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802B1 - 호이스트 - Google Patents

호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802B1
KR100715802B1 KR1020050050806A KR20050050806A KR100715802B1 KR 100715802 B1 KR100715802 B1 KR 100715802B1 KR 1020050050806 A KR1020050050806 A KR 1020050050806A KR 20050050806 A KR20050050806 A KR 20050050806A KR 100715802 B1 KR100715802 B1 KR 10071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wheel
main frame
hois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009A (ko
Inventor
조덕래
Original Assignee
한국고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고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고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802B1/ko
Priority to PCT/KR2005/002994 priority patent/WO2006135132A1/en
Priority to CNB2005800308242A priority patent/CN100503417C/zh
Publication of KR2006013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로프가 권선된 와이어드럼(111)을 구동부(120)의 구동모터(121)의 구동으로 구동쉬브(112)에 결합된 후크에 권취된 물체를 상하로 이송하면서 횡행으로 주행하는 호이스트(100)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20)의 결합부분에 체결홈(115)을 형성하여 디스턴스칼라(116)를 삽입한 상태로 체결수단(114)으로 체결하도록 형성한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측부에 플랜지형태로 브레이크(123)와 감속기(122)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측으로 구동모터(121)를 연동하도록 형성하여 구동모터(121)의 회전으로 와이어드럼(111)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20)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횡행주행하도록 전후 양측 각부에 감속기(132)가 구비된 주행모터(131)를 형성하고 주행모터(131)의 일측으로 스플라인치차(134)를 구비한 축형태의 주행축(133)을 형성한 주행구동부(130)와, 상기 주행구동부(130)의 스플라인치차(134)가 구비된 주행축(133)을 삽입결합하도록 바퀴형태의 차륜(143)의 중앙에 통공형태의 결합공(144)에 스플라인치차홈(145)을 형성하여 연동되도록 삽입결합시키고, 주행축(133)을 고정하도록 차륜(143)의 양측으로 베어링(146)을 형성하며, 베어링(146)이 삽입결합되도록 내부측으로 개구된 공간형태의 스페이스부(142)가 형성되어 차륜(143)을 지지하는 케이스(141)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케이스(141)의 일측으로 메인프레임(110)이 탈착되도록 결합수단(148)을 형성한 주행부(14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호이스트, 스페이스부, 차륜, 베어링, 케이스

Description

호이스트 {Hois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간축이 형성된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의 주요부분인 구동부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의 주요부분인 주행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의 주요부분인 주행부의 편심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의 다른 실시예인 주행부를 힌지결합부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이스트 110 : 메인프레임
111 : 와이어드럼 112 : 구동쉬브
113 : 후크 114 : 체결수단
115 : 체결홈 116 : 디스턴스칼라
117 : 권취쉬브 120 : 구동부
121 : 구동모터 121a : 모터축
122 : 감속기 122a : 케이스
122b : 출력축 122c : 에어벤트
122d : 오일게이지 122e : 드레인
123 : 브레이크 123a : 브레이크축
130 : 주행구동부 131 : 주행모터
132 : 감속기 133 : 주행축
134 : 스플라인치차 140 : 주행부
141 : 케이스 142 : 스페이스부
143 : 차륜 144 : 결합공
145 : 스플라인치차홈 146 : 베어링
147 : 실링 148 : 결합수단
148a : 고정축 148b : 고정나사
149 : 힌지결합부
본 발명은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체를 이송하는 호이스트를 구동하는 구동부에 일체형 감속기를 와이어드럼과 연동되도록 플랜지타입으로 설치하고, 횡방향으로 주행하도록 하부에 형성된 차륜이 형성된 주행부를 설치, 해체가 용이하도록 형성하며, 차륜의 결합측에 개구형태로 실링이 형성된 스페이스부를 형성하여 내부에 베어링을 설치한 상태로 끼움결합에 의해 차륜이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주행모터의 주행축과 차륜에 인볼류트 스플라인 치차를 형성하여 치차삽입으로 바로 결합함으로써, 메인프레임의 크기를 축소함에 따른 중량 및 부피를 최소화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감속기와 브레이크가 형성된 구동부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착탈식으로 조립된 주행부를 블록화 하여 설치와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고, 블럭화된 구동부와 주행부의 운반과 이동 비용이 절감되며, 이동후에 설치 조립이 간편한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는 창고, 철도역 등에서 화물의 운반이나 공장에서의 기계분해, 조립 등에 사용된다.
