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261Y1 - 호이스트 - Google Patents

호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261Y1
KR200366261Y1 KR20-2004-0020486U KR20040020486U KR200366261Y1 KR 200366261 Y1 KR200366261 Y1 KR 200366261Y1 KR 20040020486 U KR20040020486 U KR 20040020486U KR 200366261 Y1 KR200366261 Y1 KR 200366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otor
hoist
main fram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래
Original Assignee
반도종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종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반도종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0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2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2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66C11/20Arrangements, e.g. comprising differential gears, enabling simultaneous or selective operation of travelling and hoisting gear; Arrangements using the same rope or cable for both travelling and hoisting, e.g. in Temperley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로프가 권선된 와이어드럼(111)을 권상모터(115)의 구동으로 회전시켜 하부에 와이어로프로 결합된 권취쉬브(113)가 형성된 후크(114)에 권취된 물체를 상하로 이송하면서 횡행으로 주행하여 물체를 이송하는 호이스트(100)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으로 와이어드럼(111)과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출력축(122)으로 직결되도록 측면으로 취부하고, 타측으로 내부 측면으로 취부된 권상모터(115)와 모터축(124)을 결합하여 권상모터(115)와 연동하면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형성하며, 모터축(124)과 연동되도록 형성한 브레이크축(123)을 외측으로 형성한 감속부(120)와, 상기 감속부(120)의 외측으로 형성된 브레이크축(123)에 결합되어 제어부(135)의 동작으로 와이어드럼(111)을 정지하도록 형성한 브레이크부(130)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후 하부에 각 모서리 측으로 횡행 주행하는 차륜(142)을 형성하고, 메인프레임(110)의 전면 내측의 양측부로 차륜(142)과 연결되도록 주행감속기(143)와 브레이크(144)가 후측으로 설치된 주행모터(141)를 결합시키며, 차륜의 상부로 커버(145)를 형성하여 주행모터(141)의 구동으로 차륜(142)을 회전하여 호이스트(100)를 횡행 이동시키는 주행부(140)와,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권상모터(115), 감속부(120), 브레이크부(130) 및 주행부(140)의 결합부분에 체결수단(151)으로 체결하여 결합하도록 형성한 결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호이스트 {Hoist}
본 고안은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체를 이송하는 호이스트의 메인프레임에 측면으로 기어를 연동되도록 내장시켜 오일을 주입한 일체형 케이스가 형성된 감속부, 권상모터 및 브레이크를 와이어드럼과 연동되도록 플랜지 타입으로 직결하여 설치함으로써, 메인프레임의 크기를 축소함에 따른 중량 및 부피를 최소화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감속부, 브레이크 및 주행부 등의 설치요소를 블록화 하여 설치와 교체가 간편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감소되며, 감속부와 연결되는 연결축을 치차로 가공시켜 연결됨에 따라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연결되는 연결력을 향상시키고, 와이어로프가 권선되어 물체를 상부로 권상하는 권취쉬브와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쉬브를 평행되도록 같은 방향으로 형성하여 직선으로 물체를 권상시킴에 따라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생산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는 창고, 철도역 등에서 화물의 운반이나 공장에서의 기계분해, 조립에 사용된다.
이런, 호이스트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짐을 오르내리는 기계장치의 하나로 원동기, 기어감속장치, 감기통 등을 한 조로 하고 권상용(捲上用) 로프 끝에 훅(hook)을 장치하여 화물을 들어올린다.
