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162B1 -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공법 - Google Patents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162B1
KR101011162B1 KR1020100052181A KR20100052181A KR101011162B1 KR 101011162 B1 KR101011162 B1 KR 101011162B1 KR 1020100052181 A KR1020100052181 A KR 1020100052181A KR 20100052181 A KR20100052181 A KR 20100052181A KR 101011162 B1 KR101011162 B1 KR 101011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ismic
steel ball
plate
frame
seismic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주
Original Assignee
(주)국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국민산업 filed Critical (주)국민산업
Priority to KR1020100052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3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and comprising rolling elements, e.g. balls,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1Decoupling of vibrations by means of point-of-contact supports, e.g. bal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보강장치를 구조물에 설치하여 구조물에 가해지는 내진충격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구조물과 내진보강장치 간을 긴밀히 밀착시켜, 구조물의 지진으로부터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최적의 내진성능을 발휘하도록 한 내진보강장치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측에 상향의 반원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오목홈에 일정부분이 삽입됨과 동시에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와; 상기 강구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측에 하향의 반원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을 관통시켜 고정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는 구조물의 슬래브와 기둥 사이의 네 코너에 고정 설치되는 내진보강장치와; 상기 내진보강장치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구조물의 표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은 구조물의 슬래브와 기둥 사이의 코너에 내진보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Ⅰ); 상기 내진보강장치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Ⅱ); 상기 프레임에 유압잭을 설치하는 단계(Ⅲ); 상기 유압잭에 유압을 가하여 프레임으로 내진보강장치를 구조물에 밀착시키는 단계(Ⅳ)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공법{The structure a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for which aseismic reinforcement equipment and this were used}
본 발명은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진 설계가 규정되기 이전에 시공된 구조물이거나 현재 적용되는 내진 설계규정보다 낮게 시공된 구조물에 내진 설계를 만족하여 구조물을 지진 등의 진동으로부터 보호하는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공용중인 구조물이 내진설계가 규정되기 이전에 시공되었거나 현재 적용되는 내진설계 규정보다도 낮게 시공된 구조물을 현재의 내진설계 규정에 맞도록 내진보강공사를 시행하여 내진에 대한 구조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근래에 주변국에서 발생하는 대형 지진 및 국내의 소규모 지진의 피해상황들을 종합하여 볼 때, 국내의 구조물이 지진으로부터 안전지대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으므로 구조물에 대한 내진성능 검증과 보강에 대한 방안이 마련되고 추진되고 있다.
종래의 국내외에 적용되는 내진보강방법으로는 구조물이 기초부분과 분리되어 지진충격이 구조물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면진장치 등을 구조물의 기초와 기둥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하는 방법이나, 구조물의 채광을 위하여 개방되도록 설치된 창호부분의 슬래브와 기둥이 접하는 내측 모서리 부분에 강재를 이용한 보강재를 설치하는 보강공법, 구조물의 기둥에 강판 또는 탄소섬유 등의 전단보강재를 부착하여 기둥의 충격으로 인하여 구조물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법들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법들은 보강재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설치하는 시공으로서, 현장설치를 위하여 실제 구조물의 슬래브와 기둥의 내측 규격보다 작게 제작된 보강재를 설치하고, 들뜸 부위에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일체화시키는 시공방법을 적용하고 있어, 구조물과 보강재가 일체화되어 내진성능을 발현하는 부분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진으로 인한 충격이 전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재로 제작된 보강재 사이의 강성의 차이로 인한 모서리 부분의 콘크리트 파손 위험과 강재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작용으로 인한 들뜸 발생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다수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진보강장치를 구조물에 설치하여 구조물에 가해지는 