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121A - 중량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121A
KR20200114121A KR1020190035312A KR20190035312A KR20200114121A KR 20200114121 A KR20200114121 A KR 20200114121A KR 1020190035312 A KR1020190035312 A KR 1020190035312A KR 20190035312 A KR20190035312 A KR 20190035312A KR 20200114121 A KR20200114121 A KR 20200114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tube
inner tube
sides
tube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790B1 (ko
Inventor
위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35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7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가 긴 후판(厚板)을 포함하는 각종 빔이나 관 등과 같은 고 중량물을 들어 목적하는 곳으로 이송할 때에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음은 물론, 이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중량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중앙부에 동력발생수단(130)이 설치된 외부 관(110)의 내부 양측에 그 외부 관을 따라 좌우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며 길이가 가변 되는 내부 관(120)을 설치하여 된 본체(100)와, 상기 외부 관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양측의 내부 관이 상기 외부 관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210)을 갖는 동력전달수단(200)과, 상기 양측의 내부 관과 고정수단(310)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고 내측 단부는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수단(320)을 매개로 연결되어 양측의 내부 관이 외부 관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스크루샤프트(300)와, 상기 외부 관과 내부 관의 각 끝 부분에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와이어로프(R)의 일 측단부를 고정 시키도록 설치된 와이어로프결착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중량물 이송장치{Transfer equipment of weight}
본 발명은 길이가 긴 후판(厚板)을 포함하는 각종 빔이나 관 등과 같은 고 중량물을 들어 목적하는 곳으로 이송할 때에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음은 물론, 이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중량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꺼운 철판 즉, 후판의 이송을 위해서는 크레인과 전자석을 이용한 이른바 마그네틱 방식의 후판 이송시스템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 후판 이송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자기력을 생성하는 리프팅 마그네트(10)가 서포트빔(8)에 다수 개 장착되고, 상기 서포트빔(8)이 크레인(6)에 의해 이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리프팅 마그네트(10)는 하우징(12) 및 하우징(12)내부에 감김 장착된 마그네트 코일(14)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그네트 코일(14)로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자기력을 유발하게 되며, 유발되는 자기력의 크기는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와 비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후판 이송시스템에서는, 리프팅 마그네트(10)를 후판(4)에 부착하여 들어올려서 이송하게 되며, 길이(면적)와 두께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후판이 섞여서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도 리프팅 마그네트(10)의 자기력을 조절함으로써 필요한 매수만큼의 후판 만을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기술에서는 필요한 매수의 후판 만을 이송하기 위하여 후판의 크기, 두께, 종류 매수 등의 여러 요건에 따라 이송에 필요한 자기력의 세기와 자기력을 유발하기 위한 전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작성된 이른바 전압테이블을 기준으로, 리프팅 마그네트(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리프팅 마그네트(10)에서 유발되는 자기력을 달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개의 리프팅 마그네트(10) 중에서 이송대상 후판을 벗어나 있는 리프팅 마그네트를 제외하고 해당범위 내에 있는 리프팅 마그네트에 대해서만 전압테이블을 근거로 이송대상 후판의 매수에 해당하는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3매의 후판(#1, #2, #3)을 이송하는 경우에는 전압테이블을 통해 해당되는 3매의 후판 이송에 필요한 전압 값을 파악하고, 해당되는 전압을 리프팅 마그네트(10)에 인가하게 되며, 전압이 인가된 리프팅 마그네트에 해당되는 후판은 리프팅 마그네트에 부착되며, 해당 리프팅 마그네트(10)가 후판에 부착된 다음에는 크레인(6)을 통하여 상승견인작동을 행하게 되고, 크레인(6)에 구비된 로드셀등의 중량감지수단을 통해 상승견인되는 후판의 실중량이 측정된다.
