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700B1 - 콘테이너 크레인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 - Google Patents

콘테이너 크레인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700B1
KR100291700B1 KR1019990015790A KR19990015790A KR100291700B1 KR 100291700 B1 KR100291700 B1 KR 100291700B1 KR 1019990015790 A KR1019990015790 A KR 1019990015790A KR 19990015790 A KR19990015790 A KR 19990015790A KR 100291700 B1 KR100291700 B1 KR 100291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hanger
hoisting
box gird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2862A (ko
Inventor
권일준
김승중
Original Assignee
윤영석
한국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석, 한국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영석
Priority to KR1019990015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700B1/ko
Publication of KR2000007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테이너 크레인용 기계식 트롤리(machinery trolley)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모노박스 거더에만 설치되도록 한 것을 더블박스거더(8)에 장착하여 개방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상기 트롤리의 정비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트롤리 구동장치부(5)를 행거(1a), 행거빔(1b) 및 연결빔(1c)으로 이루어진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권상드럼의 홈(17)의 구조를 2줄 나사식으로 형성함으로써 권상장치(19)의 배치를 긴밀히 하면 권상장치 프레임(3)의 폭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트롤리의 폭과 중량이 감소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테이너 크레인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A machinery trolley moving on double box girder of container crane}
본 발명은 콘테이너를 수송하는 선박에서 콘테이너를 하역하거나 선적하는 크레인의 더블박스거더(double box girder)용 기계식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콘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콘테이너를 이동시키거나 들어 올리기 위해 사용하는 기계장치로서 크레인에 설치된 1개 및 2개의 박스거더상에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종래 크레인의 기계식 트롤리는 하나의 박스거더(girder)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모노박스거더(mono box girder)용 구조가 일반적이다.
모노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의 전체 구성이 도 5의 (a) 및 (b)에 도시되어 있다.
모노박스거더(8)에 트롤리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거더(8)의 양측부에 안내레일(7)을 설치하여 바퀴로 이동하므로 트롤리 상부가 거더(8)에 의해 막히는 형태로 구성되므로, 권상장치 프레임(3)에서 드럼(2), 권상모터(14) 및 감속기(18)등 구성부품을 해체하여 들어 올리는 작업을 할 때, 트롤리 이외의 장소에 별도로 설치된 다른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정비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호이스트(20)와 이를 안내하는 별도의 안내 프레임(21)을 트롤리에 자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그러므로 트롤리의 중량이 증가하고 정비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모노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는 한 거더의 양측면을 모두 이용하여야 하므로 운전실을 별도로 설치할 충분한 공간이 없게 된다. 그러므로 운전실을 기계식 트롤리 자체에 설치할 수 밖에 없고 트롤리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피로감을 주는 등 근무조건이 열악하게 된다.
그리고 권상용 드럼(2) 표면의 2개의 나선 홈의 방향이 상기 드럼(2)의 길이방향 중심점(B)으로부터 각각 반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두 개의 권상 로프(rope)가 상기 B점으로부터 감길 때 각각 드럼(2)의 B점으로부터 먼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어 최종적으로 로프가 모두 감겼을 때는 2개의 로프는 정면에서 볼 때 'V'자 형태로 위치하므로 각 드럼은 길이방향 중심점(B)이 인양부(15)의 단부(端部)(A)와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되어야 무리가 없게 된다. 이로 인하여 권상장치 프레임(3)의 폭이 커지게 됨으로써 지지해야 할 중량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트롤리 바퀴가 트롤리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어서 하중이 집중되어 상기 바퀴 및 안내레일이 쉽게 파손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용 트롤리에 있어서, 더블박스거더에 설치될 수 있는 개방형의 기계식 트롤리를 구성하여 정비의 용이성을 도모하고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며 권상용 드럼의 로프홈을 2중홈 방식으로 구성하여 트롤리 전체의 폭을 저감시킴으로써 중량을 감소시키고 2개의 바퀴가 포함된 대차를 사용함으로써 하중의 집중을 억제할 수 있는 트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식 트롤리의 권상장치의 드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의 (a)는 종래의 모노박스거더(mono box girder)용 기계식 트롤리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
