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695A -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 Google Patents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695A
KR20200095695A KR1020190013347A KR20190013347A KR20200095695A KR 20200095695 A KR20200095695 A KR 20200095695A KR 1020190013347 A KR1020190013347 A KR 1020190013347A KR 20190013347 A KR20190013347 A KR 20190013347A KR 20200095695 A KR20200095695 A KR 20200095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upport
pole
bar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8234B1 (ko
Inventor
김응욱
김인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스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스온
Priority to KR1020190013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234B1/ko
Priority to PCT/KR2019/016328 priority patent/WO2020159056A1/ko
Publication of KR20200095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롤러가 폴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되고, 고장의 발생과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폴의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한 승하강 링크장치는, 상기 폴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가이드 홈을 갖는 가이드 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링크 막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링크 어셈블리, 이격된 상기 링크 어셈블리들에 연결된 복수의 롤러 지지바, 상기 롤러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롤러, 상기 롤러 지지바에 고정되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는 지지 고리, 및 상기 링크 어셈블리가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 바와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 바에 고정된 피봇 지지부가 설치된다.

Description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POLE ELEVATING LINK APPARATUS AND POLE ELEVAT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 폴 또는 조명탑은 항만이나 공항 또는 경기장 등과 같은 기간산업 시설이나 다수의 이용자가 활용하는 장소에 국민의 안전을 확보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조명타워는 운동장이나 공연장 등은 넓은 면적을 갖는 시설로 야간 경기나 안전을 위해 설치된 대형 조명시설로서, 이들은 높은 위치에서 운동장 또는 공연장의 내부를 비추기 위해 타워(탑)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명타워는 그 자체가 하나의 단독 설비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CCTV 폴 또는 조명탑은 조명기구 설치 및 수리, 전등교체 작업시 별도의 고가 사다리 또는 크레인, 셔틀 엘리베이터장치가 구비된 특장차량 등의 기구나 장치가 필수적으로 있어야만 작업이 수행되며, 조명등 설치작업 또는 소켓 및 접속구조 해체, 수리, 고체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작업 중인 작업자의 부주의 등에 의한 낙상사고의 발생률이 높아 제품에 대한 안정성과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출원인의 발명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48075호(특허문헌 001)는 이러한 승하강 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수평으로 놓여진 슬라이드바와 지지 롤러부링크바가 결합되고 상하로 이격된 지지 롤러가 폴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특허문헌 001)은 4개의 와이어를 갖는 구조로서 4개의 권양기가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작용하여야 하고, 그러지 못할 경우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001)은 와이어에 대한 힘이 회전 링크바, 보조 링크바, 지지 롤러 회전봉, 지지 롤러부링크바를 통해서 지지 롤러에 전달되므로 지지 롤러에 힘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여 지지 롤러가 폴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지지 롤러가 폴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되지 못하면 이동 과정에서 승하강 장치가 흔들리고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출원인의 발명인 한국등록특허 제10-1903051호(특허문헌 002)는 수평 프레임에 홈이 형성되고, 지지 롤러가 링크부에 설치되어 폴에 밀착되는 구성을 개시한다. 이러한 (특허문헌 002)는 상하에 링크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무게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가 복수회 방향 전환되어 설치되므로 와이어의 이탈로 인한 고장이나 마찰로 인하여 와이어가 절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002)는 각각의 링크부에 와이어 설치되므로 4개의 와이어가 설치되어야 하고, 와이어의 길이를 정밀하게 제어하지 못하는 경우 편심이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7-00480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3051호
본 발명은 지지 롤러가 폴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되고, 고장의 발생과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적이 않은 단차가 형성된 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가 끊어지는 경우에도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폴의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한 승하강 링크장치는, 상기 폴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가이드 홈을 갖는 가이드 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링크 막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링크 어셈블리, 이격된 상기 링크 어셈블리들에 연결된 복수의 롤러 지지바, 상기 롤러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롤러, 상기 롤러 지지바에 고정되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는 지지 고리, 및 상기 링크 어셈블리가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 바와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 바에 고정된 피봇 지지부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부 이동할수록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은 감소하고, 상기 가이드부재가 하부로 