상기 호이스트의 종류는 전기 호이스트, 공기 호이스트 등이 있으며, 전기호이스트는 소형의 전동기(電動機), 행성(行星)기어식 가속장치가 달린 권동(捲胴), 화물을 잡고 있는 전자기 브레이크, 짐을 내릴 때의 속도를 조절하는 하중(荷重)브레이크 등을 좁은 용기 공간에 집중시킨 소형권상기(捲上機)이다. 지브(jib) 끝에 붙이거나 또는 아이(I)형 빔의 아래쪽 플랜지를 레일로 주행하며 화물을 오르내려 운반하는 데 쓰인다. 땅에서 로프를 조작하여 전동기를 움직이는 방식, 버튼을 움직이는 방식, 원격조작(遠隔操作)하는 방식 등이 있다. 호이스트는 사용하는 장소와 기계의 구조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다. 천장이 낮은 곳에서 사용하는 로헤드형, 2개의 레일 위를 주행하는 더블레일형 등이 있으며, 탄광이나 화학공장에서는 가스폭발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공기 호이스트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물체를 권상하여 횡행 이송하는 종래 기술의 호이스트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체를 상부로 권상하도록 메인프레임(11)의 상부에 와이어로프를 권선시켜 형성된 와이어드럼(12)의 일측으로 권상모터(13)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15)와 권상을 중지하는 브레이크(16)를 권상모터(13)와 중간축(14)으로 연결하되, 중간축(14)은 와이어드럼(12)의 내부 중앙에 지지되도록 형성하고, 메인 프레임(11)의 하부 전후로 차륜(18)을 주행모터(17)와 결합시켜 주행모터(17)의 구동으로 차륜(18)을 회전하여 횡행 주행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중간축(14)이 형성된 호이스트(10)는 권상모터(13)를 구동시키면 타측에 중간축(14)으로 연결된 감속기(15)에서 속도를 조절하면서 물체를 권상하여 주행모터(13)로 구동되는 차륜(18)을 회전시켜 물체를 이송하고 전원 차단, 고장 등과 같은 비상시에 중간축(14)에 선단에 형성된 브레이크(16)를 작동시켜 권상을 중지한다.
상기 종래 기술의 호이스트(10)는 권상모터(13)와 연결된 중간축(14)이 와이어드럼(12)의 내부를 거쳐 타측으로 형성된 감속기(15)와 브레이크(16) 까지 연장 형성됨으로써, 동력을 전달하는 중간축(14)의 길이가 길어져서 동력의 손실이 발생하고, 와이어드럼(12)의 폭이 증가하면 중간축(14)도 연장되어야 함으로 일정 범위 이상 와이어드럼(12)의 폭을 증가 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호이스트(10)는 와이어 드럼(12)의 양단으로 연장 형성된 중간축(14)의 회전에 의해 물체를 권상함에 따라 긴 중간축(14)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파손의 위험성 증대를 우려하여 일정 범위의 속도 내에서 작동됨에 따라, 권상모터(13) 용량 및 속도에 한계가 있으므로, 이송되는 물체의 중량에도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속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하중이 큰 물체를 이송하도록 구성된 종래기술의 호이스트를 도 2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체를 권상하도록 와이어로프가 권선된 와이어드럼(22)의 일측으로 브레이크(25)가 구비된 권상모터(23)와 연동되도록 연결된 감속기(24)를 형성하여 권상모터(23)가 회전하면 동력을 전달하여 와이어드럼(22)이 회전되도록 형성하되, 감속기(24)와 권상모터(23)는 와이어 드럼(22)이 형성된 메인프레임(21)의 상부에 수평 고정되도록 형성하고, 메인프레임(21)의 전후 하부에 차륜(29)을 형성하고, 차륜(28)의 일측으로 주행감속기(27)와 주행브레이크(26a)가 구비된 주행모터(26)를 연동되도록 형성하여 모터의 구동을 횡행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 기술의 호이스트(20)는 와이어드럼(22), 권상모터(23), 브레이크(25), 감속기(24), 주행모터(26), 주행감속기(27) 및 차륜(29)이 메인프레임의 상하부에 수평 고정되어 설치됨으로써, 각 요소의 수평으로 설치되는 공간이 넓어져서 구조물의 크기가 커지고 이에 따른 중량이 증대하여 주행장치의 용량이 증대하고 설치 및 가공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와이어드럼(22)과 와이어로프를 지지하는 지지쉬브(29)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권상 시에 물체와의 각도 차에 의한 동력의 손실이 발생하여 이송 물체보다 큰 용량의 권상모터(23)를 사용하여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감속기(24)를 상하로 구분되는 케이스에 기어를 형성하여 내부에 오일을 내재한 상태로 권상모터(23)와 와이어드럼(22)이 연동되도록 연결함에 따라 장시간 운행하면 결합부에서 오일이 누수되고, 감속기(24)와 권상모터(23) 및 와이어드럼(22)과 결합 시에 억지끼움 결합으로 연결하여 분해 조립이 어렵고 보수 작업이 