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403B1 -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403B1
KR100955403B1 KR1020090098702A KR20090098702A KR100955403B1 KR 100955403 B1 KR100955403 B1 KR 100955403B1 KR 1020090098702 A KR1020090098702 A KR 1020090098702A KR 20090098702 A KR20090098702 A KR 20090098702A KR 100955403 B1 KR100955403 B1 KR 100955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rake
lift
rai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순
Original Assignee
김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순 filed Critical 김관순
Priority to KR102009009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5Outdoor lighting of arena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단선시 리프트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는 수단을 2중으로 마련하여 리프트를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리프트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레일을 따라 리프트를 승하강시키는 조명 타워에 있어서, 리프트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와이어의 단부가 결속되는 와이어프레임과; 와이어프레임 단부에 설치되어 와이어 단선시 제1브레이크를 회전시켜 레일에 마찰시키는 제1브레이킹수단과; 리프트 일측에 고정시킨 다수의 롤러고정베이스와; 상기 롤러고정베이스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롤러와; 와이어 단선시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설치한 제2브레이크를 회전시켜 레일에 마찰시키는 제2브레이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와이어 단선시 제1브레이크와 제2브레이크의 회동 작동을 통해 리프트를 2중으로 비상 정지시켜, 리프트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고, 리프트 비상 정지에 사용되는 주요부품들을 알루미늄재의 레일에 내장 구비하여 부품들의 내마모 및 내부식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명 타워, 리프트, 레일, 브레이크, 우레탄.

Description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SAFETY APPARATUS FOR LIFT USED LIGHTING A TOWER}
본 발명은 조명 타워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 단선시 리프트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는 수단을 2중으로 마련하여 리프트를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비상 정지시키고, 또한 레일을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여 내마모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 공항, 철도역 및 대형 운동경기장 등에는 야간에 높은 위치에서 밝은 조명을 비출 수 있도록 조명타워를 설치한다.
이러한, 조명타워는 대략 20~30m 높이를 갖는 강관, 철탑 등의 전주를 설치하고, 상기 전주 상부에 다수의 조명등을 설치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면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전주 하부에 작동스위치 등을 설치하여 조명등을 점등 또는 소등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명타워는 조명등의 교체 또는 수리 작업시 별도의 고가 사다리나 크레인 등과 같은 장비가 필요하여 조명등 유지 관리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1과 도 2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등록특허공보 제0251422호(공고일, 2000. 4. 15)로 공지된 "승강구조를 갖춘 타워조명장치"에 대한 것으로, 전주(10)에 승강자재하게 승강케리어(20)가 부착되고, 상기 승강케리어(20)의 중심점 상단에 와이어(31)의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전주(10)의 상단부의 관통로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어 감겨지게 권취롤에 연결되며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상기 권취롤이 정역 회동되어 와이어(31)가 권취되거나 풀어져 승강케리어(20)가 상/하 작동되게 형성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케리어(20)는, 상기 전주(10)에서, 일측면 가운데 일부만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게 다단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승강케리어(20)에서 회동되게 돌출된 지지롤러가 수용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수직 상/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조명기구를 승강케리어와 함께 승하강시키므로, 별도의 고가사다리 등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전등 및 조명기구를 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명장치는 승강케리어가 추락하는 경우 승강케리어를 멈출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지 않아 승강케리어의 추락시 승강케리어 하부에 있는 작업자가 큰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고, 승강케리어 역시 크게 손상 및 파손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조명장치는 조명등이 승하강되는 구조 특성상, 대형 운동장 등의 조명기구와 같이 거대하고 많은 조명등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조명등을 전체적으로 승하강시키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고, 또한 한 두개의 전등을 교체하기 위해 조명기구 전체를 승하강시키는 것은 유지 관리 및 전력 사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도 3과 도 4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등록특허공보 제0906238호(공고일, 2009. 7. 7)로 공지된 "조명탑의 리프트 추락방지장치"에 대한 것으로, 조명탑의 전주 일측면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2)을 따라 와이어 로우프(3)의 당김으로 승강하는 리프트(4) 상단에 리프트 급강하브레이크(5)의 브래킷(5a)을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5a) 상부 양쪽에 행거받침대(6)(6a)를 외향으로 돌설하여 그 하면에 한쌍의 행거판(7) 상면이 닿아 떠받히도록 와이어 로우프(3)의 끝(3a)을 행거판 상단축(7a)에 걸어 고정한다.
