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454B1 -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454B1
KR102628454B1 KR1020230094237A KR20230094237A KR102628454B1 KR 102628454 B1 KR102628454 B1 KR 102628454B1 KR 1020230094237 A KR1020230094237 A KR 1020230094237A KR 20230094237 A KR20230094237 A KR 20230094237A KR 102628454 B1 KR102628454 B1 KR 102628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aft
frame
wire rop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4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230094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 플레이트, 동력 발생부, 발생부 하우징, 동력 회전축, 와이어 로프를 권취하는 로프 드럼, 드럼 고정부, 동력 제어부, 와이어 로프의 권출 및 권취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 및 와이어 로프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 유닛이 구비된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Wire rope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 플레이트, 동력 발생부, 발생부 하우징, 동력 회전축, 와이어 로프를 권취하는 로프 드럼, 드럼 고정부, 동력 제어부, 와이어 로프의 권출 및 권취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 및 와이어 로프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 유닛이 구비된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건설, 해상, 운송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무게와 크기의 물체를 들어 올리거나 이동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는 보통 원통형의 드럼과 이를 회전시키는 동력원, 그리고 와이어 로프를 안내하는 가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는 여러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와이어 로프가 로프 드럼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와이어 로프가 꼬이거나 뒤엉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와이어 로프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권취된 로프를 풀 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로프를 긴장시키거나 풀 때 동력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동력 제어부가 불충분하게 설계되어 있으면, 동력 발생부의 동력을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는 와이어 로프가 과도하게 긴장되거나, 권취된 로프가 예기치 않게 빠져나가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다.
장치를 설치하는 위치에 따라 장치를 지지하는 장치 플레이트의 설치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치의 안정성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의 권취 및 권출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를 제공하며, 장치 설치 과정을 단순화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향상된 동력 제어부, 꼬임 방지 유닛, 그리고 개선된 장치 플레이트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 로프를 권취 및 권출하기 위한 장치 플레이트, 동력 발생부, 발생부 하우징, 동력 회전축, 로프 드럼, 드럼 고정부, 동력 제어부가 구비된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 로프를 권출 및 권취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이 구비된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 로프가 꼬이지 않도록 보조하는 꼬임 방지 유닛이 구비된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 장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는 상기 장치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동력 발생부, 상기 동력 발생부를 보호하도록 사방이 개방된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된 발생부 하우징, 상기 동력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발생부 하우징 상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동력 회전축, 상기 동력 회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도록 구비된 로프 드럼, 상기 동력 회전축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로프 드럼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드럼 고정부, 상기 동력 발생부의 회전 동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동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는 상기 장치 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로프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 로프를 권출 및 권취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가이드 유닛, 상기 로프 드럼에 설치되어 권취된 와이어 로프가 꼬이지 않도록 보조하도록 구비된 꼬임 방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지면에 설치되어 지지하도록 구비된 유닛 지지대, 상기 유닛 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어 유닛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유닛 프레임, 상기 유닛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사방이 개방되도록 구비된 유닛 하우징, 상기 유닛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상부 가이드 롤러부, 상기 유닛 하우징의 하부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하부 가이드 롤러부, 상기 상부 가이드 롤러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부 각각의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스크류 회전 가능하여 와이어 로프를 권출 및 권취시키며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스크류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권취부는, 각각의 상기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의 형상과 일치한 스크류 날개가 둘레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크류 샤프트, 상기 스크류 날개 사이의 상기 스크류 샤프트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가이드를 보조하도록 구비된 로프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둘레부에 설치된 '+'자 형상의 제거부 플레이트,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자 형상으로 포개어지도록 설치된 제거부 연결 프레임,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의 상면 사방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제거부 회동 프레임, 상기 제거부 회동 프레임에 양 측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면서 말단부가 상기 제거부 연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된 제거부 프레임,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회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된 완충부,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의 중앙부 상면에서 상기 제거부 연결 프레임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거부 연결 프레임을 밀어 회동시키도록 구비된 돌출 유도부, 상기 제거부 프레임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유도부는,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의 중앙부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설치된 유도부 지지 프레임, 상기 유도부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프레임 지지부,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수용 공간에 안착하여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유도부 스프링,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도 기어축, 상기 유도 