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509A -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509A
KR20180043509A KR1020160136272A KR20160136272A KR20180043509A KR 20180043509 A KR20180043509 A KR 20180043509A KR 1020160136272 A KR1020160136272 A KR 1020160136272A KR 20160136272 A KR20160136272 A KR 20160136272A KR 20180043509 A KR20180043509 A KR 20180043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crew drum
frame
drum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245B1 (ko
Inventor
최윤서
노희범
강철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터보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터보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터보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136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2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9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axially-movable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장치를 위하여 구비되는 다수의 무대장치봉(batten)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무대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대장치봉(batten)을 상하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와이어가 나선형으로 감아 인출하도록 이루어진 스크류 드럼만이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모터, 감속기 및 안내활차와 별도로 회전시 설정된 이동거리로 이동하여 와이어로프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무대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는, 무대장치봉을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 스크류 드럼, 구동모터, 감속기 및 안내활차를 포함하는 무대구동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감속기는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감속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일단은 감속기와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에 연결되게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설치되되, 상기 감속기와 와이어 스크류 드럼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되,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축방향으로 자유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자유이동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과 와이어 스크류 드럼 사이에는 회전시 축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축방향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구동시 구동모터와 감속기 및 안내활차는 프레임에 고정되고 와이어 스크류 드럼만이 회전하며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Stage drive device screw drum moves}
본 발명은 무대장치를 위하여 구비되는 다수의 무대장치봉(batten)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무대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대장치봉(batten)을 상하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와이어가 나선형으로 감아 인출하도록 이루어진 스크류 드럼만이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모터, 감속기 및 안내활차와 별도로 회전시 설정된 이동거리로 이동하여 와이어로프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무대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서트, 연극 등과 같이 무대에는 상하 이동하는 무대 세트물이 구비되고, 상하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무대 세트물은 보통 무대장치봉(batten)에 설치되고, 상기 무대장치봉(batten)은 와이어 로프에 설치되어 무대구동장치에 의하여 상하 이동을 한다.
상기 무대구동장치는 도 1과 같이 크게 구동모터(1)와 감속기(2)와 와이어 드럼(3) 및 안내활차(4)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3)에 감기는 와이어 로프(5)로 연결된 무대장치봉(batten)(6)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 드럼은 보통 도 2의 (a)와 같은 스크류형(TYPE)인 와이어 스크류형 드럼과 (b)와 같은 디스크형(TYPE)인 와이어 디스크형 드럼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와이어 스크류형 드럼에 관한 것으로, 도 3과 같이 와이어 스크류형 드럼은 안내활차로 안내되는 와이어로프가 와이어 스크류형 드럼 외주면에 형성된 와이어용 나선홈에 감김 또는 풀림으로써 입사각(유입각)(θ)이 일정한 각도(수직)를 유지하지 못함으로써 와이어로프가 나선홈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공된 