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226B1 - 과부하 방지활차 - Google Patents

과부하 방지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226B1
KR101818226B1 KR1020170105410A KR20170105410A KR101818226B1 KR 101818226 B1 KR101818226 B1 KR 101818226B1 KR 1020170105410 A KR1020170105410 A KR 1020170105410A KR 20170105410 A KR20170105410 A KR 20170105410A KR 101818226 B1 KR101818226 B1 KR 101818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limit switch
spring
b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라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라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라이테크
Priority to KR1020170105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8Safety gear responsive to excess of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 바닥이나 천정을 지지하는 보강빔(2)에 고정수단(10)으로 고정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나란한 수직판(21,22)을 가지며 각 수직판(21,22)은 상부 일측에서 힌지바(24)로 지지되며 전방 하단은 고정판(26)으로 고정되는 하부활차브라켓(20); 활차롤러(40)를 활차축(42) 양단에서 장방형판(31,32)으로 지지하며, 장방형판(31,32)은 활차축(42)과 수평위치로 이격되어 와이어(1) 과부하시 편심축으로 작용하는 상기 힌지바(24)로 지지되며, 힌지바(24) 반대편 장방형판(31,32) 위치에는 장방형판(31,32)을 고정하는 수평바(35)를 설치한 상부활차브라켓(30); 및 고정판(26)에 지지되고 스프링(53)과 리미트스위치(54)를 수직으로 나란히 지지하는 리미트스위치 지지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활차롤러(40)에서 이송되는 와이어(1)에 초기 과부하가 걸리기 시작할 때 수평바(3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지만 스프링(53)에 의하여 초기에 탄발력으로 지지되며, 탄발력 이상의 과부하에 의한 회전력이 인가되면 리미트스위치(54)를 작동시켜 별도의 제어부에 의하여 와이어 작동을 멈추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방지활차이다.

Description

과부하 방지활차{Over load prevention stage pully}
본 발명은 과부하 방지활차에 관한 것이다.
무대구동용 활차는 무대의 바튼을 상하 이동시키는 수직의 와이어를 드럼으로 향하도록 방향을 전환하여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무대 구동용 활차는 단순한 활차에서 와이어의 충격을 흡수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로는 브라켓에 지지되는 활차의 축에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과 같은 충격흡수수단을 부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기술이 국내특허등록10-1404078호, 국내특허등록10-1558162호, 국내실용신안등록20-0461068호로 알려졌으나, 충격을 흡수하는 단순 기능을 수행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또한 브라켓에 활차는 고정되고, 브라켓에는 장공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봉을 두고, 가이드봉은 와이어의 텐션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고, 가이드봉의 이동은 마이크로스위치에 의하여 인식하는 기술이 국내공개실용신안92-0002177호로 알려졌으나, 이는 와이어가 이탈하는 정도를 인식하는 수준으로, 와이어에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를 이송하는 활차롤러가 양측의 장방형판과 활차축으로 지지되고, 장방형판의 편심 위치에서 