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660B1 -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 Google Patents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660B1
KR101403660B1 KR1020120042837A KR20120042837A KR101403660B1 KR 101403660 B1 KR101403660 B1 KR 101403660B1 KR 1020120042837 A KR1020120042837 A KR 1020120042837A KR 20120042837 A KR20120042837 A KR 20120042837A KR 101403660 B1 KR101403660 B1 KR 101403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ismic
column
upper horizontal
horizontal member
earthqu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776A (ko
Inventor
김문정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2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660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4Structures with steel columns and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15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involving active or passive dynamic mass damp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은, 내진 보강 기둥의 하단은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측 수평부재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지진 발생이전에는 내진 보강 기둥이 상측 수평부재와 별도로 구비되어 하중을 받지 않고, 지진 발생 동안에는 내진 보강 기둥이 상측 수평부재와 일체화 되어 일체 거동을 함으로써 층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진으로 인해 일반 부재에서 발생되는 국부 좌굴 및 파괴, 부재 소성화 등에 의한 층 강성 저하를 고강도로 보완할 수 있으므로, 내진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Building structure for improving seismic performance}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시에만 상측 수평부재와 일체화되는 고강도 강재 기둥을 설치하여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진 보강 기둥을 적용한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은 자체의 하중과 내부에 수용되는 인원이나 각종 설비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시공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지진 발생시에도 붕괴되지 않도록 설계 및 시공된다.
그러나, 현행 내진 규정은 과거의 지진 피해로부터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개정되고 있으므로, 과거 내진 규정에 준하여 설계된 구조물은 현행 내진 규정에 준하여 설계된 구조물에 비하여 통상 지진에 대한 안전성이 낮다. 지진에 의해 건축 구조물들의 손상이나 붕괴가 발생되면, 지진 발생으로 인한 인명, 재산상의 피해가 막대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추후 건축 구조물의 재사용을 위한 많은 복원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2010-0012177호에서는 지진에 의한 좌우 흔들림으로 인한 수평 하중 발생시 천장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댐퍼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지진이 발생하기도 전에 댐퍼에 하중이 가해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하중에 의한 댐퍼와 보강부의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으로 인한 부재의 국부 좌굴 및 파괴, 소성화 등으로 저하된 층강성을 보강하여 내진 성능을 향상시켜 지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은, 바닥면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은 지진 발생 이전에는 상측 수평 부재로부터 하방향으로 설정거리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상측 수평 부재로부터 수직하중을 받지 않고, 지진 발생시 내려앉는 상측 수평 부재와 일체화되어 함께 거동함으로써 층강성을 부담하는 내진 보강 기둥과, 상기 상측 수평 부재에 설치되고, 지진 발생시 상기 내진 보강 기둥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측 수평 부재에 설치되고, 지진 발생하는 동안 상기 내진 보강 기둥의 상부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내진 보강 기둥과 상기 상측 수평 부재의 일체 거동을 유도하는 일체화 유도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은, 내진 보강 기둥의 하단은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측 수평부재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지진 발생이전에는 내진 보강 기둥이 상측 수평부재와 별도로 구비되어 하중을 받지 않고, 지진 발생 동안에는 내진 보강 기둥이 상측 수평부재와 일체화 되어 층 강성을 부담함으로써 건축 구조물의 내진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진 발생시, 지지부재는 내진 보강 기둥이 횡력에 의해 과하게 흔들리는 것을 제한하고, 내진 보강 기둥이 상측 수평부재와 일체화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내진 보강 기둥이 넘어지거나 일체화되지 않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진이 발생하는 동안, 일체화 유도부재는 내진 보강 기둥의 상부 측면에 맞대어져 상기 내진 보강 기둥과 상측 수평 부재의 일체 거동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진 보강 기둥 상부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상기 내진 보강 기둥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층 강성을 향상시켜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 수평 부재에 힌지 결합된 지지부재가 지진 발생 이전에는 내진 보강 기둥의 상단에서 회동되어, 지진 발생이전에는 상측 수평부재로부터 하중을 받지 않다가, 지진 발생 동안에는 지지부재가 내진 보강 기둥에 결합 고정되어 상측 수평부재와 일체 거동을 유도하게 되므로, 지진 발생 동안 층 강성을 향상시키고 상측 수평부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여 건축 구조물의 내진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 이전 상태의 내진 보강 기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 이후 상태의 내진 보강 기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 이전 상태의 내진 보강 기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 이후 상태의 내진 보강 기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 이전 상태의 내진 보강 기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 이후 상태의 내진 보강 기둥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 이전 상태의 내진 보강 기둥(10)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 이후 상태의 내진 보강 기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은, 바닥면(2)과 상측 수평부재(4) 사이에 설치된 내진 보강 기둥(10)과, 상기 내진 보강 기둥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2)과 상기 상측 수평부재(4)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철골 구조물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측 수평부재(4)는 보도 가능하고 슬래브도 가능하다. 상기 바닥면(2)과 상기 상측 수평부재(4) 사이에는 후술하는 고강도강의 내진 보강 기둥(10) 이외에도 일반 강도의 별도의 복수 기둥들이 설치된다.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은 약 570MPa이상의 강도를 갖는 고강도강이 사용된다.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은 바닥면(2)과 천장을 이루는 상측 수평부재(4)사이에 기둥 형태로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내진 보강 기둥(4)은 외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플랜지와, 상기 한 쌍의 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진 H 형강이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내진 보강 기둥(4)의 하단은 상기 바닥면(2)에 별도의 고정 브래킷(6)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상기 내진 보강 기둥(4)의 상단은 상기 상측 수평부재(4)로부터 하방향으로 설정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상측 수평부재(4)에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이다.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은 하단은 고정되고, 상단은 고정되지 않으므로, 평상시에 기둥 형태로 세워져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상측 수평부재(4)로부터 수직 하중을 받지 않는다.