난해하여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와이어드럼이 취부되는 메인프레임의 측부에 플랜지 타입으로 권상모터, 감속부, 브레이크 및 주행부를 직결하여 메인프레임의 크기를 최소화 하고 중량을 감소시켜 주행부의 용량을 절감하며, 가공비 및 설치비를 최소화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플랜지 타입으로 결합되는 권상모터의 용량 및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이송하는 물체의 하중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므로 범용성을 확대하고, 직결로 연결시켜 기동 시 가변속에 의한 충격을 극소화하여 기동용량을 축소시킴에 따라 권상모터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경제적이며, 충격의 발생을 억제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드럼을 구동하는 권상모터와 와이어드럼을 제동하는 브레이크와 결합하여 속도를 감속하면서 연동하는 감속기는 내부에 기어가 내장된 일체형 케이스에 형성하여 오일의 누수를 최소화하고, 내재된 기어의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 치차를 형성하여 치차 결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며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 프레임의 측면에 취부되는 권상모터, 브레이크, 감속기 및 주행부의 결합측 체결부분에 체결홈을 서로 마주보면서 결합 시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양측에 가공하여 체결홈으로 형성된 공간에 디스턴스 칼라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각 결합부분의 전체를 가공하지 않고 체결되는 체결부분 만을 가공 결합시켜 가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송할 물체를 권상하도록 형성된 후크의 권취쉬브와 연결되어 와이어드럼의 와이어로프 이송 시에 상부에서 지지하는 지지쉬브가 권취쉬브와 평행되도록 연결하여 각도에 따른 동력 손실을 최소화 하는데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프레임에 체결되는 권상모터, 감속부, 브레이크부 및 주행부가 각각 블록으로 형성되어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고 고장 발생 시에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비용을 절감시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간축이 형성된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부품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이스트 110 : 메인프레임
111 : 와이어드럼 112 : 지지쉬브
113 : 권취쉬브 114 : 후크
115 : 권상모터 120 : 감속부
121 : 케이스 122 : 출력축
123 : 브레이크축 124 : 모터축
125 : 에어밴트 126 : 오일 게이지
127 : 드레인 130 : 브레이크부
131 : 드럼 132 : 연결축
133 : 라이닝 134 : 스프링
135 : 제어부 140 : 주행부
141 : 주행모터 142 : 차륜
143 : 주행감속기 144 : 브레이크
145 : 커버 150 : 결합부
151 : 체결수단 152 : 체결홈
153 : 디스턴스 칼라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호이스트는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로프가 권선된 와이어드럼을 권상모터의 구동으로 회전시켜 하부에 와이어로프로 결합된 권취쉬브가 형성된 후크에 권취된 물체를 상하로 이송하면서 횡행으로 주행하여 물체를 이송하는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으로 와이어드럼과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출력축으로 직결되도록 측면으로 취부하고, 타측으로 내부 측면으로 취부된 권상모터와 모터축을 결합하여 권상모터와 연동하면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형성하며, 모터축과 연동되도록 형성한 브레이크축을 외측으로 형성한 감속부와, 상기 감속부의 외측으로 형성된 브레이크축에 결합되어 제어부의 동작으로 와이어드럼을 정지하도록 형성한 브레이크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후 하부에 각 모서리 측으로 횡행 주행하는 차륜을 형성하고, 메인프레임의 전면 내측의 양측부로 차륜과 연결되도록 주행감속기와 브레이크가 후측으로 설치된 주행모터를 결합시키며, 차륜의 상부로 커버를 형성하여 주행모터의 구동으로 차륜을 회전하여 호이스트를 횡행 이동시키는 주행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권상모터, 감속부, 브레이크부 및 주행부의 