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282B1 - 크레인 트롤리 - Google Patents

크레인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282B1
KR100437282B1 KR1019970029419A KR19970029419A KR100437282B1 KR 100437282 B1 KR100437282 B1 KR 100437282B1 KR 1019970029419 A KR1019970029419 A KR 1019970029419A KR 19970029419 A KR19970029419 A KR 19970029419A KR 100437282 B1 KR100437282 B1 KR 100437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um
pulley
reduc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238A (ko
Inventor
강성대
김현철
최용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29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282B1/ko
Publication of KR19990005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66C13/14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to load-engaging elements or motors associated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 트롤리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고 또한 경량화 하므로 써 크레인 전체의 중량을 줄이고 트롤리 조립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표준생산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주고, 소정 개수의 바퀴를 구비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주행 프레임, 주행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 프레임을 연결하고 주행 프레임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 빔, 주행 프레임 상에 설치된 제 1구동 모터, 제 1구동 모터에 연결되고 제 1구동 모터에 의한 회전동력의 속도를 감속하여주기 위한 제 1감속기, 제 1감속기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제 1와이어 로프가 감기는 제 1드럼, 주행 프레임 상에 설치된 활차 프레임 및 활차 프레임 하면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고 제 1와이어 로프에 걸리는 장력을 줄여주기 위한 다수의 제 1활차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크레인 트롤리에 관한 발명.

Description

크레인 트롤리{SAMSUNG HEAVY INDUSTRIES CO. LTD.}
본 발명은 크레인 트롤리(crane trolley)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한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해주는 호이스트(hoist) 기구를 탑재한 상태에서 크레인의 거더(girder) 상에 횡행 가능케 설치되어 필요한 물건을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크레인의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 크레인, 갠트리 크레인 등은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rail)과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거더(girder) 또는 갠트리, 거더 등에 탑재되어 횡행하는 트롤리(trolley) 및 물건을 걸어서 들어올리기 위한 호이스트(hoist) 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천정 크레인 등에는 트롤리를 횡행시키기 위한 트롤리 구동 기구와 호이스트를 구동하기 위한 호이스트 구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천정 크레인(overhead crane) 등에 설치된 트롤리는 직선이동되는 크레인의 거더 상에서 횡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필요한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는 호이스트 기구를 탑재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크레인 트롤리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크레인 트롤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 크레인 트롤리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는 크레인 트롤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크레인 트롤리(10)에는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는 하나의 호이스트 기구만 탑재되어 있는 데 이를 통상적으로 주권 트롤리라 부르고, 도 2의 크레인 트롤리(10) 에는 보다 가벼운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는 보조 호이스트 기구가 하나 더 설치되어 있는 데 이를 통상적으로 주보권 트롤리라 부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과 도 2 크레인 트롤리(10)는 프레임(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임(12)은 소정 넓이를 갖는 직육면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자체 중량이 크기 때문에 가능하면 그 무게를 줄여주어야 된다. 이 프레임(12)의 4모서리 부근에는 바퀴(14)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프레임(12) 상에는 바퀴(14)를 구동하기 위한 주행 모터(1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2) 상에는 제 1구동 모터(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구동 모터(18)의 일측으로는 제 1감속기(20)와 제 1드럼(2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2) 상에는 제 1드럼(22)의 중앙부를 지지하여주기 위한 보조 프레임(24)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구동 모터(18)는 제 1드럼(22)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 1감속기(20)는 제 1구동 모터(18)의 회전 동력을 감속하여 제 1드럼(22)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12)에는 제 1드럼(22)에 감기는 와이어 로프의 장력을 줄여주기 위한 활차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미도시하였다.
도 2 크레인 트롤리(10)의 프레임(12) 상에는 도 1의 크레인 트롤리(10)에 비해 제 2구동 모터(26)와 제 2감속기(28) 및 제 2드럼(30)이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드럼(30)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프레임(32)이 더 설치되어 있다. 이는 가벼운 물건을 들어올릴 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보조 활차가 프레임(12) 아래쪽에 더 설치되어 있어야 된다.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크레인 트롤리(10)에서는 프레임(12) 전체를 용접구조로 하여야 하는 데 이에 따라 전체 부피와 중량이 매우 커진다. 이와 더불어 제 1, 제 2감속기(20, 28), 제 1, 제 2구동 모터(18, 26) 등을 프레임(12)에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브래킷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다. 뿐만 아니라 제 1, 제 2드럼(22, 30)을 지지하기 위해 보조 프레임(24, 32)을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는 더욱 복잡해진다.