상기 상단 지지부재(20)는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의 상단 위치를 안내하는 지지부재(24)와, 상기 내진 보강 기둥과 상기 상측 수평부재(4)의 일체 거동을 유도하는 일체화 유도부재(2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24)와 상기 일체화 유도부재(22)는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로 이루어져 각각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24)와 상기 일체화 유도부재(22)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상기 일체화 유도부재(22)는 고강도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24)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측 수평부재(4)에서 하향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24)는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의 좌,우측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의 플랜지 상단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일체화 유도부재(22)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측 수평 부재에서 하향 돌출되고,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의 플랜지에 맞대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일체화 유도부재(22)는 상기 지지부재(24)보다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일체화 유도부재(22)의 길이는 지진의 강도나 특성,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어 설정될 수 있다. 지진 발생시,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에서 상기 일체화 유도부재(22)가 맞대어진 부분은 상기 일체화 유도부재(22)에 의해 보강된다. 또한, 상기 일체화 유도부재(22)는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과 상기 상측 수평부재(4)의 일체 거동을 유도하여, 층 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 기둥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이 발생하기 이전 상태에서는,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의 상단은 상기 상측 수평부재(4)로부터 미리 설정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의 상단과 상기 상측 수평 부재(4)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지진이 발생하기 이전 상태에서는, 상기 상측 수평부재(4)의 하중이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지진 발생 이전에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의 변형이 생기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후,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에 의한 좌우 진동 등의 횡 하중으로 인한 수평 변위가 발생되어, 상기 상측 수평부재(4)가 소정의 거리(d)만큼 하향 이동하면서 내려앉게 된다. 상기 상측 수평부재(4)가 내려 앉음에 따라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과 상기 상측 수평 부재(4)사이의 이격공간이 없어지게 된다. 즉,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의 상단이 상기 상측 수평부재(4)에 접촉하여, 상기 상측 수평부재(4)와 일체화를 이루게 된다.