〈도면부호의 설명>
1a... 행거 1b... 행거빔
1c... 연결빔 2... 권상드럼
3... 권상장치 프레임 4... 트롤리 구동장치 프레임
5... 트롤리 구동장치 6... 트롤리 바퀴
7... 안내레일 8... 박스거더
9... 안내 브라켓 10... 로프
11... 트롤리 대차부 12... 대차프레임
13a... 구동치차 13b... 피동치차
13c... 중간치차 14... 권상모터
15... 인양부 15a... 인양부 활차
16... 핸드레일 17... 2중홈
18... 권상장치 감속기 19... 권상장치
20... 호이스트(hoist) 21... 호이스트 안내 프레임
22... 트롤리 구동축 A... 인양부의 단부(端部)
B... 드럼의 길이방향 중심점 C...드럼의 길이방향 끝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트롤리는, 모터를 이용하여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권상드럼을 구동하고 상기 권상드럼에 감기는 로프로 콘테이너를 인양할 때, 행거 및 행거빔은 권상장치, 권상장치 프레임 및 콘테이너의 무게를 모두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행거빔에 트롤리 바퀴가 설치되는 대차를 연결하여 박스거더에 고정설치된 안내브라켓의 안내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되어 있을 뿐 아니라 대차 1개당 2개의 바퀴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용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본 발명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는, 인양부(15)를 매개하여 콘테이너를 인양 및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서, 로프(10)(10)를 감아 올리는 권상장치(19)와, 상기 권상장치(19)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권상장치 프레임(3)과, 트롤리를 이동시키기 위한 매개수단인 트롤리 대차부(11)와, 상기 대차부(11)를 구동시키기 위한 트롤리 구동장치(5)와, 상기 권상장치(19), 권상장치 프레임(3) 및 콘테이너의 중량을 모두 지지하기 위한 행거(1a), 행거빔(1b) 및 연결빔(1c)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행거(1a), 행거빔(1b) 및 연결빔(1c)은 그 단면이 H빔이나 박스 빔형태의 멤버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하로 설치되어 있는 4개의 행거(1a)와, 상기 행거(1a)의 상단(上端)에서 바깥쪽으로 거의 수직으로 짧게 고정 설치되는 4개의 행거빔(1b)과, 전후에 위치한 상기 행거빔(1b)(1b)의 다른 일단(一端)끼리 서로 연결, 설치시키는 2개의 연결빔(1c)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행거(1a)는 하부(下部)가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어서 중량을 줄이고 하중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행거(1a)의 하단(下端)에는 권상장치 프레임(3)이 수평으로 고정설치되어 있고 이 프레임(3)의 전후방향의 적절한 위치에 권상장치(19)를 설치하고 콘테이너를 인양하게 된다(도 3 참조).
상기 권상장치(19)는 2중홈(17)이 형성되어 있는 권상드럼(2), 권상모터(14)와 감속기(18)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권상드럼(2)의 홈(17)에 맞는 2개의 로프(10)(10)가 각각의 독립된 홈에 동시에 감기게 되어 있다(도 2 내지 도 4 참조). 상기 2개의 로프(10)(10)는 인양부(15)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활차(15a)(15a)를 각각 감아 올리도록 작용한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드럼(2)의 2중홈(17)에 로프(10)(10)를 감게 되면 각 로프(10)(10)는 드럼(2) 길이방향 끝점(C)으로부터 동일한 방향(바깥쪽)으로 이동하므로 로프(10)(10)가 완전히 감겼을 때 2개의 로프(10)(10)의 최종 위치가 인양부(15)의 단부(A)와 거의 일치하게 되어 권상장치 프레임(3)상에서 드럼(2)(2)을 좀 더 안쪽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도 1 참조). 이로 인하여 권상장치 프레임(3)의 폭을 좀 더 작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행거빔(1b)(도 1 및 도 2에 도시)과 연결빔(1c)의 교차부의 하단에는 트롤리 대차부(11)가 설치되어 있어서 트롤리를 직선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대차부(11)는 2개의 트롤리 바퀴(6), 대차프레임(12), 그리고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3개의 치차(13a)(13b)(13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3개의 치차는 하나의 트롤리 바퀴(6)에 축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구동치차(13a), 또 다른 바퀴(6)에 설치된 피동치차(13b), 및 2개의 치차(13a)(13b)사이를 연결시키는 중간치차(13c)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치차(13a)를 트롤리 구동장치(5)로 회전구동시키면 13a에 맞붙어 설치된 트롤리 구동바퀴(6)가 회전하게 되고 중간치차(13c)를 통하여 피동치차(13b)로 동력이 전달되어 나머지 바퀴(6)도 연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트롤리의 하나의 모서리에 대해 2개의 상기 트롤리 바퀴(6)를 설치하게 되면 하중의 집중을 방지할 수 있어 바퀴(6) 및 레일(7)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롤리 바퀴(6)는 박스거더(8)의 안쪽 측면에 각각 고정설치된 안내브라켓(9)위의 안내레일(7)을 따라 구름으로써 트롤리를 이동시키게 된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트롤리 구동장치(5)는 4개의 행거(1a)에 고정설치된 구동장치 프레임(4)위에 설치되어 있고 모터와 감속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구동장치(5)는 전후방향으로 2개 설치하여 전후의 트롤리 구동축(22)을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한다(도 1 참조).
