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260B1 - 체인 호이스트 - Google Patents

체인 호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260B1
KR100803260B1 KR1020070024891A KR20070024891A KR100803260B1 KR 100803260 B1 KR100803260 B1 KR 100803260B1 KR 1020070024891 A KR1020070024891 A KR 1020070024891A KR 20070024891 A KR20070024891 A KR 20070024891A KR 100803260 B1 KR100803260 B1 KR 100803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rake
pinion
cas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근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Priority to KR1020070024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2Planetary or differential gearings, i.e. with planet gears having movable axes of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호이스트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무게를 경감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는 외형을 갖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된 전동장치 , 상기 전동장치 중심축 내부에 수평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은 기어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전동장치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축의 타단과 기어결합되어 연동하는 브레이크 휠을 갖춘 브레이크장치와,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휠과 일면이 면접하여 연동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의 내경방향으로 기어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의 외주에 축결합된 1피니언과 , 상기 제 1피니언의 일측에 나란히 배치된 제 2피니언과 , 상기 제 1피니언 단부에 방사상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며 외측으로는 내접기어와 기어결합된 제 1유성기어를 갖추며, 상기 제 2피니언의 일단에 중심이 기어결합된 제 1기어판과 , 상기 제 1기어판 일측의 상기 제 2피니언 단부에 방사상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며 외측으로는 내접기어와 기어결합된 제 2유성기어를 갖춘 제 2기어판과 , 상기 제 2기어판 중심에 형성된 스플라인 치형과 일단이 기어결합된 로드 쉬브로 이루어진 감속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체인 호이스트의 크기를 대폭적으로 줄임과 동시에 무게를 크게 경감한 이점이 있다.
체인 호이스트

Description

체인 호이스트{CHAIN HOIST}
도 1은 종래 체인 호이스트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의 구조를 보인 일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A"-"A"선을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성치차 감속장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로드 쉬브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체인 호이스트 100;케이스
200;전동장치 300;구동축
400;브레이크장치 500;감속장치
본 발명은 체인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성치차 방식으로 구동함과 동시에 케이스를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하므로서, 체인 호이스트의 크기와 무게를 대폭적으로 경감시킨 체인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인 호이스트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용신안 출원번호 1992-0002203호로 출원된 "체인 호이스트"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종래의 체인 호이스트(CH)(이하, "호이스트"라 칭한다.)는 철재(鐵材)를 다이캐스팅하여 외형을 이루는 대칭형의 제 1, 2케이스(CS1)(CS2)가 마련되며, 제 1케이스(CS1)에는 구동모터(M)의 선단에 헬리컬 기어부를 형성한 구동축(MS)이 마련된다.
제 2케이스(CS2)에는 상기한 구동축(MS)과 기어결합되는 피니언 기어(PG)가 마련되고, 이 피니언 기어(PG)의 일단에 피니언 축(PS)이 배치되어 상기한 제 1케이스(CS1)에 마련된 베어링(BR)과 축결합하고, 이 피니언 축(PS)에 대향하는 타측선단에는 피니언(PN)이 일체로 설치되는데, 이 피니언(PN)은 로드기어(LG)와 기어결합된다.
