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858B1 - 크레인 - Google Patents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858B1
KR101585858B1 KR1020150115818A KR20150115818A KR101585858B1 KR 101585858 B1 KR101585858 B1 KR 101585858B1 KR 1020150115818 A KR1020150115818 A KR 1020150115818A KR 20150115818 A KR20150115818 A KR 20150115818A KR 101585858 B1 KR101585858 B1 KR 101585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main beam
lifting
longitudinal direc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수
Original Assignee
(주)동아 에이치아이
차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 에이치아이, 차병영 filed Critical (주)동아 에이치아이
Priority to KR1020150115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7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guiding devices for telescopic j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되고, 크레인의 제작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빔을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 및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장치를 포함하는 메인빔과, 상기 메인빔의 양쪽 길이방향 외측 상단에 형성되어 익스텐션빔을 메인빔 내,외부로 이송시키는 익스텐션 구동부와, 상기 메인빔의 양쪽 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익스텐션 구동부에 의해 메인빔의 내,외측으로 이송되는 익스텐션빔과, 상기 메인빔의 중앙 저면에 형성된 제1 리프팅빔과, 상기 양쪽 익스텐션빔의 중앙 저면에 형성된 무빙 트롤리와, 상기 양쪽 무빙 트롤리의 하단에 각각 결합된 제2 리프팅빔과, 상기 메인빔 및 익스텐션빔의 양쪽 저면에 형성된 트롤리 이송장치와, 상기 양쪽 익스텐션빔의 외측단 저면에 형성된 제3 리프팅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레인{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되고, 크레인의 제작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크레인은 동력을 사용하여 화물을 매달아 상하, 전후, 좌우로 운반하는 기계를 칭하며, 기중기라고도 한다.
이러한 크레인은 풍력발전, 플랜트, 조선, 엔진, 제철, 제강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호이스트나 체인블럭에 비해 한층 무거운 화물을 조립,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크레인은 화물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권상, 권하 동작과 수평으로 이동하기 위한 주행, 횡행, 선회, 이송 등의 동작이 있으며 이러한 동작들을 서로 조합하여 3차원 공간 내에서 화물을 취급, 운반하고, 취급하고자는 하는 화물이 고중량이거나 대형의 구조물일 때에는 화물의 치우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레인과 화물 간에 리프팅빔(lifting beam)을 형성하여 크레인 작업을 진행한다.
상기한 종래 크레인의 익스텐션빔 이송 등과 같이 화물을 집어 올려서 원하는 장소로 옮기는 동작은 레크 기어 또는 스퍼 기어 등과 같이 기어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어 방식은 기어의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고장 또는 노후에 의해 기어 부품의 교체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또 다시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크레인의 전체 무게가 증가되어 설치 작업이 곤란해지는 등의 여러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다른 문제점을 살펴보면, 상기한 종래 크레인의 리프팅빔은 일반적으로 리프팅빔 하단에 전자석 등의 고정부가 형성되어, 고정부의 저면이 화물의 상단에 고정된 후, 크레인의 작동에 의해 화물이 집어 올려진 다음, 원하는 장소로 이동되도록 작동하는데, 이러한 리프팅빔의 화물 고정력이 유동적을 작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상기한 문제점은 리프팅빔의 고정부가 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서, 세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고정부와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화물이 서로 고정되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고정부와 화물은 서로 매우 좁은 면적이 부착, 고정되고, 이러한 상황은 리프팅빔의 화물 고정력 저하로 이어져 크레인 작업 중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0853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1989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익스텐션빔 구동장치의 제작비용 및 무게를 절감하고, 익스텐션빔 구동장치의 유지 보수 비용 및 고장 발생시 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대상 화물의 형상에 따라 리프팅빔을 수평으로 회전시켜 화물의 