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572A - 와이어로프식전동호이스트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식전동호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572A
KR19990046572A KR1019990011348A KR19990011348A KR19990046572A KR 19990046572 A KR19990046572 A KR 19990046572A KR 1019990011348 A KR1019990011348 A KR 1019990011348A KR 19990011348 A KR19990011348 A KR 19990011348A KR 19990046572 A KR19990046572 A KR 19990046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upling
hoist
moto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근상
Original Assignee
송근상
주식회사 현대호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근상, 주식회사 현대호이스트 filed Critical 송근상
Priority to KR101999001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6572A/ko
Publication of KR19990046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57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2Planetary or differential gearings, i.e. with planet gears having movable axes of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0Power-operated hoists with driving motor, e.g. electric motor, and drum or barrel contained in a common housing
    • B66D3/22Power-operated hoists with driving motor, e.g. electric motor, and drum or barrel contained in a common housing with variable-speed gearings between driving motor and drum or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 B66D2700/025Hoists motor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트본체의 하부에 메인모터와 이동모터 등의 전동기 들이 위치되도록 동력전달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호이스트본체와 천장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좁힐수 있도록하여 천장이 낮은 건물에서도 호이스트를 설치할수 있도록하고 또한 호이스트를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를 다이케스팅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하여 호이스트 전체의 중량이 줄어들도록하여 취급이 편리하도록한 와이어로프식 전동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장에 가설된 레일위에 바퀴가 놓여 전후측 및 좌우측으로 이동되는 호이스트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호이스트본체의 일측에 상기 레일보다 낮은 위치로 메인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모터로 회전되는 주축의 일측에 주축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주축기어를 감싸도록 상기 호이스트본체의 내주면에 제1내접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주축기어와 상기 제1내접기어의 사이에 각각 치합되어 자전과 동시에 공전되는 다수개의 제1유성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제1유성기어와 제1커플링핀을 통하여 연결되고 일측에 커플링기어가 형성된 제1커플링이 구비되며, 상기 커플링기어를 감싸도록 상기 호이스트본체의 내주면에 제2내접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기어와 상기 제2내접기어의 사이에 각각 치합되어 자전과 동시에 공전되는 다수개의 제2유성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제2유성기어와 제2커플링핀을 통하여 연결되어 와이어가 권회된 와이어드럼을 회전시키는 제2커플링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식 전동 호이스트{Electromotive hoist have wire rope}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식 전동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이스트를 구성하는 메인모터와 저속모터 등이 호이스트본체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동력전달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호이스트본체가 이동되는 레일과 천장 사이의 공간이 좁더라도 호이스트본체를 설치할수 있도록한 와이어로프식 전동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호이스트는 천장에 가설된 레일을 타고 전후측 및 좌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전동 호이스트는 호이스트본체와 감속장치, 전동기, 브레이크, 로드블럭 등으로 구성된다. 호이스트본체는 내부에 와이어드럼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는 와이어로프 직경의 20배 이상으로 제작된다.
또한 감속장치는 유성치차 및 내치차로서 회전의 균형과 동력 전달이 등분포로 안정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제작되며, 전동기는 호이스트용 특수모터로 정격회전이 원활한 하이스타트(High Start)기동형이며 기동토크 특성이 우수한 것이 사용된다. 또한 브레이크는 하중 지탱형으로 설치하고 하중을 안전하게 지상에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하며 절대로 자연낙하하지 않는 구조로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호이스트는 호이스트본체의 상측에 메인모터와 이동모터 등의 전동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천장이 낮을 경우 이를 설치하기 어려운 등의 단점이 있다. 이는 호이스트본체가 천장에 가설된 레일위에 얹힌 상태로 놓이기 때문에 전동기 등이 닿지 않도록 천장이 높아야 된다. 또한 호이스트본체가 천장의 좌우측과 전후측으로 이동됨으로 천장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호이스트가 장애물에 충돌되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 등이 발생될 위험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이스트본체의 하부에 메인모터와 이동모터 등의 전동기 들이 위치되도록 동력전달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호이스트본체와 천장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좁힐수 있도록하여 천장이 낮은 건물에서도 호이스트를 설치할수 있도록하고 또한 호이스트를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를 다이케스팅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하여 호이스트 전체의 중량이 줄어들도록하여 취급이 편리하도록한 와이어로프식 전동 호이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 호이스트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호이스트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호이스트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호이스트본체 11 : 와이어드럼