이때, 리프팅 마그네트(10)에 부착되어 상승견인되는 후판의 실중량이 전압테이블을 근거로 미리 설정된 중량데이터와 일치하면 상승견인된 후판을 그대로 이송하게 되나, 실중량과 중량데이터의 차이가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리프팅 마그네트(10)에 부착된 후판의 매수가 잘못된 것으로 판단하고, 원위치로 후판을 복귀시킨 다음 전압을 조정하여 리프팅 마그네트(10)에 부착되는 후판의 매수를 조절하고 재차 상승견인 작동을 수행하게 되며, 측정되는 실중량과 중량데이터가 허용오차범위 내에 도달할 때까지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리프팅 마그네트(10)에 부착된 후판의 실 중량과 중량데이터가 허용오차 범위내에 도달하게 되면, 정확한 매수의 후판이 리프팅 마그네트(10)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송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전압테이블은 전술한 바와 같이 후판의 크기, 두께, 매수 등의 요건에 맞추어 이송에 필요한 자기력과 전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놓은 것으로서, 반복된 실험 내지는 작업과정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근거로 만들어지며, 기준요건이 달라짐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지속적으로 수정되어진다고 볼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전압테이블이 많은 실험과 작업과정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만들어지는 것이기는 하지만, 실제 작업상황에서는 미리 만들어진 데이터만으로는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들이 있으며 이러한 변수들 때문에 전압테이블에 근거한 작업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견인상승작업을 반복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실제 작업상황에서 발생하는 변수로서는 적재된 각 후판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공극 내지는 각 후판 사이에 개재된 이물질, 리프팅 마그네트(10)의 특성(사용빈도 등에 따른 노후화)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변수에 의하면, 결과적으로 리프팅 마그네트(1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이론상의 자기력과 실제로 후판에 가해지는 자기력간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후판 이송시스템에 의하면 전압테이블을 작성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전압테이블에 근거하여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도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들로 인하여 반복되는 시행착오를 겪어야만 하는 등 후판의 이송작업에 따른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종래의 후판 이송시스템은. 서포트빔(8)의 길이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후판(4)의 길이가 상기 서포트빔(8)의 길이보다 월등히 긴 경우에는 서포트빔(8)을 후판(4)의 길이와 준하는 길이를 갖는 것으로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이하여 작업의 경제성이 떨어짐은 물론,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서포트빔(8)에 리프팅 마그네트(10)가 설치된 것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10-2012-0073164호 : 후판 이송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철소 등에서 생산되는 후판을 포함하는 각종 빔이나 관 등과 같은 길이가 긴 고 중량물을 목적하는 곳으로 이송할 때에 상기 고 중량물의 길이에 따라 대응하도록 본체의 길이를 가변시키며 상기 고 중량물을 안전하게 들어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중량물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 구성은, 중앙부에 동력발생수단(130)이 설치된 외부 관(110)의 내부 양측에 그 외부 관을 따라 좌우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며 길이가 가변 되는 내부 관(120)을 설치하여 된 본체(100)와, 상기 외부 관에 설치되어 상기 정역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양측의 내부 관이 상기 외부 관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210)을 갖는 동력전달수단(200)과, 상기 양측의 내부 관과 고정수단(310)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고 내측 단부는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수단(320)을 매개로 연결되어 양측의 내부 관이 외부 관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스크루샤프트(300)와, 상기 외부 관과 내부 관의 각 끝 부분에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와이어로프(R)의 일 측단부를 고정 시키도록 설치된 와이어로프결착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철소 등에서 생산되는 후판을 포함하는 각종 빔이나 관 등과 같은 길이가 긴 고 중량물을 목적하는 곳으로 이송할 때에 상기 고 중량물의 길이에 따라 대응하도록 본체의 길이를 가변시키며 상기 고 중량물을 안전하게 들어 목적지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 중량물의 이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은 종래의 후판 이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후판 이송시스템에서 후판을 이송하는 고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송하는 고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가 가변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가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 요부를 발췌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에서 동력전달수단 발췌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에서 고정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에서 연결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에서 내부관고정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에서 가이드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는, 길이가 긴 후판(厚板)을 포함하는 각종 빔이나 관 등과 같은 고 중량물을 들어 목적하는 곳으로 이송할 때에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음은 물론, 이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리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송할 때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천장에 설치된 크레인장치(900)의 후크(910)에 로프(920)를 걸고 그 로프(920)의 하단을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A)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A)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동력발생수단(130)이 설치된 외부 관(110)이 마련되고, 그 외부 관(110)의 내부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상기 외부 관(110)을 따라 좌우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며 이동되는 내부 관(120)을 설치하여 된 본체(100)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본체(100)는 상기 내부 관(120)이 외부 관(110)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기 때문에 길이가 가변 된다.