기어축의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유도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된 유도 기어, 상기 유도 기어를 관통하여 상기 유도 기어축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삽입되어 피스톤 운동하도록 구비된 유도 피스톤부, 상기 유도 피스톤부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상기 유도 기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 피스톤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피스톤 지지부, 상기 유도 피스톤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피스톤 운동에 의해 상기 제거부 연결 프레임을 밀어내도록 구비된 유도부 실린더, 상기 유도부 실린더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 유도부, 상기 유도 기어와 맞물리도록 둘레부에 체결된 샤프트 기어, 상기 샤프트 기어에서 상기 돌출 유도부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 기어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비된 돌출 유도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제거부 프레임의 말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브러쉬부 프레임, 상기 브러쉬부 프레임의 둘레부에 삽입된 하우징 지지판, 상기 하우징 지지판의 중앙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샤프트 하우징, 상기 브러쉬부 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샤프트 하우징의 상부에 돌출 가능하게 구비된 헤드 샤프트, 상기 헤드 샤프트의 양 측부에 'ㄷ'자 형상으로 설치된 실린더 브라켓, 각각의 상기 실린더 브라켓에서 상기 하우징 지지판의 상면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헤드 샤프트를 돌출시키도록 구비된 승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제어에 의해 상기 상부 가이드 롤러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부가 회전하여 와이어 로프를 권출 및 권취하고, 와이어 로프 권출 및 권취 시 상기 스크류 권취부에서 와이어 로프의 권출 및 권취를 가이드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꼬임 방지 유닛은, 상기 로프 드럼의 둘레부에 사선 방향으로 돌출 및 후퇴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된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설치된 유닛 지지 프레임, 각각의 상기 유닛 지지 프레임의 일 측 양 말단부에 설치된 제 1 샤프트 고정 브라켓, 일렬로 배치된 상기 제 1 샤프트 고정 브라켓에 삽입되도록 구비된 제 1 유닛 샤프트, 상기 제 1 유닛 샤프트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상기 제 1 유닛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샤프트 이동 브라켓, 상기 유닛 바디의 내부에서 일정 간격의 상기 유닛 지지 프레임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제 2 유닛 샤프트, 상기 제 2 유닛 샤프트의 양 말단부에 설치된 샤프트 지지부재, 상기 샤프트 이동 브라켓에 다각도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되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구비된 수직 방지 롤러, 상기 수직 방지 롤러의 개방된 형상에 안착되도록 구비된 완충부 플레이트, 상기 완충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에 의해 발생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된 롤러 완충부, 상기 롤러 완충부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수평 방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완충부는, 상기 완충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바디 구획판이 형성된 완충부 바디, 상기 완충부 바디의 내부 하부에 배치된 '工'자 형상으로 구비된 하부 완충부 헤드, 상기 완충부 바디의 내부 양 측 하부에서 상기 하부 완충부 헤드를 향해 형성된 스프링 지지판, 상기 스프링 지지판의 상, 하부에서 상기 하부 완충부 헤드를 향해 설치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헤드 스프링, 상기 하부 완충부 헤드의 상부에 안착하여 상기 완충부 바디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 운동하도록 구비된 압축 바디, 상기 압축 바디의 상부에 안착하도록 구비된 완충부 스프링, 상기 압축 바디의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완충부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완충부 샤프트, 상기 완충부 샤프트의 상부에 체결된 상부 완충부 헤드, 상기 상부 완충부 헤드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완충부 헤드의 승강을 조절하도록 탄력을 생성하게 구비된 탄력 조절 스프링, 상기 완충부 바디의 내부 상면에서 상기 탄력 조절 스프링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탄력 조절 스프링이 권출 및 권취되도록 가이드하게 구비된 스프링 가이드부재, 상기 바디 구획판에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완충부 헤드 및 상기 탄력 조절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바디 지지 프레임, 상기 바디 구획판에서 상기 상부 완충부 헤드를 향해 설치되어 상기 탄력 조절 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된 탄력 조절부, 상기 완충부 바디의 내부 상부 일 측에 설치되되 상면에 수직 방향의 구동축이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완충부 모터, 상기 완충부 모터의 구동축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되 둘레부에 상기 탄력 조절 스프링이 코일링되도록 구비된 스프링 조절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탄력 조절부는, 상기 바디 구획판에 설치된 하부 조절부 바디, 상기 하부 조절부 바디의 상부에 체결된 중앙 조절부 바디, 상기 중앙 조절부 바디의 상부에 체결된 상부 조절부 바디, 상기 하부 조절부 바디의 하부에서 상기 완충부 바디의 외부를 향해 관통하여 공기를 유동하도록 삽입된 유동 파이프, 상기 하부 조절부 바디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압축 유도 프레임, 상기 압축 유도 프레임에 안착되어 상기 유동 파이프에 의해 이동한 공기에 의해 압축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 압축부재, 상기 하부 조절부 바디의 상면에 형성된 압축 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압축부재의 압축 운동으로 타격 가능하게 구비된 샤프트 타격부재, 상기 중앙 조절부 바디의 내부에 상향으로 상기 상부 조절부 바디의 내부를 향해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 타격부재에 의해 타격되도록 구비된 조절부 샤프트, 상기 조절부 샤프트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부 샤프트를 상기 중앙 조절부 바디로부터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된 조절부 스프링, 상기 상부 조절부 바디의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조절부 샤프트의 운동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된 헤드 지지 샤프트, 상기 헤드 지지 샤프트의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완충부 헤드를 타격할 수 있도록 구비된 조절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꼬임 방지 유닛은, 와이어 로프가 상기 로프 드럼에 권취될 때 제어에 의해 상기 샤프트 이동 브라켓이 상기 수직 방지 롤러를 상기 제 1 유닛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 2 유닛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 방지 롤러도 이동하여 와이어 로프가 꼬이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플레이트, 동력 발생부, 발생부 하우징, 동력 회전축, 와이어 로프를 권취하는 로프 드럼, 드럼 고정부, 동력 제어부, 와이어 로프의 권출 및 권취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 및 와이어 로프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 유닛이 구비된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가 제공된다.
와이어 로프의 안정적인 권취 및 권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는 동력 발생부와 가이드 유닛, 그리고 꼬임 방지 유닛의 조합을 통해 와이어 로프를 안정적으로 권취하고 권출할 수 있다. 이는 와이어 로프의 뒤엉킴을 방지하고, 와이어 로프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정확한 동력 제어: 동력 제어부를 통해 동력 발생부의 동력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 로프의 긴장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와이어 로프를 안정적으로 권취하거나 권출할 수 있다.