이런, 호이스트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짐을 오르내리는 기계장치의 하나로 원동기, 기어감속장치, 감기통 등을 한 조로 하고 권상용(捲上用) 로프 끝에 훅(hook)을 장치하여 화물을 들어올린다.
상기 호이스트의 종류는 전기 호이스트, 공기 호이스트 등이 있으며, 전기 호이스트는 소형의 전동기(電動機), 행성(行星)기어식 가속장치가 달린 권동(捲胴), 화물을 잡고 있는 전자기 브레이크, 짐을 내릴 때의 속도를 조절하는 하중(荷重)브레이크 등을 좁은 용기 공간에 집중시킨 소형권상기(捲上機)이다. 지브(jib) 끝에 붙이거나 또는 아이(I)형 빔의 아래쪽 플랜지를 레일로 주행하며 화물을 오르내려 운반하는 데 쓰인다. 땅에서 로프를 조작하여 전동기를 움직이는 방식, 버튼을 움직이는 방식, 원격조작(遠隔操作)하는 방식 등이 있다. 호이스트는 사용하는 장소와 기계의 구조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다. 천장이 낮은 곳에서 사용하는 로헤드형, 2개의 레일 위를 주행하는 더블레일형 등이 있으며, 탄광이나 화학공장에서는 가스폭발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공기 호이스트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물체를 권상하여 횡행 이송하는 종래 기술의 호이스트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체를 상부로 권상하도록 메인프레임(11)의 상부에 와이어로프를 권선시켜 형성된 와이어드럼(12)의 일측으로 권상모터(13)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15)와 권상을 중지하는 브레이크(16)를 권상모터(13)와 중간축(14)으로 연결하되, 중간축(14)은 와이어드럼(12)의 내부 중앙에 지지되도록 형성하고, 메인 프레임(11)의 하부 전후로 차륜(18)을 주행모터(17)와 결합시켜 주행모터(17)의 구동으로 차륜(18)을 회전하여 횡행 주행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중간축(14)이 형성된 호이스트(10)는 권상모터(13)를 구동시키면 타측에 중간축(14)으로 연결된 감속기(15)에서 속도를 조절하면서 물체를 권상하여 주행모터(13)로 구동되는 차륜(18)을 회전시켜 물체를 이 송하고 전원 차단, 고장 등과 같은 비상시에 중간축(14)의 선단에 형성된 브레이크(16)를 작동시켜 권상을 중지한다.
상기 종래 기술의 호이스트(10)는 권상모터(13)와 연결된 중간축(14)이 와이어드럼(12)의 내부를 거쳐 타측으로 형성된 감속기(15)와 브레이크(16) 까지 연장 형성됨으로써, 동력을 전달하는 중간축(14)의 길이가 길어져서 동력의 손실이 발생하고, 와이어드럼(12)의 폭이 증가하면 중간축(14)도 연장되어야 함으로 일정 범위 이상 와이어드럼(12)의 폭을 증가 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호이스트(10)는 와이어 드럼(12)의 양단으로 연장 형성된 중간축(14)의 회전에 의해 물체를 권상함에 따라 긴 중간축(14)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파손의 위험성 증대를 우려하여 일정 범위의 속도 내에서 작동됨에 따라, 권상모터(13) 용량 및 속도에 한계가 있으므로, 이송되는 물체의 중량에도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속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하중이 큰 물체를 이송하도록 구성된 종래기술의 호이스트를 도 2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체를 권상하도록 와이어로프가 권선된 와이어드럼(22)의 일측으로 브레이크(25)가 구비된 권상모터(23)와 연동되도록 연결된 감속기(24)를 형성하여 권상모터(23)가 회전하면 동력을 전달하여 와이어드럼(22)이 회전되도록 형성하되, 감속기(24)와 권상모터(23)는 와이어 드럼(22)이 형성된 메인프레임(21)의 상부에 수평 고정되도록 형성하고, 메인프레임(21)의 전후 하부에 차륜(29)을 형성하고, 차 륜(28)의 일측으로 주행감속기(27)와 주행브레이크(26a)가 구비된 주행모터(26)를 연동되도록 형성하여 모터의 구동을 횡행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 기술의 호이스트(20)는 와이어드럼(22), 권상모터(23), 브레이크(25), 감속기(24), 주행모터(26), 주행감속기(27) 및 차륜(29)이 메인프레임의 상하부에 수평 고정되어 설치됨으로써, 각 요소의 수평으로 설치되는 공간이 넓어져서 구조물의 크기가 커지고 이에 따른 중량이 증대하여 주행장치의 용량이 증대하고 설치 및 가공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와이어드럼(22)과 와이어로프를 지지하는 지지쉬브(29)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권상 시에 물체와의 각도 차에 의한 동력의 손실이 발생하여 이송 물체보다 큰 용량의 권상모터(23)를 사용하여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감속기(24)를 상하로 구분되는 케이스에 기어를 형성하여 내부에 오일을 내재한 상태로 권상모터(23)와 와이어드럼(22)이 연동되도록 연결함에 따라 장시간 운행하면 결합부에서 오일이 누수되고, 감속기(24)와 권상모터(23) 및 와이어드럼(22)과 결합 시에 억지끼움 결합으로 연결하여 분해 조립이 어렵고 보수 작업이 난해하여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인 