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793B1 - 무대 시설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무대 시설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793B1
KR102258793B1 KR1020210007892A KR20210007892A KR102258793B1 KR 102258793 B1 KR102258793 B1 KR 102258793B1 KR 1020210007892 A KR1020210007892 A KR 1020210007892A KR 20210007892 A KR20210007892 A KR 20210007892A KR 102258793 B1 KR102258793 B1 KR 102258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gear
shaft
main shaf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상
Original Assignee
포스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7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2001/02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wound up when not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인 드럼 형상이며, 드럼 축을 따라 소정의 드럼 길이로 연장되는 와이어 드럼과, 샤프트 축이 상기 와이어 드럼의 드럼 축과 일치되도록 상기 와이어 드럼의 내부에 위치하는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BLDC 허브 모터 및 상기 와이어 드럼의 타측과 상기 메인 샤프트의 타측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 전달하는 드럼 회동 수단을 포함하는 무대 시설 승강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대 시설 승강 장치{Stage Facility 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무대 조명 또는 무대 배경물과 같은 무대 시설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무대 시설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대 시설은 무대 조명 또는 무대 배경물과 같이 공연 예술의 효과를 높여주는 시설이다. 특히, 상기 무대 조명은 무대의 상부에 복수 개로 배열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무대를 비추게 된다. 상기 무대 조명은 무대 시설 승강 장치에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하거나 고정된 높이에서 무대를 비출 수 있다.
종래의 무대 시설 승강 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모터(3)와 와이어 드럼(4)과 감속기(5) 및 베이스(7)를 포함하며, 무대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는 엔코더(1)와 브레이크(2)와 캠리미트(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는 와이어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와이어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면서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된 바텐(Batten)과 바텐에 결합된 무대 조명을 승강시켜 무대 공연에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는 바텐의 길이가 15m 정도인 경우에 대당 중량이 대략 300 ~ 600kg이며, 무대 상부에 최소 10대에서 100대 정도가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는 고가의 지지 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지지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건축 구조물을 필요로 하므로 건축비의 상승을 초래한다. 또한,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는 중량이 무거워 설치 과정 및 유지 보수 과정에서 안전 사고의 발생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는 농형 모터를 사용하므로 기동시 기동 토크를 맞추기 의하여 감속기 및 모터의 용량을 높게 산정하기 때문에 공사비 및 유지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는 와이어 드럼의 일측에 소정 높이로 모터가 설치되므로 설치 면적과 높이가 증가되는 측면이 있다. 또한,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는 일정한 사용 기간이 지나면 감속기 및 모터와 감속기 연결부위, 감속기와 드럼 연결 부위의 소음이 발생하여 공연중 관객이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형화로 제작비와 설치 공간 및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대 시설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과정에서 안정성과 편리성을 증가시켜 유지 관리비를 절감시키는 무대 시설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무대 시설 승강 장치는 내부가 중공인 드럼 형상이며, 드럼 축을 따라 소정의 드럼 길이로 연장되는 와이어 드럼과, 샤프트 축이 상기 와이어 드럼의 드럼 축과 일치되도록 상기 와이어 드럼의 내부에 위치하는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BLDC 허브 모터 및 상기 와이어 드럼의 타측과 상기 메인 샤프트의 타측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 전달하는 드럼 회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LDC 허브 모터는 상기 와이어 드럼의 일측 내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와이어 드럼의 일측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LDC 허브 모터는 상기 메인 샤프트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 회동 수단은 상기 메인 샤프트의 타측에 결합되는 외치형의 구동 기어와, 상기 와이어 드럼의 타측에서 상기 구동 기어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내치형의 드럼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와 드럼 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드럼 기어에 전달하는 외치형의 종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동 기어는 적어도 2개가 상기 구동 기어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종동 기어의 기어 잇수는 상기 구동 기어의 기어 잇수보다 크며, 상기 종동 기어의 기어 잇수는 상기 드럼 기어의 기어 잇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는 상기 메인 샤프트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 프레임 및 상기 BLDC 허브 모터의 일측을 지지하는 모터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 회동 수단은 상기 종동 기어의 일측에 위치하는 기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샤프트 지지 프레임과 기어 지지 프레임에 상기 종동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 지지 프레임은 상기 기어 프레임 볼트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 지지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대 시설 승강 장치는 기존의 농형 모터를 대신하여 BLDC 허브 모터를 사용하고 기존의 감속기와 같은 구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용 과정에서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대 시설 승강 장치는 와이어 드럼의 내부에 BLDC 허브 모터가 내장되므로 설치 공간을 감소시키고 외부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대 시설 승강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중량이 감소되므로 설치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대 시설 승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시설 승강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무대 시설 승강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무대 시설 승강 장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시설 승강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무대 시설 승강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시설 승강 장치(1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와이어 드럼(100)과 메인 샤프트(200)와 BLDC 허브 모터(300) 및 드럼 회동 수단(6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10)는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 및 모터 지지 프레임(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10)는 제동 