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481B1 -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481B1
KR101193481B1 KR1020100039921A KR20100039921A KR101193481B1 KR 101193481 B1 KR101193481 B1 KR 101193481B1 KR 1020100039921 A KR1020100039921 A KR 1020100039921A KR 20100039921 A KR20100039921 A KR 20100039921A KR 101193481 B1 KR101193481 B1 KR 101193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ulley
rope
counterweight
count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487A (ko
Inventor
신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광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광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광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00039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48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균형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로프가 감기도록 모터풀리가 구비되는 구동모터 본체; 및 상기 모터풀리 하부 양측에 구비되며 로프가 감기는 제1,2보조풀리;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풀리와 제1,2보조풀리는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모터풀리 및 제1,2보조풀리가 프레임의 중심과 일치함과 동시에 균형추와 구동모터를 유기적으로 배치하여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의 무게중심이 일면으로 쏠리면서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COUNTER WEIGHT ASSEMBLY AND ELEV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심을 최소화하여 운동성 상승 및 기계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로 승강구동되는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무게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반대쪽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카운터 웨이트를 로프 구동에 의해서 승강시키기 위하여 승강로의 최상단에 기계실이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고도 제한, 건출물의 외관 및 층고유지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현재에는 상기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즉 머신 룸리스(machine roomless) 엘리베이터가 주로 설치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머신 룸리스 엘리베이터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카운터 웨이트의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신 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승강로(11)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12)와 카운터 웨이트(13)는 양단이 고정된 로프(14)에 의해서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를 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2)와 카운터 웨이트(13)에 각각 카 풀리(15a)(15b)와 웨이트 풀리(22)가 설치되며, 상기 카 풀리(15a)(15b)와 웨이트 풀리(22)의 사이에는 다수의 상부 고정풀리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고정풀리는 카측 상부 고정풀리(20a)(20b)와, 웨이트측 상부 고정풀리(21a)(21b)로 구성되고, 상기 카측 상부 고정풀리(20a)(20b)와 웨이트측 상부 고정풀리(21a)(21b)의 사이에는 구동모터 본체(16)가 상.하부 고정부재 (18a)(18b)에 의해 승강로(11)의 벽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구동모터 본체(16)에 축(17)으로 연결된 모터풀리(19)에 로프(14)가 감아 걸어져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한 상기 모터풀리(19)의 정.역회전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카(12)와 카운터 웨이트(13)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구동되고, 이로써 별도의 기계실이 없이 엘리베이터 카(12)의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승강로의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 본체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 공간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기계실을 갖는 종래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기존 건물에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상기 머신 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신축 건물에 적용은 가능하나, 기존 건물의 적용은 불가능하고, 적용하더라도 철거 및 재설치에 따른 막대한 비용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이 복잡하고, 공간의 제한성으로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며, 구동모터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승강로의 벽면을 뚫고 앵커볼트로 박아 고정하게 되므로 설치의 안전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하기 문헌 1에 개시
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문헌 1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모터풀리(8) 및 제1,2보조풀리(9a,9b)가 카운터 웨이트(3)의 전면부로 돌출되어 유지보수의 안정성 및 편리성은 향상되었지만 모터풀리(8) 및 제1,2보조풀리(9a,9b)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3)의 무게중심이 전면방향으로 쏠리면서 편심 현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풀리(8) 및 제1,2보조풀리(9a,9b)에는 구동을 위한 로프(4)가 감아 걸어져 카운터 웨이트(3)의 하중 및 운동에너지가 카운터 웨이트의 전면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카운터 웨이트(3)는 가이드 레일 상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카운터 웨이트(3)의 무게중심이 편심되면 승강에 따른 불필요한 저항이 발생하여 운동성이 저하되며 고장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문헌 1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모터풀리(8) 및 제1,2보조풀리(9a,9b)에 감겨진 로프(4)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가 개시된 바 없었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06-0001316호(2006.01.0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로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의 무게중심이 일면으로 