결합부분에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결합하도록 형성한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와이어드럼과 연동되면서 물체를 이송하는 후크에 와이어로프가 권선되는 권취쉬브와 와이어드럼의 후측에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지지쉬브를 평행되는 방향으로 형성하여 와이어드럼의 회전으로 상하로 이송하는 권취쉬브를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속부는 메인프레임의 측부에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도록 일체형으로 내부에 복수의 기어와 오일을 주입한 케이스를 형성하고, 메인프레임과 결합되는 일측으로 기어와 연동되면서 와이어드럼과 결합되는 출력축을 형성하며, 타측으로 기어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권상모터와 결합되는 모터축을 형성하고, 케이스의 외측으로 모터축과 연동되면서 브레이크와 결합되는 브레이크축을 형성하며, 케이스의 상부에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벤트를 형성하고, 케이스의 전면에 내부 오일의 양을 표시하는 오일게이지와 오일을 드레인하는 드레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속부에 형성된 출력축, 모터축, 브레이크축을 치차로 가공하여 케이스의 내부의 기어와 치차 결합하고, 와이어드럼과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출력축과, 권상모터와 연동되도록 결합하는 모터축 및 브레이크부와 결합되는 브레이크축의 선단을 치차로 가공하여 치차 결합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감속부의 외측으로 형성된 브레이크축과 드럼이 형성된 연결축을 연결하여 권상모터와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형성하고, 드럼의 양측으로 스프링으로 지지된 라이닝을 형성하여 상부에 형성된 제어부의 조작으로 라이닝을 중앙 측으로 향하면서 드럼과 접촉하여 정지시키도록 케이스에 결합부로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는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권상모터, 감속부, 브레이크 부 및 주행부의 결합부분에 일정 깊이의 체결홈을 각각 형성하고, 각 체결홈에 디스턴스 칼라를 삽입한 상태로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부품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호이스트(100)는 와이어로프가 권선된 와이어드럼(111)을 상부에 형성하고, 일측으로 와이어드럼(111)을 회전시키는 권상모터(115)가 설치된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측부에 취부되어 권상모터(115)의 구동력을 속도를 조절하면서 와이어드럼(111)에 전달하여 회전하도록 형성한 감속부(120)와, 상기 감속부(120)의 일측에 고정되어 권상모터(115)의 구동력을 비상시에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부(130)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주행모터(141)와 연동되는 차륜(142)을 형성하여 호이스트(100)를 횡행 주행시키는 주행부(140)와,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권상모터(115), 감속부(120), 브레이크부(130) 및 주행부(140)의 결합부분에 체결수단(151)으로 결합하는 결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된 와이어드럼(111)과 연동되면서 물체를 이송하는 후크(114)에 와이어로프가 권선되도록 형성된 권취쉬브(113)와 와이어드럼(111)의 후측에 메인프레임(110)에 와이어로프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지지쉬브(112)를 평행되는 방향으로 형성하여 와이어드럼(111)의 회전으로 상하로 이송하는 권취쉬브(113)를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감속부(120)는 상기 감속부(120)는 메인프레임(110)의 측부에 체결수단(151)으로 결합되도록 일체형으로 내부에 복수의 기어와 오일을 주입한 케이스(121)를 형성하고, 메인프레임(110)과 결합되는 일측으로 기어와 연동되면서 와이어드럼(111)과 결합되는 출력축(122)을 형성하며, 타측으로 기어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권상모터(115)와 결합되는 모터축(124)을 형성하고, 케이스(121)의 외측으로 모터축(124)과 연동되면서 브레이크(130)와 결합되는 브레이크축(123)을 형성하며, 케이스(121)의 상부에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벤트(125)를 형성하고, 케이스(121)의 전면에 내부 오일의 양을 표시하는 오일게이지(126)와 오일을 드레인하는 드레인(127)을 구성한다.
