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743B1 -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743B1
KR102340743B1 KR1020190118986A KR20190118986A KR102340743B1 KR 102340743 B1 KR102340743 B1 KR 102340743B1 KR 1020190118986 A KR1020190118986 A KR 1020190118986A KR 20190118986 A KR20190118986 A KR 20190118986A KR 102340743 B1 KR102340743 B1 KR 102340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lates
adjacent
spaced apart
suppor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672A (ko
Inventor
김응복
Original Assignee
김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복 filed Critical 김응복
Priority to KR102019011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7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6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having several drums or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을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풀리와, 일단부에 승강대상물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이격시 상기 승강대상물이 상승하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인접시 상기 승강대상물이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 판에 설치된 지지풀리 및 상기 제2슬라이딩 판에 설치된 지지풀리에 권취되되, 타단부는 상기 지지풀리들, 제1슬라이딩판 또는 제2슬라이딩 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승강 와이어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호 인접되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의ㅎ 압축되되,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이격시 신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하는 슬라이딩 판들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들에 권취된 와이어에 의해 승강대상물을 승강시키므로 보다 정확한 승강대상물의 세팅을 위해 회전드럼을 제공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작동 소음이 감소하고, 지지스프링의 탄성력을 슬라이딩 판들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작동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승강장치{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판에 의해 승강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승강장치는 무대 배경(연출)을 위한 조물을 매달 수 있는 조물걸이대와, 상기 조물걸이대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Wire Rope)와, 상기 로프의 방향을 전환하는 도르래(Pulley)와, 상기 로프를 권취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무대장치는 그리드 프레임(Grid Frame)위에 구동부가 장착되며, 상기 구동부의 드럼으로부터 로프들이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승강장치는 조물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세팅하기 위해서는 구동부의 드럼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가 요구되어 장치의 부피가 커지며,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승강장치는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여 무대 공연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승강장치를 제어할 경우 소모되는 에너지가 크고 종래 승강장치의 과도한 중량으로 인해 승강장치와 체결된 대상의 유지보수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45890호: 물체의 승강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가 요구되지 않도록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하는 슬라이딩 판들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들에 권취된 와이어에 의해 승강대상물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을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풀리와, 일단부에 승강대상물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이격시 상기 승강대상물이 상승하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인접시 상기 승강대상물이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 판에 설치된 지지풀리 및 상기 제2슬라이딩 판에 설치된 지지풀리에 권취되되, 타단부는 상기 지지풀리들, 제1슬라이딩판 또는 제2슬라이딩 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승강 와이어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호 인접되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의ㅎ 압축되되,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이격시 신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관통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지지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가이드 봉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 봉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 봉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가이드 봉의 외주면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지지롤러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상기 승강대상물 또는 승강대상물에 설치된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전력 케이블이, 상기 승강대상물의 승강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력 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보호부재는 내부에 상기 전력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관통로가 마련되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된 코일부재와, 상기 승강대상물에 인접된 상기 코일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중심선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재와, 상기 제1연장부재의 단부에, 상기 승강대상물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제1절곡부재와, 상기 제1절곡부재의 단부에, 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제1플랜지부재와, 상기 코일부재의 타단부에 상기 중심선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재와, 상기 제2연장부재의 단부에, 상기 승강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절곡부재와, 상기 제2절곡부재의 단부에, 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제2플랜지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전력 케이블은 상기 제1 및 제2절곡부재를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측부에 각각 나사산의 방향이 상호 반대인 제1 및 제2나사산부가 마련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나사산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각각 나사결합된 구동스크류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은 상기 승강 와이어가 통과되는 다수의 지지경로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경로들은 가상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호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승강 와이어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반경이 상호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하는 슬라이딩 판들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들에 권취된 와이어에 의해 승강대상물을 승강시키므로 보다 정확한 승강대상물의 세팅을 위해 회전드럼을 제공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작동 소음이 감소하고, 지지스프링의 탄성력을 슬라이딩 판들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작동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무대시설물에 설치되어 높은 곳에 유지, 보수 및 관리가 필요한 물체를 승강 또는 하강시킴에 있어서, 기존 승강장치와 대비하여 소음을 줄이고,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으로 인한 효과는 비단 전술된 사항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폭넓게 인정됨을 인지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승강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승강장치의 구동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승강장치의 구동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승강장치의 가이드부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장치(100)는 프레임(101)과, 상기 프레임(101)에,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을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구동유닛(130)과,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 사이에 설치된 지지스프링(140)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지지풀리(150)과, 단부에 승강대상물(15)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대상물(15)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풀리(150)들에 권취된 승강 와이어(160)와, 구동유닛(13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70)를 구비한다.