이동할수록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은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교차하는 2개의 상부 링크막대로 이루어진 상부 링크부와, 상기 상부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2개의 하부 링크막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링크부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링크부와 상기 하부 링크부가 결합된 부분과 상기 상부 링크부의 상단과 상기 하부 링크부의 하단에 각각 롤러 지지바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링크막대들이 결합된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링크막대들이 결합된 부분에는 상기 피봇 지지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롤러들은 길이방향 중앙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롤러들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 롤러들 중 제일 상단에 배치된 상기 지지 롤러의 홈은 하부에 배치된 지지 롤러들의 홈 보다 더 넓고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일 상단에 배치된 상기 지지 롤러의 홈에는 상기 지지 고리가 설치되되, 상기 지지 고리는 상기 폴의 외주면과 비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링크막대는 제1 막대부와 상기 상부 링크막대들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막대부에서 굴곡되되 상기 지지대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곡된 제2 막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링크막대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 롤러와 접촉하지 않는 상기 고리 지지바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 고리는 상기 고리 지지바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링크막대들이 결합된 부분에서 상기 상부 링크막대의 하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상부 링크막대들이 결합된 부분에서 상기 상부 링크막대의 상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폴 승하강 시스템은, 지상에 세워져 배치된 폴, 상기 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 링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링크장치는, 상기 폴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가이드 홈을 갖는 가이드 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링크 막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링크 어셈블리, 이격된 상기 링크 어셈블리들에 연결된 복수의 롤러 지지바, 상기 롤러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롤러, 상기 롤러 지지바에 고정되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는 지지 고리, 및 상기 링크 어셈블리가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 바와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폴은 상부가 하부보다 더 돌출된 단차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교차하는 2개의 상부 링크막대로 이루어진 상부 링크부와 상기 상부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2개의 하부 링크막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링크부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링크부와 상기 하부 링크부가 결합된 부분과 상기 상부 링크부의 상단 및 상기 하부 링크부의 하단에 각각 롤러 지지바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 롤러들은 길이방향 중앙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롤러들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 롤러들 중 제일 상단에 배치된 상기 지지 롤러의 홈에는 상기 지지 고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 시스템은 와이어가 절단된 경우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로프 제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로프 제동장치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선택적으로 제동하는 제동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브래킷과, 상기 회동브래킷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로프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도르래와, 상기 회동브래킷을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장력감지부, 및 상기 장력감지부의 회동운동을 상기 제동부의 병진운동으로 전달하는 회동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회동 링크와 연결되는 연결브래킷, 상기 연결브래킷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쐐기부재, 및 상기 와이어로프를 선택적으로 제동하도록 상기 한 쌍의 쐐기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는 링크 어셈블리의 일 부분은 가이드 바에 고정되고, 다른 부분은 가이드 바에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롤러 지지바에 지지 고리가 설치되므로 와이어 로프의 장력이 링크 어셈블리로 직접 전달되어 지지 롤러가 폴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2개의 와이어 로프 만으로도 승하강 링크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단에 배치된 지지 롤러에 지지 고리가 설치되고, 지지 고리가 지지 롤러와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므로 지지 롤러를 통해서 링크 어셈블리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단에 배치된 지지 롤러가 자유단 상태를 유지하므로 불연속적인 단차부에서도 지지 롤러가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 승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링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링크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와 가이드 바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롤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제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제동장치에서 하부가이드브래킷과 상부가이드브래킷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제동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와 가이드 바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 승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폴 승하강 시스템(10)은 폴(100), 와이어로프(400), 승하강 링크장치(200), 와이어로프 제동장치(500)를 포함한다.