수단(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10)는 BLDC 허브 모터(300)에 메인 샤프트(200)가 직접 연결되며, 메인 샤프트(200)가 드럼 회동 수단(600)을 통하여 와이어 드럼(10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10)는 BLDC 허브 모터(300)의 회전력을 메인 샤프트(200)와 드럼 회동 수단(600)을 통하여 와이어 드럼(1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10)는 와이어 드럼(100)을 회전시키면서 와이어 드럼(100)의 외주면에 와이어(a)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여 와이어(a)에 연결된 무대 시설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10)는 무대의 상부에 위치하며, 무대 조명 또는 무대 배경물과 같은 무대 시설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10)는 무대 조명을 구성하는 바텐과 결합되어 바텐과 조명등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10)는 기존의 농형 모터를 대신하여 BLDC 허브 모터(300)를 사용하고 기존의 감속기와 같은 구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용 과정에서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10)는 와이어 드럼(100)의 내부에 BLDC 허브 모터(300)가 내장되므로 설치 공간을 감소시키고 외부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10)는 구조가 간단하고 중량이 감소되므로 설치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드럼(100)은 내부가 중공인 드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드럼(100)은 양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드럼(100)은 중심 축인 드럼 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드럼 길이와 드럼 내경 및 드럼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드럼(100)은 외주면에 와이어(a)가 와인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드럼(100)은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와이어 홈(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드럼(100)은 드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a)가 와이어 홈(110)을 따라 일정하게 와인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샤프트(20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 축인 샤프트 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샤프트 길이와 샤프트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인 샤프트(200)는 원형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샤프트(200)는 와이어 드럼(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샤프트 축이 와이어 드럼(100)의 드럼 축과 일치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샤프트(200)의 샤프트 길이는 와이어 드럼(100)의 드럼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샤프트(200) 길이는 드럼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메인 샤프트(200)의 샤프트 길이는 BLDC 허브 모터(300)의 위치에 따라 드럼 길이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BLDC 허브 모터(300)는 일반적인 BLDC 허브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BLDC 허브 모터(300)는 메인 샤프트(200)의 일축에 결합되며, 메인 샤프트(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BLDC 허브 모터(300)는 와이어 드럼(100)의 일측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LDC 허브 모터(300)는 와이어 드럼(100)의 일측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BLDC 허브 모터(300)는 외경 또는 무대 시설 승강 장치(10)의 설치 공간에 따라 와이어 드럼(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BLDC 허브 모터(300)가 와이어 드럼(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메인 샤프트(200)의 샤프트 길이는 와이어 드럼(100)의 드럼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BLDC 허브 모터(300)가 와이어 드럼(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메인 샤프트(200)의 샤프트 길이는 드럼 길이와 같거나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메인 샤프트(200)는 와이어 드럼(100)의 일측 외부에서 BLDC 허브 모터(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샤프트(20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드럼 지지 프레임(660)에 의하여 와이어 드럼(100)의 일측단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BLDC 허브 모터(300)는 일반적인 모터와 달리 중심 축의 외측에 위치하는 회전 원통이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한 힘이 추가되어 토크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BLDC 허브 모터(300)는 메인 샤프트(20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BLDC 허브 모터(300)는 회전 몸통이 메인 샤프트(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LDC 허브 모터(300)가 메인 샤프트(200)와 직접 연결된다는 의미는 BLDC 허브 모터(300)의 회전력이 메인 샤프트(200)에 동일하게 전달되도록 연결된다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직접 연결된다는 의미는 BLDC 허브 모터(300)와 메인 샤프트(200) 사이에 종래와 같은 감속기와 같은 수단이 위치하지 않는다는 의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직접 연결된다는 의미는 BLDC 허브 모터(300)의 회전수와 메인 샤프트(200)의 회전수가 동일하도록 연결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접 연결된다는 의미는 BLDC 허브 모터(300)의 회전 원통과 메인 샤프트(200) 사이에 추가로 샤프트와 같은 구성이 추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BLDC 허브 모터(300)와 메인 샤프트(200)는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BLDC 허브 모터(300)는 와이어 드럼(100)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크와 마력을 갖는 사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BLDC 허브 모터(300)는 기동 토크와 정격 토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모터 내부의 홀 센서를 이용하여 작은 용량에서도 필요한 토크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BLDC 허브 모터(300)는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상기 BLDC 허브 모터(300)는 DC 전압 12 ∼ 27V, 전류 0 ∼ 150A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LDC 허브 모터(300)는 상용 전압인 삼상 AC 380V를 전압 강하시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와이어 드럼(100)의 수평 단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은 와이어 드럼(100)의 타측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은 승강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은 메인 샤프트(200)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은 메인 샤프트(200)가 결합되는 메인 샤프트홀(4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홀에는 메인 샤프트(200)를 지지하는 샤프트 프레임 베어링(411)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은 메인 샤프트홀(410)의 외측에 기어 샤프트홀(4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샤프트홀(420)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기어 샤프트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은 메인 샤프트홀(410)의 외측에 샤프트 지지 볼트홀(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지지 볼트홀(430)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지지 볼트가 관통하는 홀이다.