프레임(101)은 메인부재(102)와, 상기 메인부재(102)의 전후단부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보조부재(103)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부재(10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보조부재(103)는 메인부재(102)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보조부재(103)들 사이에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 및 구동유닛(130)이 설치된다.
프레임(10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무대가 마련된 구조물 상측이나 건축물의 내부 벽면에 고정된다. 다만, 도 1에서는 도시의 간명화를 위하여 승강대상물(15)은 시설물이 설치되는 지지로드로 도시되었지만, 복수 개의 조명장치와 연결된 구조물 자체가 승강대상물이 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 유닛(130)에 의하여 구조물 형태의 승강대상물이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제1슬라이딩 판(110)은 후술되는 구동유닛(130)의 구동스크류(132)에 나사결합되는 제1허브(111)와, 제1허브(111)의 외주면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확장부재(112)를 구비한다.
제1허브(111)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고, 중앙에 제1체결홀(113)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1체결홀(113)은 제1허브(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허브(111)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후술되는 구동스크류(132)의 제1나사산부(134)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1나사산부(134)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확장부재(11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제1허브(111)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확장부재(112)는 제1허브(111)를 기준으로 방사상 위치에 각각 제1관통구(1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구(114)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확장부재(112)에 형성된다.
한편, 제1확장부재(112)는 제2슬라이딩 판(120)에 대향되는 측면의 제1관통구(114)에 인접된 위치에 지지풀리(15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브라켓(151)이 설치되어 있다.
제2슬라이딩 판(120)은 구동스크류(132)에 나사결합되는 제2허브(121)와, 제2허브(121)의 외주면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확장부재(122)를 구비한다.
제2허브(121)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고, 중앙에 제2체결홀(123)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2체결홀(123)은 제2허브(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허브(121)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후술되는 구동스크류(132)의 제2나사산부(135)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2나사산부(135)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2확장부재(12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제2허브(121)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확장부재(122)는 제1관통구(114)들에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제2관통구(124)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관통구(124)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확장부재(122)에 형성된다.
한편, 제2확장부재(122)는 제1슬라이딩 판(110)에 대향되는 측면의 제2관통구(124)에 인접된 위치에 지지풀리(15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브라켓(151)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제2확장부재(122)의 브라켓(151)은 제1확장부재(112)의 브라켓(151)에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은 구동스크류(132)에 의해 보조부재(103)들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유닛(130)은 프레임(1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스크류(132)와, 상기 프레임(101)에 설치되어 구동스크류(13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3)를 구비한다.
구동스크류(132)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방향 즉,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양측부에 각각 나사산의 방향이 상호 반대인 제1 및 제2나사산부(134,135)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스크류(132)는 양단부가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프레임(101)의 보조부재(103)들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구동스크류(132)는 상기 제1 및 제2나사산부(134,135) 사이에 나사산이 미형성된 간극부(13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간극부(136)는 나사산이 미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간극부(136)로 진입시 구동스크류(132)가 회전하더라도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간극부(136)에 의해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 사이의 인접거리가 제한되어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상호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구동모터(133)는 프레임(101)에 설치되며, 구동스크류(132)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스크류(132)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모터(133)는 인가되는 전기 또는 유압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동유닛(13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을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스크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리미트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리미트 제어부는 상기 구동스크류(132)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간섭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간섭부재는 제1나사산부(134) 및 제2나사산부(135)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간섭부재는 복수개가 구동스크류(132)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구동스크류(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구동스크류(132)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섭부재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타입으로 형성되어 제1나사산부(134) 및 제2나사산부(135)의 단부에 각각 체결될 수도 있으나, 간섭부재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을 간섭할 수 있는 형상이면 무엇이든 가능하고, 1개의 간섭부재가 구동스크류(132)의 타단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스프링(140)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스프링(140)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상호 인접되게 이동시 압축되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상호 이격되게 이동시 신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압축 스프링이 적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스프링(140)은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인접시 압출되고,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이격시 압출된 길이 만큼 상기 슬라이딩 판들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이격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지지풀리(150)는 복수개가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마련된 브라켓(151)들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풀리(150)의 외주면에는 승강와이어(160)가 다수회 권취된다.