폴(Pole, 100)은 지상에 설치된 구조물 상에 세워진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지상에 설치된 구조물은 콘크리트 기초를 포함한다. 폴(100)의 하부에는 와이어로프(400)를 감거나 풀 수 있는 권양부가 설치될 수 있다. 폴(100)은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이루어지며, 대략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폴(100)은 복수의 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폴(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 연결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 연결부(120)는 불연속적인 면으로 이루어지되 상부가 하부보다 더 돌출된 턱으로 이루어진다. 폴(100)의 상부에는 상부 케이싱(620)과 상부 플레이트(610)가 설치되며, 와이어로프 제동장치(500)는 상부 케이싱(620)과 상부 플레이트(610)에 고정 설치된다.
와이어로프(400)는 승하강 링크장치(200)를 지지하는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로프(400)는 체인, 벨트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링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링크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와 가이드 바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승하강 링크장치(200)는 하우징(210), 가이드바(212), 링크 어셈블리(230), 롤러 지지바(220), 및 지지 롤러(240, 25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금속제 육면체 상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링크 어셈블리(230)와 가이드바(212)가 설치된다. 하우징(210)은 폴(100)을 삽입하여 폴(1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하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210)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210)에는 CCTV 카메라 모듈 또는 조명 등의 장비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바(212)는 폴(100)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막대로 이루어지며 2개의 가이드바(212)가 하우징의 측면에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바(212)는 폴(100)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가이드 홈(213)을 구비하며 가이드 홈(213)은 링크 어셈블리(230)의 확장 또는 수축을 안내한다.
하우징(210) 내에는 2개의 링크 어셈블리(230)가 설치되며, 링크 어셈블리(230)는 폴(100)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링크 어셈블리(230)는 교차하는 2개의 상부 링크막대(235, 236)로 이루어진 상부 링크부(234)와 교차하는 2개의 하부 링크막대(232, 233)로 이루어진 하부 링크부(231)를 포함한다. 상부 링크막대(235, 236)는 X자 형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상단과 하단이 서로 이격되며,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링크막대(235, 236)의 하단은 하부 링크막대(232, 233)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단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링크막대(235, 236)의 상단은 링크막대와 결합되지 않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부 링크막대(235, 236)의 상단 사이의 간격은 단차 연결부(120)를 통과할 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하부 링크부(231)는 상부 링크부(234)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 링크부(234)의 아래에 배치된다. 하부 링크막대(232, 233)들은 X자 형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상단과 하단이 서로 이격되며,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 링크막대(232, 233)의 상단은 상부 링크막대(235, 236)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단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링크막대(232, 233)의 하단은 링크막대와 결합되지 않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링크막대(232, 233)가 결합된 부분에는 링크 어셈블리(230)와 가이드바(212)를 고정하는 피봇 지지부(28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하부 링크막대(232, 233)는 피봇 지지부(280)를 매개로 가이드바(212) 및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피봇 지지부(280)는 상하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부 링크막대(235, 236)가 결합된 부분에는 가이드 홈(213)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21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부재(270)가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70)는 지지축(271)과 지지축(271)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홈(273)에 삽입된 베어링(275)을 포함하며, 베어링(275)이 가이드 홈(213)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부 링크막대(235, 236)들이 결합된 부분에서 상부 링크막대(235, 236)의 하단까지의 길이는 상부 링크막대들(235, 236)이 결합된 부분에서 상부 링크막대(235, 236)의 