한편 본 발명의 트롤리를 점검 및 정비할 경우에는, 상부가 열린 개방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드럼(2)을 해체하고 들기 위한 호이스트를 트롤리상에 자체적으로 설치할 필요는 없고 크레인상의 다른 위치에 설치한 호이스트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트롤리의 중량이 더욱 감소된다.
본 발명은 크레인용 기계식 트롤리를 더블박스거더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개방된 형태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정비의 용이성 및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권상용 드럼의 로프 홈을 2중홈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2개의 권상용 로프가 드럼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권상드럼의 배치를 긴밀히 할 수 있으므로 트롤리 전체의 폭을 저감시킬 수 있고, 2개의 바퀴가 포함된 대차부를 사용하여 하중의 집중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트롤리 바퀴와 안내레일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아울러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거더의 바깥쪽 공간을 활용하여 트롤리와 독립적인 운전실을 설치할 수 있어 운전자의 근무조건을 개선시킬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콘테이너를 인양 및 이동시키기 위한 거더용 트롤리에 있어서,
    더블박스거더 안쪽에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는 4개의 행거(1a)와,
    상기 행거(1a)의 상단(上端)에서 바깥 방향으로 거의 수직으로 설치되는 4개의 행거빔(1b)과,
    전후에 위치한 2개씩의 상기 행거빔(1b)(1b)의 각각의 단부(端部)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된 2개의 연결빔(1c)과,
    표면에 2중 나선홈(17)이 형성된 권상드럼(2)과 권상모터(14)를 구비하는 권상장치(19)와,
    상기 권상장치(19)를 지지하기 위해 행거(1a)의 하단에 고정설치된 권상장치 프레임(3)과,
    행거빔(1b)과 연결빔(1c)의 하부(下部)에 설치되고 거더(8) 안쪽의 브라켓(9)위에 얹혀져 트롤리를 이동시키는 트롤리 대차부(11)와,
    트롤리 구동장치 프레임(4)위에 설치되고 상기 트롤리 대차부(11)의 상기 트롤리 바퀴(6)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트롤리 구동장치(5)로 구성되어 트롤리 상부가 개방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크레인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트롤리 대차부(11)는 대차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에서 설치되어 회전하는 2개의 트롤리 바퀴(6)와, 상기 2개의 바퀴(6)를 연동시키기 위해 서로 맞물리는 3개의 치차(13a)(13b)(13c)로 구성된 콘테이너 크레인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
KR1019990015790A 1999-05-01 1999-05-01 콘테이너 크레인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 KR100291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790A KR100291700B1 (ko) 1999-05-01 1999-05-01 콘테이너 크레인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790A KR100291700B1 (ko) 1999-05-01 1999-05-01 콘테이너 크레인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862A KR20000072862A (ko) 2000-12-05
KR100291700B1 true KR100291700B1 (ko) 2001-05-15

Family

ID=1958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790A KR100291700B1 (ko) 1999-05-01 1999-05-01 콘테이너 크레인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209B1 (ko) * 2007-04-12 2008-07-14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타워크레인용 트롤리
CN104261268A (zh) * 2014-10-11 2015-01-07 华电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穿越式双小车的连接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862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7123B1 (ko) 엘리베이터
FI102957B (fi) Köysikahmarin ohjausjärjestelmä
KR101715423B1 (ko) 천정 트롤리와 호이스팅 윈치를 가지는 천정 크레인
CZ292321B6 (cs) Výtah pro dopravu osob a/nebo zboží
KR100291700B1 (ko) 콘테이너 크레인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
JPH07206377A (ja) 跳ね出し門形クレーン
RU2230019C1 (ru) Грузовая тележка мостового крана
CN105480860B (zh) 双梁起重机及其起升台车
JP2005022863A (ja) 駐車場における昇降装置
KR100437282B1 (ko) 크레인 트롤리
RU2317246C2 (ru) Тележка грузовая кранов мостового типа
CN101734558A (zh) 冶金料箱桥式起重机
KR19980085896A (ko)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의 흔들림 방지장치
CN219194229U (zh) 一种可在风机机舱内分段拼装的起重结构
JP3071160B2 (ja) 天井クレーン
JP4195044B2 (ja) エレベーター
EP0652846B1 (en) Trolley
CN219194133U (zh) 电梯曳引装置及电梯
CN114380243B (zh) 一种超长堆垛机装置
CN220412802U (zh) 叉车辅助工装及装卸系统
CN214243499U (zh) 一种龙门吊起重机
KR100365320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SU1131820A1 (ru) Механизм поворота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органа мостового крана
CN2775022Y (zh) 一种桥式起重机
KR200236339Y1 (ko)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