사용자 편의성 향상: 장치 플레이트의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장치의 설치가 단순화되고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는 장치의 설치 시간을 단축하고, 장치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향상된 내구성: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는 와이어 로프의 권취 및 권출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면서도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는 장치의 수명을 연장하고, 장기적인 사용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로프 드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전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또 다른 전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가이드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스크류 권취부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로프 이물질 제거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돌출 유도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브러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꼬임 방지 유닛의 개략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유닛 바디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꼬임 방지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꼬임 방지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롤러 완충부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전체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는 장치 플레이트(10), 동력 발생부(20), 발생부 하우징(30), 동력 회전축(40), 로프 드럼(50), 드럼 고정부(60), 동력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플레이트(10)는 지면으로부터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동력 발생부(20)는 상기 장치 플레이트(10)의 상면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발생부 하우징(30)은 상기 동력 발생부(20)를 보호하도록 사방이 개방된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동력 회전축(40)은 상기 동력 발생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발생부 하우징(30) 상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로프 드럼(50)은 상기 동력 회전축(40)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럼 고정부(60)는 상기 동력 회전축(40)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로프 드럼(50)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동력 제어부(70)는 상기 동력 발생부(20)의 회전 동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력 제어부(70)는 로프 드럼(50)에 대해 별도로 동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와이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로드 분배나 다양한 작업 시나리오를 지원한다.
일 실시예에서, 동력 제어부(70)가 와이어리스 또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조작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안전한 거리에서 와이어 로프의 권취를 제어하고,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큰 물체를 이동하거나 위험한 작업 환경에서 유용하다.
일 실시예에서, 동력 제어부(70)가 로프 드럼(50)의 회전을 감지하고, 예기치 않은 드럼의 회전(즉, 동력 발생부(2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회전)을 감지할 경우 자동으로 브레이킹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이는 예기치 않은 로드의 이동이나 와이어 로프의 불필요한 해제를 방지하며, 전반적인 장치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가 과부하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이 센서는 로프 드럼(50)이나 동력 발생부(20)에서 과도한 힘을 감지할 경우 동력 제어부(70)에 신호를 보내, 장치를 자동으로 멈추도록 한다. 이는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고, 작업장의 안전을 보장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가이드 유닛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는 상기 장치 플레이트(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로프 드럼(50)에 권취된 와이어 로프를 권출 및 권취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가이드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유닛(100)은 유닛 지지대(110), 유닛 프레임(120), 유닛 하우징(130), 상부 가이드 롤러부(140), 하부 가이드 롤러부(150), 스크류 권취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 지지대(110)는 지면에 설치되어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닛 프레임(120)은 상기 유닛 지지대(1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유닛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유닛 하우징(130)은 상기 유닛 프레임(1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사방이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롤러부(140)는 상기 유닛 하우징(130)의 상부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부 가이드 롤러부(150)는 상기 유닛 하우징(130)의 하부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 권취부(200)는 상기 상부 가이드 롤러부(140)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부(150) 각각의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스크류 회전 가능하여 와이어 로프를 권출 및 권취시키며 가이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권취부(200)는 스크류 샤프트(210), 로프 이물질 제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샤프트(210)는 각각의 상기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의 형상과 일치한 스크류 날개(210a)가 둘레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로프 이물질 제거부(300)는 상기 스크류 날개(210a) 사이의 상기 스크류 샤프트(210)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210)의 가이드를 보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로프 이물질 제거부(300)는 제거부 플레이트(310), 제거부 연결 프레임(320), 제거부 회동 프레임(330), 제거부 프레임(340), 완충부(350), 돌출 유도부(400), 브러쉬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거부 플레이트(310)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210)의 둘레부에 설치된 '+'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 연결 프레임(320)은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310)의 중앙부에 '+'자 형상으로 포개어지도록 설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 회동 프레임(330)은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310)의 상면 사방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 프레임(340)은 상기 제거부 회동 프레임(330)에 양 측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면서 말단부가 상기 제거부 연결 