상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상부 링크막대(235, 236)들이 결합된 부분에서 상부 링크막대(235, 236)의 하단까지의 길이는 상부 링크막대(235, 236)들이 결합된 부분에서 상부 링크막대(235, 236)의 상단까지의 길이의 1.002배 내지 1.01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 링크막대(232, 233)들이 결합된 부분에서 하부 링크막대(232, 233)의 하단까지의 길이는 하부 링크막대(232, 233)들이 결합된 부분에서 하부 링크막대(232, 233)의 상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하부 링크막대(232, 233)들이 결합된 부분에서 하부 링크막대(232, 233)의 하단까지의 길이는 하부 링크막대들이 결합된 부분에서 하부 링크막대의 상단까지의 길이의 1.002배 내지 1.01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 롤러(240) 사이의 간격이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 롤러(250)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지지 롤러(240, 250)들이 폴(10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롤러 지지바(220)는 이격된 링크 어셈블리(230)들에 연결되며, 롤러 지지바(220)는 상부 링크부(234)의 상단, 상부 링크부(234)와 하부 링크부(231)가 결합된 부분, 및 하부 링크부(231)의 하단에 각각 설치된다. 롤러 지지바(220)는 폴(100)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져 설치될 수 있다. 롤러 지지바(220)와 폴(100)은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롤러 지지바(220)에는 지지 롤러(240, 2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지지 롤러(240, 250)는 중앙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지지 롤러(240, 250)들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홈이 형성된다. 지지 롤러(240, 250)들은 폴(100)의 외주면과 맞닿아 회전하면서 승하강 링크장치(200)가 편심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롤러(240, 250)들 중 제일 상단에 배치된 지지 롤러(250)에 형성된 홈(253)은 하부에 배치된 지지 롤러(240)들의 홈보다 더 깊고 더 넓게 형성된다. 또한 상단에 배치된 지지 롤러(250)의 홈(253)에는 지지 고리(260)가 설치되는데, 지지 고리(260)는 와이어로프(400)와 연결된다. 다만 지지 고리(260)는 홈에 삽입되어 폴(100)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지지 고리(260)는 제일 상단에 배치된 지지 롤러(250)에 끼움 결합된다.
와이어로프(400)에 의하여 전달된 동력은 지지 고리(260)와 롤러 지지바(220)를 매개로 링크 어셈블리(230)에 전달된다. 승하강 링크장치(200)가 와이어로프(400)에 지지되면 지지 고리(260)에 의하여 링크 어셈블리(230)가 상부로 당겨지며, 승하강 링크장치(200)의 하중은 피봇 지지부(280)를 통해서 링크 어셈블리(23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링크 어셈블리(230)의 하부는 아래로 당겨지고, 상부는 위로 당겨진다. 다만 지지 롤러(240, 250)가 폴(100)에 지지되어 링크 어셈블리(230)의 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승하강 링크장치(200)가 와이어로프(400)에 의하여 상승하면 폴(100)의 단면적이 감소하므로 가이드부재(270)는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여 링크 어셈블리(230)의 폭은 감소하고 길이는 길어진다. 이에 따라, 지지 롤러(240, 250) 사이의 간격은 감소하고, 지지 롤러(240, 250)가 폴(100)의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고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링크막대(235, 236)의 상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므로 단차 연결부(120)에서 제일 상단에 배치된 지지 롤러(250) 사이의 간격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확장되어 단차 연결부(120)에서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2개의 링크 어셈블리(230)에 각각 와이어로프(400)가 설치되므로 2개의 와이어로프만으로도 승하강 링크장치(20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제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제동장치에서 하부가이드브래킷과 상부가이드브래킷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제동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와이어로프 제동장치(500)는 폴(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폴(100)의 상부에는 상부 케이싱(620)과 상부 플레이트(610)가 설치된다. 와이어로프 제동장치(500)는 베이스 플레이트(510), 제동부(530), 회동 링크(570), 장력감지부(58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상부 플레이트(610) 상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부 케이싱(62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동부(530)는 장력감지부(580)에 의해 작동되어 와이어로프(400)를 선택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제동부(530)는 회동 링크(570)와 연결되는 연결브래킷(567), 연결브래킷(567)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쐐기부재(560), 및 와이어로프(400)를 선택적으로 제동하도록 한 쌍의 쐐기부재(560)를 안내하는 가이드브래킷(540, 55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10)에는 돌출된 베이스브래킷(535)이 설치되고, 가이드브래킷(540, 550)이 