로드기어(LG)의 중심에 작동축(ST)이 설치되는데, 이 작동축(ST)의 일측에는 체인(미도시)이 도르레식으로 배치되는 로드 쉬브(LS)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드 쉬브(LS)의 타단은 상기한 제 1케이스(CS1) 하단에 배치된 베어링(BR)과 결합하여 원활하게 회전하는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호이스트(CH)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구동모터(M)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MS)이 회전하고, 이 구동축(MS)과 기어결합된 피니언기어(PG)가 연동해서 회전하게 되고, 이 피니언기어(PG)의 회전에 의해 선단의 피니언(PN)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이 피니언(PN)과 기어결합되어 있는 로드기어(LG)의 회전에 따라, 작동축(ST)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작동축(ST)과 일체로 형성된 로드부쉬(LB)가 회전하며 체인(미도시)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하며 화물을 상승, 하강시켜 운반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체인 호이스트는 평기어(Spur Gear)에 의해 외접하는 기어결합방식이기 때문에 기어케이스의 부피가 커짐과 동시에 전체적인 체인 호이스트의 중량이 무거워 제작비가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기 규격이 다른 기어가 상호 기어결합되기 때문에 부품의 호환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체인 호이스트의 크기와 무게를 대폭적으로 줄이되, 제조비용은 저렴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부부품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공급을 원활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열성이 뛰어난 케이스를 갖춘 체인 호이스트를 널리 공급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체인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체인 호이스트는 외형을 갖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된 전동장치와;
상기 전동장치의 중심축 내부에 수평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은 기어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전동장치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축의 타단과 기어결합되어 연동하는 브레이크 휠을 갖춘 브레이크장치와;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휠과 일면이 면접하여 연동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의 내경방향으로 기어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의 외주에 축결합된 제 1피니언과, 상기 제 1피니언의 일측에 나란히 배치된 제 2피니언과, 상기 제 1피니언 단부에 방사상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며 외측으로는 내접기어와 기어결합된 제 1유성기어를 갖추며, 상기 제 2피니언의 일단에 중심이 기어결합된 제 1기어판과, 상기 제 1기어판 일측의 상기 제 2피니언 단부에 방사상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며 외측으로는 내접기어와 기어결합된 제 2유성기어를 갖춘 제 2기어판과, 상기 제 2기어판 중심에 형성된 스플라인 치형과 일단이 기어결합된 로드 쉬브로 이루어진 감속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 하여 본 발명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의 구조를 보인 일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A"-"A"선을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성치차 감속장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로드 쉬브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이하, 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명칭을 붙여 설명하되, 부호만 달리 붙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10)(이하, "호이스트"라 칭한다.)는 케이스(100)와 전동장치(200)와 구동축(300)과 브레이크장치(400)와 감속장치(500)로 대별된다.
케이스(100)는 본체(110)와 모터커버(130)와 브레이크 하우징(150)과 브레이크 커버(170)로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그 외형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부에는 다수열의 방열핀(10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100)는 일측에서 바라볼 때, 일측으로 후술하는 전동장치(200)가 배치되는 전동하우징(111)이 배치되고, 타측으로 감속장치(500)가 배치되는 감속장치 하우징(113)이 마련되며, 이 감속장치 하우징(113)의 일측으로는 브레이크 하우징(150)이 설치된다.
상기한 전동하우징(111)의 일측과 브레이크 하우징(150)의 일측에는 각각 모터커버(130)와 브레이크 커버(170)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한 모터커버(130)와 전동하우징(111)과 감속장치 하우징(113), 브레이크 하우징(150)에는 수평방향으로 동심한 위치에 베어링 시이트(10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중심축(201)과 클러치(510), 로드 쉬브(56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103)이 설치되어 있다.(이하, 설명되는 베어링 시이트(102)와 베어링(103) 구성에 대해서는 모두 동일명칭과 동일부호로 설명한다.)
이와 같은, 케이스(100)는 모두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제품으로서 체인 호이스트(10)의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전동장치(200)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10)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각 베어링 시이트(102)에 설치된 베어링(103)에 양단이 결합된 중심축(201)의 외주에 로터(202)가 배치되고, 이 로터(202)의 외주에 스테이터 코어(203)가 마련된다.
중심축(201)은 중공(中空)형태로서, 일단 내주에는 스플라인 치형(201a)이 형성되며, 그 스플라인 치형(201a)의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0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심축(201)의 내부에 수평 축방향으로 구동축(300)이 배치된다.
구동축(3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기한 스플라인 치형(201a)과 기어결합되는 제 1스플라인(310)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후술하는 브레이크장치(400)의 브레이크 휠(420)을 일측으로 압축하는 스프링(40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너트(402)가 나사결합되는 나사(3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320)의 일측에는 제 2스플라인(330)이 형성되어 상기한 브레이크 휠(420)과 기어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브레이크장치(400)는 전자식 브레이크로서 일측에 마그네트 코어(410)가 배치되고, 이 마그네트 코어(410)의 일측으로 상기한 구동축(300)과 결합된 브레이크 휠(420)이 배치되며, 이 마그네트 코어(410)와 브레이크 휠(420)의 사이에 는 브레이크 라이닝(415)이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휠(420)은 원반형 외형을 갖추고, 그 중심에 상기한 구동축(300)의 제 2스플라인(330)과 기어결합할 수 있도록 스플라인 치형(4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 장치(400)의 일측에 감속장치(500)가 배치된다.