또한, 행거판(7) 양쪽 끝에 로드(8)(8a)와 아암(9)(9a)을 축 연결하되 아암몸통(10)(10a)을 브래킷(5a) 중앙 양측으로 관통 축설된 브레이크기어축(13)(13a)의 행거판쪽 하부끝에 축 고정하고 행거판(7) 아래쪽의 브레이크기어축(13)(13a)에는 두개의 피니언(11)(11a)이 치합되게 축 고정한다.
또, 가이드레일(2)쪽 브레이크기어축(13)(13a)에는 래칫기어면이 형성된 편심브레이크기어(12)(12a)가 가이드레일 연결편(2a) 양쪽면에 맞물려 브레이크 작동되게 축설되고, 행거판(7) 양쪽끝의 돌출축(7b)(7c)과 브래킷 하면(5b) 사이에는 당김스프링(14)(14a)을 탄설하여 구성한다.
즉, 로프(3)가 끊어지는 경우, 당김스프링(14)(14a)이 행거판(7)을 하부로 하강시키면서 브레이크축(13)(13a)과 함께 상기 브레이크축(13)(13a)에 편심되게 축 결합된 브레이크기어축(12)(12a)을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브레이크기어축(12)(12a)의 레칫기어면이 가이드레일(2)의 연결편(2a) 양쪽면을 조이게 됨으로써, 리프트(4)의 급강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는 리프트를 비상 정지시키는 수단이 레칫기어면 하나에 국한하여 작용되므로, 비상 정지작용의 신뢰도를 크게 떨어뜨리고, 장치의 안전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가이드레일이 H빔 형상의 철제로 이루어짐으로써, 추락 방지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부품들이 가이드레일 외부로 모두 노출되어 부식 및 마모에 취약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가이드레일의 경우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용융도금처리를 하더라도 그 수명이 제한적인 문제도 있으며, 가이드레일의 재질 특성상 용융도금량을 일정하게 얻기 힘들고, 기포 및 불순물이 많으며, 용융도금의 두께가 변형되어 부품 스펙을 맞추기 어려운 문제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와이어가 단선되는 경우 리프트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는 수단을 2중으로 마련함으로써, 리프트의 비상 정지성능을 배가시켜 안전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프트 추락방지에 사용되는 부품 대부분을 레일 내부에 설치하고, 레일을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여 부품 마모 및 부식을 방지하여 장치의 수명을 늘릴 수 있도록 한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주 상부에 다수의 조명등을 설치하고, 상기 전주의 일측면에 레일을 형성하며, 리프트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리프트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한 조명 타워에 있어서, 리프트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와이어의 단부가 결속되는 와이어프레임과; 상기 와이어프레임 단부에 설치되어 메인와이어를 안내함과 동시에 와이어 단선시 제1브레이크를 회전시켜 레일 내측면에 마찰시키는 제1브레이킹수단과; 리프트 일측에 고정시킨 다수의 롤러고정베이스와; 상기 롤러고정베이스 단부에 장착하되, 레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롤러와; 와이어 단선시 롤러와 다른 롤러 사이에 설치한 제2브레이크를 회전시켜 레일 내측면에 마찰시키는 제2브레이킹수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브레이킹수단은, 레일 내부에 위치한 와이어프레임 단부에 설치되어 메인와이어를 안내하는 와이어가이드와; 상기 와이어가이드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에 형성된 마찰면을 레일 내측면에 마찰시키고, 상부에 복수의 걸림핀을 구비한 제1브레이크와; 상기 와이어가이드에 인접된 와이어프레임 양측에 형성한 핀홀과; 일단부를 상기 걸림핀 사이에 끼워 메인와이어에 걸고, 타단부를 상기 핀홀에 장착된 고정핀에 끼워 제1브레이크 내측에 탄력 상태로 설치한 제1비틀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레이크의 양 마찰면 사이 길이는 레일 양 내측면 사이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브레이크는 마찰력이 우수한 우레탄 재질로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2브레이킹수단은, 하부의 롤러고정베이스에 장착된 와이어고정베이스와; 상기 와이어고정베이스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레버와; 상기 레버와 메인와이어 사이에 텐션상태로 연결된 브레이크와이어와; 상기 레버와 와이어고정베이스 사이에 탄력상태로 연결된 인장스프링과; 상부와 하부에 롤러와 다른 롤러를 각각 장착하여 레일 내부에 설치하되, 양측에 브레이크홀을 형성하고, 전후에 축홀을 형성한 롤러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 내측 상부에 구비하되, 하부 중앙에 스프링홈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홈 하부에 인입홈을 형성한 스프링고정블록과; 상기 스프링홈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인입홈에 상단 일부가 인입되도록 샤프트를 통해 축 결합하되, 내측면에 스프링지지홈을 각각 형성하고, 중 앙에 샤프트안내홀을 형성한 복수의 제2브레이크와; 상기 각각의 제2브레이크를 양측으로 벌려 레일 양 내측면에 마찰시킬 수 있도록 양 단부를 각각의 스프링지지홈 내측면에 탄력상태로 구비한 제2비틀림스프링과; 상기 샤프트 선단에 결합하여 레버 상면에 지지되는 샤프트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브레이크는 마찰력이 우수한 우레탄 재질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고정베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롤러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롤러브래킷에 가이드롤러를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는 레일 전면의 개구부에 위치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레일은 '