또한, 감속부(120)에 형성된 출력축(122), 모터축(124), 브레이크축(123)을 치차로 가공하여 케이스(121)의 내부의 기어와 치차 결합하고, 와이어드럼(111)과연동되도록 결합되는 출력축(122)과, 권상모터(115)와 연동되도록 결합하는 모터축(124) 및 브레이크부(130)와 결합되는 브레이크축(123)의 선단을 치차로 가공하여 치차 결합시키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출력축(122), 모터축(124), 브레이크축(123) 및 그 결합부에 형성되는 치차는 인볼류트 스플라인 치차를 사용하여 회전와 분해 조립이 용이하면서 효율을 증대시킬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크부(130)는 감속부(120)의 외측으로 형성된 브레이크축(123)과 드럼(131)이 형성된 연결축(132)을 연결하여 권상모터(115)와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형성하고, 드럼(131)의 양측으로 스프링(134)으로 지지된 라이닝(133)을 형성하여 상부에 형성된 제어부(135)의 조작으로 라이닝(133)을 중앙 측으로 향하면서 드럼(131)과 접촉하여 정지시키도록 케이스(121)에 결합부(150)로 결합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브레이크부(130)은 드럼(131)을 이용하여 브레이킹력을 배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호이스트(100)의 용량과 위치에 따라 디씨 디스크 브레이크 (DC Disc Brake)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브레이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주행부(140)는 메인프레임(110)의 전후 하부에 각 모서리 측으로 횡행 주행하는 차륜(142)을 형성하고, 메인프레임(110)의 전면 내측의 양측부로 차륜(142)과 연결되도록 주행감속기(143)와 브레이크(144)가 후측으로 설치된 주행모터(141)를 결합하며, 차륜의 상부로 커버(145)를 형성하여 주행모터(141)의 구동으로 차륜(142)을 회전하여 호이스트(100)를 횡행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결합부(150)는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권상모터(115), 감속부(120), 브레이크부(130) 및 주행부(140)의 결합부분에 일정 깊이의 체결홈(152)을 각각 형성하고, 각 체결홈(152)에 디스턴스 칼라(153)를 삽입한 상태로 체결수단(151)으로 체결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이어로프가 권선된 와이어드럼(111)의 하부와 측부를 지지하도록 메인프레임(110)을 형성하고, 와이어드럼(111)을 회전시키는 권상모터(115)를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측부에 플랜지 타입으로 결합부(150)의 체결수단(151)으로 결합 설치하고, 권상모터(115)와 와이어드럼(111)이 연동되면서 속도를 조절하도록 감속부(120)의 출력축(122)을 와이어드럼(111)에 결합하고, 모터축(124)을 권상모터(115)에 결합하여 메인프레임(110)의 측부에 결합부(150)의 체결수단(151)으로 체결 고정 설치한다.
이때, 감속부(120)는 내부에 복수의 기어가 치차 결합되어 오일이 주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기어의 회전 비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도록 형성하고, 상부에 형성된 에어밴트(125)에서 내부에 발생되는 공기를 제거하고, 내부의 오일량을 체크하는 오일게이지(126)와 오일을 교환하도록 배출하는 드레인(127)을 전면에 형성한 이음부분이 없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121)의 측부에 메인프레임(110)과 결합되는 일측으로 와이어드럼(111)과 결합되는 출력축(122)의 단부를 치차 가공하여 치차 결합하고, 메인프레임(110)과 결합되는 타측으로 권상모터(115)와 결합되는 모터축(124)의 선단을 치차 가공하여 치차 결합하며, 케이스(121)의 타 측부로 모터축(124)과 연동되면서 브레이크부(130)가 결합되는 브레이크축(123)을 치차 가공하여치차 결합 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감속부(120)를 메인프레임(110)의 측부에 결합부(150)의 체결수단(151)으로 설치하고 출력축(122)에 연결된 와이어드럼(111)이 모터축(124)에 연결된 권상모터(115)의 구동으로 연동되도록 형성하고, 감속부(120) 케이스(121)의 타 측부에 형성된 브레이크축(123)에 브레이크부(130)를 결합하여 케이스(121)에 결합부(150)의 체결수단(151)으로 설치되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결합부(150)는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권상모터(115), 감속부(120), 브레이크부(130) 및 주행부(140)의 결합부분에 일정 깊이의 체결홈(152)을 각각 형성하고, 각 체결홈(152)에 디스턴스 칼라(153)를 삽입한 상태로 체결수단(151)으로 체결하여 결합한다.