기술문헌에는 (KR)등록특허공보 10-0978064호인 무대구동장치, (KR)등록특허공보 10-1328400호인 무대시설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KR)등록특허공보 10-1566913호인 와이어로프 유입각 보정과 구동부 변각 기능을 포함하는 무대시설 승강장치, (KR)등록특허공보 10-1611238호인 볼나사를 이용한 무대설비의 와이어 구동장치 등이 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제공된 (KR)등록특허공보 10-0978064호인 무대구동장치, (KR)등록특허공보 10-1328400호인 무대시설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KR)등록특허공보 10-1566913호인 와이어로프 유입각 보정과 구동부 변각 기능을 포함하는 무대시설 승강장치들은 무대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중 구동모터와 감속기와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LM 가이드와 같은 가이드 수단을 따라 와이어 스크류 드럼의 1회전시 나선홈의 피치만큼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고중량물인 구동모터와 감속기와 스크류 드럼이 함께 이동을 함으로써 구동모터에 큰 부하를 주게 되는 문제점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스크류 드럼을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더욱더 큰 부하게 작용하게 됨으로써 구동모터를 파손시키게 되어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KR)등록특허공보 10-0978064호인 무대구동장치는 구동부인 구동모터와 감속기 및 스크류 드럼 전체가 이동을 함으로써 동력의 소모가 크고, 이동을 위한 가이드 수단에 의하여 제품의 높이가 높아 천정이 낮은 곳에 설치시에는 많은 제약을 받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 제공된 (KR)등록특허공보 10-1611238호인 볼나사를 이용한 무대설비의 와이어 구동장치는 무대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중 와이어로프를 안내하는 안내활차를 와이어 스크류 드럼의 1회전시 나선홈의 피치만큼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와이어 스크류 드럼의 1회전시 나선홈의 피치만큼 안내활차를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볼나사와 볼너트로 이루어지는 작동수단에 구조상 큰 하중이 발생함으로써 파손의 위험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KR)등록특허공보 10-1611238호인 볼나사를 이용한 무대설비의 와이어 구동장치의 경우 스크류 드럼 하측에 볼나사와 볼너트로 이루어지는 작동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스크류 드럼을 포함하는 구동장치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는 한편, 안내활차가 측면으로 돌출됨으로써 다른 구동장치와의 간격이 멀어짐으로써 설치상 제약을 받는 단점과, 안내활차가 프레임(틀) 내에서 왕복이동을 함으로써 스크류드럼의 일부분을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며, 이는 무대구동장치의 크기를 크게 시키는 요인이 된다.
(KR) 등록특허공보 10-0978064(등록. 2010.08.19) (KR) 등록특허공보 10-1328400(등록. 2013.11.06) (KR) 등록특허공보 10-1566913(등록. 2015.11.02) (KR) 등록특허공보 10-1611238(등록. 2016.04.0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와이어 스크류 드럼과 이에 감기는 와이어 로프 사이에 형성되는 각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되, 구동모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무대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프레임에 구동모터와 감속기 및 안내활차를 고정하고, 회전시 와이어 스크류 드럼만이 회전시 외주면에 형성된 와이어용 나선홈 피치만큼 이동을 하도록 이루어진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대구동장치의 제품 높이도 높아지지 않고, 옆으로 튀어나오지도 않아 좁은 공간에 여러 개의 장치봉을 설치해야 하는 무대환경에 최적인 제품의 무대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목적)는 무대장치봉을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 스크류 드럼, 구동모터, 감속기 및 안내활차를 포함하는 무대구동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감속기는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감속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일단은 감속기와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에 연결되게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설치되되, 상기 감속기와 와이어 스크류 드럼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되,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축방향으로 자유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자유이동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과 와이어 스크류 드럼 사이에는 회전시 축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축방향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구동시 구동모터와 감속기 및 안내활차는 프레임에 고정되고 와이어 스크류 드럼만이 회전하며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로 해결될 수 있다.