Figure 112009063487393-pat00001
'형상의 빔으로 형성하되,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와이어 단선시 제1브레이크와 제2브레이크의 회동 작동시켜 리프트를 2중으로 비상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리프트 추락 방지 성능을 배가시켜 리프트를 보다 신속하고 확실하게 멈출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장치의 신뢰도 및 안전도를 향상시켜 얘기치 못한 인명사고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리프트 비상 정지에 사용되는 주요한 부품들을 '
Figure 112009063487393-pat00002
' 형태의 레일 내부에 내장 구비함으로써, 부품들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시켜 내마모 및 내부식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레일을 알루미늄재로 형성함으로써, 레일 외관에 별도의 도금처리가 불필요하여 깔끔하고 하중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아연도금된 레일에 비해 내부식성이 강화되어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금형으로 형성되어 균일한 레일의 스펙을 얻을 수 있고, 레일 제조시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크게 와이어프레임(110)과, 제1브레이킹수단과, 롤러고정베이스(150)와, 롤러(160)와, 제2브레이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및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부로 향할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 전주(10)를 지면에 수직으로 견고하게 설치하고, 상기 전주(10) 상부에 다수의 조명등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전주(10) 일측면에 대략 '
Figure 112009063487393-pat00003
'형상의 빔으로 형성된 레일(200)을 고정 설치하되, 상기 레일(20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하여 레일(200)의 내부식 및 내마모 특성을 강화시킨다.
아울러, 상기 레일(200)의 개구된 방향을 향하여 리프트(100)를 설치하되, 상기 리프트(1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리프트(100)에 메인와이어(W1)를 연결하고, 상기 메인와이어(W1)는 권취기(도시 생략) 등을 통해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성 한다. 즉, 상기 리프트(100) 상면 중 레일(200)과 인접한 부분에 와이어프레임(110)을 고정시키고, 상기 와이어프레임(110) 일단부에 메인와이어(W1)의 단부를 결속 및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기 와이어프레임(110) 타단부에는 상기 와이어프레임(110)에 고정되는 메인와이어(W1)를 안내함과 동시에 메인와이어(W1) 단선시 제1브레이크(130)를 회전시켜 리프트(100)를 비상 정지시키는 제1브레이킹수단을 설치한다.
상기 제1브레이킹수단은 다시 와이어가이드(120)와, 제1브레이크(130)와, 핀홀(111)과, 제1비틀림스프링(140)을 통해 구성되는 것으로, 도 7 내지 도 9b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와이어프레임(110) 타단부에 메인와이어(W1)를 걸어 와이어프레임(110) 일단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와이어가이드(120)를 설치하되, 상기 와이어프레임(110) 일부를 레일(200) 내부에 위치시켜 상기 와이어가이드(120)가 레일(200) 내부에 함께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가이드(120)와 인접된 와이어프레임(110) 타단부에는 양측에 핀홀(11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핀홀(111)에는 고정핀(112)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가이드(120) 양측에 제1브레이크(130)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제1브레이크(130) 상하부에는 호 형태의 마찰면(131)을 형성하여 제1브레이크(130)의 회전시 양 마찰면(131)이 레일(200) 내측면에 마찰될 수 있고 구성하고, 상기 제1브레이크(130)의 상부 일부에는 복수의 걸림핀(132)을 각각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브레이크(130)는 회전시 레일(200) 내측면에 마찰될 수 있 어야 하므로, 양 마찰면(131) 사이의 길이가 적어도 레일(200) 양 내측면 사이의 길이보다 길어야 하고, 또한 레일(200)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제1브레이크(130)를 우레탄과 같은 고무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각각의 제1브레이크(130) 내측에는 와이어가이드(120)에 끼워지는 형태로 제1비틀림스프링(140)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제1비틀림스프링(140)의 일단부는 제1브레이크(130)에 형성된 걸림핀(132)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와이어가이드(120) 상부에 위치한 메인와이어(W1) 후방에 탄력 상태로 걸고, 타단부는 와이어프레임(110)에 구비된 고정핀(11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한다.