내진충격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구조물과 내진보강장치 간을 긴밀히 밀착시켜, 구조물의 지진으로부터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최적의 내진성능을 발휘하도록 한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는 구조물의 슬래브와 기둥 사이의 네 코너에 고정 설치되는 내진보강장치와; 상기 내진보강장치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구조물의 표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은 구조물의 슬래브와 기둥 사이의 코너에 내진보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Ⅰ); 상기 내진보강장치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Ⅱ); 상기 프레임에 유압잭을 설치하는 단계(Ⅲ); 상기 유압잭에 유압을 가하여 프레임으로 내진보강장치를 구조물에 밀착시키는 단계(Ⅳ)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구조 및 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구조물의 코너에 설치되어 구조물을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내진보강장치로서 상기 내진보강장치는 상부판 및 하부판가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구조물에 상대변위 발생시 상, 하부판간의 강구의 미끄럼 저항에 의해서 구조물이 풍압 등의 미소력으로 이동하지 않고, 또한 지진 전후의 장시간에 걸쳐 구조물의 진동에 의해서도 상, 하부판 내의 오목홈에 의해서 흡수되어 최종적으로 구조물을 원래의 위치로 정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부재구성의 단순함 및 거기에 따르는 설치 및 제거 등의 시공이 간편하고, 소규모 구조물에도 내진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고, 시공규모에 의한 내진 시공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구성 부재의 분할 및 단순화하기 때문에 시공 후의 각 부위 점검이나 유지보수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내진 설계 요망에 대응하고, 내진보강장치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선택이 가능하고, 설계의 자유도를 얻기 쉽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9a ∼9d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하여 구조물 내진 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A)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측에 상향의 반원형상의 오목홈(110)이 형성된 하부판(100)과; 상기 하부판(100)의 오목홈(110)에 일정부분이 삽입됨과 동시에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강구(200)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측에 하향의 반원형상의 오목홈(410)이 형성된 상부판(400)과; 상기 하부판(100)과 상부판(400)을 관통시켜 고정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강구(200)는 그 직경이 하부판(100)의 오목홈(110)과 상부판(400)의 오목홈(410)이 만나서 형성되는 원형 직경의 3/2 크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강구(20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소강구(21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강구(200)의 외주면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탄성체(300)가 고정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A)는 하부판(100), 강구(200), 탄성체(300), 상부판(400) 및 고정핀(50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판(1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측에 상향의 반원형상의 오목홈(110)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강구(200)는 그 직경이 탄성체(300) 두께 이상이면서, 상부판(400)의 오목홈(410)으로부터 하부판(100)의 오목홈(110)까지의 수직길이로 두께가 결정된다.
즉, 상기 강구(200)는 그 직경의 최소크기가 탄성체(300)의 두께보다 조금 더 큰 크기로 하여 강구(200)가 유동성을 최대한 많이 갖도록 하거나, 또는 그 직경의 최대크기를 상부판(400)의 오목홈(410)의 최상면으로부터 하부판(100)의 오목홈(110)의 최저면까지의 길이로 하여, 강구(200)가 상기 상부판(400), 탄성체(300) 및 하부판(100)내에 위치된 상태로 하여 유동성을 최소한으로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강구(200)의 외주면을 따라 소강구(210)를 설치한다.
이는 지진의 진동에 따라서 강구(200)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채택하여 내진보강장치(A)를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300)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 재질의 부재로서, 그 내측에 강구(200)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상부판(4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측에 하향의 반원형상의 오목홈(410)이 형성되고, 내측에 삽입된 강구(200)의 상부를 밀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A)는 상, 하부판(400, 100) 및 탄성체(300)에 의해서 강구(200)가 둘러싸인 상태로 구조물(S)의 코너(C)에 배치됨으로써, 지진의 진동에 의해서 구조물(S)이 수평방향으로 상대변위 하면 상, 하부판(400, 100)의 오목홈(410, 110)의 가운데에 위치된 강구(200)가 일정치 이상의 상대변위가 발생되면, 상, 하부판(400, 100)의 오목홈(410, 110) 간을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강구(200)를 감싼 탄성체(300)의 탄성력이 상기 상대변위에 대한 용수철 효과와 댐퍼효과를 작동시켜 지진의 진동에너지를 흡수한다.