상기 본체(100)의 구성인 외부 관(110)의 중앙부에 설치된 동력발생수단(130)은, 상기 외부 관(110)의 외측 상부 중앙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내부 관(120)을 외부 관(110)의 좌우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에 상기 양측의 내부 관(120)을 외부 관(110)의 좌우 양측으로 동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외부 관(110)의 내부 중앙부에는, 상기 동력발생수단(13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양측의 내부 관(120)을 상기 외부 관(110)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시키는 회전축(210)을 갖는 동력전달수단(200)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동력전달수단(200)을 외부 관(110)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동력전달수단(200)이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하여 동력전달수단(200)으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동력전달수단(200)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수단(200)이 설치되는 외부 관(110)의 일 측면에는 개폐뚜껑(240)을 설치하여 동력전달수단(200)의 고장발생시 개폐뚜껑(240)을 열고 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개폐뚜껑(240)에는 와이어로프(R)의 일 측단부를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고정부재(250)이 설치되어 와이어로프(R)의 일 측단부 즉 상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양측의 내부 관(120)에는 도 6과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정수단(310)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고, 내측 단부는 상기 동력전달수단(200)과 연결수단(320)을 매개로 연결설치되어 양측의 내부 관(120)이 외부 관(110)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스크루샤프트(300)가 설치된다.
상기 양측의 내부 관(120)에 설치되는 각각의 스크루샤프트(300)는, 스크루 방향을 서로 다르게 형성시켜 하나의 동력발생수단(130)으로부터 회전축(210)을 갖는 동력전달수단(200)으로 회전동력이 전달되고 그 동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수단(200)은, 상기 양측의 스크루샤프트(300)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양측의 내부 관(120)이 외부 관(110)의 양측으로 인출 및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 관(110)의 끝 부분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관스토퍼(410)가 설치되고, 상기 양 내부 관(120)의 양끝부분에 내부관스토퍼(420)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 관(120)이 외부 관(11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는 지점에서 상기 각각의 스토퍼(410,420)가 접촉되면서 상기 내부 관(120)이 외부 관(110) 속으로 더이상 인입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외부관스토퍼(410)의 후방에는 와이어로프(R)의 일 측단부를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고정부(431)를 갖는 와이어로프결착부(430)를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고, 또 내부 관(120)의 끝 부분에 형성된 내부관스토퍼(420)에 와이어로프(R)의 일 측단부를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고정부(421)를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외부관스토퍼(410), 내부관스토퍼(420), 고정부(421), 와이어로프결착부(430), 고정부(431)를 통합하여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로프결착수단(400)으로 명칭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중량물 이송장치(A)에서 본체(100)를 형성하는 내부 관(120)은, 상기 동력발생수단(130)의 회전동력을 회전축(210)을 갖는 동력전달수단(200)을 통하여 전달받아 외부 관(11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또는 인입되어 본체(10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음으로 중량물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내부 관(120)은,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수단(310)을 매개로 스크루샤프트(300)와 연결설치되어 그 스크루샤프트(3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내부 관(120)이 외부 관(110)으로부터 인출 되거나 인입되어 본체(100)의 길이를 중량물의 길이에 따라 조절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스크루샤프트(30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동력전달수단(200)인 회전축(210)의 단부와 연결수단(320)을 매개로 연결되어 동력발생수단(130)의 회전동력이 동력전달수단(200)을 통하여 스크루샤프트(300)로 전달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구성인 외부 관(110)과 내부 관(120)의 각 끝 부분에는 중량물을 고정하고 들어올리는 와이어로프(R)의 일 측단부를 고정 시키도록 설치된 와이어로프결착수단(400)이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로프(R)의 상단을 와이어로프결착수단(400)에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로프(R)의 하단은 고정부재가 설치되어 그 고정부재로 중량물의 양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크레인장치(900)와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A)를 이용하여 길이가 긴 고 중량물을 안전하게 들어 목적지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동력발생수단(130) 