즉, 메인와이어(W1)의 단선시 메인와이어(W1)에 탄력 상태로 지지되는 제1비틀림스프링(140)이 회전하면서 제1브레이크(130)를 함께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제1브레이크(130)의 마찰면(131)이 레일(200) 내측면에 마찰되어 리프트(100)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레일(200) 방향으로 위치한 리프트(100) 일측에는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롤러고정베이스(15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롤러고정베이스(150) 단부에 롤러(160)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롤러(160)는 레일(200) 내부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롤러고정베이스(150) 중 최상단과 최하단에 위치한 롤러고정베이스(150)에는 롤러브래킷(155)을 설치하고, 상기 롤러브래킷(155)에 가이드롤러(156)를 각각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156) 중간의 오목진 부분 을 레일(200) 전면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하여 가이드롤러(156)가 리프트(100)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롤러(156)를 상부와 하부의 롤러고정베이스(150)에 각각 설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모든 롤러고정베이스(150)에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고정베이스(150)에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아울러, 상기 롤러고정베이스(150)에 설치된 상부 어느 한 쌍의 롤러(160)에는 메인와이어(W1) 또는 브레이크와이어(W2)의 단선시 제2브레이크(240)를 회전시켜 리프트(100)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는 제2브레이킹수단을 설치한다.
상기한 제2브레이킹수단은 다시, 와이어고정베이스(170)와, 레버(180)와, 브레이크와이어(W2)와, 인장스프링(190)과, 롤러프레임(210)과, 스프링고정블록(220)과, 압축스프링(230)과, 제2브레이크(240)와, 제2비틀림스프링(250) 및 샤프트캡(27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 7과 도 8 및 도 10a, 10b, 10c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단 어느 한 쌍의 롤러고정베이스(150) 중 하부에 설치된 롤러고정베이스(150)에 상부를 향하여 와이어고정베이스(170)를 고정시키고, 상기 와이어고정베이스(170) 상단에 레버(18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180)의 일부와 메인와이어(W1) 일부에 브레이크와이어(W2)를 텐션 상태로 연결 장착하고, 상기 레버(180)의 일부와 와이어고정베이스(170) 하단 일부 사이에 탄력 상태로 인장스프링(190)을 장착한다. 즉, 상기 브레이크와이어(W2)가 텐션 상태로 연결됨으로써, 인장스프링(190)을 탄력 상태로 장 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한 쌍의 롤러고정베이스(150)에 각각 장착된 상부와 하부의 롤러(160)를 롤러프레임(210)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하되, 상기 롤러프레임(210)은 레일(200) 내부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기 롤러프레임(210)은 양측에 브레이크홀(211)을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제2브레이크(240)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경우 상기 제2브레이크(240)를 통과시켜 레일(200) 내측면에 마찰시킬 수 있게 되고, 전후에 축홀(212)을 형성함으로써, 제2브레이크(240)를 샤프트(260)에 의해 축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프레임(210) 내측 상부에는 롤러(160)에 간섭되지 않게 스프링고정블록(220)을 고정시키되, 상기 스프링고정블록(220) 중앙에 하부로 개구된 형태로 스프링홈(221)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홈(221) 하부에 인입홈(22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홈(221) 내부에는 압축스프링(230)을 탄력 상태로 구비하고, 상기 인입홈(222)에는 제2브레이크(240)의 상단 일부를 인입시킨 상태로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브레이크(240)는 인입홈(222) 내부 전후에 2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샤프트(260)에 의해 