즉, 지진의 진동에 의해서 구조물(S)의 수평방향으로 상대변위가 발생하면, 구조물(S)의 코너(C)에 배치된 상, 하부판(400, 100) 내의 강구(200)는 처음에는 제자리에 있기 때문에, 댐퍼효과가 발생되지 않으나, 상대변위가 일정치 이상이 되면, 강구(200)가 상, 하부판(400, 100)의 오목홈(410, 110)의 측면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지진의 진동으로 인한 상대변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판(400) 및 하부판(100)이 구조물(S)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구조물(S)에 상대변위 발생시 상, 하부판(400, 100) 간의 강구(200)의 미끄럼 저항에 의해서 구조물(S)이 풍압 등의 미소력으로 이동하지 않고, 또한, 지진 전후의 장시간에 걸쳐 구조물(S)의 진동에 의해서도 상, 하부판(400, 100)내의 오목홈(410, 110)에 의해서 흡수되어 최종적으로 구조물(S)을 원래의 위치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강구(200)를 감싸고 있는 탄성체(300)도 상대변위가 일정치 이상이 되면, 상기 탄성체(300)가 원래보다 늘어나게 되므로 상기 탄성체(300)의 탄성력이 상대변위에 대해서 용수철효과와 댐퍼효과를 작용시켜 진동 에너지를 흡수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진동에 의한 상대변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상부판(400)과 하부판(100)을 일반 볼트가 아닌 고정핀(500)으로 연결하여 상대변위의 원활성을 기하였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00)과; 상기 하부판(100)상의 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측판(600)과; 상기 측판(600) 내측에 배치되며,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측판(600) 상에 수평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400)과, 상기 상부판(400)과 측판(600) 및 하부판(100)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A)는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강구(200)를 전후좌우에서 4부분에서 지지하도록 내측에 오목홈(710)이 형성된 블록(700)과; 상기 블록(700)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는 구조물(S)의 슬래브와 기둥 사이의 네 코너(C)에 고정 설치되는 내진보강장치(A)와; 상기 내진보강장치(A)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구조물(S)의 표면에 설치되는 프레임(F)과; 상기 프레임(F)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잭(J)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진보강장치(A)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측에 상향의 반원형상의 오목홈(110)이 형성된 하부판(100)과; 상기 하부판(100)의 오목홈(110)에 일정부분이 삽입됨과 동시에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강구(200)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측에 하향의 반원형상의 오목홈(410)이 형성된 상부판(400)과; 상기 하부판(100)과 상부판(400)을 관통시켜 고정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강구(200)는 그 직경이 하부판(100)의 오목홈(110)과 상부판(400)의 오목홈(410)이 만나서 형성되는 원형 직경의 3/2 크기로 구성된다.
상기 강구(20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소강구(210)가 설치된다.
상기 강구(200)의 외주면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탄성체(30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내진보강장치(A)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00)과; 상기 하부판(100)상의 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측판(600)과; 상기 측판(600) 내측에 배치되며,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측판(600) 상에 수평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400)과, 상기 상부판(400)과 측판(600) 및 하부판(100)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진보강장치(A)는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강구(200)를 전후좌우에서 4부분에서 지지하도록 내측에 오목홈(710)이 형성된 블록(700)과; 상기 블록(700) 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된다.
도 9a ∼9d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하여 구조물 내진 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은 구조물(S)의 슬래브와 기둥 사이의 코너(C)에 내진보강장치(A)를 설치하는 단계(Ⅰ); 상기 내진보강장치(A)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프레임(F)을 설치하는 단계(Ⅱ); 상기 프레임(F)에 유압잭(J)을 설치하는 단계(Ⅲ); 상기 유압잭(J)에 유압을 가하여 프레임(F)으로 내진보강장치(A)를 구조물(S)에 밀착시키는 단계(Ⅳ)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진보강장치(A)를 구조물(S)의 코너(C)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설치한다.