편심축으로 작용하는 힌지바를 가지는 상부활차브라켓은 힌지바로 동시에 하부활차브라켓과 힌지작용 가능토록 결합하며, 상부활차브라켓의 힌지 작용 여부는 하부활차브라켓에 부가한 리미트스위치 지지브라켓에 스프링과 리미트스위치를 부가하여, 힌지바 반대측의 상부활차브라켓에 설치한 수평바가 초기에는 스프링에 지지되고, 와이어의 과부하시에는 수평바가 힌지바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리미트스위치를 작동하므로, 와이어의 과부하시 활차축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여 안정성을 제공하는 과부하 방지활차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를 이송하는 활차롤러를 장방형판으로 활차축을 지지토록하고 장방형판의 편심 위치에 편심축으로 작용하는 힌지바를 결합하는 상부활차브라켓이 힌지바에 의하여 하부활차브라켓과도 힌지결합하도록 하고, 상부활차브라켓의 힌지 작용은 하부활차브라켓에 부가한 리미트스위치 지지브라켓에 스프링과 리미트스위치를 나란히 수직으로 부가하고, 힌지바 반대측의 상부활차브라켓에는 수평바를 일체로 형성하여, 초기 과부하가 발생하려할 때는 수평바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고, 와이어의 과부하시에는 수평바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초과하여 리미트스위치를 작동토록 하여, 와이어의 과부하시에는 활차축의 작동을 2단계로 작동하여 멈추도록 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안정적인 과부하 방지활차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항 본원발명은 무대 바닥이나 천정을 지지하는 보강빔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나란한 수직판을 가지며 각 수직판은 상부 일측에서 힌지바로 지지되며 전방 하단은 고정판으로 고정되는 하부활차브라켓;
활차롤러를 활차축 양단에서 장방형판으로 지지하며, 장방형판은 활차축과 수평위치로 이격되어 와이어 과부하시 편심축으로 작용하는 상기 힌지바로 지지되며, 힌지바 반대편 장방형판 위치에는 장방형판을 고정하는 수평바를 설치한 상부활차브라켓; 및
고정판에 지지되고 스프링과 리미트스위치를 수직으로 나란히 지지하는 리미트스위치 지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활차롤러에서 이송되는 와이어에 초기 과부하가 걸리기 시작할 때 수평바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지만 스프링에 의하여 초기에 탄발력으로 지지되며, 탄발력 이상의 과부하에 의한 회전력이 인가되면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켜 별도의 제어부에 의하여 와이어 당김 작동을 멈추도록 구성한 과부하 방지활차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를 이송하는 활차롤러가 양측의 장방형판과 활차축으로 지지되고, 장방형판의 편심 위치에서 편심축으로 작용하는 힌지바를 가지는 상부활차브라켓은 힌지바로 동시에 하부활차브라켓과 힌지작용 가능토록 결합하며, 상부활차브라켓의 힌지 작용 여부는 하부활차브라켓에 부가한 리미트스위치 지지브라켓에 스프링과 리미트스위치를 부가하여, 힌지바 반대측의 상부활차브라켓에 설치한 수평바가 초기에는 스프링에 지지되고, 와이어의 과부하시에는 수평바가 힌지바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리미트스위치를 작동하므로, 와이어의 과부하시 활차축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여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를 이송하는 활차롤러를 장방형판으로 활차축을 지지토록하고 장방형판의 편심 위치에 편심축으로 작용하는 힌지바를 결합하는 상부활차브라켓이 힌지바에 의하여 하부활차브라켓과도 힌지결합하도록 하고, 상부활차브라켓의 힌지 작용은 하부활차브라켓에 부가한 리미트스위치 지지브라켓에 스프링과 리미트스위치를 나란히 수직으로 부가하고, 힌지바 반대측의 상부활차브라켓에는 수평바를 일체로 형성하여, 초기 과부하가 발생하려할 때는 수평바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고, 와이어의 과부하시에는 수평바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초과하여 리미트스위치를 작동토록 하여, 와이어의 과부하시에는 상부활차브라켓의 작동을 2단계로 작동하여 오동작을 막아준다.