일실시 예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역모터(131)이고, 그 정역모터(131)의 축에는 체인이 연결되는 상부체인스프라켓(132)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정역모터(131)와 상부스프라켓(132)은 케이스(133)에 의해 보호되도록 케이스(133)에 설치함으로써, 정역모터(131)는 물론, 체인과 상부체인스프라켓(132)을 이물질이나 또는 주위 구조물로부터 보호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체인스프라켓(132)의 일실시 예는 2개를 근접 또는 밀접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동력발생수단(130)의 회전동력을 동력전달수단(200)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동력발생수단(130)은, 정역모터(131) 외에도 동력전달수단(200)으로 정역방향의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동력전달수단(200)인 회전축(210)의 중앙부에는, 체인이 연결되는 하부체인스프라켓(220)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하부체인스프라켓(220)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축(210)의 양측에는 회전축(210)을 보호하며 지지하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블록(230)이 설치됨으로써 회전축(210)의 보호는 물론, 회전축(210)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체인스프라켓(220)의 설치 개수는 상기 상부체인스프라켓(132)의 설치 개수와 동일하게 설치하여 동력발생수단(130)의 회전동력을 동력전달수단(200)으로 안정적이며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수단(310) 일실시 예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관(120)에 고정편(311)이 설치되고, 그 고정편(311)의 전방에는 상기 스크루샤프트(300)와 스크루 결합되는 스크루너트(312)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편(311)과 스크루너트(312)는 볼트(313)가 관통하며 너트(314)로 고정설치하여 내부 관(120)과 스크루너트(312)가 일체가 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루샤프트(3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내부 관(120)이 외부 관(110)의 양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어 본체(100)의 길이를 가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고정수단(310) 외에도 동력전달수단(200)의 회전동력을 스크루샤프트(300)로 전달하고, 그 회전동력을 전달받은 스크루샤프트(3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내부 관(120)이 외부 관(110)의 양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게 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연결수단(320) 일실시 예는,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10)의 끝단 부분에 체인이 감겨진 제1체인스프라켓(321)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루샤프트(300)의 끝단 부분에 체인이 감겨진 제2체인스프라켓(322)을 설치하되, 상기 회전축(210)의 끝단 부분은 상기 제1체인스프라켓(321)을 관통하며 제2체인스프라켓(322)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루샤프트(300)의 끝단 부분과 접촉되게 설치한다.
그 이유는, 동력전달수단(200)의 회전동력을 스크루샤프트(300)로 전달함과 동시에 내부 관(120)이 외부 관(110)의 양측으로 인입 및 인출될 때에 내부 관(120)이 일직선으로 인입 및 인출되지 못하고 미량의 각도가 틀어진 상태로 인입 및 인출되거나 또는 내부 관(120)이 외부 관(120)으로부터 인입 및 인출될 때에 충격이 발생해도 그 출격을 흡수함은 물론, 상기 미량의 틀어진 각도를 보상하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200)의 회전동력을 스크루샤프트(300)로 원활하게 전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양측의 내부 관(120)의 일 측에는 내부 관(120)이 외부 관(110)으로부터 인출된 후 그 인출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내부관고정수단(500)을 마련하되, 상기 내부관고정수단(500)의 일실시 예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관(120)과 연동하는 키 홀(520)을 갖는 고정구(510)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관(110)의 일 측에는 상기 키 홀(520)과 마주 대하는 구멍(530)이 형성되며, 상기 키 홀(520)과 구멍(530)에는 키(540)가 관통하며 끼워 결합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내부관고정수단(500)을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내부 관(120)이 외부 관(110)으로부터 목적하는 양만큼 인출되었을 때 그 인출된 내부 관(120)의 위치를 고정하여 본체(100)의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키(540)의 일측 끝 부분에는 고정핀(550)이 끼워 결합되는 구멍(560)이 형성되어 상기 키(540)가 결합된 후에는 고정핀(550)을 구멍(560)에 결합하여 키(540)가 빠지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의 내부관고정수단(500)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이고, 그 외에도 내부 관(120)이 외부 관(110)으로부터 일정량 인출되었을 때 그 인출된 내부 관(120)의 위치를 고정하여 본체(100)의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외부 관(110)의 양측 끝 부분의 하부에는 내부 관(120)이 외부 관(110)으로부터 인출 및 입입될 때에 원활한 인출 및 인입을 유도하는 베어링 또는 휠 중 어느 하나인 가이드수단(600)이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됨으로써 외부 관(110)에서의 내부 관(120)이 이동 즉 인입 및 인출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 상기 외부 관(110)의 내측 하부 