형상에 관계없이 리프팅빔의 화물 고정력이 견고한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빔을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 및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장치를 포함하는 메인빔과, 상기 메인빔의 양쪽 길이방향 외측 상단에 형성되어 익스텐션빔을 메인빔 내,외부로 이송시키는 익스텐션 구동부와, 상기 메인빔의 양쪽 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익스텐션 구동부에 의해 메인빔의 내,외측으로 이송되는 익스텐션빔과, 상기 메인빔의 중앙 저면에 형성된 제1 리프팅빔과, 상기 양쪽 익스텐션빔의 중앙 저면에 형성된 무빙 트롤리와, 상기 양쪽 무빙 트롤리의 하단에 각각 결합된 제2 리프팅빔과, 상기 메인빔 및 익스텐션빔의 양쪽 저면에 형성된 트롤리 이송장치와, 상기 양쪽 익스텐션빔의 외측단 저면에 형성된 제3 리프팅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익스텐션빔 구동부를 스프라켓 및 체인으로 형성하여, 익스텐션빔 구동부의 제작단가와 무게 및 유지 보수 비용과 수리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팅빔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작업 대상 화물의 형상에 따라 리프팀빔의 수평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이러한 작용은 리프팅빔과 화물 간의 부착 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효과는 리프팅빔과 화물의 견고한 고정으로 이어져 크레인 작업 중 리프팅빔과 화물이 분리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크레인의 작업 효율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 분해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빔의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익스텐션빔의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익스텐션빔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트롤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빔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익스텐션빔 구동부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이송장치의 작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길이방향 내측, 길이방향 외측, 폭방향 전면, 폭방향 후면은 도 1, 도2, 도3 에 도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메인빔(100)과, 익스텐션빔(200)과, 익스텐션 구동부(300)와, 제1 리프팅빔(400a)과, 제2 리프팅빔(400b)과, 제3 리프팅빔과, 무빙 트롤리(500)와, 트롤리 이송장치(6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빔(100)은 메인빔(100)을 수평 회전시키는 회전장치(160) 및 크레인의 작동에 필요한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장치(170)를 포함한다.
상기 익스텐션 구동부(300)는 메인빔(100)의 양쪽 길이방향 외측 상단에 형성되어, 익스텐션빔(200)을 메인빔(100)의 내,외부로 이송시킨다.
상기 익스텐션빔(200)은 메인빔(100)의 양쪽 외측 단부에 접속되어 익스텐션 구동부(300)에 의해 메인빔(100)의 내,외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1 리프팅빔(400a)은 메인빔(100)의 중앙 저면에 형성되어 화물을 고정한다.
상기 무빙 트롤리(500)는 메인빔(100)의 길이방향 외측 양쪽 저면에 형성되어, 하부의 제2 리프팅빔(400b)과 결합되고, 제2 리프팅빔(400b)의 작용은 제1 리프팅빔(400a)의 작용과 동일하다.
상기 트롤리 이송장치(600)는 메인빔(100) 및 익스텐션빔의 양쪽 저면에 형성되어 익스텐션빔(200)의 인입 거리의 1/2 거리만큼 무빙 트롤리를 이송시킨다.
상기 제3 리프팅빔(400c)은 양쪽 익스텐션빔(200)의 외측단 저면에 형성되어 화물을 고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빔의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빔(100)은 양쪽 길이방향 외측이 개방되고, 평면과 저면 일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이다. 메인빔(100)의 평면 중앙에는 메인빔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160)가 형성되고, 메인빔(100)의 폭방향 전면에는 크레인에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장치(170)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장치 및 유압장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빔(100)의 폭방향 전후에 형성된 벽체의 하부에는 무빙 트롤리(500)의 이송을 안내하는 트롤리 레일(1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트롤리 레일(1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무빙 트롤리의 이송을 제어하는 스톨퍼(120)가 포함될 수 있다.
메인빔(100)의 내부 폭방향 전후 벽체의 상부에는 제1 레일(13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 레일(14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레일(130)과 제2 레일(140)은 익스텐션빔(200)의 제1 롤러와 제2 롤러가 접촉되며 익스텐션빔(200)의 이송을 안내한다.