프레임(32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350)는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310)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회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돌출 유도부(400)는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310)의 중앙부 상면에서 상기 제거부 연결 프레임(320)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거부 연결 프레임(320)을 밀어 회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돌출 유도부(400)는 유도부 지지 프레임(410), 프레임 지지부(420), 유도부 스프링(430), 유도 기어축(440), 유도 기어(450), 유도 피스톤부(460), 피스톤 지지부(470), 유도부 실린더(480), 돌출 유도부재(490), 샤프트 기어(500), 돌출 유도 샤프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부 지지 프레임(410)은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310)의 중앙부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지지부(420)는 상기 유도부 지지 프레임(4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도부 스프링(430)은 상기 프레임 지지부(420)의 수용 공간에 안착하여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도 기어축(440)은 상기 프레임 지지부(420)의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도 기어(450)는 상기 유도 기어축(440)의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유도부 스프링(43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도 피스톤부(460)는 상기 유도 기어(450)를 관통하여 상기 유도 기어축(440)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삽입되어 피스톤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 지지부(470)는 상기 유도 피스톤부(460)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상기 유도 기어(4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 피스톤부(46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도부 실린더(480)는 상기 유도 피스톤부(460)의 상부에 설치되어 피스톤 운동에 의해 상기 제거부 연결 프레임(320)을 밀어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돌출 유도부재(490)는 상기 유도부 실린더(480)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기어(500)는 상기 유도 기어(450)와 맞물리도록 둘레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돌출 유도 샤프트(510)는 상기 샤프트 기어(500)에서 상기 돌출 유도부제(490)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 기어(500)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러쉬부(600)는 상기 제거부 프레임(340)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브러쉬부(600)는 브러쉬부 프레임(610), 하우징 지지판(620), 샤프트 하우징(630), 헤드 샤프트(640), 실린더 브라켓(650), 승강 실린더(66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부 프레임(610)은 상기 제거부 프레임(340)의 말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 지지판(620)은 상기 브러쉬부 프레임(610)의 둘레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하우징(630)은 상기 하우징 지지판(620)의 중앙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헤드 샤프트(640)는 상기 브러쉬부 프레임(610)에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샤프트 하우징(630)의 상부에 돌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실린더 브라켓(650)은 상기 헤드 샤프트(640)의 양 측부에 'ㄷ'자 형상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승강 실린더(660)는 각각의 상기 실린더 브라켓(650)에서 상기 하우징 지지판(620)의 상면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헤드 샤프트(640)를 돌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 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가이드 유닛(100)에 있어서, 장치 플레이트(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유닛 지지대(110)가 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유닛 지지대(110)는 상부에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유닛 프레임(120)이 유닛 지지대(1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유닛 하우징(130)이 유닛 프레임(120)의 상부에 체결되되 사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부 가이드 롤러부(140)와 하부 가이드 롤러부(150)는 유닛 하우징(130)에 상, 하부에 체결된다.
상부 가이드 롤러부(140)와 하부 가이드 롤러부(150)와 유닛 하우징(130) 사이에는 로프 이탈방지부재(160)가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 가이드 시 와이어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스크류 권취부(200)에 있어서, 상부 가이드 롤러부(140) 및 하부 가이드 롤러부(150) 각각의 롤러의 길이 방향인 표면을 따라 스크류 샤프트(210)가 설치된다.
이때, 스크류 샤프트(210)는 스크류 회전 가능하여 와이어 로프의 형상에 따라 스크류 날개(210a)가 둘레부에 형성된다.
로프 이물질 제거부(300)에 있어서, 스크류 날개(210a) 사이 사이의 스크류 샤프트(210) 둘레부에 제거부 플레이트(310)가 설치된다.
제거부 연결 프레임(320)이 '+'자 형상으로 포개어져 제거부 플레이트(310)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제거부 연결 프레임(320)의 각 말단부에 제거부 프레임(340)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각각의 제거부 프레임(340)에서 제거부 플레이트(310)의 상면을 향해 회동 가능하게 제거부 회동 프레임(330)이 체결된다.
완충부(350)에 있어서, 제거부 플레이트(310)의 상면 각 말단부에 설치되되 제거부 회동 프레임(330)과 체결되어 와이어 로프 권출 및 권취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돌출 유도부(400)에 있어서, 제거부 플레?堧? 중앙부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유도부 지지 프레임(410)이 설치된다.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 지지부(420)를 기준으로 유도 기어축(440)이 중앙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유도 기어축(440)의 둘레부에 유도부 스프링(430)이 삽입된다.
이어서 유도 기어축(440)의 상부가 유도 기어(45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유도 기어(450)와 맞물리게 샤프트 기어(500)가 배치된다.
이어서 피스톤 지지부(470)가 유도 기어(450)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유도 피스톤부(460)가 피스톤 지지부(47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유도 기어축(440)과 일체로 이어지도록 체결된다.
유도 피스톤부(460)의 상부가 유도부 실린더(480)의 하부에 삽입된다.
유도부 실린더(480)의 둘레부 일 측에는 돌출 유도부재(490)가 돌출 형성되면서, 돌출 유도 샤프트(510)가 돌출 유도부재(490)에서 샤프트 기어(500)를 향해 삽입된다.
브러쉬부(600)에 있어서, 제거부 프레임(340)의 말단부에 브러쉬부 프레임(610)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하우징 지지판(620)이 브러쉬부 프레임(610)의 둘레부에 삽입된다.
샤프트 하우징(630)이 하우징 지지판(620)의 중앙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되, 브러쉬부 프레임(61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상화된다.
상단부에 브러쉬 헤드(670)가 설치된 헤드 샤프트(640)가 샤프트 하우징(630)의 상부를 관통하여 브러쉬부 프레임(610)을 향해 삽입된다.
실린더 브라켓(650)이 헤드 샤프트(640)의 양 측부에 설치되면서, 승강 실린더(660)가 실린더 브라켓(650)에서 하우징 지지판(620)의 상면을 향해 설치된다.
