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277A (ko) * 2015-06-23 2017-01-02 삼성물산 주식회사 입상배관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248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203B2 (en) Work platform for an overhead crane
JP4922867B2 (ja) エレベータの工事作業用足場、及びそれを用いた足場の設置方法
CN111392615B (zh) 一种大跨度钢结构机电管线吊装结构
JP2006240878A (ja) 簡易クレーン装置
CN210710398U (zh) 一种工位间车身吊具
US3223199A (en) Scaffolding hoist
KR970006525B1 (ko) 리프트
JP2008222382A (ja) 据付用昇降装置移動方法
CN112110357B (zh) 一种物料运输装置
JPH0628548Y2 (ja) 自走式高所作業台車の吊り装置
JP2001354374A (ja) エレベータの昇降路内揚重装置
JP2008214062A (ja) リフト装置および構造材取り付け方法
CN218950792U (zh) 一种具有翻转结构的吊车
JP2001316074A (ja) 吊り荷の吊り治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901965B1 (ja) 建物用のリフト装置
CN217173051U (zh) 一种方便易用的建筑材料吊装机
CN217297060U (zh) 一种塔式起重机用防碰撞装置及其塔式起重机
JPH0694723B2 (ja) 作業用吊足場の仮設方法
US20040251081A1 (en) Scaffolding hoist
JPH06278967A (ja) ガイドレールの組立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60113870A (ko) 크레인에 장착되는 고소 작업 장치
JPH084301A (ja) 索道を用いた外壁パネルの施工法及びその装置
KR101834355B1 (ko) 사절회전기구를 이용한 관절식 리프트
US6264423B1 (en) Method of installing an overhead garage door opener
JP2000351553A (ja) エレベーター据付け用の揚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