메인빔(100)의 중앙 저면에는 제1 리프팅빔(400a)이 결합되는 제1 리프팅빔 고정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리프팅빔 고정구는 폭방향 양측으로 형성된 2갈래의 포크가 리프팅빔(400)과 용접 등의 기계적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익스텐션빔의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텐션빔(200)은 내부에 보강재가 다수 형성된 사각형의 박스 형상이다. 익스텐션빔(200)은 메인빔(100)의 길이방향 양쪽 개구부에 접속된다.
익스텐션빔(200)의 폭방향 외측 단부 저면에는 제3 리프팅빔 고정구(210)가 형성된다. 상기 제3 리프팅빔 고정구(210)는 제1 리프팅빔 고정구(150)와 형상 및 작용이 동일하다.
익스텐션빔(200)의 폭방향 전후 벽체의 외부 상측 방향에는 제1 롤러(220)가 형성되고, 익스텐션빔(200)의 저면에는 제2 롤러(2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롤러(220) 및 제2 롤러(230)는 메인빔(100)의 제1 레일(130)과과 제2 레일(140)의 위치와 대응된다. 제1 롤러(220)의 상측 방향은 제1 레일(130)의 저면과 접촉된다. 제2 롤러(230)의 하측 방향은 제2 레일(140)의 평면과 접촉된다.
상기 익스텐션빔(200)의 평면 소정의 위치에는 이송체인 고정구(240)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체인 고정구(240)는 평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다. 이송체인 고정구(240)의 길이방향 양쪽 벽체에는 이송체인(340)이 고정되는 체인 고정공(250)이 형성되어 이송체인이 체인 고정공(250)에 결합된다. 체인 고정공(250)과 이송체인(340)은 볼트 체결 또는 용접 등의 기계적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익스텐션빔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익스텐션 구동부(300)는 메인빔(100)의 길이방향 외측 평면에 형성되어 익스텐션빔(200)을 메인빔(100)의 내,외부로 이송시킨다. 익스텐션 구동부(300)는 메인빔(100)의 길이방향 외측 평면에 형성된 모터(310) 및 구동스프라켓(320)과, 상기 구동스프라켓(320)과 체인 연결된 제1 피동스프라켓(330)과, 상기 제1 피동스프라켓(330)에서 길이방향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제2 피동스프라켓(350)과, 상기 제1 피동스프라켓(330) 및 제2 피동스프라켓(350)과 연결된 이송체인(3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피동스프라켓(330)은 2중으로 형성되어 폭방향 전면측 스프라켓에 모터(310)의 동력이 전달되고, 폭방향 후면측의 스프라켓에는 이송체인(340)이 연결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빔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빔(400)은 제1 리프팅빔(400a),제2 리프팅빔(400b), 제3 리프팅빔(400c)으로 형성된다. 제1 리프팅빔(400a)은 메인빔(100)의 중앙 저면에 형성된 제1 리프팅빔 고정구(150)를 통해 메인빔(100)과 결합되고, 정해진 위치에 고정 형성된다. 제2 리프팅빔(400b)은 익스텐션빔(200)의 중앙 저면에 형성된 무빙 트롤리(500)를 통해 익스텐션빔(200)과 결합되고, 익스텐션빔의 길이방향 이송에 따라서 같이 이송된다. 제3 리프팅빔(400c)은 익스텐션빔(200)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 저면에 형성된 제3 리프팅빔 고정구(210)를 통해 익스텐션빔(200)과 결합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빔(400)은 상부의 틸팅장치(410)와, 틸팅장치(410) 하측의 연결부(420)와, 연결부(420) 하측의 마그넷포트(430)를 포함한다.