이때, 승강 실린더(660)가 헤드 샤프트(64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유닛(100)은 제어에 의해 상부 가이드 롤러부(140) 및 하부 가이드 롤러부(150)가 회전하여 와이어 로프를 권출 및 권취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를 위해 상부 가이드 롤러부(140) 및 하부 가이드 롤러부(150)의 회전 시 스크류 샤프트(210)가 스크류 회전하여 스크류 날개(210a)가 와이어 로프의 형상을 따라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돌출 유도부(400)의 유도 기어축(440)이 회전하여 유도 기어(450)가 회전하면서 차례로 샤프트 기어(500)가 회전하면서 돌출 유도부재(490)가 돌출 유도 샤프트(510)를 따라 상승하여 유도 피스톤부(460)가 피스톤 운동하여 유도부 실린더(480)가 제거부 연결 프레임(320)을 푸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제거부 회동 프레임(330)이 제거부 프레임(340)을 회동시키면서 완충부(350)에 의해 회동 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 유도부재(490)가 돌출 유도 샤프트(510)에서 하강하여 유도부 실린더(480)가 제거부 연결 프레임(320)을 원위치시키면서 제거부 회동 프레임(330)의 회동에 의해 제거부 프레임(340)이 상승하여 브러쉬부(600)가 와이어 로프의 표면에 맞닿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시 스크류 권취부(200)에서 와이어 로프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권출 및 권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러쉬부(600)의 승강 실린더(660)가 헤드 샤프트(640)를 상승시켜 브러쉬 헤드(670)가 와이어 로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권출장치의 꼬임 방지 유닛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는 상기 로프 드럼(50)에 설치되어 권취된 와이어 로프가 꼬이지 않도록 보조하도록 구비된 꼬임 방지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닛 바디(710)는 상기 로프 드럼(50)의 둘레부에 사선 방향으로 돌출 및 후퇴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닛 지지 프레임(720)은 상기 유닛 바디(7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샤프트 고정 브라켓(730)은 각각의 상기 유닛 지지 프레임(720)의 일 측 양 말단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유닛 샤프트(740)는 일렬로 배치된 상기 제 1 샤프트 고정 브라켓(730)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이동 브라켓(750)은 상기 제 1 유닛 샤프트(740)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상기 제 1 유닛 샤프트(7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2 유닛 샤프트(760)는 상기 유닛 바디(710)의 내부에서 일정 간격의 상기 유닛 지지 프레임(720)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지지부재(770)는 상기 제 2 유닛 샤프트(760)의 양 말단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직 방지 롤러(780)는 상기 샤프트 이동 브라켓(750)에 다각도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되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 플레이트(790)는 상기 수직 방지 롤러(780)의 개방된 형상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롤러 완충부(800)는 상기 완충부 플레이트(79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에 의해 발생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롤러 완충부(800)는 완충부 바디(801), 하부 완충부 헤드(802), 스프링 지지판(803), 헤드 스프링(804), 압축 바디(805), 완충부 스프링(806), 완충부 샤프트(807), 상부 완충부 헤드(808), 탄력 조절 스프링(809), 스프링 가이드부재(810), 바디 지지 프레임(811), 탄력 조절부(812), 완충부(350) 모터, 스프링 조절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 바디(801)는 상기 완충부 플레이트(790)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바디 구획판(801a)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완충부 헤드(802)는 상기 완충부 바디(801)의 내부 하부에 배치된 '工'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지지판(803)은 상기 완충부 바디(801)의 내부 양 측 하부에서 상기 하부 완충부 헤드(802)를 향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헤드 스프링(804)은 상기 스프링 지지판(803)의 상, 하부에서 상기 하부 완충부 헤드(802)를 향해 설치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압축 바디(805)는 상기 하부 완충부 헤드(802)의 상부에 안착하여 상기 완충부 바디(801)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 스프링(806)은 상기 압축 바디(805)의 상부에 안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 샤프트(807)는 상기 압축 바디(805)의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완충부 스프링(806)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완충부 헤드(808)는 상기 완충부 샤프트(807)의 상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탄력 조절 스프링(809)은 상기 상부 완충부 헤드(808)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완충부 헤드(808)의 승강을 조절하도록 탄력을 생성하게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부재(810)는 상기 완충부 바디(801)의 내부 상면에서 상기 탄력 조절 스프링(809)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탄력 조절 스프링(809)이 권출 및 권취되도록 가이드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바디 지지 프레임(811)은 상기 바디 구획판(801a)에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완충부 헤드(808) 및 상기 탄력 조절 스프링(809)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탄력 조절부(812)는 상기 바디 구획판(801a)에서 상기 상부 완충부 헤드(808)를 향해 설치되어 상기 탄력 조절 스프링(809)의 탄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탄력 조절부(812)는 하부 조절부 바디(8121), 중앙 조절부 바디(8122), 상부 조절부 바디(8123), 유동 파이프, 압축 유도 프레임, 압축부재, 샤프트 타격부재, 조절부 샤프트, 조절부 스프링, 헤드 지지 샤프트, 조절부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조절부 바디(8121)는 상기 바디 구획판(801a)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중앙 조절부 바디(8122)는 상기 하부 조절부 바디(8121)의 상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조절부 바디(8123)는 상기 중앙 조절부 바디(8122)의 상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동 파이프는 상기 하부 조절부 바디(8121)의 하부에서 상기 완충부 바디(801)의 외부를 향해 관통하여 공기를 유동하도록 삽입되게 구비될 수 있다.