쏠리면서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기계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실이 있는 기존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에도 적용이 가능한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권부각 조절에 따른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균형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로프가 감기도록 모터풀리가 구비되는 구동모터 본체; 및 상기 모터풀리 하부 양측에 구비되며 로프가 감기는 제1,2보조풀리;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풀리와 제1,2보조풀리는 상기 프레임의 전,후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균형추의 무게 중심과 구동모터 본체의 무게중심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균형추는 고정균형추와 가변균형추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 균형추는 대칭형으로, 가변 균형추는 비대칭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수직프레임과 상,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 프레임에는 로프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보조풀리는 서로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부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제1,2보조풀리에 대응되도록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제1,2보조풀리에 대응되도록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를 따라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무게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승강로에 설치되는 전술한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로 구성되되,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는 양단이 고정된 로프의 전동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따르면, 모터풀리 및 제1,2보조풀리가 프레임의 중심과 일치함과 동시에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의 무게중심이 일면으로 쏠리면서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가이드 레일 상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의 운동성의 상승 및 기계 수명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부에 의해 모터풀리 및 제1,2보조풀리에서 로프가 이탈시에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의 자유낙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기계실이 있는 기존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머신 룸리스 엘리베이터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머신 룸리스 엘리베이터의 설치를 위한 건물의 승강로 확장공사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공간활용의 효율성과 경제성 및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제1,2보조풀리의 권부각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로프와 모터풀리 및 제1,2보조풀리에 감겨진 로프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2보조풀리에 의해 힘의 분배가 이루어짐에 따라 모터풀리 및 축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하중 집중에 따른 축의 변형 및 작동의 부정확성과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풀리 및 제1,2보조풀리가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와 분해 조립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유지보수의 안정성 및 편리성이 향상된다. 즉, 정비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종래의 머신 룸리스 엘리베이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카운터 웨이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도 4의 측면도 실시예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균형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 내지 도 7c는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본 발명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제1실시예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건물의 승강로(100)를 따라 승강 구동되는 엘리베이터 카(200)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200)와 무게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200)와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는 양단이 고정된 로프(400)의 전동에 의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200)의 하부 양측에 카 풀리(200a)(200b)가 설치되고,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에는 구동모터 본체(330)가 매립되며, 상기 구동모터 본체(330)로부터 축(332)으로 연결된 모터풀리(3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풀리(331)의 하부 양측에는 한 쌍의 제1보조풀리(340a) 및 제2보조풀리(340b)가 설치되어 힘의 분배에 따른 상기 구동모터 본체(330)의 축(332)에 대한 하중의 집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상기 제1보조풀리(340a) 및 제2보조풀리(340b)와 카 풀리(200a)(200b)의 사이에는 한 개 이상의 지지풀리(100a)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에 매립된 구동모터 본체(330)로부터 축(332)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모터풀리(331)가 정.역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와 엘리베이터 카(200)가 로프(400)의 전동에 의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카(200)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200)와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200)와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는 양단이 고정된 로프(400)의 전동에 의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200)의 상부 양측에 카 풀리(200a)(200b)가 설치되고,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에는 구동모터 본체(330)가 매립되며, 상기 구동모터 본체(330)로부터 축(332)으로 연결된 모터풀리(3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풀리(331)의 하부 양측에는 한 쌍의 제1보조풀리(340a) 및 제2보조풀리(340b)가 설치되어 힘의 분배에 따른 상기 구동모터 본체(330)의 축(332)에 대한 하중의 집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보조풀리(340a) 및 제2보조풀리(340b)와 카 풀리(200a)(200b)의 사이에는 한 개 이상의 지지풀리(100b)(100c)가 설치된다.