바닥면과 상기 내부 관(120)의 외측 하부 바닥면 간에는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700)이 설치되어 내부 관(120)이 외부 관(110)으로부터 인출 및 입입될 때에 내부 관(120)과 외부 관(110) 간의 면 마찰이 최소화되어 외부 관(110)에서의 내부 관(120) 이동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부 관(110)의 하부 양측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를 지면에 위치시켰을 때 본체(10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받쳐주며 지지하는 받침수단(800)을 설치함으로써 본체(1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A)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철소 등에서 생산되는 후판을 포함하는 각종 빔이나 관 등과 같은 길이가 긴 고 중량물을 목적하는 곳으로 이송할 때에 상기 고 중량물의 길이에 따라 대응하도록 본체의 길이를 가변시키며 상기 고 중량물을 안전하게 들어 목적지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 중량물의 이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100 : 본체 110 : 외부 관
120 : 내부 관 130 : 동력발생수단
131 : 정역모터 132 : 상부체인스프라켓
133 : 케이스 200 : 동력전달수단
210 : 회전축 220 : 하부체인스프라켓
230 : 베어링블록 300 : 스크루샤프트
310 : 고정수단 311 : 고정편
312 : 스크루너트 313 : 볼트
314 : 너트 320 : 연결수단
321 : 제1체인스프라켓 322 : 제2체인스프라켓
400 : 와이어로프결착수단 500 : 내부관고정수단
510 : 고정구 520 : 키 홀
530 : 구멍 540 : 키
600 : 가이드수단 700 : 레일
800 : 받침수단 A : 중량물 이송장치
R : 와이어로프

Claims (10)

  1. 중앙부에 동력발생수단(130)이 설치된 외부 관(110)의 내부 양측에 그 외부 관을 따라 좌우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며 길이가 가변 되는 내부 관(120)을 설치하여 된 본체(100);
    상기 외부 관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양측의 내부 관이 상기 외부 관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210)을 갖는 동력전달수단(200);
    상기 양측의 내부 관과 고정수단(310)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고 내측 단부는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수단(320)을 매개로 연결되어 양측의 내부 관이 외부 관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스크루샤프트(300);
    상기 외부 관과 내부 관의 각 끝 부분에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와이어로프(R)의 일 측단부를 고정 시키도록 설치된 와이어로프결착수단(40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수단(130)은, 정역모터(131)이고, 그 정역모터의 축에는 체인이 연결되는 상부체인스프라켓(132)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정역모터와 상부스프라켓은 케이스(133)에 의해 보호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10)의 중앙부에는, 체인이 연결되는 하부체인스프라켓(220)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하부체인스프라켓의 중심으로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는 회전축을 보호하며 지지하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블록(2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10)은, 내부 관에 고정편(311)이 설치되고, 그 고정편의 전방에는 상기 스크루샤프트와 스크루결합되는 스크루너트(312)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편과 스크루너트는 볼트(313)가 관통하며 너트(314)로 고정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20)은, 상기 회전축의 끝단 부분에 체인이 감겨진 제1체인스프라켓(321)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루샤프트의 끝단 부분에 체인이 감겨진 제2체인스프라켓(322)을 설치하되, 상기 회전축의 끝단 부분은 상기 제1체인스프라켓을 관통하며 제2체인스프라켓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루샤프트의 끝단 부분과 접촉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스크루샤프트(300)에서 일 측의 스크루샤프트는 스크루 방향이 왼쪽으로 형성되고, 타 측의 스크루샤프트는 스크루 방향이 오른쪽으로 형성되어 각 내부 관을 외부 관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게 구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내부 관(120)의 일 측에는 내부 관이 외부 관으로부터 인출된 후 그 인출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내부관고정수단(500)을 마련하되, 그 내부관고정수단은, 상기 내부 관과 연동하는 키 홀(520)을 갖는 고정구(510)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관의 일 측에는 상기 키 홀과 마주 대하는 구멍(530)이 형성되며, 상기 키 홀과 구멍에는 키(540)가 관통하며 끼워 결합 되도록 구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관의 양측 끝 단부 하부에는 내부 관이 외부 관으로부터 인출 및 입입될 때에 원활한 인출 및 인입을 유도하는 베어링 또는 휠 중 어느 하나인 가이드수단(6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장치.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관의 내측 하부 바닥면과 상기 내부 관의 외측 하부 바닥면 간에는 레일(7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관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본체를 지면에 위치시켰을 때 본체가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받쳐주는 받침수단(800)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장치.