상기 자유이동 동력전달수단은 하나 이상의 키(key) 또는 이(齒)를 구비한 축과, 상기 키(key) 또는 이(齒)와 대응하며, 이를 따라 슬라이드 하도록 이루어진 슬라이드용 홈을 구비한 축홀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방향 이동수단은 와이어 스크류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와이어용 나선홈 피치와 동일한 피치를 가지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나사봉은 와이어 스크류 드럼 방향을 돌출되게 프레임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너트체는 와이어 스크류 드럼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봉이 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내활차는 이동하지 않도록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되, 수직 또는 수평 또는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와이어) 스크류 드럼만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는, 와이어 스크류 드럼을 회전시켜 와이어 로프를 감아 당기거나 혹은 인출시킬 경우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회전시 외주면에 형성된 와이어용 나선홈 피치만큼 이동을 함으로써 와이어 로프와 이루는 각은 항상 일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와이어) 스크류 드럼만이 회전시 단독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으로 발생되는 구동모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한편, 직선운동을 위하여 구비되는 부수적인 가이드 수단이 줄어들어 부품비 및 조립비가 불어들고 부피도 작어져 구조물이 가벼워지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스크류 드럼만이 이동을 함으로써 종래에 안내활차가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경우에 발생하던 스크류 드럼의 일측부분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안내활차가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안내활차의 설치방향에 대한 제약요소를 없앨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스크류 드럼만이 이동을 하고, 고중량인 구동모터와 감속기가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무대구동장치를 설치방향이 자유로울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스크류 드럼을 지면(무대바닥)과 수평 또는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구동모터와 감속기가 스크류 드럼과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무대구동장치의 경우 스크류 드럼을 지면(무대바닥)과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할 때 부하가 많이 발생하며, 이는 이동을 위하여 구비되는 나사봉을 파손시키거나 또는 구동모터의 파손 또는 구동모터가 커짐으로써 설비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무대구동장치의 제품 높이도 높아지지 않고, 옆으로 튀어나오지도 않아 좁은 공간에 여러 개의 장치봉을 설치해야 하는 무대환경에 최적인 제품으로써, 종래에 발생하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장치봉간의 간격은 좁을수록 많은 무대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안전이 확보될 경우 최대한 가깝게 설치하고 있다. 현재에는 이를 위하여 지그재그의 형태로 배열함에 불구하고 와이어로프가스크류 드럼에 수직으로 감기도록 하기 위하여 무대구동장치가 옆으로 돌출되어 설치와 보수과정 및 조립, 해체시 많은 어려움과 또는 불가능한 단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 및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대시설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무대구동장치에 와이어 드럼의 타입에 대한 개략도로, (a)는 스크류형(TYPE)인 와이어 스크류형 드럼이며, (b)는 디스크형(TYPE)인 와이어 디스크형 드럼이다.
도 3은 스크류형(TYPE)인 와이어 스크류형 드럼에 와이어 로프가 감기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에 대한 정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의 구성 중 자유이동 동력전달수단 부분에 대한 상세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의 구성 중 자유이동 동력전달수단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키(key) 또는 이(齒)를 구비한 축에 대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의 구성 중 축방향 이동수단 부분에 대한 상세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에 대한 측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에 대한 평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에 대한 측면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를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무대시설 물 중 무대장치봉(batten)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대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대장치봉(batten)을 상하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와이어가 나선형으로 감아 인출하도록 이루어진 와이어 스크류 드럼만이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모터, 감속기 및 안내활차와 별도로 회전시 설정된 이동거리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무대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실시 예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A)의 구성은 구동모터(1)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기키는 감속기(2)와, 상기 감속기에서 인출되는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와이어) 스크류 드럼(3)과, 상기 구동모터(1), 감속기(2) 및 스크류 드럼(3) 등을 지지하여 바닥 또는 상부 그리드 등에 설치되도록 하는 프레임(10)과, 상기 스크류 드럼(3)의 일단을 지지하되, 상기 감속기(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편, 스크류 드럼(3)이 축방향으로 자유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자유이동 동력전달수단(20)과, 상기 스크류 드럼(3)의 타단을 지지하되, 상기 스크류 드럼(3)의 회전시 스크류 드럼(3)이 축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축방향 이동수단(30)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자유이동 동력전달수단(20)은 감속기(2)에서 인출되는 회전력을 스크류 드럼(3)에 전달하되, 상기 스크류 드럼(3)이 축방향으로 자유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자유이동 동력전달수단(20)은 하나 이상의 키(key) 또는 이(齒)를 구비한 축(21)과, 상기 축(21)에 형성된 키(key) 또는 이(齒)와 대응하며, 이를 따라 슬라이드 하도록 이루어진 슬라이드용 홈을 구비한 축홀(22)로 이루어진다.