압축 유도 프레임은 상기 하부 조절부 바디(8121)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압축부재는 상기 압축 유도 프레임에 안착되어 상기 유동 파이프에 의해 이동한 공기에 의해 압축 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타격부재는 상기 하부 조절부 바디(8121)의 상면에 형성된 압축 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압축부재의 압축 운동으로 타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조절부 샤프트는 상기 중앙 조절부 바디(8122)의 내부에 상향으로 상기 상부 조절부 바디(8123)의 내부를 향해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 타격부재에 의해 타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조절부 스프링은 상기 조절부 샤프트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부 샤프트를 상기 중앙 조절부 바디(8122)로부터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헤드 지지 샤프트는 상기 상부 조절부 바디(8123)의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조절부 샤프트의 운동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조절부 헤드는 상기 헤드 지지 샤프트의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완충부 헤드(808)를 타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350) 모터는 상기 완충부 바디(801)의 내부 상부 일 측에 설치되되 상면에 수직 방향의 구동축이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조절 롤러는 상기 완충부(350) 모터의 구동축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되 둘레부에 상기 탄력 조절 스프링(809)이 코일링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평 방지 롤러는 상기 롤러 완충부(80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 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꼬임 방지 유닛(700)에 있어서, 로프 드럼(50)의 둘레부에 유닛 바디(710)가 사선 방향으로 설치된다.
유닛 바디(710)를 기준으로 내부에 유닛 지지 프레임(720)이 양 측에 'ㅣ'자 방향으로 설치된다.
각각의 유닛 지지 프레임(720)의 양 말단부에 내향하게 제 1 샤프트 고정 브라켓(730)이 설치된다.
제 1 유닛 샤프트(740)가 일렬로 배치된 제 1 샤프트 고정 브라켓(730)에 삽입된다.
제 2 유닛 샤프트(760)의 양 말단부에 샤프트 지지부재(770)가 체결되고, 해당 형상이 유닛 바디(710)의 내부에서 배치된 유닛 지지 프레임(720) 사이에 'ㅣ'자 방향으로 설치된다.
'O'자 형상의 수직 방지 롤러(780)를 기준으로 둘레부 양 측에 샤프트 이동 브라켓(750)이 체결되고, 샤프트 이동 브라켓(750)과 수직 방지 롤러(780)가 접하는 부분에 다각도 회동볼(750a)이 배치된다.
이어서, 완충부 플레이트(790)가 수직 방지 롤러(780)의 내측면에 'ㅡ'자 방향으로 설치된다.
롤러 완충부(800)가 완충부 플레이트(790)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수평 방지 롤러가 각각의 롤러 완충부(800)의 상부에 'ㅡ'자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수평 방지 롤러 사이에 제 2 유닛 샤프트(760)가 도면과 같이 맞물리게 배치된다.
각각의 샤프트 이동 브라켓(750)이 제 1 유닛 샤프트(740)에 체결된다.
롤러 완충부(800)에 있어서, 완충부 바디(801)를 기준으로 내부 하단면에 순서대로 하부 완충부 헤드(802), 압축 바디(805)가 배치된다.
스프링 지지판(803)이 완충부 바디(801)의 내부 하부에 내향하게 형성되되 하부 완충부 헤드(802)를 향한다.
바디 구획판(801a)이 완충부 바디(801)의 내부 중앙부에 내향하게 형성된다.
각각의 스프링 지지판(803)의 상면, 배면에서 하부 완충부 헤드(802)를 향해 도면과 같이 헤드 스프링(804)이 설치된다.
완충부 샤프트(807)가 압축 바디(805)의 중앙부에서 바디 구획판(801a)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완충부 스프링(806)이 완충부 샤프트(807)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바디 구획판(801a)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부 완충부 헤드(808)가 돌출된 완충부 샤프트(807)의 상부에 삽입된다.
바디 지지 프레임(811)이 바디 구획판(801a)에서 완충부 바디(801)의 내부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 완충부 헤드(808)를 지지할 수 있다.
완충부(350) 모터를 기준으로 구동축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스프링 조절 롤러가 구동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구동축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탄력 조절 스프링(809)이 스프링 조절 롤러의 둘레부에 코일링되어 권출되면서 상부 완충부 헤드(808)의 상면에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완충부 바디(801)의 내부 상단면에 스프링 가이드부재(810)가 설치되어 권출되는 탄력 조절 스프링(809)이 가이드될 수 있다.
탄력 조절부(812)는 바디 구획판(801a)에서 상부 완충부 헤드(808)를 향해 설치된다.
탄력 조절부(812)에 있어서, 하부 조절부 바디(8121)를 기준으로 상향으로 차례로 중앙 조절부 바디(8122), 상부 조절부 바디(8123), 조절부 헤드가 체결된다.
조절부 헤드의 배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헤드 지지 샤프트가 상부 조절부 바디(8123)의 내부에 설치된다.
조절부 샤프트가 둘레부에 조절부 스프링이 삽입되면서, 상부가 헤드 지지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조절부 샤프트가 중앙 조절부 바디(8122)의 내부에 배치된다.
샤프트 타격부재가 중앙 조절부 바디(8122)의 내부 하단면에 배치된다.
하부 조절부 바디(8121)의 일 측에서 내부를 향해 유동 파이프가 삽입된다.
하부 조절부 바디(8121)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방향으로 압축 유도 프레임이 설치되고, 유동 파이프에서부터 압축 유도 프레임을 향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하부 조절부 바디(8121)의 상부에는 압축 공간이 형성되고, 압축 공간을 향해 공기를 압축하도록 압축 유도 프레임에 압축부재가 체결된다.