제3실시예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카(200)와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200)와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는 양단이 고정된 로프(400)의 전동에 의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200)의 상부측에 단독으로 카 풀리(200c)가 설치되고,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에는 구동모터 본체(330)가 매립되며, 상기 구동모터 본체(330)로부터 축(332)으로 연결된 모터풀리(3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풀리(331)의 하부 양측에는 제1보조풀리(340a) 및 제2보조풀리(340b)가 설치되어 힘의 분배에 따른 상기 구동모터 본체(330)의 축(332)에 대한 하중의 집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보조풀리(340a) 및 제2보조풀리(340b)와 카 풀리(200c)의 사이에는 한 개 이상의 지지풀리(100b)(100c)가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3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기계실이 있는 기존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덧붙여, 제1,2보조풀리(340a,340b)에 의해 힘의 분배가 이루어짐에 따라 모터풀리(331) 및 축(332)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하중 집중에 따른 축(332)의 변형 및 작동의 부정확성과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d 내지 도 3f에 도시한 제 4내지 제 6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전술한 제 1내지 제 3실시예에 후술할 카운터 웨이트 에셈블리(300)를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전술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주요특징인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를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의 측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6b는 균형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는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 내지 도 7c는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는, 프레임(310)과, 상기 프레임(310)에 설치되는 균형추(320)와, 상기 프레임(310)에 설치되며 로프(400)가 감기도록 모터풀리(331)가 구비되는 구동모터 본체(330) 및 상기 모터풀리(331) 하부 양측에 구비되며 로프(400)가 감기는 제 1,2보조풀리(340a,340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풀리(331)와 제1,2보조풀리(340a,340b)는 상기 프레임(310)의 전,후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는 로프(400)가 프레임(310)의 측면두께(d)의 중심(c)을 길이방향으로 근접하게 가로지르며 구동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의 무게중심이 일면으로 쏠리면서 편심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모터 본체(330)는 모터 마운트(350)에 의해 상기 프레임(310)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 마운트(350)는 프레임(310)부에 일반적인 기계결합수단(볼트, 용접, 리벳, 키, 핀 등)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풀리(331)는 상기 프레임(3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부착되는 것이다.
즉, 상기 모터 마운트(350)에 의해 모터풀리(331)는 상기 프레임(310)의 내부에서 구동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310)은 수직프레임(311)과 상,하부 프레임(312,313)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 프레임(312,313)에는 로프(400)가 관통하는 관통부(30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부(301)는 전술한 모터풀리(331)와 제1,2보조풀리(340a,340b)와 동일선상, 즉 프레임(310) 측면 두께(d)의 중심(c)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동일 선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부(301)에 의해 모터풀리(331) 및 제 1,2보조풀리(340a,340b)에서 로프가 이탈되는 경우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와 로프가 분리되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로프(400)가 관통부(301)를 지나 제1보조풀리(340a)를 경유하여 하부 프레임(313)에 관통 형성된 관통부(302)를 위쪽으로 통과하고, 상기 모터풀리(331)에 감긴 후 또 다른 관통부(302) 아래쪽으로 통과하여 제2보조풀리(340b)를 경유하여 관통부(301)를 지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균형추(320)는 고정균형추(320a)와 가변균형추(320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균형추(320a)는 프레임(310)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가변균형추(320b)는 프레임(310)을 기준으로 비대칭을 이루며 비대칭 돌출부(3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균형추(320a)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의 무게가 엘리베이터 카(200)의 정상 운행을 위한 오버 밸런스를 맞추는 기능을 하며, 상기 가변균형추(320b)는 고정균형추(320a)를 대체 가감을 통해서 오버 밸런스를 유지하며,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의 무게 균형을 맞추어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300)는 편심이 방지됨에 따라 운동성의 상승 및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이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의 특성상 편심이 최소일 경우 또는 편심이 없을수록 운동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고장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2보조풀리(340a,340b)는 서로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부 프레임(313)에 설치되어 상기 제 1,2보조풀리(340a,340b)의 권부각을 조절하여 로프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도 7a의 하부프레임(313)은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그 사이에 제 1,2보조풀리(340a,340b)가 설치되며 상기 제 1,2보조풀리(340a,340b)는 일반적인 기계 결합수단(볼트, 용접, 리벳, 키, 핀등)에 의해 권부각을 조절한 후 고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하부 프레임(313)에는 상기 제 1,2보조풀리(340a,340b)에 대응되도록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공(313a)이 형성되며, 상기 제 1,2보조풀리(340a,340b)는 결합공(313a)과의 결합위치에 따라 권부각이 조정된다.