감속장치(500)는 클러치(510)와 제 1, 2피니언(520)(530)과 제 1, 2기어판(540)(550)과 제 1, 2유성기어(545)(555)와 내접기어(551)와 로드 쉬브(560)로 이루어진다.
클러치(510)는 상기한 브레이크 휠(420)과 일면이 면접하는 일측 테두리에 클러치 라이닝(511)이 배치되고, 일측으로 돌출된 보스(513)의 중심 길이방향으로 스플라인 치형(513a)이 형성되며, 원통형 외주는 베어링 시이트(102)에 배치된 베어링(103)과 축결합된다.
제 1, 2피니언(520)(530)은 단면상 원통형상으로서, 2개가 약간의 간격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한 구동축(300)의 외주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진 상태이며, 그 외주에는 후술하는 제 1, 2유성기어(545)(555)와 기어결합 할 수 있도록 치형(521)(531)이 형성되어 있다.
제 1피니언(520)의 일단부는 상기한 클러치(510) 중심에 형성된 스플라인 치형(513a)과 기어결합되며, 타단부는 제 1유성기어(545)와 기어결합된다.
상기한 제 1피니언(520)과 나란히 배치된 제 2피니언(530)은 후술하는 제 1기어판(540)과 제 2유성기어(555)와 기어결합되어 있다.
제 1, 2기어판(540)(550)은 원반형태로서, 그 중심에 상기한 제 1피니 언(520)과 후술하는 로드 쉬브(560)와 기어결합할 수 있도록 각각의 스플라인 치형(548)(558)이 형성되며, 방사상 테두리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공(549)(559)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 1, 2유성기어(545)(555)와 축결합된 기어축(545a)(555a)의 단부가 삽입, 고정된다.
제 1, 2유성기어(545)(555)는 외주에 각각의 기어(547)(557)가 형성되며, 상기한 기어축(545a)(555a)에 의해 제 1, 2기어판(540)(550)의 테두리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 내측, 즉, 중심부분으로는 상기한 제 1, 2피니언(520)(530)과 기어결합되고, 외측으로는 후술하는 내접기어(551)와 기어결합되는데, 이 내접기어(551)는 상기한 감속장치 하우징(113)에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 2유성기어(545)(555)는 모듈(Module)도 같고 외경(P.C.D)도 동일하지만 제 1유성기어(545)에 비해 제 2유성기어(555)의 폭("W"표시부위)이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최종적으로 제 2피니언(550)을 통해 로드 쉬브(560)에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이 제 2유성기어(555)에 큰 부하가 작용하기 때문에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 2유성기어(555)가 배치된 제 2기어판(550)은 그 중심에 형성된 스플라인 치형(558)이 로드 쉬브(560)의 일단에 형성된 스플라인(563)과 기어결합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 쉬브(560)는 일측에서 바라볼 때, 장구형 외형을 갖추고 도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상기한 구동축(3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561)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561)의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오 일 씨일(Oil Seal)을 끼울 수 있도록 씨일 홈(562)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의 일단에는 베어링(103)에 축결합할 수 있도록 베어링 안착부(563)가 형성되며, 그 일측으로 체인고정부(564)가 형성되어 있다.
체인고정부(564)는 단면상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수평, 수직으로 교차하는 체인(1)이 끼워져 결합할 수 있도록 체인고정홈(564a)이 형성되며, 이 체인고정홈(564a)의 단면은 일측에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수평, 수직으로 교차하는 체인(1)이 길이방향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였다.
이 체인고정부(564)의 일측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기어판(550) 중심의 스플라인 치형(558)과 기어결합되는 스플라인(565)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체인(1)은 시중품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로 하여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푸쉬버튼을 누르면 전동장치(200)의 로터(202)가 회전함에 따라, 그 중심에 축결합된 중심축(201)이 회전하고, 이 중심축(201)의 내측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된 구동축(300)도 회전한다.
이에 따라, 구동축(300)의 타단에 스플라인 결합된 브레이크 휠(420)이 회전하고, 이 브레이크 휠(420)과 면접하고 있는 클러치(510)가 회전한다.