상기 모터 지지 프레임(50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와이어 드럼(100)의 수평 단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지지 프레임(500)은 전체적으로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에 대응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지지 프레임(500)은 와이어 드럼(100)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지지 프레임(500)은 승강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지지 프레임(500)은 BLDC 허브 모터(300)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모터 지지 샤프트(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지지 샤프트(510)는 일측이 모터 지지 프레임(500)에 고정되며, 타측이 모터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는 일측이 모터 지지 프레임(5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대 시설 승강 장치(10)는 모터 지지 프레임(500)과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 샤프트(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지지 샤프트(520)는 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적정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지지 샤프트(520)는 도 3을 참조하면,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 회동 수단(600)은 와이어 드럼(100)의 타측과 메인 샤프트(200)의 타측 사이에 결합되어 메인 샤프트(200)의 회전력을 와이어 드럼(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 회동 수단(600)은 메인 샤프트(200)의 회전수와 필요로 하는 와이어 드럼(100)의 회전수를 대비하여 적정하게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 회동 수단(600)은 와이어 드럼(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드럼 회동 수단(600)은 와이어 드럼(100)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면서 메인 샤프트(200)의 회전력을 와이어 드럼(100)으로 전달하여 와이어 드럼(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드럼 회동 수단(600)은 메인 샤프트(200)의 회전력을 와이어 드럼(100)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 회동 수단(600)은 구동 기어(610)와 드럼 기어(620) 및 종동 기어(6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 회동 수단(600)은 기어 지지 프레임(640)과 기어 샤프트(650) 및 드럼 지지 프레임(6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 회동 수단(600)은 구동 기어(610)와 드럼 기어(620) 및 종동 기어(630)의 기어 잇수를 조절하여 메인 샤프트(200)의 회전수를 적절하게 감소시켜 와이어 드럼(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 회동 수단(600)의 구동 기어(610)와 드럼 기어(620) 및 종동 기어(630)는 와이어 드럼(100)의 타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 회동 수단(600)의 드럼 지지 프레임(660)은 와이어 드럼(100)의 일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610)는 외치형 기어로 형성되며, 메인 샤프트(20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610)는 메인 샤프트(200)에 결합되어 메인 샤프트(200)와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610)의 기어 잇수는 메인 샤프트(200)의 회전수와 와이어 드럼(100)의 회전수 및 드럼 기어(620)와 종동 기어(630)의 잇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기어(610)는 메인 샤프트(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기어(610)는 메인 샤프트(200)의 외주면이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 기어(620)는 내치형 기어로 형성되며, 와이어 드럼(10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럼 기어(620)는 와이어 드럼(100)의 타측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 기어(620)는 와이어 드럼(100)의 타측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드럼 기어(620)는 구동 기어(610)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 기어(620)는 메인 샤프트(200)의 중심 축에 수직인 평면을 기준으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드럼 기어(620)의 기어 잇수는 메인 샤프트(200)의 회전수와 와이어 드럼(100)의 회전수 및 구동 기어(610)와 종동 기어(630)의 잇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 기어(620)는 와이어 드럼(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 기어(620)는 와이어 드럼(100)의 내주면이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종동 기어(630)는 외치형 기어로 형성되며, 구동 기어(610)와 드럼 기어(6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종동 기어(630)는 구동 기어(610)의 회전력을 드럼 기어(6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종동 기어(630)는 적어도 1 개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로 형성되어 구동 기어(610)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종동 기어(630)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3개로 형성되며, 구동 기어(610)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12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종동 기어(630)는 3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드럼 기어(6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구동 기어(610)의 회전력을 드럼 기어(6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종동 기어(630)의 기어 잇수는 메인 샤프트(200)의 회전수와 와이어 드럼(100)의 회전수 및 구동 기어(610)와 드럼 기어(620)의 잇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종동 기어(630)의 기어 잇수는 구동 기어(610)의 기어 잇수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종동 기어(630)의 피치원 지름은 구동 기어(610)의 피치원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종동 기어(630)는 구동 기어(610)의 회전수보다 작은 회전수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동 기어(630)의 기어 잇수는 드럼 기어(620)의 기어 잇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종동 기어(630)의 피치원 지름은 드럼 기어(620)의 피치원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 기어(620)는 종동 기어(630)의 회전수보다 작은 회전수로 회전하며 와이어 드럼(100)의 