12 : 와이어 20 : 메인모터
22 : 주축 23 : 스플라인
24 : 주축기어 30 : 제1유성기어
31 : 제1내접기어 32 : 제1커플링
33 : 제1커플링핀 34 : 커플링기어
35 : 제2유성기어 36 : 제2내접기어
37 : 제2커플링 38 : 제2커플링핀
40 : 저속모터 41 : 모터축기어
42 : 구동기어 43 : 종동기어
44 : 모터케이스 45 : 기어케이스
50 : 저속커플링 51 : 크랭크핀
52 : 마찰디스크 53 : 스프링
54 : 전자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장에 가설된 레일위에 바퀴가 놓여 전후측 및 좌우측으로 이동되는 호이스트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호이스트본체의 일측에 상기 레일보다 낮은 위치로 메인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모터로 회전되는 주축의 일측에 주축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주축기어를 감싸도록 상기 호이스트본체의 내주면에 제1내접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주축기어와 상기 제1내접기어의 사이에 각각 치합되어 자전과 동시에 공전되는 다수개의 제1유성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제1유성기어와 제1커플링핀을 통하여 연결되고 일측에 커플링기어가 형성된 제1커플링이 구비되며, 상기 커플링기어를 감싸도록 상기 호이스트본체의 내주면에 제2내접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기어와 상기 제2내접기어의 사이에 각각 치합되어 자전과 동시에 공전되는 다수개의 제2유성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제2유성기어와 제2커플링핀을 통하여 연결되어 와이어가 권회된 와이어드럼을 회전시키는 제2커플링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호이스트의 평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호이스트의 측면도이다. 전,후측 양방향으로 레일(16)에 얹혀지는 바퀴(15)를 갖는 호이스트본체(10)가 구비되고 호이스트본체(10)의 우측에는 와이어(12)를 승강시키는 메인모터(20)가 구비된다. 그리고 호이스트본체의 좌측에는 와이어(12)를 저속으로 승강시키는 저속모터(40)와 호이스트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모터(60) 등이 구비된다. 이들 메인모터(20)와 저속모터(40) 및 이동모터(60) 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본체(10)의 하부쪽에 위치되어 호이스트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호이스트본체(10)의 하측에 와이어(12)와 연결된 로드블럭(13)과 후크(14)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로드블럭(13)은 그 케이스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 이를 경량으로 제작할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호이스트의 평단면도 이다. 호이스트본체(10)의 우측에 메인모터(20)가 구비되고 메인모터(20)의 모터축(21)이 호이스트본체(10)의 내부로 관통된 주축(22)과 연결된다. 그리고 주축(22)의 자유단인 좌측단에 스플라인(23)과 주축기어(24)가 연이어 형성된다. 주축기어(24)에는 제1유성기어(30)가 3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1유성기어(30)와 일체이면서 그 외경이 작은 유성피니언(30a)이 호이스트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내접기어(31)와 치합되어 있다.
또한 각 제1유성기어(30)들은 제1커플링핀(33)을 통하여 제1커플링(32)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1커플링(32)은 중앙에 형성된 구멍이 주축(22)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커플링(32)의 일측에 형성된 커플링기어(34)에 제2유성기어(35)들이 치합되어 있으며 이들 제2유성기어(35)들은 호이스트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내접기어(36)와 각각 치합된다. 또한 제2유성기어(35)들은 제2커플링핀(38)을 통하여 제2커플링(37)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커플링(37)은 호이스트본체(10)의 내주면에 마련된 와이어드럼(11)과 볼트로 체결되어 서로 연결된다. 와이어드럼(11)은 외주면에 와이어(12)가 권회되도록 와이어안내홈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메인모터(20)보다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드럼(11)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저속모터(40)가 호이스트본체(10)의 우측에 구비된다. 저속모터(40)는 선단에 모터축기어(41)가 구비되며 모터축기어(41)와 치합되는 구동기어(42)와 종동기어(43)가 호이스트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종동기어(43)는 저속커플링(50)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저속커플링(50)의 일측에 마련된 크랭크핀(51)을 통하여 마찰디스크(52)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저속모터(40)는 모터케이스(44)와 기어케이스(45)가 각각 다이케스팅에 의해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다. 따라서 이를 경량화 할수 있으며 이들 케이스(44)(45)의 결합면이 매끄럽게 되어 후가공을 하지 않고도 직접 결합할수 있으며 또한 이들 결합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다이케스팅 하면 이들이 결합되었을 때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다.