베이스브래킷(535)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브래킷(540, 550)은 한 쌍의 쐐기부재(5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한 쌍의 쐐기부재(560)의 일부가 인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브래킷(540, 550)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러면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조립하기 어려우므로, 하부가이드브래킷(540)과 상부가이드브래킷(550)의 두 부재로 형성되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가이드브래킷(540)은 내부 중앙부에 한 쌍의 쐐기부재(560)의 하반부가 인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복수의 볼트에 의해 베이스브래킷(535)에 장착될 수 있다. 하부가이드브래킷(540)은 상기 복수의 관통공 내측에 상부가이드브래킷(55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볼트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가이드브래킷(550)은 하부가이드브래킷(540)의 복수의 관통공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복수의 볼트에 의해 하부가이드브래킷(54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부가이드브래킷(540)과 상부가이드브래킷(55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하부가이드브래킷(540)의 내측경사면(542)과 상부가이드브래킷(550)의 내측경사면(552)이 연결브래킷(567) 쪽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한 쌍의 쐐기부재(560)의 외측면도 내측경사면(542)과 내측경사면(552)에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쐐기부재(56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반면에, 한 쌍의 쐐기부재(560)의 마주보는 내측면은 서로 평행한 표면으로 형성된다. 이 한 쌍의 쐐기부재(560)의 내측면 사이에 그 중간 높이로 와이어로프(400)가 통과하고, 한 쌍의 쐐기부재(560)가 선택적으로 와이어로프(400)를 압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제동하게 된다.
한 쌍의 쐐기부재(560)는 연결브래킷(567) 쪽으로 연장되는 돌기(566)가 각각 마련되어, 이 돌기(566)가 연결브래킷(567)에 형성된 한 쌍의 가로장공(568)을 통과함으로써, 한 쌍의 쐐기부재(560)가 연결브래킷(567)에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돌기(566)는 가로장공(568)의 높이보다 큰 머리부를 갖고 있어서 연결브래킷(567)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때 한 쌍의 쐐기부재(56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이 돌기(566)는 가로장공(568)을 통과하여 한 쌍의 쐐기부재(560)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볼트일 수 있다.
아울러, 연결브래킷(567)의 중심부에는 와이어로프(400)가 통과하는 세로장공(569)이 마련될 수 있다. 이 세로장공(569)은 와이어로프(400)의 이동을 안내하되, 와이어로프(400)의 통과 높이가 소정 범위에서 변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장력감지부(580)는 베이스플레이트(5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브래킷(582)과, 회동브래킷에 장착되어 와이어로프(40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도르래(585)와, 회동브래킷(582)을 베이스 플레이트(510)에서 밀어내어 회동시키는 탄성부(589)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브래킷(582)은 대략 사각형의 한 쌍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는 결합봉(583)이 삽입되고 양측에서 회동브래킷(582)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결합봉(583)이 한 쌍의 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다.
회동도르래(585)는 상부 케이싱(620)에 고정된 고정도르레(630)에서 전달된 와이어로프(400)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로프(400)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와이어로프(400)와 탄성부(589)에 의해 회동브래킷(582)과 함께 회동될 수 있다. 탄성부(590)는 회동브래킷(582)을 베이스 플레이트(5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탄성부(590)는 베이스플레이트(510)에 장착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590)는 승강블록(594)과 맞닿아 승강 블록(594)을 밀어내며 승강 블록(594)은 회동 브래킷(582)에 측방돌기(596)를 매개로 연결된다.
측방돌기(596)는 승강블록(594)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회동브래킷(582)에 형성된 장공(588)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측방돌기(596)가 탄성부(590)에 의하여 밀려나면 장공(588)을 따라 이동하고 회동브래킷(582)은 회동축(587)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회동 링크(570)는 장력감지부(580)의 회동운동을 제동부(530)의 병진운동으로 바꾸어 전달한다. 이를 위해, 회동 링크(570)는 회동브래킷(582)과 연결브래킷(567)에 양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막대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쐐기부재(560)는 그 상면과 하면에 가이드홈(565)이 형성되고, 가이드브래킷(540, 550)은 그 내부 상면과 하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맞물리는 가이드리브(545, 555)가 형성될 수 있다.