도 1은 본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발명의 평면도,
도 4는 본발명의 우측면도,
도 5는 본발명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종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무대 바닥이나 천정을 지지하는 보강빔(2)에 고정수단(10)으로 고정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나란한 수직판(21,22)을 가지며 각 수직판(21,22)은 상부 일측에서 힌지바(24)로 지지되며 전방 하단은 고정판(26)으로 고정되는 하부활차브라켓(20);
활차롤러(40)를 활차축(42) 양단에서 장방형판(31,32)으로 지지하며, 장방형판(31,32)은 활차축(42)과 수평위치로 이격되어 와이어(1) 과부하시 편심축으로 작용하는 상기 힌지바(24)로 지지되며, 힌지바(24) 반대편 장방형판(31,32) 위치에는 장방형판(31,32)을 고정하는 수평바(35)를 설치한 상부활차브라켓(30); 및
고정판(26)에 지지되고 스프링(53)과 리미트스위치(54)를 수직으로 나란히 지지하는 리미트스위치 지지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활차롤러(40)에서 이송되는 와이어(1)에 초기 과부하가 걸리기 시작할 때 수평바(3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지만 스프링(53)에 의하여 초기에 탄발력으로 지지되며, 탄발력 이상의 과부하에 의한 회전력이 인가되면 리미트스위치(54)를 작동시켜 별도의 제어부에 의하여 와이어 당김작동을 멈추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직판(21,22)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판(28)이 부가되며, 절곡판(28)에는 나사공(29)을 형성하며, 보강빔(2)은 에이치빔이며, 고정수단(10)은 레일헤드 부위에 걸어 고정하는 니은형 고정판(12)과, 고정판(12)에 형성한 나사공(14)과, 상기 나사공(14)(29)으로 서로 나사결합하는 결합나사(1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힌지바(24)와 활차축(42)은 동일 수평선 위치에 설치되며, 수평바(35)는 힌지바(24)와 활차축(42)의 수평선 상 위에 오도록 구성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 지지브라켓(50)은 고정판(26)에 고정되는 고정판(51a)과, 고정판(51a)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수평판(51b)과, 수평판(51b)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판(51c)으로 이루어지며;
수평판(51b)에는 스프링(53)의 길이보다는 작아서 스프링(53)의 압축을 가능토록 하는 스프링지지바(51d)를 부가하고, 수직판(51c)에는 리미트스위치(54)를 설치하며, 리미트스위치(54)의 작동로드(55)는 스프링(53)이 압축될 때 눌리어져 턴온 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도 6과 같이 본 밞병을 무대 세트물 구동장치에 사용하고, 이를 위하여는 도 1 내지 도 5에 보인바와 같이 하부활차브라켓(20)을 고정수단(10)을 이용하여 무대 상부그리드아이언이나 바닥면에 설치한 보강빔(2) 레일헤드 저면에 고정판(12)을 대고 결합나사(16)로 나사공(29)과 나사공(14)을 조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고정판(26) 전면에 리미트스위치 지지브라켓(50)을 결합(나사 나 용접 등으로 결합 가능함은 알 수 있을 것이다)하고, 리미트스위치 지지브라켓(50)에는 수직판(51c)에 리미트스위치(54)를 고정하고, 수평판(51b)에는 스프링지지바(51d)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단은 노출된 스프링(53)을 설치한다. 이 경우 초기 상단은 스프링(53), 작동로드(55), 수직판(51c) 순으로 수평위치가 낮아지도록 하는바, 이는 스프링(53)에 의하여 수평바(35)가 일차 탄발력을 받고, 일차 탄발력 이상의 과부하가 걸리면 작동로드(55)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부활차브라켓(20)의 후방 부위에는 편심 위치에 힌지바(24)로 상부활차브라켓(30)과 힌지 결합되도록 설치한다.
상부활차브레켓(30)은 활차축(42)에 지지되는 활차롤러(40)를 장방형판(31,32) 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전방에 수평으로 돌출한 수평바(35)에 의하여 장방형판(31,32)이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활차롤러(40)에 의하여 이송 및 안내되는 와이어(1)는 수직위치에는 바튼을 지지하고, 바튼에는 무대의 세트물을 도 6과 같이 지지하는데, 셋트가 무대 구조물에 걸리거나 하여 당기는 와이어(1)에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도 1 내지 3의 활차롤러(40)의 우측 하방으로는 셋트를 지지하는 와이어(1) 이므로 수직으로는 위치 변동이 없으나, 좌측은 소위 스크류드럼과같은 와이어를 감는 측이므로 와이어(1)를 잡아당기고, 당기는 힘에 의하여 활차롤러(40)는 장방형판(31,32)과 함께 편심 위치에 있는 힌지바(24)를 힌지축으로 작용하여 활차롤러(40)는 장방형판(31,32)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은 일차 과부하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활차롤러가 장방형판(31,32)과 함께 회전하면, 장방형판(31,32)에 수평으로 결합된 수평바(35)가 일차로 회전하려고 수평바(35)가 스프링(53)을 누르려고 하지만 스프링(53)의 기본 탄발력에 의하여 일차 회전을 저지당하도록 함으로써 미세한 과부하시에는 오동작을 예방하도록 작용한다.