축홀(212)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하고, 상기 각각의 제2브레이크(240) 일면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스프링지지홈(241)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지지홈(241)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지지홈(241) 사이에는 샤프트(260)에 끼워진 상태로 제2비틀림스프링(250)을 탄력 상태로 구비하되, 상기 제2비틀림스프링(250) 양 단부를 양 스프링지지홈(241)의 단차진 부분에 지지되게 구비함으로써, 전후의 제2브레이크(240)를 양측으로 각각 확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브레이크(240)는 확개시 레일(200) 내측면에 마찰되게 됨으로써, 마찰력이 우수한 우레탄과 같은 고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 상기 제2브레이크(240) 중앙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샤프트안내홀(242)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압축스프링(230)의 탄성 작용시 제2브레이크(240)에 축 결합되는 샤프트(260)가 샤프트안내홀(24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각각의 제2브레이크(240)를 더욱 견고한 지지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브레이크(240)를 축 결합하는 샤프트(260) 일단부에는 샤프트캡(270)을 결합하고, 상기 샤프트캡(270)은 레버(180) 단부 상면에 지지시켜 제2브레이킹수단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방지장치는 메인와이어(W1) 또는 브레이크와이어(W2) 단선시 제1브레이크(130) 및/또는 제2브레이크(240)가 회전하여 레일(200) 내측면에 강력하게 마찰됨으로써, 리프트(100)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100) 추락 방지작용을 도 9a 및 도 9b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메인와이어(W1)가 리프트(100)의 운행 중 단선이 되는 경우, 메인와이어(W1)에 탄력 상태로 지지되고 있는 제1비틀림스프링(140)의 비틀림 작용이 순간적으로 해제가 된다.
이와 함께, 메인와이어(W1)에 걸려진 제1비틀림스프링(140)의 비틀림응력이 해제되면서 제1비틀림스프링(140)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1비틀림스프링(140)의 타단부는 고정핀(112)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반면, 메인와이어(W1)에 걸려져 있던 제1비틀림스프링(140)의 일단부는 걸림핀(132)에 의해 제1브레이크(130)에 걸려져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제1비틀리스프링의 회전력에 의해 제1브레이크(130)가 동반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브레이크(130)의 양 마찰면(131)이 레일(200) 양 내측면에 마찰이 되면서, 이 마찰력으로 인해 리프트(100)를 비상 정지시켜 리프트(10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메인와이어(W1)가 단선되거나, 혹은 상기 메인와이어(W1)에 연결된 브레이크와이어(W2)가 단선되는 경우에는 도 10a 내지 도 10c와 같이 와이어고정베이스(170)에 장착된 인장스프링(190)의 인장 탄력작용이 순간적으로 해제되면서 상기 인장스프링(190)에 연결된 레버(180)를 하부로 잡아당기게 된다.
그렇게 되면, 레버(180)가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레버(180) 상면에 지지된 샤프트캡(270)이 함께 하부로 이동되는데, 상기 샤프트캡(270)에는 제2브레이크(240)가 축 결합됨으로써, 제2브레이크(240) 역시 하부로 이동이 된다. 또한, 상기 제2브레이크(240) 상부에 탄력 상태로 구비된 압축스프링(230)은 그 압축작용이 상기한 제2브레이크(240)의 하부 이동과 함께 순간적으로 해제되면서 제2브레이크(240)를 하부로 밀어내게 됨으로써, 제2브레이크(240)를 더욱 신속하게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2브레이크(240)가 하부로 이동되면, 도 10b와 같이 상기 제2브레이크(240)는 인입홈(222)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된 상태에 있다가 좌, 우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브레이크(240)의 하부 이동과 동시에 2개의 제2브레이크(240) 사이에 구비된 제2비틀림스프링(250)의 비틀림작용이 순간적으로 해제되면서 제2비틀림스프링(250)의 양단부가 2개의 제2브레이크(24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리는 작용을 가하게 된다.