마찰디스크(52)는 주축(22)의 선단에 형성된 스플라인(23)과 체결되어 주축방향으로 크랭크핀(51)을 따라 이동되며 이동되는 동안 저속커플링(50)과 주축(22)을 단락시킨다. 또한 저속모터(40)가 작동되는 동안 마찰디스크(52)를 저속커플링(50)쪽으로 가압시켜 마찰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스프링(53)이 구비되고, 메인모터(20)가 작동되는 동안 스프링(53)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마찰디스크(52)를 당겨 저속커플링(50)으로부터 떨어지도록하는 전자석(54)이 각각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메인모터(20)와 저속모터(40)가 각각 구동되면서 와이어(12)를 고속과 저속으로 권회하면서 후크(14)를 승강시킬수 있다. 먼저 후크를 고속으로 작동시키는 메인모터(20)가 가동되면 모터축(21)과 주축(22)이 동시에 회전된다. 이때 전자석(54)이 작동되어 스프링(53)이 압축되고 마찰디스크(52)가 주축(22)에서 멀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헐거워 짐으로 주축(22)이 회전되는 동안 마찰디스크(52) 쪽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주축(22)이 회전되면 이의 일측에 형성된 주축기어(24)와 치합된 제1유성기어(30)가 회전된다. 이때 제1유성기어(30)는 유성피니언(30a)을 통하여 제1내접기어(31)와 치합된 상태임으로 자전과 동시에 공전을 하게되며 그리고 공전하는 동안 제1커플링핀(33)을 공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1커플링(32)이 회전하게 되며 제1커플링(32)이 회전되는 동안 이의 커플링기어(34)가 회전되면서 이와 치합된 제2유성기어(35)를 회전시킨다.
제2유성기어(35)는 호이스트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된 제2내접기어(36)와 치합된 상태임으로 자전과 동시에 주축(22)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되며 제2유성기어(35)가 공전하는 동안 제2커플링핀(38)을 통하여 제2커플링(37)이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2커플링(37)이 회전되면 이와 볼트를 통하여 치합된 와이어드럼(11)이 결과적으로 회전된다. 메인모터(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방향에 따라 각 유성기어와 커플링들의 회전방향이 정역회전되고 이는 와이어드럼(11)의 정역회전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와이어드럼(11)에 와이어(12)가 권회되고 풀리면서 로드블럭(13)과 후크(14)의 승하강이 진행된다.
다음은 저속모터(40)의 회전 전달과정을 설명한다. 저속모터(40)가 회전되면 이의 회전력이 모터축기어(41)를 통하여 구동기어(42)와 종동기어(43)로 전달된다. 이때 전자석(54)의 작동이 중지되며 압축된 스프링(53)이 복원되면서 마찰디스크(52)를 저속커플링(50) 쪽으로 가압시킨다. 마찰디스크(52)가 저속커플링(50) 쪽으로 이동되면 마찰디스크(52)의 마찰력에 의해 저속커플링(50)과 마찰디스크(52)가 일체와된다. 이때 종동기어(43)의 회전력이 저속커플링(50) 쪽으로 전달되면 저속커플링(50)의 회전력이 마찰디스크(52)와 스플라인(23)을 통하여 주축(22)으로 전달된다. 주축(22)이 회전되면 이의 주축기어(24)를 통하여 제1유성기어(30)가 회전되며 이후의 동력전달과정은 메인모터(20)의 동력전달과정과 동일하다. 단지 저속모터(40)의 회전으로 주축이 회전되는 것임으로 와이어드럼(11)이 저속으로 회전되어 로드블럭(13)과 후크(14)가 서서히 승하강 하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호이스트본체의 하부쪽으로 메인모터와 저속모터 및 이동모터 등을 설치하여 이들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호이스트본체와 천장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좁힐수 있다. 따라서 천장이 낮은 건물에서도 본 발명의 호이스트본체를 가설할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저속모터의 모터케이스와 기어케이스를 다이케스팅으로 제작함으로 이들의 형상관리가 편리하고 또한 이를 경량으로 제작할수 있음으로 호이스트 전체의 무게를 줄일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천장에 가설된 레일위에 바퀴가 놓여 전후측 및 좌우측으로 이동되는 호이스트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호이스트본체의 일측에 상기 레일보다 낮은 위치로 메인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모터로 회전되는 주축의 일측에 주축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주축기어를 감싸도록 상기 호이스트본체의 내주면에 제1내접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주축기어와 상기 제1내접기어의 사이에 각각 치합되어 자전과 동시에 공전되는 다수개의 제1유성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제1유성기어와 제1커플링핀을 통하여 연결되고 일측에 커플링기어가 형성된 제1커플링이 구비되며,