프레임(11)의 하부 전후로 주행모터(17)의 구동으로 횡행 주행하는 차륜(18)을 하부에 고정함에 따라 회전되는 차륜을 일체로 형성된 메인프레임에 설치하는 설치공간이 넓어져서 제작이 어렵고 생산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메인 프레임(11)의 하부 전후로 차륜(18)을 주행모터(17)와 결합 시켜 주행모터(17)의 구동으로 차륜(18)을 회전하여 횡행 주행하도록 형성하여, 메인프레임(1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일체화된 부품으로 분해해서 운반하지 못함에 따라, 운반 및 이송비가 상승하고 중량이 큰 호이스트를 일체로 이송하여 설치함에 따라 설치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물체를 와이어를 감는 와이어드럼의 하부에 후크가 구비된 구동쉬브와 평행으로 연결하고, 메인프레임의 측부로 플랜지 타입의 감속기와 브레이크가 일체로 결합시키며, 하부에 설치와 해체가 간편하도록 횡행주행하는 주행부를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각 부속품을 블록화시켜 설치와 해체가 간편하여 운반비를 절감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랜지 타입으로 결합되는 일체형으로 브레이크와 감속기를 형성하고, 탈착이 가능하도록 횡행주행하는 차륜을 구비한 주행부를 형성하여 이송하는 물체의 하중과 크기에 따라 블록화된 각 부속품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확대하고 직결로 연결하여 동력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횡행주행하도록 차륜을 주행모터와 주행축을 인볼류트 스플라인 치차로 결합하도록 차륜에는 스플라인치차홈을 형성하고, 주행축에는 인볼류트 스플라인치차를 형성하여 주행축을 차륜에 삽입하면서 치차결합시켜 조립이 간편하고 치차결합으로 회전효율을 증대시 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륜이 결합되는 주행부의 케이스 내측으로 차륜과 주행축이 인볼류트 스플라인치차로 치차결합하여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 삽입 측을 개구하여 실링이 형성된 스페이스부를 형성하여 베어링의 설치공간을 축소시키고 베어링을 구동축에 삽입결합하여 구동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어링이 설치되는 스페이스부의 내측으로 윤활유를 주입하여 베어링의 회전을 원활히 하고 스페이스부의 개구측으로 실링으로 밀봉된 차륜을 설치하여 베어링이 구비된 스페이스부의 내측에 형성된 윤활유의 누유를 방지하도록 형성하여 차륜의 결합으로 스페이스부를 밀봉하여 윤활유의 누유를 방지하는 것으로 부품의 수와 설치공간을 축소하여 설치효율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부의 케이스의 스페이스부에 내측 단부에 고정된 차륜과 스페이스부의 내측에 형성된 베어링의 외륜이 편심되도록 케이스를 형성하여 주행부의 조립 시에 결합되는 차륜을 편심량의 범위 내에서 조립함에 따라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하고, 생산비를 감소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조립되는 주행부와 주행구동부의 결합체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고정축을 삽입결합하여 유동을 최소화 하면서 고정나사로 결합시켜 고정력을 증가시키고 유동을 방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 프레임의 측면에 취부되는 권상모터, 브레이크, 감속기 및 주행부의 결합측 체결부분에 체결홈을 서로 마주보면서 결합 시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양측에 가공하여 체결홈으로 형성된 공간에 디스턴스 칼라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각 결합부분의 전체를 가공하지 않고 체결되는 체결부분 만을 가공 결합시켜 가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복수의 차륜을 힌지결합부로 결합시켜 힌지점을 중심으로 복수의 차륜을 결합시켜 중량이 큰 물체를 복수의 차륜으로 이송하여 이송효율을 간편하게 증대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호이스트는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로프가 권선된 와이어드럼을 구동부의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구동쉬브에 결합된 후크에 권취된 물체를 상하로 이송하면서 횡행으로 주행하는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결합부분에 체결홈을 형성하여 디스턴스칼라를 삽입한 상태로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도록 형성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이 측부에 플랜지형태로 브레이크와 감속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측으로 구동모터를 연동하도록 형성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으로 와이어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횡행주행하도록 