상기 와이어드럼(111)에 형성된 와이어로프는 하부에 물체를 취부하는 후크(114)와 결합된 권취쉬브(113)를 거쳐서, 권취쉬브(113)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메인프레임(110)에 형성된 지지쉬브(112)에 고정되도록 형성하여 와이어드럼(111)의 회전으로 후크(114)에 취부된 물체가 상하로 이송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의 각 모서리 부분에 레일을 타고 이송되며 상부에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도록 커버(145)가 구비된 바퀴 형태의 차륜(142)을 형성하고, 메인프레임(110)의 전면에 형성된 양측부의 차륜(142)에 메인프레임(110)의 측부에서 중앙을 향하는 측으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고정되는 일체형 케이스를 구비한 주행감속기(143)와 브레이크(144)를 구비한 주행모터(141)를 각각 형성하여 주행모터(141)의 구동으로 차륜(142)이 회전하여 호이스트(100)를 횡행 이송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호이스트(100)를 구동하기 위해서 후크(114)에 물체를 취부한 상태에서 호이스트(100)의 전원을 인가하면 브레이크부(130)의 제어부(135)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스프링(134)으로 지지된 라이닝(133)이 벌어져서 감속부(120)의 브레이크축(123)과 연결축(132)으로 결합된 드럼(131)이 회전될 수 있도록 브레이킹력을 해제한다.
여기서, 고장이나 비상시에 전원이 차단되면 제어부(135)의 제어력이 상실되면서 스프링(134)력에 의하여 라이닝(133)이 중앙측으로 이동하면서 드럼(131)과 접촉하여 호이스트(100)를 정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부(130)의 브레이킹력이 해제 되면 권상모터(115)를 회전시켜 연동되는 감속부(120)가 회전하면서 출력축(122)이 회전하여 와이어드럼(111)을 회전시켜 물체가 취부된 후크(114)가 상부로 이송하게 된다.
여기서, 후크(114)에 형성된 권취쉬브(113)와 메인프레임(110)에 형성된 지지쉬브(112)를 평행되도록 형성하여 상하 이송 시에 권취쉬브(113)과 지지쉬브(112)의 각도차에 의한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 한다.