상기 내진보강장치(A)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측에 상향의 반원형상의 오목홈(110)이 형성된 하부판(100)과; 상기 하부판(100)의 오목홈(110)에 일정부분이 삽입됨과 동시에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강구(200)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측에 하향의 반원형상의 오목홈(410)이 형성된 상부판(400)과; 상기 하부판(100)과 상부판(400)을 관통시켜 고정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강구(200)는 그 직경이 하부판(100)의 오목홈(110)과 상부판(400)의 오목홈(410)이 만나서 형성되는 원형 직경의 3/2 크기로 구성된다.
상기 강구(20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소강구(210)가 설치된다.
상기 강구(200)의 외주면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탄성체(30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내진보강장치(A)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00)과; 상기 하부판(100) 상의 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측판(600)과; 상기 측판(600) 내측에 배치되며,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측판(600)상에 수평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400)과, 상기 상부판(400)과 측판(600) 및 하부판(100)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진보강장치(A)는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강구(200)를 전후좌우에서 4부분에서 지지하도록 내측에 오목홈(710)이 형성된 블록(700)과; 상기 블록(700)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은 내진보강장치(A) 설치단계(Ⅰ), 프레임(F) 설치단계(Ⅱ), 유압잭(J) 설치단계(Ⅲ), 내진보강장치(A)를 구조물에 밀착시키는 단계(Ⅳ)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구조물을 내진 보강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진보강장치(A) 설치단계(Ⅰ)는 내진보강장치(A)를 구조물(S)의 코너(C)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내진보강장치(A)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F) 설치단계(Ⅱ)는 내진보강장치(A)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H빔으로 이루진 프레임(F)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유압잭(J) 설치단계(Ⅲ)는 상기 프레임(F)에 유압잭(J)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F) 설치단계(Ⅱ)와 프레임(F) 설치단계는 병합하여 유압잭(J)이 설치된 프레임(F)을 구조물(S)에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내진보강장치(A)를 구조물(S)에 밀착시키는 단계(Ⅳ)는 프레임(F)에 설치된 유압잭(J)에 일정한 유압을 가하여 상기 유압잭(J)에 설치된 프레임(F)을 밀어서 상기 프레임(700)에 밀착된 내진보강장치(A)를 압박하여 상기 내진보강장치(A)를 구조물(S)에 긴밀하게 밀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방법은 상, 하부판(400, 100) 및 탄성체(300)에 의해서 강구(200)가 둘러싸인 상태로 구조물(S)의 코너(C)에 프레임(F)과 유압잭(J)에 의해서 밀착 배치됨으로써, 지진의 진동에 의해서 구조물(S)이 수평방향으로 상대변위가 발생하면 상, 하부판(400, 100)의 오목홈(410, 110)의 가운데에 위치된 강구(200)가 일정치 이상의 상대변위가 발생되면, 상, 하부판(400, 100)의 오목홈(410, 110) 간을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강구(200)를 감싼 탄성체(300)의 탄성력이 상기 상대변위에 대한 용수철 효과와 댐퍼효과를 작동시켜 지진의 진동에너지를 흡수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진보강장치(A)에 필요에 따라 유압잭(J)의 적정한 유압력을 행사하여 예기치 않은 지진의 진동으로부터도 구조물(S)의 상대변위를 제어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100: 하부판 110: 오목홈
200: 강구 300: 탄성체
400: 상부판 410: 오목홈
500: 고정핀 600: 측판
700: 블록 710: 오목홈
A: 내진보강장치 C: 코너
F: 프레임 J: 유압잭
S: 구조물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구조물(S)의 슬래브와 기둥 사이의 네 코너(C)에 고정 설치되는 내진보강장치(A)와; 상기 내진보강장치(A)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구조물(S)의 표면에 설치되는 프레임(F)과; 상기 프레임(F)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잭(J)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진보강장치(A)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측에 상향의 반원형상의 오목홈(110)이 형성된 하부판(100)과; 상기 하부판(100)의 오목홈(110)에 일정부분이 삽입됨과 동시에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강구(200)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측에 