전후 양측 각부에 감속기가 구비된 주행모터를 형성하고 주행모터의 일측으로 스플라인치차를 구비한 축형태의 주행축을 형성 한 주행구동부와, 상기 주행구동부의 스플라인치차가 구비된 주행축을 삽입결합하도록 바퀴형태의 차륜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형태의 결합공에 스플라인치차홈을 형성하여 연동되도록 삽입결합시키고, 주행축을 고정하도록 차륜의 양측으로 베어링을 형성하며, 베어링이 삽입결합되도록 내부측으로 개구된 공간형태의 스페이스부가 형성되어 차륜을 지지하는 케이스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케이스의 일측으로 메인프레임이 탈착되도록 결합수단을 형성한 주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와이어드럼과 연동되면서 물체를 이송하는 후크에 와이어로프가 권선되는 구동쉬브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형성하여 와이어드럼의 회전으로 상하로 이송하는 구동쉬브를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메인프레임의 측부에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도록 일체형으로 브레이크가 구비된 감속기를 형성하고, 감속기는 내부에 복수의 기어와 오일을 주입한 케이스를 형성하고, 메인프레임과 결합되는 일측으로 기어와 연동되면서 와이어드럼과 결합되는 출력축을 형성하며, 타측으로 기어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동모터와 결합되는 모터축을 형성하고, 케이스의 외측으로 모터축과 연동되면서 브레이크와 결합되는 브레이크축을 형성하며, 케이스의 상부에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벤트를 형성하고, 케이스의 전면에 내부 오일의 양을 표시하는 오일게이지와 오일을 드레인하는 드레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부의 스페이스부는 개구된 일측으로 베어링을 삽입하여 주 행축에 고정되도록 형성하고, 개구된 내부 끝단으로 차륜을 삽입결합하며, 차륜 결합부분에 실링을 형성하여 베어링의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면서 차륜을 스페이스부의 개구부분에 삽입결합하여 내부에 베어링이 안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주행부는 스페이스부의 단부에 실링으로 밀봉하면서 삽입결합한 차륜의 중심과 스페이스부의 내측에 안치된 베어링의 외륜 중심을 편심이 되도록 케이스를 형성하여 편심범위 내에서 차륜을 조립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부의 결합수단은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삽입고정되는 축형태의 고정축을 복수로 형성하고 삽입된 고정축의 양측을 고정나사로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주행부 결합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유동을 최소화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주행부의 차륜을 복수로 메인프레임의 하측에 힌지결합부로 결합 형성하여 중량에 따른 호이스트의 원활한 횡행주행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호이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의 주요부분인 구동부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의 주요부분인 주행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의 주요부분인 주행부의 편심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의 다른 실시예인 주행부를 힌지결합부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이스트(100)는 물체를 권상하기 위해서 와이어로프가 권선된 와이어드럼(111)과 물체를 지지하는 후크(113)가 설치되어 호이스트(100)의 각부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측부에 플랜지 형태의 일체형 감속기(122)와 브레이크(123)를 형성하여 내측에 형성된 구동모터(121)의 속도를 제어하면서 물체를 권상하는 구동부(120)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측으로 호이스트(100)를 횡행이동하도록 주행모터(131)가 형성된 주행구동부(130)와, 상기 주행구동부(130)와 연결되어 메인프레임(110)의 하측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차륜(143)을 형성하여 호이스트(100)를 횡행주행하면서 설치와 해체가 간편하도록 형성한 주행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구동부(120)의 결합부분에 체결홈(115)을 형성하여 디스턴스칼라(116)를 삽입한 상태로 체결수단(114)으로 체결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형성된 와이어드럼(111)과 연동되면서 물체를 이송하는 후크(113)에 와이어로프가 권선되는 구동쉬브(112)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권취쉬브(117)를 와이어드럼(111)의 후측으로 