    상기 커플링기어를 감싸도록 상기 호이스트본체의 내주면에 제2내접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기어와 상기 제2내접기어의 사이에 각각 치합되어 자전과 동시에 공전되는 다수개의 제2유성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제2유성기어와 제2커플링핀을 통하여 연결되어 와이어가 권회된 와이어드럼을 회전시키는 제2커플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와이어로프식 전동호이스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터보다 상대적으로 느리게 회전되는 저속모터가 상기 레일보다 낮게 상기 호이스트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속모터의 모터축기어와 치합된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종동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주축의 자유단을 감싼 상태로 상기 호이스트본체의 내측에 회전지지되는 저속커플링이 구비되고,
    상기 주축의 자유단에 형성된 스플라인을 따라 상기 주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저속커플링과 단락되면서 상기 저속커플링의 회전력을 상기 주축으로 전달하는 마찰디스크가 구비되며,
    상기 마찰디스크를 상기 저속커플링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모터가 가동되는 동안 상기 마찰디스크가 상기 저속커플링에서 이탈되도록 상기 마찰디스크를 당겨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전자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식 전동 호이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모터는 상기 모터축기어와 구동기어를 감싸는 기어케이스와 상기 모터를 감싸는 모터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케이스와 기어케이스의 접합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좌우측으로의 유동이 억제되도록 상기 모터케이스와 기어케이스가 알루미늄 다이케스팅에 의해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와이어로프식 전동호이스트.
KR1019990011348A 1999-03-31 1999-03-31 와이어로프식전동호이스트 KR19990046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348A KR19990046572A (ko) 1999-03-31 1999-03-31 와이어로프식전동호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348A KR19990046572A (ko) 1999-03-31 1999-03-31 와이어로프식전동호이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572A true KR19990046572A (ko) 1999-07-05

Family

ID=5477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348A KR19990046572A (ko) 1999-03-31 1999-03-31 와이어로프식전동호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65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02B1 (ko) * 2005-06-14 2007-05-09 한국고벨주식회사 호이스트
KR100803260B1 (ko) * 2007-03-14 2008-02-13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체인 호이스트
KR200471726Y1 (ko) * 2012-11-09 2014-03-19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호이스트용 유성기어 감속기
KR20180067935A (ko)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로드 리미터 일체형 블랙박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02B1 (ko) * 2005-06-14 2007-05-09 한국고벨주식회사 호이스트
KR100803260B1 (ko) * 2007-03-14 2008-02-13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체인 호이스트
KR200471726Y1 (ko) * 2012-11-09 2014-03-19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호이스트용 유성기어 감속기
KR20180067935A (ko)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로드 리미터 일체형 블랙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2432B (zh) 一种带有变速机构的有齿轮曳引机
CN207497952U (zh) 一种卷扬机
CN111285277A (zh) 蜗轮式棘轮型卷扬机构
CN201309809Y (zh) 平面刹车的动力绞车装置
KR19990046572A (ko) 와이어로프식전동호이스트
CN212198290U (zh) 蜗轮式棘轮型卷扬机构
CN2440795Y (zh) 手摇式升降机
CN2180625Y (zh) 电动手摇两用卷扬机
CN100366949C (zh) 行星差速启动器
CN210214653U (zh) 牵引绞盘及其清障车
KR200403583Y1 (ko) 호이스트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
CN2344373Y (zh) 内装式螺纹驱动摩擦制动卷扬机
CN207497949U (zh) 一种自动制动卷扬机
CN208869196U (zh) 一种用于变频控制的起重机的起升机构
CN201169510Y (zh) 一种新型起重设备
CN112194027A (zh) 一种一级行星减速低速大扭矩内转永磁电机直驱机构
CN2319387Y (zh) 轻便型有齿轮曳引机
CN106799960B (zh) 轮毂电机驱动装置、电动汽车及电动汽车工作方法
CN201634296U (zh) 一种带有变速机构的有齿轮曳引机
CN200954993Y (zh) 起重机载荷应急释放装置
CN113979343A (zh) 一种卷扬机均匀收卷回转机座
CN215160550U (zh) 一种行星减速电动葫芦
CN215289840U (zh) 一种道闸挡车器机芯传动机构
CN2161597Y (zh) 自锁式电葫芦
CN213738342U (zh) 一种一级行星减速低速大扭矩内转永磁电机直驱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