승강와이어(160)는 다수개가, 일단이 승강대상물(15)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각각 설치된 지지풀리(150)들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이때, 승강와이어(160)는 일단부가 제2슬라이딩 판(120)의 제2관통구(124)에 삽입되어 승강대상물(15)에 고정된다. 승강와이어(160)의 타단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지풀리(150)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거나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승강와이어(160)의 타단부는 제2관통구(124)를 통해 제2슬라이딩 판(120)을 관통하게 된다.
여기서, 승강와이어(160)는 일단부가 승강대상물(15)이 설치된 건축물(미도시)의 천장부에 설치된 보조풀리(161)에 지지되어 승강대상물(15)에 연결된다. 이때, 보조풀리(161)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풀리(161)에 의해 승강와이어(160)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전후방향 이동에 의해 승강대상물(15)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설치된 두 쌍의 지지풀리(150)와, 구동스크류(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된 지지풀리(150)들에 권취된 2개의 승강와이어(160)가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풀리(150)의 쌍 및 승강와이어(160)의 갯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승강대상물(15)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승강와이어(160)에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충돌을 방지하는 간섭블럭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간섭블럭은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 사이의 승강와이어(16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부에 승강와이어(16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간섭블럭은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상호 접근시 각 슬라이딩 판(110,120)들에 설치된 지지풀리(150)의 중앙부가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설치된 지지풀리(150)들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에 인접될수록 전후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70)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관통되도록 상기 프레임(101)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봉(171)과, 상기 가이드 봉(17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지지유닛(172)을 구비한다.
가이드 봉(171)은 구동스크류(132)의 길이방향 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제1 및 제2확장부재(112,122)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은 가이드 봉(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봉(171)은 양단부가 각각 프레임(101)의 보조부재(103)들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가이드 봉(171)은 구동스크류(132)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가이드 봉(171)이 2개가 마련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가이드 봉(171)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및 제2확장부재(112,122)의 크기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지지유닛(172)은 상기 가이드 봉(171)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슬라이딩 판(110)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173)와,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 봉(171)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17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롤러(174)를 구비한다.
베이스부재(173)는 제1슬라이딩 판(110)의 제1확장부재(112)에 설치되며, 제1확장부재(11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지지롤러(174)는 외주면이 가이드 봉(171)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베이스부재(17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복수개가 상기 가이드 봉(171)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봉(17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가이드 봉(171)의 외주면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지지유닛(172)이 제1슬라이딩 판(110)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유닛(172)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슬라이딩 판(120) 또는 제1 및 제2슬라이당 판(110,120) 모두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된 가이드부(17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은 구동스크류(132)가 회전시 함께 회전하지 않고, 구동스크류(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100)의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강대상물(15)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구동모터(133)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동스크류(132)를 회전시킨다.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이동되면 각 슬라이딩 판에 설치된 지지풀리(150)들은 상호 이격되고, 지지풀리(150)들에 권취된 승강와이어(160)에는 당김력이 작용한다. 상기 당김력에 의해 승강대상물(15)을 상측으로 이동된다.
다음, 승강대상물(15)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구동모터(133)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론 구동스크류(132)를 회전시킨다.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이동되면 각 슬라이딩 판에 설치된 지지풀리(150)들은 상호 인접되고, 지지풀리(150)들에 권취된 승강와이어(160)가 일부 권출되어 승강대상물(15)이 하강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100)는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하는 슬라이딩 판들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들에 권취된 승강 와이어(160)에 의해 승강대상물(15)을 승강시키므로 보다 정확한 승강대상물(15)의 세팅을 위해 회전드럼을 제공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작동 소음이 감소하고, 지지스프링(140)의 탄성력을 슬라이딩 판들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작동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110)는 상기 승강대상물(15) 또는 승강대상물(15)에 설치된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상기 승강대상물 또는 승강 대상물에 설치된 전자기기 사이에 연결된 전력 케이블(16)이, 상기 승강대상물의 승강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력 케이블(16)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16)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부재(180)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는 상기 승강대상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물에 설치된 전원공급수단이 적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승강 대상물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기 케이블 보호부재(180)는 코일부재(181), 제1연장부재(182), 제1절곡부재(183), 제1플랜지부재(184), 제2연장부재(185), 제2절곡부재(186) 및 제2플랜지부재(187)를 구비한다.