형성하여 와이어드럼(111)의 회 전으로 상하로 이송하는 구동쉬브(112)를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120)는 메인프레임(110)의 측부에 플랜지형태로 브레이크(123)와 감속기(122)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측으로 구동모터(121)를 연동하도록 형성하여 구동모터(121)의 회전으로 와이어드럼(111)을 구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20)는 메인프레임(110)의 측부에 체결수단(114)으로 결합되도록 일체형으로 브레이크(123)가 구비된 감속기(122)를 형성하고, 감속기(122)는 내부에 복수의 기어와 오일을 주입한 케이스(122a)를 형성하고, 메인프레임(110)과 결합되는 일측으로 기어와 연동되면서 와이어드럼(111)과 결합되는 출력축(122b)을 형성하며, 타측으로 기어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동모터(121)와 결합되는 모터축(121a)을 형성하고, 케이스(122a)의 외측으로 모터축(121a)과 연동되면서 브레이크(123)와 결합되는 브레이크축(123a)을 형성하며, 케이스(122a)의 상부에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벤트(122c)를 형성하고, 케이스(122a)의 전면에 내부 오일의 양을 표시하는 오일게이지(122d)와 오일을 드레인하는 드레인(122e)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행구동부(130)는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횡행주행하도록 전후 양측 각부에 감속기(132)가 구비된 주행모터(131)를 형성하고 주행모터(131)의 일측으로 스플라인치차(134)를 구비한 축형태의 주행축(133)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주행부(140)는 주행구동부(130)의 스플라인치차(132)가 구비된 주행축(133)을 삽입결합하도록 바퀴형태의 차륜(143)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형태의 결합공(144)에 스플라인치차홈(145)을 형성하여 연동되도록 삽입결합시키고, 주행축 (133)을 고정하도록 차륜(143)의 양측으로 베어링(146)을 형성하며, 베어링(146)이 삽입결합되도록 내부측으로 개구된 공간형태의 스페이스부(141)가 형성되어 차륜(143)을 지지하는 케이스(141)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케이스(141)의 일측으로 메인프레임(110)이 탈착되도록 결합수단(148)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주행부(140)의 스페이스부(142)는 개구된 일측으로 베어링(146)을 삽입하여 주행축(133)에 고정되도록 형성하고, 개구된 내부 끝단으로 차륜(143)을 삽입결합하며, 차륜(143) 결합부분에 실링(147)을 형성하여 베어링(146)의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면서 차륜(143)을 스페이스부(142)의 개구부분에 삽입결합하여 내부에 베어링(146)을 안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행부(140)는 스페이스부(142)의 단부에 실링(147)으로 밀봉하면서 삽입결합한 차륜(143)의 중심과 스페이스부(142)의 내측에 안치된 베어링(146)의 외륜 중심을 편심이 되도록 케이스(141)를 형성하여 편심범위 내에서 차륜(143)을 조립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심범위는 차륜(143)의 크기에 따라 4mm~8mm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행부(140)의 결합수단(148)은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삽입고정되는 축형태의 고정축(148a)을 복수로 형성하고 삽입된 고정축(148a)의 양측을 고정나사(148b)로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주행부(140) 결합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유동을 최소화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주행부(140)의 차륜(143)을 복수로 메인프레임(110)의 하측 에 힌지결합부(149)로 결합 형성하여 중량에 따른 호이스트(100)의 원활한 횡행주행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호이스트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이어로프가 권선된 와이어드럼(111)의 하부와 측부를 지지하도록 메인프레임(110)을 형성하고, 와이어드럼(111)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20)의 구동모터(121)를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측부의 플랜지 타입으로 일체로 형성된 감속기(122)와 브레이크(123)를 체결수단(114)으로 체결홈(115)에 디스턴스칼라(116)를 삽입한 상태로 결합 설치하고, 구동모터(121)와 와이어드럼(111)이 연동되면서 속도를 조절하도록 감속기(122)의 출력축(122b)을 와이어드럼(111)에 결합하며, 구동모터(121)와 모터축(121a)을 결합하여 메인프레임(110)의 측부에 고정한다.