또한, 도 7b와 같이 상기 하부 프레임(313)에는 상기 제 1,2보조풀리(340a,340b)의 중심축이 관통설치 되도록 관통공(313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313b)은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덧붙여, 도 7c와 같이 전술한 결합공(313a)과 관통공(313b)이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권부각 조절에 따른 효과는 본 발명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0665588호(이하, '선출원') "엘리베이터 장치"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출원을 개선한 발명으로 개선된 구성(부위)만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100 - 승강로 200 - 엘리베이터 카
300 -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310 - 프레임
320 - 균형추 330 - 구동모터 본체
331 - 모터풀리 340a,340b - 제1,2보조풀리
350 - 모터마운트 400 - 로프

Claims (9)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균형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로프가 감기도록 모터풀리가 구비되는 구동모터 본체; 및
    상기 모터풀리 하부 양측에 구비되며 로프가 감기는 제1,2보조풀리;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풀리와 제1,2보조풀리는 상기 프레임의 전, 후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균형추의 무게 중심과 구동모터 본체의 무게중심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며,
    상기 프레임은 수직프레임과 상,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 프레임에는 로프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로프가 관통부를 지나 제1보조풀리를 경유하여 하부 프레임에 관통 형성된 관통부를 위쪽으로 통과하고, 상기 모터풀리에 감긴 후 또 다른 관통부 아래쪽으로 통과하여 제2보조풀리를 경유하여 관통부를 지나는 구성이며,
    상기 구동모터 본체는 모터 마운트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추는 고정균형추, 가변균형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균형추는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가변균형추는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보조풀리는 서로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제1,2보조풀리에 대응되도록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제1,2보조풀리에 대응되도록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9. 삭제
KR1020100039921A 2010-04-29 2010-04-29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1193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21A KR101193481B1 (ko) 2010-04-29 2010-04-29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21A KR101193481B1 (ko) 2010-04-29 2010-04-29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487A KR20110120487A (ko) 2011-11-04
KR101193481B1 true KR101193481B1 (ko) 2012-10-22

Family

ID=4539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921A KR101193481B1 (ko) 2010-04-29 2010-04-29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4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6931A (ja) * 2013-06-24 2015-0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釣合おもり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6268317B2 (ja) * 2017-04-17 2018-0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釣合おもり及びエレベータ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770A (ja) 2000-11-22 2002-05-28 Oil Drive Kogyo Kk エレベ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770A (ja) 2000-11-22 2002-05-28 Oil Drive Kogyo Kk 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487A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4105B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400620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20150158702A1 (en) Low-Rise Elevator
EP2097347B1 (en) Arrangement in the supply of rope to the speed limiter
CN210457074U (zh) 电梯轿顶轮的安装结构
KR101193481B1 (ko) 카운터 웨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JP5142465B2 (ja) エレベータのためのプーリ装置
JP4145977B2 (ja) エレベータ
EP2019072A1 (en) Elevator device
KR102638626B1 (ko) 오프셋 받침판용 고정 도르래 브래킷
JP5001013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02877B1 (en) Elevator system
CN103221624A (zh) 电梯的轿厢
EP1801061B1 (en) Elevator apparatus
JP6126953B2 (ja) エレベーター
JP5930813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JP4802844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24519859A (ja) エレベータ設備のための駆動システム、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の支持要素上に駆動部を設置するための方法
JP2011042422A (ja) せり上げ式エレベータのかご
KR100597941B1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4901146B2 (ja) エレベータ
KR101998869B1 (ko) 기계실이 없는 고하중용 엘리베이터 장치
CN207658894U (zh) 一种电梯用的双槽滑轮组件
KR10066558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