코일부재(181)는 내부에 전력 케이블(16)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로(미도시)가 마련되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있다. 상기 코일부재(181)는 케이블 보호부재(180)가, 건축물의 천장 또는 승강대상물 상측의 장애물에 충돌시 외형이 변형되어 충격이 승강대상물(15)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코일부재(181)는 열가소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연장부재(182)는 승강대상물에 인접된 코일부재(181)의 하단부에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부재(182)는 코일부재(181)의 가상의 중심선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절곡부재(183)는 제1연장부재(182)의 단부에, 승강대상물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절곡부재(183)는 제1연장부재(182)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제1절곡부재(183)는 코일부재(181)의 가상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플랜지부재(184)는 제1절곡부재(183)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플랜지부재(184)는 제1절곡부재(183)의 단면적보다 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승강대상물(15)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대상물(15)에 접촉된다.
제2연장부재(185)는 코일부재(181)의 상단부에 연장된다. 여기서, 제2연장부재(185)는 코일부재(181)의 가상의 중심선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절곡부재(186)는 제2연장부재(185)의 단부에, 승강대상물(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2절곡부재(186)는 제2연장부재(185)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제2절곡부재(186)는 코일부재(181)의 가상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플랜지부재(187)는 제2절곡부재(186)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플랜지부재(187)는 제2절곡부재(186)의 단면적보다 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애물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장애물에 접촉된다.
여기서, 전력 케이블(16)은 상기 제1 및 제2절곡부재(186)를 각각 관통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케이블 보호부재(180)는 전력 케이블(16)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대상물(15)에 대해 직립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보호부재(180)는 승강대상물(15)이 상승시 건축물의 천장부와 같이 장애물에 접근할 경우, 해당 장애물에 접촉하여 충격이 전력 케이블(16)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하므로 상기 전력 케이블(16)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슬라이딩판(210,22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판(210,220)은 상기 승강 와이어(160)가 통과되는 다수의 지지경로(231)가 마련된다. 이때, 제1슬라이딩 판(210)의 제1확장부재(211)와 제2슬라이딩 판(220)의 제2확장부재(221)는 각각 제1허브(111) 및 제2허브(121)에 고정되며, 반원형의 판형으로 형성된다. 제1확장부재 (211)및 제2확장부재(221)는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롤러(201)에 의해 다수의 지지경로(231)가 생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경로(231)는 가상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호형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롤러(201)들이 제1확장부재 및 제2확장부재의 외주면에 배열된다. 이때, 지지경로(231)들은 승강 와이어(160)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반경이 상호 상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 와이어(160)는 제1 및 제2슬라이딩판(210,220)에 마련된 지지경로(231)들을 교번하여 통과하도록 지지된다. 지지경로(231)들에 의해 승강 와이어는 제1 및 제2슬라이딩판(210,220)이 상호 이격되거나 인접되더라도 꼬이는 것이 방지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승강장치
101: 프레임
110: 제1슬라이딩 판
112: 제1플랜지부재
111: 제1허브
113: 제1체결홀
114: 제1관통구
120: 제2슬라이딩 판
121: 제2허브
122: 제2플랜지부재
123: 제2체결홀
124: 제2관통구
130: 구동유닛
132: 구동스크류
133: 구동모터
134: 제1나사산부
135: 제2나사산부
136: 간극부
140: 지지스프링
150: 지지풀리
160: 승강 와이어
170: 가이드부

Claims (8)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을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풀리;
    일단부에 승강대상물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이격시 상기 승강대상물이 상승하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인접시 상기 승강대상물이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판 또는 제2슬라이딩 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승강 와이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호 인접되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의해 압축되되,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이격시 신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스프링; 및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은 상기 승강 와이어가 통과되는 다수의 지지경로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경로들은 가상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호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승강 와이어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반경이 상호 상이하도록 형성된,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관통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봉; 및
    상기 가이드 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는,
    승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가이드 봉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및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 봉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 봉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가이드 봉의 외주면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지지롤러;를 구비하는,