이렇게, 물체를 상부로 이송한 상태에서 주행부(140)의 주행모터(141)를 구동시켜 일체형 케이스가 형성된 주행감속기(143)가 속도를 조절하면서 커버(145)가 구비된 차륜(142)이 회전하여 원하는 장소로 물체를 횡행 이송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호이스트는 와이어드럼이 취부되는 메인프레임의 측부에 플랜지 타입으로 권상모터, 감속부, 브레이크 및 주행부를 직결하여 메인프레임의 크기를 최소화 하고 중량을 감소시켜 주행부의 용량을 절감하며, 가공비 및 설치비를 최소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플랜지 타입으로 결합되는 권상모터의 용량 및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이송하는 물체의 하중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므로 범용성을 확대하고, 직결로 연결시켜 기동 시 가변속에 의한 충격을 극소화하여 기동용량을 축소시킴에 따라 권상모터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경제적이며, 충격의 발생을 억제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와이어드럼을 구동하는 권상모터와 와이어드럼을 제동하는 브레이크와 결합하여 속도를 감속하면서 연동하는 감속기는 내부에 기어가 내장된 일체형 케이스에 형성하여 오일의 누수를 최소화하고, 내재된 기어의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 치차를 형성하여 치차 결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며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메인 프레임의 측면에 취부되는 권상모터, 브레이크, 감속기 및 주행부의 결합측 체결부분에 체결홈을 서로 마주보면서 결합 시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양측에 가공하여 체결홈으로 형성된 공간에 디스턴스 칼라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각 결합부분의 전체를 가공하지 않고 체결되는 체결부분 만을 가공 결합시켜 가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송할 물체를 권상하도록 형성된 후크의권취쉬브와 연결되어 와이어드럼의 와이어로프 이송 시에 상부에서 지지하는 지지쉬브가 권취쉬브와 평행되도록 연결하여 각도에 따른 동력 손실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메인프레임에 체결되는 권상모터, 감속부, 브레이크부 및 주행부가 각각 블록으로 형성되어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고 고장 발생 시에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로프가 권선된 와이어드럼(111)을 권상모터(115)의 구동으로 회전시켜 하부에 와이어로프로 결합된 권취쉬브(113)가 형성된 후크(114)에 권취된 물체를 상하로 이송하면서 횡행으로 주행하여 물체를 이송하는 호이스트(100)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으로 와이어드럼(111)과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출력축(122)으로 직결되도록 측면으로 취부하고, 타측으로 내부 측면으로 취부된 권상모터(115)와 모터축(124)을 결합하여 권상모터(115)와 연동하면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형성하며, 모터축(124)과 연동되도록 형성한 브레이크축(123)을 외측으로 형성한 감속부(120)와,
    상기 감속부(120)의 외측으로 형성된 브레이크축(123)에 결합되어 제어부(135)의 동작으로 와이어드럼(111)을 정지하도록 형성한 브레이크부(130)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후 하부에 각 모서리 측으로 횡행 주행하는 차륜(142)을 형성하고, 메인프레임(110)의 전면 내측의 양측부로 차륜(142)과 연결되도록 주행감속기(143)와 브레이크(144)가 후측으로 설치된 주행모터(141)를 결합시키며, 차륜의 상부로 커버(145)를 형성하여 주행모터(141)의 구동으로 차륜(142)을 회전하여 호이스트(100)를 횡행 이동시키는 주행부(140)와,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권상모터(115), 감속부(120), 브레이크부(130) 및 주행부(140)의 결합부분에 체결수단(151)으로 체결하여 결합하도록 형성한 결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형성된 와이어드럼(111)과 연동되면서 물체를 이송하는 후크(114)에 와이어로프가 권선되는 권취쉬브(113)와 와이어드럼(111)의 후측에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 지지쉬브(112)를 평행되는 방향으로 형성하여 와이어드럼(111)의 회전으로 상하로 이송하는 권취쉬브(113)를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120)는 메인프레임(110)의 측부에 체결수단(151)으로 결합되도록 일체형으로 내부에 복수의 기어와 오일을 주입한 케이스(121)를 형성하고, 메인프레임(110)과 결합되는 일측으로 기어와 연동되면서 와이어드럼(111)과 결합되는 출력축(122)을 형성하며, 타측으로 기어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권상모터(113)와 결합되는 모터축(124)을 형성하고, 케이스(121)의 외측으로 모터축(124)과 연동되면서 브레이크(130)와 결합되는 브레이크축(123)을 형성하며, 케이스(121)의 상부에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벤트(125)를 형성하고, 케이스(121)의 전면에 내부 오일의 양을 표시하는 오일게이지(126)와 오일을 드레인하는 드레인(127)을 