상기 틸팅장치(410)는 리프팅빔(4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연결부(420)와 마그넷포트(43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틸팅장치(410)는 실린더 지지판(415)에 힌지 고정된 실린더(411)와, 상기 실린더(411)의 작동로드 단부와 편심 결합된 회전축(412)과, 상기 회전축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는 지지관(413)과, 상기 지지관(413)을 둘러싼 지지관 케이스(41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420)는 틸팅장치(410)의 하측에 형성되어 틸팅장치(410)와, 마그넷포트(430)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420)는 폭방향 양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서 회전축(412)의 하부가 접속되는 수평 연결구(421)와, 상기 수평 연결구(42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 연결구(423)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연결구(421)에는 회전축이 접속되는 회전축 접속공(42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연결구(423)는 체인 또는 강선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마그넷포트(430)는 연결부(420)의 하측에 형성되어 전자석의 작용으로 화물을 고정한다. 상기 마그넷포트(430)의 상세한 설명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트롤리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무빙 트롤리(500)는 메인빔(100)의 트롤리 레일(110)을 따라 무빙 트롤리(500)를 이송시키는 주행부(510)와, 상기 주행부(5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2 리프팅빔(400b)과 결합되는 결합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부(510)는 무빙 트롤리(500)의 폭방향 외측 상단에 형성된 상부 브라켓(511)과, 상기 양쪽 상부 브라켓(511)의 길이방향 내측 상부에 형성된 이송롤러(512)와, 상기 양쪽 상부 브라켓(511)의 길이방향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제1 와이어(640)가 권취된 제1 풀리(513)와, 상기 양쪽 상부 브라켓(511)의 길이방향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제2 와이어(670)가 권취된 제2 풀리(514)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롤러(512)는 하측방향이 메인빔(100)의 트롤리 레일(110)과 접촉된다. 상기 제1 풀리(513)는 제1 와이어(640)가 제1 풀리(513)의 외부 테두리를 일부 감싸는 형태로 권취되고, 상기 제2 풀리(514) 또한 제2 와이어(670)가 제2 풀리(514)의 외부 테두리를 일부 감싸는 형태로 권취된다.
상기 결합부(520)는 주행부(510)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520)는 상부 브라켓(511)의 저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리프팅빔(400b)과 결합하는 결합편(521)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편(521)은 제2 리프팅빔(400b)과 체결 또는 용접 등과 같은 기계적 수단으로 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 이송장치(600)는 익스텐션빔(200)의 길이방향 외측 저면에 형성된 제1a 와이어 고정구(610)와, 메인빔(100)의 길이방향 외측 저면에 형성된 제1b 와이어 고정구(620)와, 상기 제1a, 제1b 와이어 고정구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며 무빙 트롤리(500)의 제1 풀리(513)에 권취된 제1 와이어(640)와, 메채인빔(100)의 길이방향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제1 와이어(640)와 접촉하는 텐션롤러(630)와, 익스텐션빔(200)의 길이방향 내측 단부 저면에 형성된 제2a 와이어 고정구(650)와, 메인빔(100)의 길이방향 내측 저면에 형성된 제2b 와이어 고정구(660)와, 상기 제2a, 제2b 와이어 고정구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며 무빙 트롤리(500)의 제2 풀리(514)에 권취된 제2 와이어(6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와이어(640)는 무빙 트롤리(500)의 제1 풀리(513)의 일부분을 권취하며 180도 방향이 전환되어 양쪽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670) 또한 무빙 트롤리(500)의 제2 풀리(514)의 일부분을 권취하며 180도 방향이 전환되어 양쪽 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제1a 와이어 고정구(610)와, 제2a 와이어 고정구(650)는 익스텐션빔(200)의 저면에 형성되어 익스텐션빔(200)의 이송에 따라 위치가 변환된다. 