이때, 도면과 같이 하부 조절부 바디(8121)의 내부 양 측부에 공기를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 로프가 로프 드럼(50)에 권취될 때 꼬임 방지 유닛(700)은 제어에 의해 유닛 바디(710)를 돌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샤프트 이동 브라켓(750)이 수직 방지 롤러(780)를 제 1 유닛 샤프트(7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제 2 유닛 샤프트(7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방지 롤러가 맞물려 이동하여 수평 방지 롤러가 와이어 로프를 꼬이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샤프트 이동 브라켓(750)과 수직 방지 롤러(780)의 이동은 제 1 샤프트 고정 브라켓(730) 및 샤프트 지지부재(77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 로프와 수평 방지 롤러가 맞닿음으로써 발생하는 충격을 롤러 완충부(800)가 완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각도 회동볼(750a)에 의해 수직 방지 롤러(780)가 다각도로 회전하여 와이어 로프에 수평 방지 롤러가 용이하게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부(350) 모터가 동작하여 구동축을 따라 스프링 조절 롤러가 탄력 조절 스프링(809)의 권출을 조절하여 스프링 가이드부재(810)가 가이드함으로써 탄력 조절 스프링(809)의 코일링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격을 헤드 스프링(804), 완충부 스프링(806)의 탄성력에 의해 완화하면서, 압축 바디(805)가 충격에 의해 승강하면서 완충부 샤프트(807)를 승강시키고 이에 의해 상부 완충부 헤드(808)가 상승하여 탄력 조절 스프링(809)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상부 완충부 헤드(808)가 탄력 조절 스프링(809)의 탄성력을 생성하기 용이하도록 유동 파이프를 통해 하부 조절부 바디(8121)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축부재가 압축 공간을 향해 공기를 압축하여 샤프트 타격부재가 조절부 샤프트를 타격하면서 조절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부 샤프트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절부 샤프트가 헤드 지지 샤프트를 승강시켜 조절부 헤드가 상부 완충부 헤드(808)를 타격하여 탄력 조절 스프링(809)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장치 플레이트(10)
동력 발생부(20)
발생부 하우징(30)
동력 회전축(40)
로프 드럼(50)
드럼 고정부(60)
동력 제어부(70)
가이드 유닛(100)
유닛 지지대(110)
유닛 프레임(120)
유닛 하우징(130)
상부 가이드 롤러부(140)
하부 가이드 롤러부(150)
로프 이탈방지부재(160)
스크류 권취부(200)
스크류 샤프트(210)
스크류 날개(210a)
로프 이물질 제거부(300)
제거부 플레이트(310)
제거부 연결 프레임(320)
제거부 회동 프레임(330)
제거부 프레임(340)
완충부(350)
돌출 유도부(400)
유도부 지지 프레임(410)
프레임 지지부(420)
유도부 스프링(430)
유도 기어축(440)
유도 기어(450)
유도 피스톤부(460)
피스톤 지지부(470)
유도부 실린더(480)
돌출 유도부재(490)
샤프트 기어(500)
돌출 유도 샤프트(510)
브러쉬부(600)
브러쉬부 프레임(610)
하우징 지지판(620)
샤프트 하우징(630)
헤드 샤프트(640)
실린더 브라켓(650)
승강 실린더(660)
브러쉬 헤드(670)
꼬임 방지 유닛(700)
유닛 바디(710)
유닛 지지 프레임(720)
제 1 샤프트 고정 브라켓(730)
제 1 유닛 샤프트(740)
샤프트 이동 브라켓(750)
다각도 회동볼(750a)
제 2 유닛 샤프트(760)
샤프트 지지부재(770)
수직 방지 롤러(780)
완충부 플레이트(790)
롤러 완충부(800)
완충부 바디(801)
바디 구획판(801a)
하부 완충부 헤드(802)
스프링 지지판(803)
헤드 스프링(804)
압축 바디(805)
완충부 스프링(806)
완충부 샤프트(807)
상부 완충부 헤드(808)
탄력 조절 스프링(809)
스프링 가이드부재(810)
바디 지지 프레임(811)
탄력 조절부(812)
하부 조절부 바디(8121)
중앙 조절부 바디(8122)
상부 조절부 바디(8123)
유동 파이프(8124)
압축 유도 프레임(8125)
압축부재(8126)
샤프트 타격부재(8127)
조절부 샤프트(8128)
조절부 스프링(8129)
헤드 지지 샤프트(8130)
조절부 헤드(8131)
완충부 모터(814)
스프링 조절 롤러(815)
수평 방지 롤러(810)

Claims (3)

  1. 지면으로부터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 장치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동력 발생부;
    상기 동력 발생부를 보호하도록 사방이 개방된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된 발생부 하우징;
    상기 동력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발생부 하우징 상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동력 회전축;
    상기 동력 회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도록 구비된 로프 드럼;
    상기 동력 회전축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로프 드럼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드럼 고정부;
    상기 동력 발생부의 회전 동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동력 제어부;
    상기 장치 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로프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 로프를 권출 및 권취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가이드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지면에 설치되어 지지하도록 구비된 유닛 지지대;
    상기 유닛 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어 유닛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유닛 프레임;
    상기 유닛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사방이 개방되도록 구비된 유닛 하우징;
    상기 유닛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상부 가이드 롤러부;
    상기 유닛 하우징의 하부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하부 가이드 롤러부;
    상기 상부 가이드 롤러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부 각각의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스크류 회전 가능하여 와이어 로프를 권출 및 권취시키며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스크류 권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권취부는,
    각각의 상기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의 형상과 일치한 스크류 날개가 둘레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크류 샤프트;
    상기 스크류 날개 사이의 상기 스크류 샤프트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가이드를 보조하도록 구비된 로프 이물질 제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둘레부에 설치된 '+'자 형상의 제거부 플레이트;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자 형상으로 포개어지도록 설치된 제거부 연결 프레임;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의 상면 사방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제거부 회동 프레임;