이때, 구동부(120)의 감속기(122)는 내부에 복수의 기어가 치차 결합되어 오일이 주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기어의 회전 비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도록 형성하고, 상부에 형성된 에어밴트(122c)에서 내부에 발생되는 공기를 제거하고, 내부의 오일량을 체크하는 오일게이지(122d)와 오일을 교환하도록 배출하는 드레인(122e)을 전면에 형성한 이음부분이 없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122a)의 측부에 메인프레임(110)과 결합되는 일측으로 와이어드럼(111)과 결합되는 출력축(122b)의 단부를 치차 가공하여 치차 결합하고, 메인프레임(110)과 결합되는 타측으로 구동모터(121)와 결합되는 모터축(121a)의 선단을 치차 가공하여 치차 결합하며, 케이스(122a)의 타 측부로 모터축(121a)과 연동되면서 브레이크(123)가 결합되는 브레이크축(123a)을 치차 가공하여 치차 결합 시키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드럼(111)에 형성된 와이어로프는 하부에 물체를 취부하는 후크(113)와 결합된 구동쉬브(112)를 거쳐서, 와이어드럼(111)의 후부에 형성된 권취쉬브(117)를 통하여 와이어드럼(111)의 회전으로 평행되게 형성된 권취쉬브(117)와 구동쉬브(112)에 지지된 와이어로프의 구동으로 후크(113)에 취부된 물체가 상하로 이송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의 각 모서리 부분에 레일을 타고 횡행이송하도록 감속기(132)가 설치된 주행모터(131)를 형성하고, 주행모터(131)에서 구동되는 주행축(133)에 스플라인치차(134)를 구비한 상태에서 주행부(140)의 케이스(141) 상부에 주행구동부(130)를 형성한다.
이렇게, 주행구동부(130)를 주행부(140)의 케이스(141)의 상부에 형성한 상태에서 메인프레임(110)에 블록화 된 감속기(122)와 브레이크(123)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동모터(121)와 연동되는 구동부(120)를 설치한 호이스트(100)의 설치 위치에 운반한 상태에서 내부에 주행구동부(130)의 주행축(133)을 중앙에 통공형태의 결합공(144)에 스플라인치차홈(145)이 형성된 차륜(143)을 치차결합한 상태에서 케이스(141)의 내측으로 베어링(146)이 주행축(133)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스페이스부(142)에 안치되어 주행구동부(130)의 주행모터(131)에 구동으로 차륜이 회전하도록 형성한 주행부(140)를 결합수단(148)으로 메인프레임(110)의 하부 각 모서리부분에 체결하여 레일위에 안치하여 주행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주행부(140)는 스페이스부(142)의 단부에 실링(147)으로 밀봉하면서 삽입결합한 차륜(143)의 중심과 스페이스부(142)의 내측에 안치된 베어링(146)의 외륜 중심을 편심이 되도록 케이스(141)를 형성하여 편심범위 내에서 차륜(143)을 조립시켜 조립의 편의성을 증대한다.
또한, 상기 주행부(140)의 결합수단(148)은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삽입고정되는 축형태의 고정축(148a)을 복수로 형성하고 삽입된 고정축(148a)의 양측을 고정나사(148b)로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주행부(140) 결합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유동을 최소화 시켜 수명을 증대시킨다.
상기와 같이, 각 구성품을 설치장소로 따로 운송한 상태에서 설치장소에서 바로 조립하여 사용함으로써, 운반비와 설치비를 대폭 절감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주행부(140)의 차륜(143)을 복수로 형성하여 메인프레임(110)의 하측에 힌지결합부(149)로 결합하여 복수의 차륜(143)을 하부에 형성하여 중량에 따른 호이스트(100)의 원활한 횡행주행을 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호이스트는 물체를 와이어를 감는 와이어드럼의 하부에 후크가 구비된 구동쉬브와 평행으로 연결하고, 메인프레임의 측부로 플랜지 타입의 감속기와 브레이크가 일체로 결합시키며, 하부에 설치와 해체가 간편하도록 횡행주행하는 주행부를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각 부속품을 블록화시켜 설치와 해체가 간편하여 운반비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이스트는 플랜지 타입으로 결합되는 일체형으로 브레이크와 감속기를 형성하고, 탈착이 가능하도록 횡행주행하는 차륜을 구비한 주행부를 형성하여 이송하는 물체의 하중과 크기에 따라 블록화된 각 부속품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확대하고 직결로 연결하여 동력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호이스트는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횡행주행하도록 차륜을 주행모터와 주행축을 인볼류트 스플라인 치차로 결합하도록 차륜에는 스플라인치차홈을 형성하고, 주행축에는 인볼류트 스플라인치차를 형성하여 주행축을 차륜에 삽입하면서 치차결합시켜 조립이 간편하고 치차결합으로 회전효율을 증대시키고 조립 시에 스플라인 치차결합으로 편심되게 설치하여도 축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이스트는 차륜이 결합되는 주행부의 케이스 내측으로 차륜과 주행축이 인볼류트 스플라인치차로 치차결합하여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 삽입 측을 개구하여 실링이 형성된 스페이스부를 형성하여 