이러한 연유로 인하여 종래의 크레인 트롤리는 부피와 중량이 커져 그 제작, 조립 및 운반에는 대형 가공기계와 대형운반기계가 필요하고 또한 넓은 작업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공장의 생산효율이 떨어지고 공장 건물에 걸리는 부담력 증대로 공자 건축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 외 크레인 트롤리의 중량이 많이 나가면 트롤리가 탑재되는 거더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트롤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므로 거더의 부피와 중량도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 트롤리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고 또한 경량화 하므로 써 크레인 전체의 중량을 줄이고 트롤리 조립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표준생산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주는 크레인 트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크레인 트롤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 크레인 트롤리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트롤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활차 프레임에 활차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활차 프레임에 활차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트롤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3과 도 6의 제 1구동모터와 제 1감속기의 평면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크레인 트롤리 112 : 바퀴
120 : 간격 유지빔 130 : 연결축
140 : 제 1구동모터 144 : 커플링 하우징
146 : 커플링 150 : 제 1드럼
154 : 제 1와이어 로프 160 : 제 1감속기
162 : 출력축 163 : 스플라인
165 : 출력축 하우징 170 : 활차 프레임
174 : 제 1활차 178 : 제 2활차
179 : 돌출부 180 : 제 2구동 모터
182 : 제 2감속기 184 : 제 2와이어 로프
186 : 제 2드럼
본 발명의 목적은 바퀴를 구비하는 한 쌍의 주행 프레임, 주행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 프레임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 빔, 주행 프레임 상에 설치된 제 1구동 모터, 제 1구동 모터에 연결되고 제 1구동 모터에 의한 회전 동력의 속도를 감속하여주기 위한 제 1감속기, 제 1감속기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제 1와이어 로프가 감기는 제 1드럼, 주행 프레임 상에 설치된 활차 프레임 및 활차 프레임 하면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된 다수의 제 1활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롤리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트롤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트롤리(100)는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주행 프레임(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주행 프레임(110)은 그 하면에 설치된 소정 개수의 바퀴(1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한 쌍의 주행 프레임(110) 사이에는 간격유지빔(1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간격유지빔(120)은 볼트(122)를 통해 두 주행 프레임(110)을 연결하고 또한 두 주행 프레임(11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일측 끝단의 두 바퀴(112)는 연결축(13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두 바퀴(112)는 구동 바퀴(112)이고, 반대편 끝단의 주행 프레임(110)에 설치된 두 바퀴(112)는 종동 바퀴(112)이다.
주행 프레임(110) 상에는 제 1구동 모터(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구동 모터(140)는 바퀴(112)와 뒤에서 설명되는 제 1드럼(150)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 1구동 모터(140)는 볼트(142)를 통해 주행 프레임(110) 상에 고정되는 지지대(143)를 갖는 커플링 하우징(144)을 통해 주행 프레임(110) 상에 고정된다.
제 1구동 모터(140) 옆쪽으로는 제 1감속기(160)와 제 1드럼(150)이 설치되어 있다. 제 1감속기(160)는 커플링(146)을 통해 제 1구동 모터(14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1구동 모터(140)에 의한 회전동력의 속도를 감속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 제 1감속기(160)에는 끝단에 스플라인(163)이 형성되어 있는 출력축(162)이 일측으로 돌출 되어 있다.
제 1드럼(150)은 일측의 주행 프레임(110) 상에 고정되는 베어링 하우징(152)과 타측의 주행 프레임(110) 상에 고정되는 출력축 하우징(165)을 통해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출력축(162)을 통해 제 1감속기(160)와 연결되어 있다. 이 제 1드럼(150)에는 제 1와이어 로프(154)가 감겨지게 되는 데, 이는 필요한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주행 프레임(110) 상에는 볼트(172)를 통해 활차 프레임(1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활차 프레임(170)에는 제 1활차(174)가 설치되어 있는 데 이에 관해서는 도 4 ∼ 도 5를 통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활차 프레임에 활차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활차 프레임에 활차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4에는 활차 프레임(170)이 도시되어 있다. 이 활차 프레임(170)은 주행 프레임 상에 볼트를 통해 설치되는 데, 주행 프레임(110)과 함께 전체적으로 대략 H자 모양을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활차 프레임(170)에는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차축(175)이 결합되어 있다. 이 활차축(175)은 활차 프레임(170)의 하면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 활차축(175)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 1활차(174)가 결합되어 있다. 이 제 1활차(174)는 활차축(175)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활차(174)는 제 1로프(154)에 걸리는 장력을 줄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차축(175)의 양 끝단 하부에는 소켓(17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소켓(176)은 제 1와이어 로프(154)의 양 끝단을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도 3 ∼ 도 5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트롤리는 주행 프레임등의 각 구성품을 소단위로 분리 제작하므로 써 기존보다 적은 능력의 가공기계로 제작이 가능하고 또한 작은 운반기계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구조도 단순해져 크레인 트롤리 제작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종래 각 구동부의 지지개소가 대폭 줄어들었고 보조 프레임이 필요치 않게 되었으며 제 1드럼이 주행 프레임 상면에만 지지됨으로 써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화되고 중량도 줄어들어 크레인의 거더 설계시에도 이에 연관적으로 경량화가 가능해져 생산원가 절감이 가능케 되었다.