상기 제1b 와이어 고정구(620)와 제2b 와이어 고정구(660)는 메인빔(100)의 저면에 형성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제1 와이어(640) 및 제2 와이어(670)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구는 턴버클 등과 같은 여러가지 기계적 수단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빔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린더(411)의 작동에 따라 실린더의 작동로드에 편심 결합된 회전축(412)이 회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한 회전축(412)의 회전작용에 따라 회전축(412)과 결합된 수평 연결구(421) 및 수직 연결구(42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최하단의 마그넷포트(43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마그넷포트(430)의 회전작용은 마그넷포트(430)의 회전에 의해 집어 올려야 할 화물과의 부착 면적을 최대화 하여 리프팅빔(400)과 화물의 고정력을 견고하게 한다. 예를 들면, 화물이 길이방향으로 긴 화물일 때에는 마그넷포트(430)을 길이방향으로 길어지게 회전시키고, 반대로 화물이 폭방향으로 긴 화물일 때는 마그넷포트(430)을 90도 또는 필요한 각도 만큼 회전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익스텐션빔 구동부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10)의 작동에 따라 구동스프라켓(320)과 제1 피동스프라켓(330)이 회전을 하면, 제1 피동스프라켓(330) 및 제2 피동스프라켓(350)과 연결된 이송체인(34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한 이송체인(340)과 이송체인 고정구(240)를 통해 결합된 익스텐션빔(200)은 이송체인(340)의 움직임에 따라 메인빔(100)의 내,외부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션빔 구동부(300)는 제작비용 및 부품의 무게가 크게 절감되고, 유지 보수 비용 및 고장 발생시 부품의 교체에 필요한 비용 또한 크게 절감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이송장치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익스텐션빔(200)의 길이방향 이동에 따라 제1a 와이어 고정구(610)와 제2a 와이어 고정구(650)는 이동된다. 하지만 제1a 와이어 고정구(610)와, 제2a 와이어 고정구(650)는 메인빔(100)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가변 와이어 고정구와 고정 와이어 고정구의 작용에 의해 제1 와이어(640)와 제2 와이어(670)의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무빙 트롤리(500)는 익스텐션빔(200)의 같이 길이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무빙 트롤리(500)는 익스텐션빔(200)의 길이방향 이송거리의 1/2 거리만큼 이송된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메인빔 110: 트롤리 레일
120: 스톱퍼 130: 제1 레일
140: 제2 레일 150: 제1 리프팅빔 고정구
200: 익스텐션빔 210: 제3 리프팅빔 고정구
220: 제1 롤러 230: 제2 롤러
240: 이송체인 고정구 250: 체인 고정구
300: 익스텐션 구동부 310: 모터
320: 구동스프라켓 330: 제1 피동스프라켓
340: 이송체인 350: 제2 피동스프라켓
400: 리프팅빔 400a: 제1 리프팅빔
400b:제2 리프팅빔 400c: 제3 리프팅빔
410: 틸팅장치 411: 실린더
412: 회전축 413: 지지관
414: 지지관 케이스 415: 실린더 지지판
420: 연결부 421: 수평 연결구
422: 회전축 접속공 423: 수직 연결구
430: 마그넷포트 500: 무빙 트롤리
510: 주행부 511: 상부 브라켓
512: 이송롤러 513: 제1 풀리
514: 제2 풀리 520: 결합부
521: 결합편 600: 트롤리 이송장치
610: 제1a 와이어 고정구 620: 제1b 와이어 고정구
630: 텐션롤러 640: 제1 와이어
650: 제2a 와이어 고정구 660: 제2b 와이어 고정구
670: 제2 와이어

Claims (6)

  1. 메인빔(100)을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160) 및 크레인에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장치(170)를 포함하는 메인빔(100)과,
    상기 메인빔(100)의 양쪽 길이방향 외측 상단에 형성되어 익스텐션빔(200)을 메인빔(100) 내,외부로 이송시키는 익스텐션 구동부(300)와,
    상기 메인빔(100)의 양쪽 외측 개구부에 형성되어 익스텐션 구동부(300)에 의해 메인빔(100)의 내,외측으로 이송되는 익스텐션빔(200)과,
    상기 메인빔(100)의 중앙 저면에 형성된 제1 리프팅빔(400a)과,
    상기 메인빔(100)의 길이방향 외측 양쪽 저면에 형성된 무빙 트롤리(500)와,
    상기 양쪽 무빙 트롤리(500)의 하단에 각각 결합된 제2 리프팅빔(400b)과,
    상기 메인빔(100) 및 익스텐션빔(200)의 양쪽 저면에 형성된 트롤리 이송장치(600)와,