회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기어 지지 프레임(640)은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와이어 드럼(10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 지지 프레임(640)은 메인 샤프트 관통홀(641)과 기어 샤프트 지지홀(642) 및 지지 볼트홀(6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지지 프레임(640)은 기어 프레임 볼트(645)에 의하여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어 지지 프레임(640)은 종동 기어(630)의 일측에 위치하며, 종동 기어(630)를 중심으로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지지 프레임(640)은 기어 샤프트(65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샤프트 관통홀(641)은 기어 지지 프레임(640)의 중앙에 관통하여 형성되며 메인 샤프트(200)가 관통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샤프트 관통홀(641)의 내주면은 메인 샤프트(200)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기어 샤프트 지지홀(642)은 종동 기어(630)의 중심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어 샤프트 지지홀(642)은 종동 기어(63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볼트홀(643)은 종동 기어(630) 사이의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볼트홀(643)은 기어 지지 프레임(640)을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에 고정하는 기어 프레임 볼트(645)가 결합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어 프레임 볼트(645)는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을 관통하여 종동 기어(630) 사이의 영역을 통과하여 기어 지지 프레임(6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어 샤프트(650)는 일반적인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종동 기어(630)의 중심을 관통하여 종동 기어(6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어 샤프트(650)와 종동 기어(630) 사이에는 기어 프레임 베어링(651)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샤프트(650)의 일측은 기어 지지 프레임(640)의 기어 샤프트 지지홀(642)에 결합되며, 타측은 샤프트 지지 프레임(400)의 기어 샤프트홀(4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지지 프레임(660)은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와이어 드럼(100)의 내경보다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지지 프레임(660)은 와이어 드럼(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와이어 드럼(10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드럼 지지 프레임(660)은 모터 지지 샤프트홀(6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지지 샤프트홀(661)은 드럼 지지 프레임(660)의 중앙에 관통하여 형성되며, 모터 지지 샤프트(510)가 관통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지지 샤프트홀(661)에는 드럼 프레임 베어링(662)이 위치한다. 즉, 상기 모터 지지 샤프트홀(661)과 모터 지지 샤프트(510) 사이에 드럼 프레임 베어링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 지지 프레임(660)은 와이어 드럼(100)을 모터 지지 샤프트(5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동 수단(700)은 메인 샤프트(200)의 외측에 위치하여 메인 샤프트(200)의 회전을 브레이킹하는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동 수단(700)은 회전 축의 회전을 제동하는 일반적인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동 수단(700)은 기어 지지 프레임(640)의 일측에 결합되며 메인 샤프트(20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a: 와이어
10: 무대 시설 승강 장치 20: 승강 베이스 플레이트
100: 와이어 드럼 110: 와이어 홈
200: 메인 샤프트 300: BLDC 허브 모터
400: 샤프트 지지 프레임 410: 메인 샤프트홀
420: 기어 샤프트홀 430: 샤프트 지지 볼트홀
500: 모터 지지 프레임 510: 모터 지지 샤프트
520: 프레임 지지 샤프트
600: 드럼 회동 수단 610: 구동 기어
620: 드럼 기어 630: 종동 기어
640: 기어 지지 프레임 641: 메인 샤프트 관통홀
642: 기어 샤프트 지지홀 643: 지지 볼트홀
645: 기어 프레임 볼트
650: 기어 샤프트 660: 드럼 지지 프레임
700: 제동 수단

Claims (8)

  1. 내부가 중공인 드럼 형상이며, 드럼 축을 따라 소정의 드럼 길이로 연장되는 와이어 드럼과,
    샤프트 축이 상기 와이어 드럼의 드럼 축과 일치되도록 상기 와이어 드럼의 내부에 위치하는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BLDC 허브 모터와,
    상기 와이어 드럼의 타측과 상기 메인 샤프트의 타측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 전달하는 드럼 회동 수단과,
    상기 메인 샤프트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 프레임 및
    상기 BLDC 허브 모터의 일측을 지지하는 모터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 회동 수단은
    상기 메인 샤프트의 타측에 결합되는 외치형의 구동 기어와,
    상기 와이어 드럼의 타측에서 상기 구동 기어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내치형의 드럼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와 드럼 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드럼 기어에 전달하는 외치형의 종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의 일측에 위치하는 기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샤프트 지지 프레임과 기어 지지 프레임에 상기 종동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시설 승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LDC 허브 모터는 상기 와이어 드럼의 일측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시설 승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LDC 허브 모터는 상기 와이어 드럼의 일측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시설 승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LDC 허브 모터는 상기 메인 샤프트와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시설 승강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기어는 적어도 2개가 상기 구동 기어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종동 기어의 기어 잇수는 상기 구동 기어의 기어 잇수보다 크며,
    상기 종동 기어의 기어 잇수는 상기 드럼 기어의 기어 잇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시설 승강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지지 프레임은 기어 프레임 볼트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시설 승강 장치.