이 후, 도 10c와 같이 제2비틀림스프링(250)의 벌어짐과 함께 샤프트(260)의 하방 이동작동에 의해 제2브레이크(240)가 샤프트(260)를 중심으로 하여 중앙의 샤프트안내홀(24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제2브레이크(240)는 롤러프레임(210)에 형성된 브레이크홀(211)을 통과하여 레일(200) 양 내측면에 각각 강력하게 마찰이 되고, 이 마찰력으로 인해 리프트(100)를 비상 정지시켜 리프트(10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는 리프트(100)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의 와이어 단선시 제1브레이크(130)와 제2브레이크(240)의 회동 작동을 통해 레일(200) 내측면에 강하게 마찰시켜 리프트(100)를 2중으로 비상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리프트(100) 추락 방지 성능을 배가시켜 리프트(100)를 보다 신속하고 확실하게 멈출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치의 신뢰도 및 안전도를 향상시켜 얘기치 못한 인명사고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는 레일(200)을 '
Figure 112009063487393-pat00004
'자 형태의 빔으로 형성하고, 리프트(100) 비상 정지에 사용되는 주요한 부품들을 상기 레일(200) 내부에 내장 구비함으로써, 부품들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시켜 내마모 및 내부식 특성을 향상시키고,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는 레일(200)을 알루미늄재로 형성함으로써, 레일(200) 외관에 별도의 도금처리가 불필요하여 깔끔하고 하중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아연도금된 레일에 비해 내부식성이 강화되어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고, 또 금형으로 형성되어 균일한 레일(200)의 스펙을 얻을 수 있으며 레일(200) 제조시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승강구조를 갖춘 타워조명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타워조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3은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리프트 급강하브레이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조명탑의 리프트 상단에 리프트 급강하브레이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 타워에 리프트 추락방지를 설치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 추락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 추락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 추락방지장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a, 9b는 본 발명에 의한 제1브레이킹수단 및 제2브레이킹수단의 브레이킹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0a, 10b, 10c는 본 발명에 의한 제2브레이킹수단의 브레이킹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리프트 110 : 와이어프레임
111 : 핀홀 112 : 고정핀
120 : 와이어가이드 130 : 제1브레이크
131 : 마찰면 132 : 걸림핀
140 : 제1비틀림스프링 150 : 롤러고정베이스
155 : 롤러브래킷 156 : 가이드롤러
160 : 롤러 170 : 와이어고정베이스
180 : 레버 190 : 인장스프링
200 : 레일 210 : 롤러프레임
211 : 브레이크홀 212 : 축홀
220 : 스프링고정블록 221 : 스프링홈
222 : 인입홈 230 : 압축스프링
240 : 제2브레이크 241 : 스프링지지홈
242 : 샤프트안내홀 250 : 제2비틀림스프링
260 : 샤프트 270 : 샤프트캡
W1 : 메인와이어 W2 : 브레이크와이어

Claims (8)

  1. 전주 상부에 다수의 조명등을 설치하고, 상기 전주의 일측면에 레일을 형성하며, 리프트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리프트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한 조명 타워에 있어서,
    리프트(100)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와이어(W1)의 단부가 결속되는 와이어프레임(110)과;
    상기 와이어프레임(110) 단부에 설치되어 메인와이어(W1)를 안내함과 동시에 와이어 단선시 제1브레이크(130)를 회전시켜 레일(200) 내측면에 마찰시킬 수 있도록 레일(200) 내부에 위치한 와이어프레임(110) 단부에 설치되어 메인와이어(W1)를 안내하는 와이어가이드(120)와, 상기 와이어가이드(120)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에 형성된 마찰면(131)을 레일(200) 내측면에 마찰시키고, 상부에 복수의 걸림핀(132)을 구비한 제1브레이크(130)와, 상기 와이어가이드(120)에 인접된 와이어프레임(110) 양측에 형성한 핀홀(111)과, 일단부를 상기 걸림핀(132) 사이에 끼워 메인와이어(W1)에 걸고, 타단부를 상기 핀홀(111)에 장착된 고정핀(112)에 끼워 제1브레이크(130) 내측에 탄력 상태로 설치한 제1비틀림스프링(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브레이킹수단과;
    리프트(100) 일측에 고정시킨 다수의 롤러고정베이스(150)와;
    상기 롤러고정베이스(150) 단부에 장착하되, 레일(2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롤러(160)와;
    와이어 단선시 롤러(160)와 다른 롤러(160) 사이에 설치한 제2브레이크(240)를 회전시켜 레일(200) 내측면에 마찰시키는 제2브레이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레이크(130)의 양 마찰면(131) 사이 길이는 레일(200) 양 내측면 사이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레이크(130)는 마찰력이 우수한 우레탄 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레이킹수단은,
    하부의 롤러고정베이스(150)에 장착된 와이어고정베이스(170)와;
    상기 와이어고정베이스(170)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레버(180)와;
    상기 레버(180)와 메인와이어(W1) 사이에 텐션상태로 연결된 브레이크와이어(W2)와;