베어링의 설치공간을 축소시키고 베어링을 구동축에 삽입결합하여 구동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호이스트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스페이스부의 내측으로 윤활유를 주입하여 베어링의 회전을 원활히 하고 스페이스부의 개구측으로 실링으로 밀봉된 차륜을 설치하여 베어링이 구비된 스페이스부의 내측에 형성된 윤활유의 누유를 방지하도록 형성하여 차륜의 결합으로 스페이스부를 밀봉하여 윤활유의 누유를 방지하는 것으로 부품의 수와 설치공간을 축소하여 설치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이스트는 주행부의 케이스의 스페이스부에 내측 단부에 고정된 차륜과 스페이스부의 내측에 형성된 베어링의 외륜이 편심되도록 케이스를 형성하여 주행부의 조립 시에 결합되는 차륜을 편심량의 범위 내에서 조립함에 따라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하고, 생산비를 감소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조립되는 주행부와 주행구동부의 결합체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고정축을 삽입결합하여 유동을 최소화 하면서 고정나사로 결합시켜 고정력을 증가시키고 유동을 방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호이스트는 메인 프레임의 측면에 취부되는 권상모터, 브레이크, 감속기 및 주행부의 결합측 체결부분에 체결홈을 서로 마주보면서 결합 시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양측에 가공하여 체결홈으로 형성된 공간에 디스턴스 칼라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각 결합부분의 전체를 가공하지 않고 체결되는 체결부분 만을 가공 결합시켜 가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호이스트는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복수의 차륜을 힌지결합부로 결합시켜 힌지점을 중심으로 복수의 차륜을 결합시켜 중량이 큰 물체를 복수의 차륜으로 이송하여 이송효율을 간편하게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로프가 권선된 와이어드럼(111)을 구동부(120)의 구동모터(121)의 구동으로 구동쉬브(112)에 결합된 후크(113)에 권취된 물체를 상하로 이송하면서 횡행으로 주행하는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20)의 결합부분에 체결홈(115)을 형성하여 디스턴스칼라(116)를 삽입한 상태로 체결수단(114)으로 체결하도록 형성한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측부에 플랜지형태로 브레이크(123)와 감속기(122)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측으로 구동모터(121)를 연동하도록 형성하여 구동모터(121)의 회전으로 와이어드럼(111)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20)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횡행주행하도록 전후 양측 각부에 감속기(132)가 구비된 주행모터(131)를 형성하고 주행모터(131)의 일측으로 스플라인치차(134)를 구비한 축형태의 주행축(133)을 형성한 주행구동부(130)와,
    상기 주행구동부(130)의 스플라인치차(134)가 구비된 주행축(133)을 삽입결합하도록 바퀴형태의 차륜(143)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형태의 결합공(144)에 스플라인치차홈(145)을 형성하여 연동되도록 삽입결합시키고, 주행축(133)을 고정하도록 차륜(143)의 양측으로 베어링(146)을 형성하며, 베어링(146)이 삽입결합되도록 내부측으로 개구된 공간형태의 스페이스부(142)가 형성되어 차륜(143)을 지지하는 케이스(141)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케이스(141)의 일측으로 메인프레임(110)이 탈착되도록 결합수단(148)을 형성한 주행부(140)로 구성되며;
    상기 주행부(140)의 스페이스부(142)는, 개구된 일측으로 베어링(146)을 삽입하여 주행축(133)에 고정되도록 형성하고, 개구된 내부 끝단으로 차륜(143)을 삽입결합하며, 차륜(143) 결합부분에 실링(147)을 형성하여 베어링(146)의 윤활유의 누유를 방지하면서 차륜(143)을 스페이스부(142)의 개구부분에 삽입결합하여 내부에 베어링(146)이 안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140)는 스페이스부(142)의 단부에 실링(147)으로 밀봉하면서 삽입결합한 차륜(143)의 중심과 스페이스부(142)의 내측에 안치된 베어링(146)의 외륜 중심을 편심이 되도록 케이스(141)를 형성하여 편심범위 내에서 차륜(143)을 조립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140)의 결합수단(148)은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삽입고정되는 축형태의 고정축(148a)을 복수로 형성하고 삽입된 고정축(148a)의 양측을 고정나사(148b)로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주행부(140) 결합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유동을 최소화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140)의 차륜(143)을 복수로 메인프레임(110)의 하측에 힌지결합부(149)로 결합 형성하여 중량에 따른 호이스트(100)의 원활한 횡행주행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KR1020050050806A 2005-06-14 2005-06-14 호이스트 KR10071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806A KR100715802B1 (ko) 2005-06-14 2005-06-14 호이스트