쐐기부재(560)의 상면과 하면에는 사각형 단면 형태의 가이드홈(565)이 외측면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가이드브래킷(540)의 상면에는 한 쌍의 쐐기부재(560)의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홈(565)에 대응하는 가이드리브(545)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가이드브래킷(550)의 하면에는 한 쌍의 쐐기부재(560)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565)에 대응하는 가이드리브(55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565)과 가이드리브(545, 555)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한 쌍의 쐐기부재(560)가 가이드브래킷(540, 550)으로부터 후퇴하여 인출될 때 한 쌍의 쐐기부재(560)가 서로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쐐기부재(560)는 내측면에 톱니들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톱니들은 쐐기부재(560)의 내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그립홈(562)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쐐기부재(560)의 내측면에 톱니들이 형성되면, 한 쌍의 쐐기부재(560)는 내측면에 톱니들이 없는 경우에 비해 와이어로프(400)를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압착하더라도 충분히 제동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400)와 한 쌍의 쐐기부재(560) 사이에 마찰력이 더 커지기 때문이다.
와이어로프(4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태에서는 와이어로프(500)에 의하여 회동도르래(585)가 베이스 플레이트(510) 쪽으로 가압되어, 회동브래킷(582)이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와이어로프(400)가 절단되어 장력이 해제되면 탄성부(590)에 의하여 회동브래킷(582)이 회동하고, 회동 링크(570)를 통해 한 쌍의 쐐기부재(560)를 가이드브래킷(540, 550) 내부로 인입시켜서, 한 쌍의 쐐기부재(560)가 서로 가까이 이동하면서 와이어로프(400)를 압착하여 제동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와 가이드 바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는 상부 링크막대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폴 시스템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링크 어셈블리(730)는 교차하는 2개의 상부 링크막대(735, 736)로 이루어진 상부 링크부(734)와 교차하는 2개의 하부 링크막대(732, 733)로 이루어진 하부 링크부(731)를 포함한다. 상부 링크막대(735, 736)는 X자 형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상단과 하단이 서로 이격되며,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링크 막대(735, 736)는 하부에 배치된 제1 막대부(735a, 736a)와 상부 링크막대(735, 736)들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제1 막대부(735a, 736a)에서 굴곡된 제2 막대부(735b, 736b)를 포함한다. 제2 막대부(735b, 736b)는 링크 어셈블리(73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곡된다. 이에 따라 상부 링크막대(735, 736)의 상단은 하단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부 링크부(731)는 상부 링크부(734)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 링크부(734)의 아래에 배치된다. 하부 링크막대(732, 733)들은 X자 형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상단과 하단이 서로 이격되며,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 링크막대(732, 733)의 상단은 상부 링크막대(735, 736)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 링크막대(732, 733)는 일자로 곧게 이어진 비굴곡 구조를 갖는 막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 링크막대(735, 736)의 상단에는 고리 지지바(780)가 설치되며, 고리 지지바(780)에는 지지 고리(760)만 설치되고, 지지 롤러는 설치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고리 지지바(780)는 지지 롤러와 접촉하지 않는다.