KR1020210007892A 2021-01-20 2021-01-20 무대 시설 승강 장치 KR102258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892A KR102258793B1 (ko) 2021-01-20 2021-01-20 무대 시설 승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892A KR102258793B1 (ko) 2021-01-20 2021-01-20 무대 시설 승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793B1 true KR102258793B1 (ko) 2021-05-31

Family

ID=7614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892A KR102258793B1 (ko) 2021-01-20 2021-01-20 무대 시설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7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25671A (zh) * 2022-12-28 2023-04-28 齐重数控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高速高精度卧式主轴箱
CN117303177A (zh) * 2023-11-30 2023-12-29 泰州市银杏舞台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舞台抬升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9180B2 (ja) * 1992-05-26 2002-01-21 株式会社関電工 電動ウインチ
KR200410955Y1 (ko) * 2005-12-19 2006-03-10 (주) 케이에스인더스트리 차동기어를 포함한 윈치시스템
JP2006315806A (ja) * 2005-05-12 2006-11-24 Stage System Kk ワイヤー巻き上げ装置とセーフティロック
KR20160007763A (ko) * 2014-06-27 2016-01-2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Bldc 허브 모터 장치
KR101956326B1 (ko) * 2017-06-08 2019-03-08 이케이중공업(주) 내부 모터 설치형 윈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9180B2 (ja) * 1992-05-26 2002-01-21 株式会社関電工 電動ウインチ
JP2006315806A (ja) * 2005-05-12 2006-11-24 Stage System Kk ワイヤー巻き上げ装置とセーフティロック
KR200410955Y1 (ko) * 2005-12-19 2006-03-10 (주) 케이에스인더스트리 차동기어를 포함한 윈치시스템
KR20160007763A (ko) * 2014-06-27 2016-01-2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Bldc 허브 모터 장치
KR101956326B1 (ko) * 2017-06-08 2019-03-08 이케이중공업(주) 내부 모터 설치형 윈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25671A (zh) * 2022-12-28 2023-04-28 齐重数控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高速高精度卧式主轴箱
CN116025671B (zh) * 2022-12-28 2024-04-30 齐重数控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高速高精度卧式主轴箱
CN117303177A (zh) * 2023-11-30 2023-12-29 泰州市银杏舞台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舞台抬升设备
CN117303177B (zh) * 2023-11-30 2024-03-08 泰州市银杏舞台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舞台抬升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793B1 (ko) 무대 시설 승강 장치
JP4491143B2 (ja) 反転式ローター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機械
CA2126491C (en) Elevator drive machinery disposed in the counterweight
US4771197A (en) Frequency converter-controlled squirrel cage motor
CN1040557A (zh) 卷扬机
CN103569828A (zh) 一种楼梯索道
CN105270969A (zh) 电梯用曳引机
KR102221240B1 (ko) 무대시설 견인용 윈치
CN1276337A (zh) 升降机的驱动装置
KR100888768B1 (ko) 배튼 승하강 장치
CN218620044U (zh) 一种装配式建筑用吊装设备
KR101167613B1 (ko) 자동각도조절이 가능한 활차
KR100761514B1 (ko) 무대승강장치
KR20180043509A (ko)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WO200611201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068338A1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2914630B2 (ja) 支柱式昇降装置
KR102297928B1 (ko) 바튼 승강 구동 장치
JP2001039642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8706428A (zh) 一种螺杆式电梯传动方法
JP2004345835A (ja) 昇降装置及び同期回転出力軸装置
CN110002355A (zh) 一种晾衣机驱动装置
KR200357319Y1 (ko) 마이크 승강장치
JP2016092983A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6737284U (zh) 一种吊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