    상기 양쪽 익스텐션빔(200)의 외측단 저면에 형성된 제3 리프팅빔(400c)을 포함하되,
    상기 트롤리 이송장치(600)는 익스텐션빔(200)의 길이방향 외측 저면에 형성된 제1a 와이어 고정구(610)와,
    메인빔(100)의 길이방향 외측 저면에 형성된 제1b 와이어 고정구(620)와,
    상기 제1a, 제1b 와이어 고정구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며 무빙 트롤리(500)의 제1 풀리(513)에 권취된 제1 와이어(640)와,
    메인빔(100)의 길이방향 외측단 하부에 형성되어 제1 와이어(640)와 접촉하는 텐션롤러(630)와,
    익스텐션빔(200)의 길이방향 내측 단부 저면에 형성된 제2a 와이어 고정구(650)와,
    메인빔(100)의 길이방향 내측 저면에 형성된 제2b 와이어 고정구(660)와,
    상기 제2a, 제2b 와이어 고정구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며 무빙 트롤리(500)의 제2 풀리(514)에 권취된 제2 와이어(6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리프팅빔(400a), 제2 리프팅빔(400b), 제3 리프팅빔(400c)은
    리프팅빔의 상단에 형성되어 리프팅빔을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틸팅장치(410)와,
    상시 틸팅장치(410)의 저면에 형성되어 틸팅장치(410)와 마그넷포트(430)를 연결하는 연결부(420)와
    상기 연결부(420)의 하단에 형성되어 화물을 전자석의 힘으로 고정시키는 마그넷포트(430)를 포함하되,
    상기 틸팅장치(410)는 리프팅빔의 상단 일측에 힌지 고정된 실린더(411)와,
    상기 실린더(411)의 작동로드와 편심 결합된 회전축(412)과
    상기 회전축(412)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지지관(413)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420)는 회전축(412)의 하부에 접속 결합된 수평 연결구(421)와,
    상기 수평 연결구(421)의 양측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 연결구(4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익스텐션 구동부(300)는 메인빔의 양쪽 길이방향 외측 상단에 형성된 모터(310) 및 구동스프라켓(320)과,
    상기 구동스프라켓(320)과 체인 연결된 제1 피동스프라켓(330)과,
    상기 제1 피동스프라켓에서 길이 방향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제2 피동스프라켓과,
    상기 제1 피동스프라켓(330) 및 제2 피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이송체인(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4. 청구항 1에 있어서,
    무빙 트롤리(500)는 주행부(510)와 결합부(520)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부(510)는 폭 방향 전후 양쪽 상단에 형성된 상부 브라켓(511)과,
    상기 양쪽 상부 브라켓(511)의 길이방향 내측 상부에 형성된 이송롤러(512)와,
    상기 양쪽 상부 브라켓(511)의 길이방향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제1 와이어가 권취된 제1 풀리(513)와,
    상기 양쪽 상부 브라켓(511)의 길이방향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제2 와이어가 권취된 제2 풀리(514)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520)는 상부 브라켓(511)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리프팅빔(400b)과 결합하는 결합편(5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5. 삭제
  6. 청구항1에 있어서
    익스텐션빔(200)은 내부에 보강재가 다수 형성된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서,
    익스텐션빔(200)의 폭방향 외측 단부 저면에 형성되어 제3 리프팅빔(400c)과 결합되는 제3 리프팅빔 고정구(210)와,
    익스텐션빔(200)의 폭방향 전후 벽체의 외부 상측 방향에 형성되어 메인빔(100)의 제1 레일(130)과 접촉되는 제1 롤러(220)와,
    익스텐션빔(200)의 저면 외부에 형성되어 메인빔(100)의 제2 레일과 접촉되는 제2 롤러(230)와
    익스텐션빔(200)의 평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익스텐션 구동부(300)의 이송체인(340)이 결합되는 이송체인 고정구(240)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체인 고정구(240)는 길이방향 양쪽 벽체에 형성되어 이송체인이 결합 고정되는 체인 고정공(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KR1020150115818A 2015-08-18 2015-08-18 크레인 KR101585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18A KR101585858B1 (ko) 2015-08-18 2015-08-18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18A KR101585858B1 (ko) 2015-08-18 2015-08-18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858B1 true KR101585858B1 (ko) 2016-01-15