이 클러치(510)의 회전에 의해 제 1피니언(520)이 회전하고, 이 제 1피니언(520)의 회전에 의해 제 1유성기어(545)가 유성회전하며, 내접기어(551)의 내주에서 공전과 자전을 반복하며 1차 감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 1유성기어(545)의 유성회전에 의해 제 1기어판(540)이 회전하고, 이 제 1기어판(540)의 중심과 스플라인 결합된 제 2피니언(530)이 회전한다.
이 제 2피니언(530)의 회전은 제 2유성기어(555)를 유성회전시키며, 상기한 제 1유성기어(545)와 마찬가지로 내접기어(551)의 내주에서 공전과 자전을 반복하며 2차 감속이 이루어진다.
이 제 2유성기어(555)의 유성회전에 의해 제 2기어판(550)이 회전함에 따라 그 제 2기어판(550)의 중심과 스플라인 결합된 로드 쉬브(560)를 회전시키므로서, 도시하지 않은 화물의 승, 하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내접기어(551)의 내주에서 작동하는 각각의 제 1, 2유성기어(545)(555)에 의해 체인 호이스트(10)의 소형화를 이루었으며, 알루미늄을 다이캐스팅하여 제조된 케이스(100)에 의해 호이스트의 경량화를 이루었다.
나아가, 제 1, 2피니언(510)(530)을 동일한 규격의 공용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의 호환성을 이루었다.
또한, 케이스(100)를 열전도율이 뛰어난 알루미늄재질로 제조하고, 다수의 방열핀(101)을 형성하므로서, 케이스(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여 기기의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발명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접기어의 내주를 유성회전하는 각각의 제 1, 2유성기어에 의해 체인 호이스트의 소형화를 이루었으며, 알루미늄을 다이캐스팅하여 제조된 케이스에 의해 호이스트의 경량화를 달성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피니언을 동일한 규격의 공용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의 호환성을 이루므로서 부품공급이 원활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를 열전도율이 뛰어난 알루미늄재질로 제조함과 동시에 그 외부에 다수의 방열핀을 형성하므로서,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여 기기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체인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체인 호이스트는 외형을 갖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된 전동장치와;
    상기 전동장치의 중심축 내부에 수평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은 기어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전동장치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축의 타단과 기어결합되어 연동하는 브레이크 휠을 갖춘 브레이크장치와;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휠과 일면이 면접하여 연동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의 내경방향으로 기어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의 외주에 축결합된 제 1피니언과, 상기 제 1피니언의 일측에 나란히 배치된 제 2피니언과, 상기 제 1피니언 단부에 방사상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며 외측으로는 내접기어와 기어결합된 제 1유성기어를 갖추며, 상기 제 2피니언의 일단에 중심이 기어결합된 제 1기어판과, 상기 제 1기어판 일측의 상기 제 2피니언 단부에 방사상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며 외측으로는 내접기어와 기어결합된 제 2유성기어를 갖춘 제 2기어판과, 상기 제 2기어판 중심에 형성된 스플라인 치형과 일단이 기어결합된 로드 쉬브로 이루어진 감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외형을 갖춘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커버와, 상기 모터커버에 대향하는 타측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하우징과,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 타측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 외부에 다수열 형성된 방열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장치는, 중공부를 갖춘 중공(中空)형태의 축으로써, 상기 중공부 일단에 스플라인 치형이 형성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 외주에 장착된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주에 마련되어 스테이터 코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중심축 내주 일단에 형성된 스플라인 치형과 기어결합하 도록 형성된 제 1스플라인과, 상기 제 1스플라인의 대향하는 타단에는 상기 브레이크장치의 브레이크 휠을 일측으로 압축하는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너트를 결합하도록 형성된 나사와, 상기 나사의 일측에 형성된 제 2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에 배치된 마그네트 코어와, 상기 마그네트 코어의 일측에 배치되며, 원반형 외형의 중심에는 스플라인 치형이 형성된 브레이크 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마크네트 코어와 상기 브레이크 휠 사이에 배치된 브레이크 라이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쉬브는 길이방향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일단에 형성된 씨일 홈이 형성되며, 외측일단은 베어링에 축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베어링 안착부와, 상기 베어링 안착부 일측에 형성되어 수평, 수직 교차하는 체인이 안정적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체인고정홈이 형성된 체인고정부와, 상기 체인 고정부의 일측에 상기 제 2기어판 중심의 스플라인 치형과 기어결합되도록 형성된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