    상기 제거부 회동 프레임에 양 측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면서 말단부가 상기 제거부 연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된 제거부 프레임;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회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된 완충부;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의 중앙부 상면에서 상기 제거부 연결 프레임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거부 연결 프레임을 밀어 회동시키도록 구비된 돌출 유도부;
    상기 제거부 프레임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브러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유도부는,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의 중앙부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설치된 유도부 지지 프레임;
    상기 유도부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프레임 지지부;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수용 공간에 안착하여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유도부 스프링;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도 기어축;
    상기 유도 기어축의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유도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된 유도 기어;
    상기 유도 기어를 관통하여 상기 유도 기어축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삽입되어 피스톤 운동하도록 구비된 유도 피스톤부;
    상기 유도 피스톤부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상기 유도 기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 피스톤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피스톤 지지부;
    상기 유도 피스톤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피스톤 운동에 의해 상기 제거부 연결 프레임을 밀어내도록 구비된 유도부 실린더;
    상기 유도부 실린더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 유도부;
    상기 유도 기어와 맞물리도록 둘레부에 체결된 샤프트 기어;
    상기 샤프트 기어에서 상기 돌출 유도부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 기어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비된 돌출 유도 샤프트;
    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제거부 프레임의 말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브러쉬부 프레임;
    상기 브러쉬부 프레임의 둘레부에 삽입된 하우징 지지판;
    상기 하우징 지지판의 중앙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샤프트 하우징;
    상기 브러쉬부 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샤프트 하우징의 상부에 돌출 가능하게 구비된 헤드 샤프트;
    상기 헤드 샤프트의 양 측부에 'ㄷ'자 형상으로 설치된 실린더 브라켓;
    각각의 상기 실린더 브라켓에서 상기 하우징 지지판의 상면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헤드 샤프트를 돌출시키도록 구비된 승강 실린더;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제어에 의해 상기 상부 가이드 롤러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부가 회전하여 와이어 로프를 권출 및 권취하고,
    와이어 로프 권출 및 권취 시 상기 스크류 권취부에서 와이어 로프의 권출 및 권취를 가이드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30094237A 2023-07-20 2023-07-20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 KR102628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4237A KR102628454B1 (ko) 2023-07-20 2023-07-20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4237A KR102628454B1 (ko) 2023-07-20 2023-07-20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454B1 true KR102628454B1 (ko) 2024-01-23

Family

ID=8971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4237A KR102628454B1 (ko) 2023-07-20 2023-07-20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4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237A (ko) * 2010-08-27 2012-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을 이용한 이송장치용 윈치
KR101799377B1 (ko) * 2017-03-30 2017-11-20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 스풀링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114121A (ko) *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영선이엔지 중량물 이송장치
KR20210036672A (ko) * 2019-09-26 2021-04-05 김응복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237A (ko) * 2010-08-27 2012-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을 이용한 이송장치용 윈치
KR101799377B1 (ko) * 2017-03-30 2017-11-20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 스풀링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114121A (ko) *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영선이엔지 중량물 이송장치
KR20210036672A (ko) * 2019-09-26 2021-04-05 김응복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24459B2 (en) Level wind assembly for a winch drum including a tensioning arm
US7419204B2 (en) Powered ramp door lift
KR200461068Y1 (ko)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충격완화장치
US20120175576A1 (en) level wind arm for a winch assembly
CN109906302B (zh) 用于卷帘的可调节的弹簧系统和方法
KR102135724B1 (ko) 권취장치
KR102628454B1 (ko)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
CN108711785B (zh) 电缆放线车
CN106544840B (zh) 动力总成及电动晾衣机
CN110723603A (zh) 一种无人机机载收放线装置
CN113682900B (zh) 一种电机配合动滑轮的充电桩收放线装置
KR102297928B1 (ko) 바튼 승강 구동 장치
AU2010101064A4 (en) Level wind assembly for a winch drum including a tensioning arm
CN114284945A (zh) 一种电缆支撑装置
CN109879192B (zh) 一种散装机的钢丝绳张紧装置
CN109235866B (zh) 升降吊篮设备
AU2007202072B1 (en) A winch assembly including a level wind arm
JP3261106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角度調節装置
DK3239089T3 (en) WIND TURBINE WITH ELEVATOR SYSTEM
CN214455739U (zh) 一种电线、电缆收卷装置
KR101404078B1 (ko) 충격완화부재를 구비한 무대구동장치
CN110254631A (zh) 一种缆绳收放装置
CN220205116U (zh) 一种火电厂电气设计用的检测装置
CN218174237U (zh) 一种带有防护机构的张力机
CN217305070U (zh) 一种方便操作的工程监理施工质量实时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