이어 보다 강한 과부하시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활차롤러가 장방형판(31,32)과 함께 더욱 회전하여, 장방형판(31,32)에 수평으로 결합된 수평바(35)가 스프링(53)을 누르고, 이어 작동로드(55)를 수평바(35)가 눌러서 리미트스위치(54)를 작동시킨다. 리미트스위치(54)가 작동되면, 수직판(51)상단과 수평바(35)가 접촉하여 수평바(35)의 역회전을 중단시킴으로써, 리미트스위치(54)의 손상을 막아주어 리미트스위치(54)의 내구성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리미트스위치(54)가 작동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서 와이어(1)의 과부하로 인식하여 스크류드럼용 모터(도 6의 구동부)의 작동을 멈추도록 함으로써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다.
과부하의 발생요인이 제거되면, 활차롤러(40)와 상부활차브라켓(30)은 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하여 초기 상태로 대기하면서 정상적인 작동을 하게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부활차브라켓(30)과 하부활차브라켓(20)이 힌지바(24)에 의하여 힌지 작용 가능토록 결합하므로, 수평바(35)가 힌지바(24)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활차롤러(40)가 상부로 원위치되도록 하여 활차롤러(40)를 복원시켜 와이어(1) 상태 등을 쉽게 확인토록하고, 점검시에 다양한 위치 이동으로 점검을 편리하게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지지바(51d)는 나사로 설치하면, 상단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어 미세한 조정을 가능토록 작용한다.
1;와이어 2;보강빔 10;고정수단 12;니은형고정판 14;나사공 16;결합나사 20;하부활차브라켓 21,22;수직판 24;힌지바 26;고정판 30;상부활차브라켓 31,32;장방향판 35;수평바 40;활차롤러 42;활차축 50;리미트스위치 지지브라켓 53;스프링 54;이미트스위치

Claims (4)

  1. 무대 바닥이나 천정을 지지하는 보강빔(2)에 고정수단(10)으로 고정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나란한 수직판(21,22)을 가지며 각 수직판(21,22)은 상부 일측에서 힌지바(24)로 지지되며 전방 하단은 고정판(26)으로 고정되는 하부활차브라켓(20);
    활차롤러(40)를 활차축(42) 양단에서 장방형판(31,32)으로 지지하며, 장방형판(31,32)은 활차축(42)과 수평위치로 이격되어 와이어(1) 과부하시 편심축으로 작용하는 상기 힌지바(24)로 지지되며, 힌지바(24) 반대편 장방형판(31,32) 위치에는 장방형판(31,32)을 고정하는 수평바(35)를 설치한 상부활차브라켓(30); 및
    고정판(26)에 지지되고 스프링(53)과 리미트스위치(54)를 수직으로 나란히 지지하는 리미트스위치 지지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활차롤러(40)에서 이송되는 와이어(1)에 초기 과부하가 걸리기 시작할 때 수평바(3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지만 스프링(53)에 의하여 초기에 탄발력으로 지지되며, 탄발력 이상의 과부하에 의한 회전력이 인가되면 리미트스위치(54)를 작동시켜 별도의 제어부에 의하여 와이어 당김작동을 멈추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방지활차.