구성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120)에 형성된 출력축(122), 모터축(124), 브레이크축(123)을 치차로 가공하여 케이스(121)의 내부의 기어와 치차 결합하고, 와이어드럼(111)과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출력축(122)과, 권상모터(115)와 연동되도록 결합하는 모터축(124) 및 브레이크부(130)와 결합되는 브레이크축(123)의 선단을 치차로 가공하여 치차 결합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130)는 감속부(120)의 외측으로 형성된 브레이크축(123)과 드럼(131)이 형성된 연결축(132)을 연결하여 권상모터(115)와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형성하고, 드럼(131)의 양측으로 스프링(134)으로 지지된 라이닝(133)을 형성하여 상부에 형성된 제어부(135)의 조작으로 라이닝(133)을 중앙 측으로 향하면서 드럼(131)과 접촉하여 정지시키도록 케이스(111)에 결합부(150)로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50)는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권상모터(115), 감속부(120), 브레이크부(130) 및 주행부(140)의 결합부분에 일정 깊이의 체결홈(152)을 각각 형성하고, 각 체결홈(152)에 디스턴스 칼라(153)를 삽입한 상태로 체결수단(151)으로 체결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KR20-2004-0020486U 2004-07-19 2004-07-19 호이스트 KR200366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486U KR200366261Y1 (ko) 2004-07-19 2004-07-19 호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486U KR200366261Y1 (ko) 2004-07-19 2004-07-19 호이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961A Division KR100785898B1 (ko) 2004-07-19 2004-07-19 호이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261Y1 true KR200366261Y1 (ko) 2004-11-04

Family

ID=4935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486U KR200366261Y1 (ko) 2004-07-19 2004-07-19 호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26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786B1 (ko) 2006-01-21 2006-12-08 한국고벨주식회사 레일거더를 이용한 로우 스페이스 크레인
KR101085827B1 (ko) 2010-02-26 2011-11-22 한국고벨주식회사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KR101111973B1 (ko) 2010-02-26 2012-02-14 한국고벨주식회사 현장공간 적응이 향상된 호이스트
KR101296831B1 (ko) * 2011-08-22 2013-08-23 비제이테크 주식회사 전자식 캠 스위치를 구비한 호이스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786B1 (ko) 2006-01-21 2006-12-08 한국고벨주식회사 레일거더를 이용한 로우 스페이스 크레인
KR101085827B1 (ko) 2010-02-26 2011-11-22 한국고벨주식회사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KR101111973B1 (ko) 2010-02-26 2012-02-14 한국고벨주식회사 현장공간 적응이 향상된 호이스트
KR101296831B1 (ko) * 2011-08-22 2013-08-23 비제이테크 주식회사 전자식 캠 스위치를 구비한 호이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826B1 (ko) 마찰차를 이용한 호이스트
JP5914705B2 (ja) 運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輸送システム
KR200366261Y1 (ko) 호이스트
KR100715802B1 (ko) 호이스트
CN103517865A (zh) 用于移动负载物和乘客的驱动单元以及包括这种驱动单元的装置
KR100785898B1 (ko) 호이스트
KR101585858B1 (ko) 크레인
KR100531510B1 (ko) 호이스트
FI126272B (fi) Köysinostimen matalarakenteinen nostovaunu
CN210064874U (zh) 矿井提升机
KR200395321Y1 (ko) 호이스트
KR200341232Y1 (ko) 호이스트
CN102207180B (zh) 一种分节丝杠式升降装置
KR20070020811A (ko) 주보권 호이스트
CN219194133U (zh) 电梯曳引装置及电梯
CN113213328B (zh) 一种用于矿山设备的吊装机构
CN201236094Y (zh) 多滑轮组串联效率补偿装置
CN220056103U (zh) 一种用于地铁轨道预制钢弹簧板的起吊运输支架
KR200400472Y1 (ko) 주보권 호이스트
KR100291700B1 (ko) 콘테이너 크레인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
CN212893525U (zh) 一种起重机起升机构
CN216336326U (zh) 一种建筑机械运输装置
CN215165961U (zh) 一种挖掘机铁路敞车行走装卸用抬高结构
CN210795548U (zh) 一种自动收砖码垛机用传动机构
JP7297234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7

Year of fee payment: 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