다만, 상부 링크막대(735, 736)와 하부 링크막대(732, 733)가 결합된 부분 및 하부 링크막대(732, 733)의 하단에는 롤러 지지바(720)가 설치되고, 롤러 지지바(720)에는 폴의 외주면과 맞닿아 회전하는 지지 롤러(740)가 설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승하강 폴 시스템
100: 폴
120: 단차 연결부
200: 승하강 링크장치
210: 하우징
212: 가이드바
213: 가이드 홈
230, 730: 링크 어셈블리
220, 720: 롤러 지지바
231, 731: 하부 링크부
232, 233, 732, 733: 하부 링크막대
234, 734: 상부 링크부
235, 236, 735, 736: 상부 링크막대
240, 250, 740: 지지 롤러
260, 760: 지지 고리
270: 가이드부재
271: 지지축
275: 베어링
280: 피봇 지지부
400: 와이어로프
500: 와이어로프 제동장치
510: 베이스 플레이트
530: 제동부
535: 베이스브래킷
540: 하부가이드브래킷
550: 상부가이드브래킷
560: 쐐기부재
567: 연결브래킷
570: 회동 링크
580: 장력감지부
582: 회동브래킷
585: 회동도르래
589: 탄성부
610: 상부 플레이트
620: 상부 케이싱
780: 고리 지지바

Claims (12)

  1. 폴의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한 승하강 링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가이드 홈을 갖는 가이드 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링크 막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링크 어셈블리;
    이격된 상기 링크 어셈블리들에 연결된 복수의 롤러 지지바;
    상기 롤러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롤러;
    상기 롤러 지지바에 고정되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는 지지 고리; 및
    상기 링크 어셈블리가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 바와 결합된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 바에 고정된 피봇 지지부가 설치된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부 이동할수록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은 감소하고, 상기 가이드부재가 하부로 이동할수록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은 증가하도록 이루어진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교차하는 2개의 상부 링크막대로 이루어진 상부 링크부와,
    상기 상부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2개의 하부 링크막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링크부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링크부와 상기 하부 링크부가 결합된 부분과 상기 상부 링크부의 상단과 상기 하부 링크부의 하단에 각각 롤러 지지바가 설치된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막대들이 결합된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설치된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링크막대들이 결합된 부분에는 상기 피봇 지지부가 설치된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들은 길이방향 중앙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롤러들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 롤러들 중 제일 상단에 배치된 상기 지지 롤러의 홈은 하부에 배치된 지지 롤러들의 홈 보다 더 넓고 더 깊게 형성된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제일 상단에 배치된 상기 지지 롤러의 홈에는 상기 지지 고리가 설치되되, 상기 지지 고리는 상기 폴의 외주면과 비접촉하도록 설치된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막대는 제1 막대부와 상기 상부 링크막대들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막대부에서 굴곡되되 상기 지지대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곡된 제2 막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링크막대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 롤러와 접촉하지 않는 고리 지지바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 고리는 상기 고리 지지바에 직접 설치된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막대들이 결합된 부분에서 상기 상부 링크막대의 하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상부 링크막대들이 결합된 부분에서 상기 상부 링크막대의 상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10. 지상에 세워져 배치된 폴;
    상기 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 링크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링크장치는,
    상기 폴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가이드 홈을 갖는 가이드 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링크 막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링크 어셈블리;
    이격된 상기 링크 어셈블리들에 연결된 복수의 롤러 지지바;
    상기 롤러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롤러;
    상기 롤러 지지바에 고정되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는 지지 고리; 및
    상기 링크 어셈블리가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 바와 결합된 하우징;
    을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상부가 하부보다 더 돌출된 단차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교차하는 2개의 상부 링크막대로 이루어진 상부 링크부와 상기 상부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2개의 하부 링크막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링크부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링크부와 상기 하부 링크부가 결합된 부분과 상기 상부 링크부의 상단 및 상기 하부 링크부의 하단에 각각 롤러 지지바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 롤러들은 길이방향 중앙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롤러들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 롤러들 중 제일 상단에 배치된 상기 지지 롤러의 홈에는 상기 지지 고리가 설치된 폴 승하강 시스템.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 시스템은 와이어가 절단된 경우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로프 제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로프 제동장치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선택적으로 제동하는 제동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브래킷과, 상기 회동브래킷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로프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도르래와, 상기 회동브래킷을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장력감지부; 및