실시 예를 나타낸 도 5에서와 같이 보통 감속기(2) 측에 키(key) 또는 이(齒)를 구비한 축(21)이 설치되고, 스크류 드럼(3) 일측면(3a)에 슬라이드용 홈을 구비한 축홀(22)이 설치되나, 구조상 반대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축(21)은 보통 도 6의 (a)와 같이 다수의 이(齒)(21a)가 구비되는 스플라인 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도 6의 (b)와 같이 다수의 키(key)(21a)가 설치된 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축(21)이 이(齒)(21a)가 구비되는 스플라인 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범용성이 좋은 장점이 있으며, 키(key)(21a)가 설치된 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키(key)의 파손시 키(key)만을 교체할 수 있음으로 수리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상기 축방향 이동수단(30)은 동력전달수단(20)이 설치된 스크류 드럼(3)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스크류 드럼(3)의 회전시 설정된 거리로 스크류 드럼(3)이 축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축방향 이동수단(30)은 나사봉(31)과, 상기 나사봉(31)에 나사결합되는 너트체(32)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봉(31)의 피치는 스크류 드럼(3)의 외주면에 형성된 와이어용 나선홈 피치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스크류 드럼(3)의 1회전시 1피치만큼 스크류 드럼(3)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 예를 나타낸 도 7에서와 같이 보통 바닥프레임(11)에 수직으로 설치된 측면 프레임(12)에 나사봉(31)이 설치되고, 스크류 드럼(3) 측면(3b)에 너트체(32)가 설치되나, 구조상 반대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과 같이 측면 프레임(12)에 나사봉(31)이 설치되고, 스크류 드럼(3) 측면(3b)에 너트체(32)가 설치된 경우에는 나사봉(31)이 측면 프레임(12)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도 8 내지 도 10은 바닥 프레임(11)에 와이어 로프(5)를 안내하는 안내활차(4)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바닥 프레임(11)에 와이어 로프(5)를 안내하는 안내활차(4)가 와이어 로프(5)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안내활차(4a)를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의 (a)는 와이어 로프(5)를 안내하는 안내활차(4)가 와이어 로프(5)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안내활차(4b)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의 (b)는 와이어 로프(5)를 안내하는 안내활차(4)가 와이어 로프(5)를 지면과 경사진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안내활차(4c)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와이어 로프(5)를 안내하는 안내활차(4)는 설치환경 구조에 따라 수평방향, 수직방향 및 경사진 방향으로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A)는 스크류 드럼(3)의 회전시 프레임(10)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1)와 감속기(2)는 이동하지 않고, 스크류 드럼(3) 만이 축방향으로 이동을 함으로써 구동모터(1)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더욱이 무대구동장치(A)는 지면 또는 상부 그리드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구조상 도 11과 같이 무대구동장치(A)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때, 본 발명인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A)는 스크류 드럼(3) 만이 축방향으로 이동을 함으로써 종래에 사용되는 무대구동장치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구동모터(1)와 감속기(2) 및 스크류 드럼(3)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종래의 무대구동장치의 경우 수직방향으로 설치시 하중에 의한 부하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을 제공하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A :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1 : 구동모터 2 : 감속기
3 : 스크류 드럼 4, 4a, 4b, 4c : 안내활차
10, 11, 12 : 프레임
20 : 자유이동 동력전달수단 21 : 축
22 : 축홀
30 : 축방향 이동수단 31 : 나사봉
32 : 너트체

Claims (4)

  1. 무대장치봉을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 스크류 드럼, 구동모터, 감속기를 포함하는 무대구동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감속기는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감속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일단은 감속기와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에 연결되게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설치되되,