그 외 크레인의 경량화로 공장건물에 걸리는 부담력이 적어져 공장 건축비 절감을 가능케 해준다는 장점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트롤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는 크레인 트롤리(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크레인 트롤리(100)는 도 3의 크레인 트롤리의 기본 구성에 중량이 작은 물건을 들어올리기 위한 보조 호이스트 기구를 더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데, 이를 통상적으로 주보권 트롤리라 부르기도 한다. 여기서는 도 3에 나타낸 크레인 트롤리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구성이 더 첨가된 부분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12)를 갖는 주행 프레임(110) 상에 제 1구동 모터(140)와 제 1감속기(160) 및 제 1와이어 로프(154)가 감기는 제 1드럼(150)이 설치되어 있고, 그 옆쪽으로 활차 프레임(170)이 설치되어 있다. 두 주행 프레임(110)사이에는 간격유지빔(120)이 설치되어 있고, 일측의 두 바퀴(112)는 연결축(13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활차 프레임(17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1활차(174)외에 제 2활차(178)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활차(178)는 활차 프레임(170)의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179)에 설치되어 있는 데, 그 기본 구성은 도 4에서와 같이 하거나 아니면 제 2활차(178)의 수를 줄여서 구성하여도 된다.
활차 프레임(170) 옆쪽의 주행 프레임(110) 상에는 제 2구동 모터(180)와 제 2감속기(182) 및 제 2와이어 로프(184)가 감기는 제 2드럼(18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구동 모터(180)와 제 2감속기(182), 제 2드럼(186), 제 2와이어 로프(184) 및 제 2활차(178)는 작은 물건을 들어올리기 위한 일종의 보조 호이스트 기구이다.이 제 2구동모터(180), 제 2감속기(182) 및 제 2드럼(186)은 앞에서 설명한 제 1구동모터(140), 제 1감속기(160) 및 제 1드럼(150)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행 프레임(110) 상에 설치하고 서로 연결하면 된다.
즉, 주행 프레임(110) 상에 제 2베어링 하우징(190)과 제 2출력축 하우징(192)을 통해 제 2와이어 로프(184)가 감겨지는 제 2드럼(186)과 제 2드럼(186)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 2구동 모터(180)와 제 2구동 모터(180)의 회전동력을 감속하여 제 2드럼(186)에 전달하기 위한 제 2감속기(182)를 각각 앞에서와 같이 설치하면 된다.
도 6의 크레인 트롤리(100)는 도 3의 크레인 트롤리에 비해 보조 호이스트 기구가 더 설치되어 있다는 것 외에는 그 효과와 구성에서 도 3의 크레인 트롤리에서와 동일하다.