이 때, 상기 지지부재(24)는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이 부재의 축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과하게 흔들리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이 상기 상측 수평부재(4)와 일체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지진 발생시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이 넘어지지 않고 상기 상측 수평부재(4)와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지진이 발생하는 동안에는, 상기 일체화 유도부재(22)가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의 플랜지 상부에 맞대어져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의 상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상측 수평부재(4)와 일체화된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이 함께 거동하도록 유도한다. 즉,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 중에서 상기 일체화 유도부재(22)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은, 과도한 진동시에도 상기 상측 수평부재(4)와의 일체 거동이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 상부의 층 강성이 확보되고,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이 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진이 발생하는 동안 상기 상측 수평부재(4)와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이 일체화되고, 고강도강인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이 지진에 의한 횡력에 대해 저항하는 충분한 층 강성을 발휘함으로써, 지진으로 인한 피해가 저감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 이전 상태의 내진 보강 기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 이후 상태의 내진 보강 기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바닥면(2)과 상측 수평부재(4)사이에 설치된 내진 보강 기둥(40)과, 상기 상측 수평부재(4)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다가 지진 발생시 회동되어 상기 내진 보강 기둥(10)과 결합되는 지지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의 하단은 상기 바닥면(2)에 고정 부재(6)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상측 수평부재(4)로부터 하방향으로 설정거리만큼 이격되게 세워지는 구성은 상기 제 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유사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부재(50)는 상기 상측 수평부재(4)에 힌지축(53)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부(52)와, 상기 한 쌍의 힌지부(52)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의 좌,우 플랜지에 맞대어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패널부(51)와, 상기 한 쌍의 패널부(51)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에 끼워져 결합되는 후크부(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부(52)와 패널부(51)가 2개씩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힌지부(52)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부채꼴 호를 이루는 부분이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의 상단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패널부(51)는 상기 힌지부(52)와 일체로 회동가능토록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54)는, 도 6을 참조하면, 상향으로 굴곡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의 플랜지에 형성된 후크 홀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 기둥(4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진이 발생하기 이전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의 상단은 상기 상측 수평부재(4)로부터 미리 설정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의 상단과 상기 상측 수평 부재(4)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존재한다. 이 때, 상기 힌지부(52)의 호 부분이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의 상단에 접하고 있으나, 상기 힌지부(52)는 상기 상측 수평부재(4)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상측 수평부재(4)의 하중이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진이 발생하기 이전 상태에서는, 상기 상측 수평부재(4)의 수직 하중이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지진 발생 이전에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의 변형이 생기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후,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에 의한 좌우 진동 등의 횡 하중으로 수평 변위가 발생되어, 상기 상측 수평부재(4)가 소정의 거리(d)만큼 하향 이동하면서 내려앉게 된다. 이 때, 상기 상측 수평부재(4)가 좌우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상기 지지부재(50)가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을 향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50)가 회동하면서, 상기 힌지부(52)는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의 상단과 상기 상측 수평부재(4)사이에 끼게 되고, 상기 후크부(54)는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의 측벽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지진 발생에 의해 상기 상측 수평부재(4)가 하향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의 상단은 상기 상측 수평부재(4)와 고정상태로 변하게 되고,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과 상기 상측 수평부재(4)가 일체화를 이루어 동시 거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패널부(51)가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의 플랜지 상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한 쌍의 패널부(51)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의 상부가 과하게 흔들리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내진 보강 기둥(40)이 넘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상측 수평 부재(4)와 일체 거동함으로써 층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 이전 상태의 내진 보강 기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지진 발생 이후 상태의 내진 보강 기둥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은,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바닥면(2)과 상측 수평 부재(4)사이에 설치된 내진 보강 기둥(60)과, 지지부재(71)와, 체결부재(72)를 포함한다.