KR1020070024891A 2007-03-14 2007-03-14 체인 호이스트 KR100803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891A KR100803260B1 (ko) 2007-03-14 2007-03-14 체인 호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891A KR100803260B1 (ko) 2007-03-14 2007-03-14 체인 호이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260B1 true KR100803260B1 (ko) 2008-02-13

Family

ID=3934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891A KR100803260B1 (ko) 2007-03-14 2007-03-14 체인 호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2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1083A1 (de) * 2009-11-17 2011-05-26 Demag Cranes & Components Kettenzug mit einer rutschkupplung
KR101080640B1 (ko) 2010-02-26 2011-11-08 한국고벨주식회사 모듈화된 호이스트 드라이브
KR101080639B1 (ko) 2010-02-26 2011-11-08 한국고벨주식회사 모듈화 체인 호이스트
KR101533044B1 (ko) * 2015-04-08 2015-07-02 주식회사 대산이노텍 3단 감속기를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
CN105016226A (zh) * 2015-06-10 2015-11-04 曹兴奎 电力设备拖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7987A (ja) 1996-11-28 1998-06-16 Kito Corp 荷物落下防止装置付ホイスト
KR19990046572A (ko) * 1999-03-31 1999-07-05 송근상 와이어로프식전동호이스트
KR20010016384A (ko) * 2000-12-07 2001-03-05 남국열 휴대용 전동 권양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7987A (ja) 1996-11-28 1998-06-16 Kito Corp 荷物落下防止装置付ホイスト
KR19990046572A (ko) * 1999-03-31 1999-07-05 송근상 와이어로프식전동호이스트
KR20010016384A (ko) * 2000-12-07 2001-03-05 남국열 휴대용 전동 권양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1083A1 (de) * 2009-11-17 2011-05-26 Demag Cranes & Components Kettenzug mit einer rutschkupplung
US8910923B2 (en) 2009-11-17 2014-12-16 Terex Mhps Gmbh Chain hoist having a slip clutch
KR101080640B1 (ko) 2010-02-26 2011-11-08 한국고벨주식회사 모듈화된 호이스트 드라이브
KR101080639B1 (ko) 2010-02-26 2011-11-08 한국고벨주식회사 모듈화 체인 호이스트
KR101533044B1 (ko) * 2015-04-08 2015-07-02 주식회사 대산이노텍 3단 감속기를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
CN105016226A (zh) * 2015-06-10 2015-11-04 曹兴奎 电力设备拖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7696C (en) Compact integrated motor-gear drive unit with cycloidal reduction and device incorporating this unit
KR100803260B1 (ko) 체인 호이스트
US10106380B2 (en) Cable winch
WO2016004794A1 (zh) 行星齿轮传动机构及电子驻车制动器执行装置
JP2001140996A (ja) サイクロイド減速型電動車輪モータ
BRPI0922603B1 (pt) Engrenagem planetária, especialmente engrenagem planetária em vários estágios com ao menos duas engrenagens centrais
CN207093680U (zh) 电子锁多级ngw行星减速器及电子锁
US8529392B1 (en) Transmission with double-sun, annular gear, and outer gear coplanar gear set
CN100546152C (zh) 轮毂电机
US10024390B2 (en) Pancake motor
CN203809562U (zh) 电动驻车制动系统的执行器
EP3208493B1 (en) Drive device for driving power generator device
CN210559044U (zh) 一种精密高效电动卷筒
KR200325018Y1 (ko) 인벌류트 기어를 이용한 싸이클로이드 감속기
CN2894048Y (zh) 低速扭矩电机
US20180202216A1 (en) Window drive apparatus and vehicle door using the same
CN113580848A (zh) 一种桥箱一体式驱动桥
AU783196B2 (en) Hoisting and towing device
CN107701667B (zh) 一种复合减速器
CN111884420A (zh) 一种高输出转矩密度的旋转运动模块
CN2851367Y (zh) 装载机零偏置驱动桥
CN217874078U (zh) 一种低摩擦行星齿轮箱
CN217683072U (zh) 行星减速器及具有它的轮毂电机系统和电动车辆
CN215806140U (zh) 一种主动圆柱齿轮
CN216666379U (zh) 汽车轮边制动器的行星架齿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