    승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상물 또는 승강대상물에 설치된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전력 케이블이, 상기 승강대상물의 승강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력 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부재;를 더 구비하는,
    승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부재는
    내부에 상기 전력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관통로가 마련되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된 코일부재;
    상기 승강대상물에 인접된 상기 코일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중심선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재;
    상기 제1연장부재의 단부에, 상기 승강대상물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제1절곡부재;
    상기 제1절곡부재의 단부에, 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제1플랜지부재;
    상기 코일부재의 타단부에 상기 중심선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재;
    상기 제2연장부재의 단부에, 상기 승강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절곡부재; 및
    상기 제2절곡부재의 단부에, 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제2플랜지부재;를 구비하는,
    승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은 상기 제1 및 제2절곡부재를 각각 관통되게 설치된,
    승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측부에 각각 나사산의 방향이 상호 반대인 제1 및 제2나사산부가 마련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나사산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각각 나사결합된 구동스크류;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승강장치.
  8. 삭제
KR1020190118986A 2019-09-26 2019-09-26 승강장치 KR102340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986A KR102340743B1 (ko) 2019-09-26 2019-09-26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986A KR102340743B1 (ko) 2019-09-26 2019-09-26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672A KR20210036672A (ko) 2021-04-05
KR102340743B1 true KR102340743B1 (ko) 2021-12-16

Family

ID=7546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986A KR102340743B1 (ko) 2019-09-26 2019-09-26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045A (ko) * 2022-03-10 2023-09-19 한국원자력연구원 와이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551B1 (ko) * 2021-06-11 2023-02-08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침사 및 협잡물 스킵 호이스트
KR102628454B1 (ko) * 2023-07-20 2024-01-23 김태훈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
KR102670738B1 (ko) * 2023-12-05 2024-05-31 주식회사 한국시스템아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용 브레이크 및 이를 포함하는 무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209B1 (ko) * 2013-04-22 2013-09-27 기정화 수상 부유구조물 계류용 상하유동 파일가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90B1 (ko) 2005-04-23 2006-11-14 주식회사 두륭 물체의 승강장치
KR101503584B1 (ko) * 2013-02-22 2015-03-18 신정훈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KR20180065650A (ko) * 2016-12-08 2018-06-18 김응복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209B1 (ko) * 2013-04-22 2013-09-27 기정화 수상 부유구조물 계류용 상하유동 파일가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045A (ko) * 2022-03-10 2023-09-19 한국원자력연구원 와이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KR102659223B1 (ko) 2022-03-10 2024-04-22 한국원자력연구원 와이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672A (ko)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743B1 (ko) 승강장치
KR100972781B1 (ko)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US10183850B2 (en) Compact hoist system
KR100738869B1 (ko) 무대장치의 와이어 로프 시스템
KR101636194B1 (ko)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EP3572136B1 (en) Compact hoist system
KR101871245B1 (ko)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CN102616692A (zh) 多吊点二维传动自排绳复合式吊机
KR20170003995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60036787A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설치구조
EP1702877B1 (en) Elevator system
KR101470517B1 (ko) 타워 작업용 곤도라
KR20180065650A (ko) 승강장치
KR102297928B1 (ko) 바튼 승강 구동 장치
CN210103353U (zh) 多功能自排绳卷扬机
CN210286577U (zh) 驱动晾衣架升降的动力总成和晾衣机
JP2013199346A (ja) 巻胴式エレベータ
WO2016162984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9235866B (zh) 升降吊篮设备
CN103492305B (zh) 电梯的门开闭装置
US20160257529A1 (en) Elevator drive
KR102154703B1 (ko)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
JP669459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駆動方法
KR102179010B1 (ko)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CN213237433U (zh) 联动排丝轮结构及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