    상기 레버(180)와 와이어고정베이스(170) 사이에 탄력상태로 연결된 인장스프링(190)과;
    상부와 하부에 롤러(160)와 다른 롤러(160)를 각각 장착하여 레일(200) 내부에 설치하되, 양측에 브레이크홀(211)을 형성하고, 전후에 축홀(212)을 형성한 롤러프레임(210)과;
    상기 롤러프레임(210) 내측 상부에 구비하되, 하부 중앙에 스프링홈(221)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홈(221) 하부에 인입홈(222)을 형성한 스프링고정블록(220)과;
    상기 스프링홈(221)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스프링(230)과;
    상기 인입홈(222)에 상단 일부가 인입되도록 샤프트(260)를 통해 축 결합하되, 내측면에 스프링지지홈(241)을 각각 형성하고, 중앙에 샤프트안내홀(242)을 형성한 복수의 제2브레이크(240)와;
    상기 각각의 제2브레이크(240)를 양측으로 벌려 레일(200) 양 내측면에 마찰시킬 수 있도록 양 단부를 각각의 스프링지지홈(241) 내측면에 탄력상태로 구비한 제2비틀림스프링(250)과;
    상기 샤프트(260) 선단에 결합하여 레버(180) 상면에 지지되는 샤프트캡(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레이크(240)는 마찰력이 우수한 우레탄 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090098702A 2009-10-16 2009-10-16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KR100955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702A KR100955403B1 (ko) 2009-10-16 2009-10-16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702A KR100955403B1 (ko) 2009-10-16 2009-10-16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403B1 true KR100955403B1 (ko) 2010-04-29

Family

ID=42220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702A KR100955403B1 (ko) 2009-10-16 2009-10-16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4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308B1 (ko) * 2011-03-14 2011-09-07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KR101587184B1 (ko) * 2015-08-05 2016-01-21 주식회사 천일 승강식 조명타워
KR101944453B1 (ko) * 2018-06-04 2019-01-31 주식회사 이스온 와이어로프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강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6503A (ja) * 1988-09-21 1990-03-27 Kawasaki Steel Corp 緊張用カウンタウエイトの落下防止装置
JPH06115900A (ja) * 1992-09-30 1994-04-2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昇降装置
JPH10106338A (ja) * 1996-10-02 1998-04-24 Iwasaki Electric Co Ltd 昇降式照明装置
KR100226230B1 (ko) * 1997-04-17 1999-10-15 강영주 승강식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6503A (ja) * 1988-09-21 1990-03-27 Kawasaki Steel Corp 緊張用カウンタウエイトの落下防止装置
JPH06115900A (ja) * 1992-09-30 1994-04-2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昇降装置
JPH10106338A (ja) * 1996-10-02 1998-04-24 Iwasaki Electric Co Ltd 昇降式照明装置
KR100226230B1 (ko) * 1997-04-17 1999-10-15 강영주 승강식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308B1 (ko) * 2011-03-14 2011-09-07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KR101587184B1 (ko) * 2015-08-05 2016-01-21 주식회사 천일 승강식 조명타워
KR101944453B1 (ko) * 2018-06-04 2019-01-31 주식회사 이스온 와이어로프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896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KR100955403B1 (ko)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KR20110011020U (ko)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충격완화장치
CN110552544B (zh) 钢丝索制动装置以及包含上述钢丝索制动装置的竖杆升降系统
KR100927443B1 (ko)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KR20100040648A (ko) 고소조명 승강장치
KR20100013144A (ko) 등기구 승강식 조명탑의 안전장치
KR100901181B1 (ko) 승강식 조명탑의 안전브레이크 장치
KR101345027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783323B1 (ko) 리프트 낙하 방지장치
CN111295356B (zh) 用于高位安装设备的升降装置
KR101063308B1 (ko)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KR200440345Y1 (ko) 엘리베이터용 단방향 비상 정지장치
KR101001687B1 (ko) 승강식 조명타워
KR100965825B1 (ko)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CN209926139U (zh) 一种电梯安装照明装置
KR20080019103A (ko) 엘리베이터의 양방향 비상 정지 장치
CN209022912U (zh) 一种用于架空乘人装置的防掉绳装置
CN103492305B (zh) 电梯的门开闭装置
JP4562450B2 (ja) 照明装置
JP2009029552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KR20100012596A (ko) 리프트 승강식 조명탑의 안전장치
CN205419699U (zh) 升降机防坠落机构
KR101056843B1 (ko) 조명등 승강기 작동차단장치
CN205023655U (zh) 电梯的调速机用张紧器以及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