PCT/KR2005/002994 WO2006135132A1 (en) 2005-06-14 2005-09-10 Hoist
CNB2005800308242A CN100503417C (zh) 2005-06-14 2005-09-10 起重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806A KR100715802B1 (ko) 2005-06-14 2005-06-14 호이스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999U Division KR200395321Y1 (ko) 2005-06-14 2005-06-14 호이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009A KR20060131009A (ko) 2006-12-20
KR100715802B1 true KR100715802B1 (ko) 2007-05-09

Family

ID=3753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806A KR100715802B1 (ko) 2005-06-14 2005-06-14 호이스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15802B1 (ko)
CN (1) CN100503417C (ko)
WO (1) WO2006135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401B1 (ko) * 2009-10-23 2010-04-20 (주) 모스펙 두 개의 권상모터를 갖는 호이스트
CN102311061B (zh) * 2011-08-26 2014-08-20 纽科伦(新乡)起重机有限公司 反滚轮装置及使用该反滚轮装置的电动葫芦
CN103964329A (zh) * 2014-05-21 2014-08-06 苏州天脉导热科技有限公司 一种简易型吊机装置
CN107857204B (zh) * 2017-12-10 2019-07-26 胡楠 一种煤矿井下地滚维养检测装置
CN109019327B (zh) * 2018-09-26 2024-05-14 东莞市台冠起重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变频控制的起重机的起升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572A (ko) * 1999-03-31 1999-07-05 송근상 와이어로프식전동호이스트
KR20030000662A (ko) *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0201B2 (ja) * 1997-06-30 2002-08-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ホイスト式天井クレーン遠隔操作用無線装置
JPH1121086A (ja) * 1997-07-07 1999-01-26 Yukiya Iimura 走行ホイスト機構
JPH1179656A (ja) * 1997-09-10 1999-03-23 Dainippon Printing Co Ltd ホイストクレーン
JP2000063087A (ja) * 1998-08-18 2000-02-29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ホイスト装置
JP2000289974A (ja) * 1999-04-07 2000-10-17 Nisshin Steel Co Ltd クレーン吊り荷の振れ防止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572A (ko) * 1999-03-31 1999-07-05 송근상 와이어로프식전동호이스트
KR20030000662A (ko) *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35132A1 (en) 2006-12-21
KR20060131009A (ko) 2006-12-20
CN100503417C (zh) 2009-06-24
CN101018733A (zh)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802B1 (ko) 호이스트
CN110485919A (zh) 连续导杆式成槽及钻孔装置
KR102420712B1 (ko) 수직순환식 주차장치
CZ292321B6 (cs) Výtah pro dopravu osob a/nebo zboží
WO2012006951A1 (zh) 塔架式组合传动数控抽油机
KR200395321Y1 (ko) 호이스트
US8033347B2 (en) Final drive unit,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and method of winding crawler belt
KR200366261Y1 (ko) 호이스트
KR200439177Y1 (ko) 유밀 격벽을 구비한 웜 기어박스
KR101585858B1 (ko) 크레인
KR100785898B1 (ko) 호이스트
CN106401593B (zh) 砂浆车
US2728445A (en) Heavy duty conveyor belt drive
CN110877645B (zh) 电力管道巡检机器人的行走机构及操作方法
CN206190288U (zh) 砂浆车
KR101182964B1 (ko) 레일기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KR100688392B1 (ko) 주보권 호이스트
CN219031438U (zh) 曳引机
CN219449147U (zh) 一种电机内置于矿用提升机卷筒内部的整体式传动轴系
CN113213328B (zh) 一种用于矿山设备的吊装机构
CN205064709U (zh) 一种减速机及混凝土搅拌运输车
CN216507740U (zh) 一种叉车的驱动桥和叉车
CN210944010U (zh) 一种拨车机驱动系统
CN100497150C (zh) 人员输送设备
CN210914017U (zh) 一种十字型悬挂输送机回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