하향의 반원형상의 오목홈(410)이 형성된 상부판(400)과; 상기 하부판(100)과 상부판(400)을 관통시켜 고정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되며, 상기 강구(200)는 그 직경이 하부판(100)의 오목홈(110)과 상부판(400)의 오목홈(410)이 만나서 형성되는 원형 직경의 3/2 크기로 구성되며, 상기 강구(20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소강구(210)가 설치되며, 상기 강구(200)의 외주면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탄성체(300)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구조물(S)의 슬래브와 기둥 사이의 네 코너(C)에 고정 설치되는 내진보강장치(A)와; 상기 내진보강장치(A)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구조물(S)의 표면에 설치되는 프레임(F)과; 상기 프레임(F)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잭(J)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진보강장치(A)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00)과; 상기 하부판(100)상의 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측판(600)과; 상기 측판(600) 내측에 배치되며,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측판(600) 상에 수평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400)과, 상기 상부판(400)과 측판(600) 및 하부판(100)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13. 구조물(S)의 슬래브와 기둥 사이의 네 코너(C)에 고정 설치되는 내진보강장치(A)와; 상기 내진보강장치(A)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구조물(S)의 표면에 설치되는 프레임(F)과; 상기 프레임(F)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잭(J)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진보강장치(A)는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강구(200)를 전후좌우에서 4부분에서 지지하도록 내측에 오목홈(710)이 형성된 블록(700)과; 상기 블록(700) 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14. 구조물(S)의 슬래브와 기둥 사이의 코너(C)에 내진보강장치(A)를 설치하는 단계(Ⅰ); 상기 내진보강장치(A)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프레임(F)을 설치하는 단계(Ⅱ); 상기 프레임(F)에 유압잭(J)을 설치하는 단계(Ⅲ); 상기 유압잭(J)에 유압을 가하여 프레임(F)으로 내진보강장치(A)를 구조물(S)에 밀착시키는 단계(Ⅳ)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진보강장치(A)는 구조물(S)의 코너(C)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설치하며, 상기 내진보강장치(A)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측에 상향의 반원형상의 오목홈(110)이 형성된 하부판(100)과; 상기 하부판(100)의 오목홈(110)에 일정부분이 삽입됨과 동시에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강구(200)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측에 하향의 반원형상의 오목홈(410)이 형성된 상부판(400)과; 상기 하부판(100)과 상부판(400)을 관통시켜 고정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되며, 상기 강구(200)는 그 직경이 하부판(100)의 오목홈(110)과 상부판(400)의 오목홈(410)이 만나서 형성되는 원형 직경의 3/2 크기로 구성되며, 상기 강구(20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소강구(210)가 설치되며, 상기 강구(200)의 외주면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탄성체(300)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구조물(S)의 슬래브와 기둥 사이의 코너(C)에 내진보강장치(A)를 설치하는 단계(Ⅰ); 상기 내진보강장치(A)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프레임(F)을 설치하는 단계(Ⅱ); 상기 프레임(F)에 유압잭(J)을 설치하는 단계(Ⅲ); 상기 유압잭(J)에 유압을 가하여 프레임(F)으로 내진보강장치(A)를 구조물(S)에 밀착시키는 단계(Ⅳ)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진보강장치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00)과; 상기 하부판(100) 상의 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측판(600)과; 상기 측판(600) 내측에 배치되며,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측판(600)상에 수평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400)과, 상기 상부판(400)과 측판(600) 및 하부판(100)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21. 