도 7은 도 3과 도 6의 제 1구동모터와 제 1감속기의 평면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구동 모터(140)는 볼트(142)에 의해 주행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커플링 하우징(144)을 통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구동 모터(140)는 커플링(146)을 통해 제 1감속기(160)에 연결되어 있다. 제 1감속기(160)에는 출력축(162)이 일측으로 돌출 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출력축(162)은 주행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출력축 하우징(165)의 지지를 받고 있다. 이 출력축(165)은 제 1드럼(15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그 끝단에는 스플라인(163)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트롤리는 주행 프레임등 주요 구성품을 소단위로 분리 제작할 수 있으므로 보다 작은 공작기계로도 만들수 있으며 보다 작은 용량의 운반기계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전체적으로 구성이 단순해져 만들기 쉽고 중략도 줄어들어 거더의 경량화도 가능케 해준다. 거더가 가벼워지면 거더가 설치되는 공장건물에 걸리는 부담력이 적어져 공장 건축비의 절감도 가능케 해준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각종 프레임을 소단위로 분리 제작함에 따라 트롤리 조립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주며 표준생산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3)

  1. 바퀴(112)를 구비하는 한 쌍의 주행 프레임(110);
    상기 주행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 프레임(110)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 빔(120);
    상기 주행 프레임(110) 상에 설치된 제 1구동 모터(140);
    상기 제 1구동 모터(140)에 연결되고 상기 제 1구동 모터(140)에 의한 회전 동력의 속도를 감속하여주기 위한 제 1감속기(160);
    상기 제 1감속기(160)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제 1와이어 로프(154)가 감기는 제 1드럼(150);
    상기 주행 프레임(110) 상에 설치된 활차 프레임(170); 및
    상기 활차 프레임(170) 하면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된 다수의 제 1활차(1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 모터(140)는 상기 주행 프레임(110) 상에 고정되는 지지대(143)를 갖는 커플링 하우징(144)을 통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커플링 하우징(144) 내부에 설치되는 커플링(146)을 통해 상기 제 1감속기(160)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롤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프레임(110) 상에는 제 2베어링 하우징(190)과 제 2출력축 하우징(192)을 통해 제 2와이어 로프(184)가 감겨지는 제 2드럼(186)과 상기 제 2드럼(186)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 2구동 모터(180)와 상기 제 2구동 모터(180)의 회전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제 2드럼(186)에 전달하기 위한 제 2감속기(182)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활차 프레임(170)에는 상기 제 2와이어 로프(184)에 걸리는 장력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제 2활차(17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롤리.
KR1019970029419A 1997-06-30 1997-06-30 크레인 트롤리 KR100437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419A KR100437282B1 (ko) 1997-06-30 1997-06-30 크레인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419A KR100437282B1 (ko) 1997-06-30 1997-06-30 크레인 트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238A KR19990005238A (ko) 1999-01-25
KR100437282B1 true KR100437282B1 (ko) 2004-08-25

Family

ID=3734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419A KR100437282B1 (ko) 1997-06-30 1997-06-30 크레인 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9327B (zh) * 2018-09-26 2024-05-14 东莞市台冠起重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变频控制的起重机的起升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5154A (en) * 1976-05-04 1977-11-11 Hitachi Ltd Double railed hoist
KR880021842U (ko) * 1987-05-27 1988-12-24 주식회사경성엔지니어링 화물용 곤도라의 와이어 로우프가 암대 내부를 통과하는 평행 이송 장치
JPH05186178A (ja) * 1992-01-13 1993-07-27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ラブ旋回式天井走行クレー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5154A (en) * 1976-05-04 1977-11-11 Hitachi Ltd Double railed hoist
KR880021842U (ko) * 1987-05-27 1988-12-24 주식회사경성엔지니어링 화물용 곤도라의 와이어 로우프가 암대 내부를 통과하는 평행 이송 장치
JPH05186178A (ja) * 1992-01-13 1993-07-27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ラブ旋回式天井走行クレ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238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7334B2 (en) Lifting arrangement for overhead traveling cranes
KR20120055494A (ko) 천정 트롤리와 호이스팅 윈치를 가지는 천정 크레인
US3570684A (en) Overhead cranes
JP2011057429A (ja) 天井クレーン
KR100437282B1 (ko) 크레인 트롤리
KR100847906B1 (ko) 멀티 크레인
CN110950225A (zh) 集装箱提升装置
WO2006135132A1 (en) Hoist
CN2641001Y (zh) 一种桥式起重机小车
CN105480860B (zh) 双梁起重机及其起升台车
KR100291700B1 (ko) 콘테이너 크레인의 더블박스거더용 기계식 트롤리
JP3071159B2 (ja) 天井クレーン
CN101734558A (zh) 冶金料箱桥式起重机
RU2317246C2 (ru) Тележка грузовая кранов мостового типа
JP3071160B2 (ja) 天井クレーン
CN217051369U (zh) 一种双梁起重机
CN213834274U (zh) 一种步履式自平衡过跨架桥机用起重小车
KR100581636B1 (ko) 천정크레인
CN212050126U (zh) 集装箱提升装置
CN218754618U (zh) 一种通用门式起重机可转向小车
RU31572U1 (ru) Грузовая тележка мостового крана
KR200361083Y1 (ko) 천정크레인
CN214613627U (zh) 一种用于装配式钢箱梁的拼装定位装置
CN213326475U (zh) 一种低净空欧式葫芦
CN212508359U (zh) 隧道管片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