  2. 제 1항에 있어서, 수직판(21,22)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판(28)이 부가되며, 절곡판(28)에는 나사공(29)을 형성하며, 보강빔(2)은 에이치빔이며, 고정수단(10)은 레일헤드 부위에 걸어 고정하는 니은형 고정판(12)과, 고정판(12)에 형성한 나사공(14)과, 상기 나사공(14)(29)으로 서로 나사결합하는 결합나사(16)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방지활차.
  3. 제 1항에 있어서, 힌지바(24)와 활차축(42)은 동일 수평선 위치에 설치되며, 수평바(35)는 힌지바(24)와 활차축(42)의 수평선 상 위에 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방지활차.
  4. 제 1항에 있어서, 리미트스위치 지지브라켓(50)은 고정판(26)에 고정되는 고정판(51a)과, 고정판(51a)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수평판(51b)과, 수평판(51b)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판(51c)으로 이루어지며;
    수평판(51b)에는 스프링(53)의 길이보다는 작아서 스프링(53)의 압축을 가능토록 하는 스프링지지바(51d)를 부가하고, 수직판(51c)에는 리미트스위치(54)를 설치하며, 리미트스위치(54)의 작동로드(55)는 스프링(53)이 압축될 때 눌리어져 턴온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방지활차.
KR1020170105410A 2017-08-21 2017-08-21 과부하 방지활차 KR101818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410A KR101818226B1 (ko) 2017-08-21 2017-08-21 과부하 방지활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410A KR101818226B1 (ko) 2017-08-21 2017-08-21 과부하 방지활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226B1 true KR101818226B1 (ko) 2018-01-17

Family

ID=6102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410A KR101818226B1 (ko) 2017-08-21 2017-08-21 과부하 방지활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2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925B1 (ko) * 2021-09-13 2022-05-12 한규명 무대장치용 수직활차의 부하 판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68Y1 (ko) 2010-05-20 2012-08-01 스마트산업 주식회사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충격완화장치
KR101328197B1 (ko) 2013-05-02 2013-11-13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장치
KR101610214B1 (ko) 2016-02-01 2016-04-20 박열구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68Y1 (ko) 2010-05-20 2012-08-01 스마트산업 주식회사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충격완화장치
KR101328197B1 (ko) 2013-05-02 2013-11-13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장치
KR101610214B1 (ko) 2016-02-01 2016-04-20 박열구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925B1 (ko) * 2021-09-13 2022-05-12 한규명 무대장치용 수직활차의 부하 판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818B1 (ko) 안전한 하강 스트로크를 가진 체인 승강 장치
JP4776281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制振装置及びロープ制振装置の取付構造
KR101508148B1 (ko) 전기제어 판넬에 설치되는 방진성능을 갖춘 3차원 지진격리시스템
KR101818226B1 (ko) 과부하 방지활차
JP2005510643A (ja) 改良された落下防止装置
CN111877136B (zh) 一种抗震防落梁结构
CN110778087B (zh) 一种带防坠功能的升降脚手架
RU24189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автомобилей
JPH10194627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ローラ装置
JPH0751101B2 (ja) 懸架式ベッド
JP2008114985A (ja) 乗客コンベアのトラス支持装置
JP5297635B2 (ja) 手摺型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JPH0585778U (ja) エレベーターの緩衝器
KR101403660B1 (ko)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CN215479038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电梯安全钳
JP4481476B2 (ja) 上下方向制振装置
CN210888233U (zh) 车库升降机及其平衡装置
TW202030408A (zh) 自走上升式臨時性設置單元用之托架
JP2004224468A (ja) エレベーターかご
JP2011073818A (ja) エレベーターのつり合いおもり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装置
JP7478103B2 (ja) 負荷検出装置及びそれを具備する門開閉設備
CN218863774U (zh) 一种用于钢架总成安装的拼接式支撑装置
KR101679305B1 (ko) 시공 벽체의 개방영역 자동 차폐장치
JP2013199962A (ja) ローリング防止機構及び同機構付き防振架台
JP2002194942A (ja) 移動式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