KR1020190035312A 2019-03-27 2019-03-27 중량물 이송장치 KR102179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312A KR102179790B1 (ko) 2019-03-27 2019-03-27 중량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312A KR102179790B1 (ko) 2019-03-27 2019-03-27 중량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121A true KR20200114121A (ko) 2020-10-07
KR102179790B1 KR102179790B1 (ko) 2020-11-17

Family

ID=7288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312A KR102179790B1 (ko) 2019-03-27 2019-03-27 중량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454B1 (ko) * 2023-07-20 2024-01-23 김태훈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088U (ko) * 1988-08-01 1990-02-20
WO2011028879A1 (en) * 2009-09-02 2011-03-10 21St Century Structur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ertically orienting precast concrete wall panels
KR20120073164A (ko) 2012-05-14 2012-07-04 최규철 후판 이송시스템
KR101585858B1 (ko) * 2015-08-18 2016-01-15 (주)동아 에이치아이 크레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088U (ko) * 1988-08-01 1990-02-20
WO2011028879A1 (en) * 2009-09-02 2011-03-10 21St Century Structur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ertically orienting precast concrete wall panels
KR20120073164A (ko) 2012-05-14 2012-07-04 최규철 후판 이송시스템
KR101585858B1 (ko) * 2015-08-18 2016-01-15 (주)동아 에이치아이 크레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454B1 (ko) * 2023-07-20 2024-01-23 김태훈 와이어 로프 권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790B1 (ko)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9142B2 (en) Automated rod manipulator
US896074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lange support and alignment
US10407280B2 (en) Length adjustable wire rope rigging device and lifting system employing the same
KR102179790B1 (ko) 중량물 이송장치
US79507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pping and installing pipe
US20090134646A1 (en) Automatic system for guiding, retaining and adjusting cables
US20220379147A1 (en) Fall protection system
US9676589B2 (en) Device and method usable for installing cable into a winch spool
KR101585858B1 (ko) 크레인
JP6504946B2 (ja) 流体機材搬出設備及び流体機材搬出方法
FI126135B (fi) Menetelmä jauhinmyllyn sisäpinnan vuorauselementtien uusimiseksi
US11268764B2 (en) Device for mounting and/or dismantling staves in a shaft furnace
US20220219269A1 (en) Tool assembly for tensioning tower bolts of a wind turbine tower
EP3177430B1 (en) Machine for aerial handling of loads
US8083457B2 (en) Mill relining apparatus
KR101233331B1 (ko) 로터 셋업용 방진구 바닥블럭 이송장치
KR101933174B1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US20230391596A1 (en) Ventilation Louver Installation Tool
JP4928960B2 (ja) 共穴加工装置
US9734925B2 (en)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loads in vertical shafts, in particular containers with radioactive contents
CN116427661B (zh) 一种建筑施工用垂直运输设备及其建筑施工方法
US5871247A (en) Crane wheel puller
CN109576472B (zh) 一种热处理炉炉辊快速更换装置
CN105819167A (zh) 码头皮带机伸缩装置安装工艺
KR20210133522A (ko)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