구조물(S)의 슬래브와 기둥 사이의 코너(C)에 내진보강장치(A)를 설치하는 단계(Ⅰ); 상기 내진보강장치(A)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프레임(F)을 설치하는 단계(Ⅱ); 상기 프레임(F)에 유압잭(J)을 설치하는 단계(Ⅲ); 상기 유압잭(J)에 유압을 가하여 프레임(F)으로 내진보강장치(A)를 구조물(S)에 밀착시키는 단계(Ⅳ)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진보강장치(A)는 강철로 이루어진 강구(200)와; 상기 강구(200)를 전후좌우에서 4부분에서 지지하도록 내측에 오목홈이 형성된 블록과; 상기 블록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KR1020100052181A 2010-06-03 2010-06-03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공법 KR101011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181A KR101011162B1 (ko) 2010-06-03 2010-06-03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181A KR101011162B1 (ko) 2010-06-03 2010-06-03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162B1 true KR101011162B1 (ko) 2011-01-26

Family

ID=4361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181A KR101011162B1 (ko) 2010-06-03 2010-06-03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1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43B1 (ko) 2012-04-27 2013-01-03 주식회사 에코프랜 누음 방지와 진동 흡수가 가능한 방음벽
CN107795018A (zh) * 2017-12-04 2018-03-13 邓剑涛 一种多用盆式滚珠架
KR102026581B1 (ko) * 2019-01-16 2019-10-01 금산씨엔씨(주) 내진보강용 창호 연결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4031A (ja) * 1995-09-19 1997-06-03 Yohee Kitayoshi 建物の免震基礎構造
JP2000227140A (ja) * 1999-02-08 2000-08-15 Mitsufusa Matsumoto 減震装置
JP2001207552A (ja) * 2000-01-24 2001-08-0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免震機構のトリガ装置
KR100887160B1 (ko) * 2008-07-29 2009-03-10 김정숙 다중접속 탄성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4031A (ja) * 1995-09-19 1997-06-03 Yohee Kitayoshi 建物の免震基礎構造
JP2000227140A (ja) * 1999-02-08 2000-08-15 Mitsufusa Matsumoto 減震装置
JP2001207552A (ja) * 2000-01-24 2001-08-0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免震機構のトリガ装置
KR100887160B1 (ko) * 2008-07-29 2009-03-10 김정숙 다중접속 탄성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43B1 (ko) 2012-04-27 2013-01-03 주식회사 에코프랜 누음 방지와 진동 흡수가 가능한 방음벽
CN107795018A (zh) * 2017-12-04 2018-03-13 邓剑涛 一种多用盆式滚珠架
CN107795018B (zh) * 2017-12-04 2023-07-18 邓剑涛 一种多用盆式滚珠架
KR102026581B1 (ko) * 2019-01-16 2019-10-01 금산씨엔씨(주) 내진보강용 창호 연결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737B1 (ko) 건축 구조물의 내진보강 복합장치 및 내진 보강구조
CN205276501U (zh) 装配式混凝土框架延性节点结构
KR101648149B1 (ko) 보강프레임과 방진패드를 이용한 내진보강구조
KR101011162B1 (ko)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구조 및 공법
KR100887160B1 (ko) 다중접속 탄성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JP5713508B2 (ja) 免振装置
KR101403660B1 (ko)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 구조물
CN112459584B (zh) 一种墙板拼接且地基减震的装配式框架结构
KR101323587B1 (ko) 진동차단을 위한 일체형 주상복합 전이층 구조
JP4990729B2 (ja) 免震建物
RU2477353C1 (ru) Трубобетонная сейсмоизолирующая опора
JP2019049171A (ja) 免震構造
KR102032122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물탱크의 기초장치
KR200467787Y1 (ko) 마찰형 내진댐퍼
US11299902B2 (en) Damping system utilizing space between stair chamber and inner building
JP3713645B2 (ja) 積層ゴムを用いた免震装置
JP2016505733A (ja) 耐震建物システム
JP4698389B2 (ja) 建物の耐震改修装置及び耐震改修方法
JP2015229857A (ja) 既存建物の免震化方法
KR20160030746A (ko) 지하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KR20200076066A (ko) 내진보강 구조체
KR102047678B1 (ko) 창호부 격리형 내진 보강 장치
KR100979487B1 (ko)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20158971A (ja) 免振用ダンパとそれを用いた建物基礎の免振構造
JP6644496B2 (ja) 耐震用支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