    상기 감속기와 와이어 스크류 드럼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되,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축방향으로 자유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자유이동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과 와이어 스크류 드럼 사이에는 회전시 축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축방향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구동시 구동모터와 감속기는 프레임에 고정되고 와이어 스크류 드럼만이 회전하며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이동 동력전달수단은 하나 이상의 키(key) 또는 이(齒)를 구비한 축과, 상기 키(key) 또는 이(齒)와 대응하며, 이를 따라 슬라이드 하도록 이루어진 슬라이드용 홈을 구비한 축홀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방향 이동수단은 와이어 스크류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와이어용 나선홈 피치와 동일한 피치를 가지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은 와이어 스크류 드럼 방향을 돌출되게 프레임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너트체는 와이어 스크류 드럼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봉이 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무대구동장치에는 와이어 로프를 안내하는 안내활차가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되, 수직 또는 수평 또는 기울어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KR1020160136272A 2016-10-20 2016-10-20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KR101871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272A KR101871245B1 (ko) 2016-10-20 2016-10-20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272A KR101871245B1 (ko) 2016-10-20 2016-10-20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509A true KR20180043509A (ko) 2018-04-30
KR101871245B1 KR101871245B1 (ko) 2018-06-27

Family

ID=6208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272A KR101871245B1 (ko) 2016-10-20 2016-10-20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2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373A (ko) * 2019-11-27 2021-06-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윈치 트롤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990B1 (ko) * 2020-06-08 2020-10-12 주식회사 하미산업 무대설비용 와이어 구동장치
KR102232021B1 (ko) * 2020-07-14 2021-03-25 하나시스텍(주) 무대설비용 케이블 수직 권취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645A (ko) * 2008-05-02 2009-11-05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무대구동장치
KR101328400B1 (ko) 2013-03-15 2013-11-13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무대설비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KR101473931B1 (ko) * 2013-12-26 2014-12-17 이광현 무대장치 이송용 와이어 구동장치
KR101566913B1 (ko) 2015-06-22 2015-11-09 제이엠스테이지(주) 와이어로프 유입각도 보정과 구동부 변각 기능을 포함하는 무대설비 승강장치
KR101611238B1 (ko) 2015-07-13 2016-04-11 (주)하온아텍 볼나사를 이용한 무대 설비의 와이어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645A (ko) * 2008-05-02 2009-11-05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무대구동장치
KR100978064B1 (ko) 2008-05-02 2010-08-25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무대구동장치
KR101328400B1 (ko) 2013-03-15 2013-11-13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무대설비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KR101473931B1 (ko) * 2013-12-26 2014-12-17 이광현 무대장치 이송용 와이어 구동장치
KR101566913B1 (ko) 2015-06-22 2015-11-09 제이엠스테이지(주) 와이어로프 유입각도 보정과 구동부 변각 기능을 포함하는 무대설비 승강장치
KR101611238B1 (ko) 2015-07-13 2016-04-11 (주)하온아텍 볼나사를 이용한 무대 설비의 와이어 구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373A (ko) * 2019-11-27 2021-06-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윈치 트롤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245B1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245B1 (ko)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KR101328400B1 (ko) 무대설비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JP5009615B2 (ja) エレベータ
US10183850B2 (en) Compact hoist system
US9962621B2 (en) Compact hoist system
KR102340743B1 (ko) 승강장치
CN203095479U (zh) 一种电动晾衣架卷线机构
KR102069661B1 (ko)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KR101041445B1 (ko) 무대구동장치
KR102297928B1 (ko) 바튼 승강 구동 장치
JP2016114177A (ja) ボールねじ
KR102322006B1 (ko) 무대 장치용 승강 구동장치
KR20090126875A (ko) 플래카드 배튼의 승강장치
KR101195247B1 (ko) 무대설비 승강장치
CN109603174A (zh) 用于演艺舞台自动平移排绳的吊杆驱动设备
CN210103353U (zh) 多功能自排绳卷扬机
JP2010149971A (ja) 昇降装置
KR101852979B1 (ko) 유니트형 와이어 스크류 드럼 및 이를 포함하는 무대구동장치
CN105804475B (zh) 一种用于高压输电线路的铁塔
KR200370951Y1 (ko) 와이어 권취 장치
CN209333219U (zh) 用于演艺舞台自动平移排绳的吊杆驱动设备
CN208120631U (zh) 排绳装置及自排绳卷扬机
CN213237433U (zh) 联动排丝轮结构及升降装置
JP201027502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210690B1 (ko) 밸런스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