상기 내진 보강 기둥(70)의 하단은 상기 바닥면(2)에 고정 부재(6)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상측 수평부재(4)로부터 하방향으로 설정거리 이격되게 세워지는 구성은 상기 제 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유사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부재(71)는, 상기 상측 수평 부재(4)에서 하향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고, 상기 내진 보강 기둥(7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진 보강 기둥(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71)와 상기 내진 보강 기둥(60) 사이에는 충분한 마찰이 확보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재(72)는 상기 지지부재(71)와 상기 내진 보강 기둥(60)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이다. 상기 체결부재(72)는 전단 응력이 낮은 저강도 볼트나 임시 고정 핀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진 발생시 상기 상측 수평부재(4)로부터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전단력보다 약한 전단 강도를 갖는 볼트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72)는 지진 발생시 상기 상측 수평부재(4)로부터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의해 발생된 전단력에 의해 파손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 기둥(6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진 발생하기 이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 보강 기둥(60)의 상단이 상기 상측 수평부재(4)와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내진 보강 기둥(60)의 상부는 상기 지지부재(71)에 상기 체결부재(72)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지진이 발생동안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에 의한 좌우 진동 등의 횡 하중에 의한 수평 변위가 발생되어, 상기 상측 수평부재(4)가 소정의 거리(d)만큼 하향 이동하면서 내려앉게 된다. 상기 상측 수평부재(4)가 하향 이동하면서 가하는 수직 하중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72)는 파손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72)는 상기 상측 수평부재(4)로부터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전단력보다 약한 전단 강도를 갖는 볼트가 사용되기 때문에,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72)가 파손되면, 상기 내진 보강 기둥(60)와 상기 지지부재(71)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내진 보강 기둥(60)의 상단이 상기 상측 수평부재(4)와 일체화 되어 일체 거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71)가 상기 내진 보강 기둥(60)의 측벽부 상부에 맞대어져 지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따라서, 지진 발생시 상기 지지부재(71)는 상기 내진 보강 기둥(60)이 과하게 흔들리는 것이 제한되어, 상기 내진 보강 기둥(60)이 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바닥면 4: 상측 수평 부재
6: 고정 부재 10, 40, 60: 내진 보강 기둥
22: 일체화 유도부재 24,50: 지지부재
52: 힌지부 54: 패널부
56: 후크부 72: 체결부재

Claims (10)

  1. 삭제
  2. 바닥면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은 지진 발생 이전에는 상측 수평 부재로부터 하방향으로 설정거리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상측 수평 부재로부터 수직하중을 받지 않고, 지진 발생시 내려앉는 상측 수평 부재와 일체화되어 함께 거동함으로써 층강성을 부담하는 내진 보강 기둥과;
    상기 상측 수평 부재에 설치되고, 지진 발생시 상기 내진 보강 기둥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상측 수평부재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고, 지진 발생시에는 좌우 진동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단은 상기 상측 수평부재에 밀착되고 하부는 상기 내진 보강 기둥의 측벽부에 결합되는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상측 수평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부와,
    상기 한 쌍의 힌지부에서 각각 연장되고, 지진 발생시 상기 내진 보강 기둥의 좌,우 측벽부를 지지하여, 상기 내진 보강 기둥 상부와 상기 상측 수평부재의 일체 거동을 유도하는 한 쌍의 패널부를 포함하는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패널부에서 각각 돌출 형성된 후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진 보강 기둥의 좌,우 측벽부에는 상기 후크부가 끼워지는 후크홀이 형성된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진 보강 기둥은 고강도강인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KR1020120042837A 2012-04-24 2012-04-24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KR101403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37A KR101403660B1 (ko) 2012-04-24 2012-04-24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37A KR101403660B1 (ko) 2012-04-24 2012-04-24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776A KR20130119776A (ko) 2013-11-01
KR101403660B1 true KR101403660B1 (ko) 2014-06-11

Family

ID=4985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837A KR101403660B1 (ko) 2012-04-24 2012-04-24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693B1 (ko) * 2018-07-10 2019-09-10 반석안전주식회사 케이블을 이용한 취수탑 내진보강방법
KR102019721B1 (ko) * 2018-07-10 2019-09-10 반석안전주식회사 취수탑하부자켓을 이용한 내진보강 취수탑
CN109736429B (zh) * 2019-01-22 2020-09-29 深圳市库博建筑设计事务所有限公司 一种建筑抗震防倒塌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188A (ja) * 2002-10-31 2004-05-27 Takenaka Komuten Co Ltd 建物の制震間柱
JP2004300782A (ja) * 2003-03-31 2004-10-28 Fujita Corp 制震装置
JP2008095467A (ja) * 2006-10-16 2008-04-24 Shimizu Corp 制震間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188A (ja) * 2002-10-31 2004-05-27 Takenaka Komuten Co Ltd 建物の制震間柱
JP2004300782A (ja) * 2003-03-31 2004-10-28 Fujita Corp 制震装置
JP2008095467A (ja) * 2006-10-16 2008-04-24 Shimizu Corp 制震間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776A (ko) 201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7724B (zh) 既設鋼骨支撐構造體之免震化工法
JP5567094B2 (ja) 長周期化建築物
KR101403660B1 (ko)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JP5918282B2 (ja) 長周期化建築物
KR101323587B1 (ko) 진동차단을 위한 일체형 주상복합 전이층 구조
KR101011162B1 (ko)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공법
JP2019049171A (ja) 免震構造
JP2008240289A (ja) 制振装置、及び制振装置を備える建物
JP6833292B2 (ja) 屋根耐震構造
JP5727690B2 (ja) 長周期化建築物
KR101323588B1 (ko) 진동차단을 위한 일체형 주상복합 전이층 구조
JP6087680B2 (ja) 既存建物の免震化方法
JP5946165B2 (ja) 耐震補強構造
JP4698389B2 (ja) 建物の耐震改修装置及び耐震改修方法
JP2008274622A (ja) 建築物の中間階免震機構
JP7239459B2 (ja) 免震建物の引抜き・転倒防止構造
JP2015229857A (ja) 既存建物の免震化方法
JP2006090078A (ja) 免震建物及び築造方法
JP4519689B2 (ja) 基礎構造
JP5456461B2 (ja) 免震改修構造
JP2001140497A (ja) 耐震住宅
JP7245513B2 (ja) 連層耐力壁の損傷を抑制する方法及び設置構造
KR102311233B1 (ko) 목구조 건축물 지진 발생 시 2차 변형 제어를 위한 긴급 보강 강재이력댐퍼
KR101337125B1 (ko) 내진 시스템
JP6427853B2 (ja) 接合工法、及び、免震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