Family

ID=5517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18A KR101585858B1 (ko) 2015-08-18 2015-08-18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8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121A (ko) *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영선이엔지 중량물 이송장치
CN112389604A (zh) * 2020-12-03 2021-02-23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平面分段流水线的分段抬升梁
KR102653513B1 (ko) * 2023-11-28 2024-04-03 김성주 스마트 무인 교량 구조물 인양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0360A (ja) * 2000-03-01 2001-09-04 Sankyu Inc 長尺材吊り具
KR200334043Y1 (ko) * 2003-08-18 2003-11-20 김형기 리프팅 빔 구동장치
KR200459359Y1 (ko) * 2010-06-24 2012-03-23 (주)아모레퍼시픽 상자 적재 장치
KR20130019896A (ko) 2011-08-18 2013-02-27 현대위아 주식회사 크레인용 익스텐션 빔 장치
KR20150008532A (ko) 2013-07-15 2015-0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의 리프팅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0360A (ja) * 2000-03-01 2001-09-04 Sankyu Inc 長尺材吊り具
KR200334043Y1 (ko) * 2003-08-18 2003-11-20 김형기 리프팅 빔 구동장치
KR200459359Y1 (ko) * 2010-06-24 2012-03-23 (주)아모레퍼시픽 상자 적재 장치
KR20130019896A (ko) 2011-08-18 2013-02-27 현대위아 주식회사 크레인용 익스텐션 빔 장치
KR20150008532A (ko) 2013-07-15 2015-0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의 리프팅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121A (ko) *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영선이엔지 중량물 이송장치
KR102179790B1 (ko) * 2019-03-27 2020-11-17 주식회사 영선이엔지 중량물 이송장치
CN112389604A (zh) * 2020-12-03 2021-02-23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平面分段流水线的分段抬升梁
CN112389604B (zh) * 2020-12-03 2024-03-26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平面分段流水线的分段抬升梁
KR102653513B1 (ko) * 2023-11-28 2024-04-03 김성주 스마트 무인 교량 구조물 인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858B1 (ko) 크레인
CN103111778B (zh) 吸盘吊装装置及板件拼焊物流输送系统
JP5127535B2 (ja) シャトル式門型クレーン
CN103663168B (zh) 一种风机叶片搬运专用起重机
KR101510273B1 (ko) 행거
CN104594944A (zh) 高效安全型矿用液压支架安装运输车
CN111776927B (zh) 一种适用于风力发电塔筒运输及安装的吊运工装
US20080206027A1 (en) Apparatus for Carrying a Load
CN103233752A (zh) 一种用于隧道掘进机的物料吊运装置
CN105270781A (zh) 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工具及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系统
KR20150008532A (ko) 크레인의 리프팅 장치
CN106006472A (zh) 一种窄巷道多向堆垛车
JP6128085B2 (ja) 昇降装置および補助駆動ユニット
KR100930319B1 (ko) 판재 리프터
KR100847906B1 (ko) 멀티 크레인
KR101772959B1 (ko) 로프인양장치
JP6504946B2 (ja) 流体機材搬出設備及び流体機材搬出方法
KR20140122488A (ko)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KR200424489Y1 (ko) 싱글레일형 크레인 구조
CN205076302U (zh) 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工具中的固定式连接机构
JP2017159968A (ja) 門型クレーンの固定方法
CN208868819U (zh) 一种圆线杆纵向链条输送机
KR200366261Y1 (ko) 호이스트
KR101933174B1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KR200215373Y1 (ko) 크레인의 이송장치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