    상기 장력감지부의 회동운동을 상기 제동부의 병진운동으로 전달하는 회동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회동 링크와 연결되는 연결브래킷;
    상기 연결브래킷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쐐기부재; 및
    상기 와이어로프를 선택적으로 제동하도록 상기 한 쌍의 쐐기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브래킷을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KR1020190013347A 2019-02-01 2019-02-01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KR102168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347A KR102168234B1 (ko) 2019-02-01 2019-02-01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PCT/KR2019/016328 WO2020159056A1 (ko) 2019-02-01 2019-11-26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347A KR102168234B1 (ko) 2019-02-01 2019-02-01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695A true KR20200095695A (ko) 2020-08-11
KR102168234B1 KR102168234B1 (ko) 2020-10-20

Family

ID=7184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347A KR102168234B1 (ko) 2019-02-01 2019-02-01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8234B1 (ko)
WO (1) WO20201590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546A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이스온 폴의 승하강 무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7653A (zh) * 2022-05-19 2022-08-05 浙江金蓓蕾教学设备有限公司 一种易升降的快拆型课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483A (ja) * 1997-12-12 1999-06-29 Aramaki Technica:Kk 支柱式昇降装置
KR20080014343A (ko) * 2006-08-10 2008-02-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 장치
KR101610214B1 (ko) * 2016-02-01 2016-04-20 박열구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KR20170048075A (ko) 2015-10-26 2017-05-08 주식회사 이스온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구조
KR20180077763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이스온 승강 장치
KR101944453B1 (ko) * 2018-06-04 2019-01-31 주식회사 이스온 와이어로프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9804B2 (ja) * 1991-12-27 2001-01-3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昇降式ハイポール
JPH06290624A (ja) * 1993-03-31 1994-10-18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昇降装置の落下防止装置
KR101063308B1 (ko) * 2011-03-14 2011-09-07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CN106629467A (zh) * 2017-02-21 2017-05-10 广州市中潭空气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车间用的自动升降设备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483A (ja) * 1997-12-12 1999-06-29 Aramaki Technica:Kk 支柱式昇降装置
KR20080014343A (ko) * 2006-08-10 2008-02-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 장치
KR20170048075A (ko) 2015-10-26 2017-05-08 주식회사 이스온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구조
KR101610214B1 (ko) * 2016-02-01 2016-04-20 박열구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KR20180077763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이스온 승강 장치
KR101903051B1 (ko) 2016-12-29 2018-10-01 주식회사 이스온 승강 장치
KR101944453B1 (ko) * 2018-06-04 2019-01-31 주식회사 이스온 와이어로프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546A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이스온 폴의 승하강 무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9056A1 (ko) 2020-08-06
KR102168234B1 (ko)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3032B (zh) 高處安裝設備用之升降裝置
US5361565A (en) Elevating system
CN110552544B (zh) 钢丝索制动装置以及包含上述钢丝索制动装置的竖杆升降系统
KR102168234B1 (ko)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KR101610214B1 (ko)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KR100738869B1 (ko) 무대장치의 와이어 로프 시스템
KR102466049B1 (ko) 타워작업용 곤돌라
EP2771084B1 (en) Loft block with aligned sheaves
CN103161687A (zh) 风力涡轮机塔中的缆线导引
US20180029854A1 (en) Lift assembly with load cells
KR101882381B1 (ko) 무대장치
KR102390491B1 (ko) 폴의 승하강 무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KR101063308B1 (ko)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CN102046902A (zh) 伸缩柱
KR101566326B1 (ko)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KR102577791B1 (ko) 폴의 승하강 무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JP4669692B2 (ja) クライミング型ジブクレーン
KR20130004700A (ko) 고가 사다리차
KR10127329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관람시 시야 확보가 용이한 안전 난간
KR101976724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KR101193481B1 (ko)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JP5590902B2 (ja) 多層建築物の浮上り防止構造
CN206203614U (zh) 一种可调节的底坑检修装置
US20130087679A1 (en) Relocation and support device
CN214144632U (zh) 一种可快速安装的新型吊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