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522A -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522A
KR20210133522A KR1020200052226A KR20200052226A KR20210133522A KR 20210133522 A KR20210133522 A KR 20210133522A KR 1020200052226 A KR1020200052226 A KR 1020200052226A KR 20200052226 A KR20200052226 A KR 20200052226A KR 20210133522 A KR20210133522 A KR 20210133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eavy
roller
building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919B1 (ko
Inventor
송인용
Original Assignee
송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용 filed Critical 송인용
Priority to KR102020005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919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4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는, 배관 보호 구조체는,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길이방향에 연장되는 다수의 가이드판으로 구축되는 가이드 이송지지수단(100)과, 상기 이송지지수단의 상부에서 안치되는 중량물의 폭에 대응하도록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활주 이동하는 다수의 이동롤러로 구축되는 이송롤러수단(200) 및, 상기 이송롤러수단의 최 후방의 이동롤러를 전진 구동하여 상기 이송롤러수단을 전진시켜 그 상부에 안착된 중량물을 이송하는 유, 공압실린더(310)를 포함하는 전진구동수단(300)으로 구성된 중량물 이송장치를 제공하여,
중량물의 건물의 내부의 설치에 따른 신속한 설치로 설치장소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Heavy loads transfe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발전기실, 변전실의 구축을 위해 설치되는 전동기, 배전반, 분전반, 차단기, 변압기와 같은 중량물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레인과 같은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한 건물의 내부의 이송이 어려운 단점을 해소하여 간소한 설치에 의한 건물 내부의 소정위치로의 이송작업의 편리성 및 안전성이 보장되는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인 발전기, 변압기, 분전반, 배전반는 자체중량이 수백톤에 달하며, 이러한 중량물의 옥외설치는 크레인 등과 같은 중량물 운반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위치에 이송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중량물은 옥외 설치는 상기와 같은 크레인을 통한 운반 설치가 가능하나, 건물 내부의 발전실, 변전실, 동력실의 구축을 위한 발전기, 변압기, 배전반, 분전반, 개폐기, 차단기와 같은 중량물의 이송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중량물의 옥내 설치는 이송롤러가 설치된 이송대차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이송대차는 소정 장소로의 안정적인 이동이 어렵고, 폭이 넓은 중량물의 경우에는 다수의 작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작업자가 지면에서 공중에 일정공간 부양한 상태에서 이송대차를 중량물의 하부에 삽입하고 작기작동의 해제에 의해 안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작업으로 이송하는 매우 번거롭고 복잡한 과정으로 이송하게 된다.
물론, 변압기의 경우에는 특허문헌 1과 같이,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휠블럭장치는 변압기와 같은 특정물품에 한정적으로 적용되고 있고, 다른 중량물의 경우에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적용할 수 없는 중량물의 이송작업에는 한계성이 있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627210호(2016.05.30. 등록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에서 간소한 설치에 의해 중량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소정의 장소에 이송이 가능하여 중량물 이송의 안전성 및 편리성이 보장되는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물 이송장치의 구축에 따른 신속성과 안정성, 편리성이 보장되고, 해체작업이 간편한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의 이송거리에 상관없이 연속적으로 안정적인 이송작업이 제공되는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는,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길이방향에 연장되는 다수의 가이드판으로 구축되는 가이드 이송지지수단:
상기 이송지지수단의 상부에서 안치되는 중량물의 폭에 대응하도록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활주 이동하는 다수의 활주롤러체로 구축되는 이송롤러수단; 및,
상기 이송롤러수단의 최 후방의 이동롤러를 전진 구동하여 상기 이송롤러수단을 전진시켜 그 상부에 안착된 중량물을 이송하는 유,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전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이드 이송지지수단은, 병열의 세팅공이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고 전, 후면에 연결돌기와 연결홈이 교대로 형성된 가이드판이 상기 연결돌기와 연결홈으로 연속 조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주롤러체는 전, 후방의 연결판과 좌, 우측의 롤러지지판으로 용접으로 결속된 몸체프레임, 상기 롤러지지판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을 갖고 가공된 축공에 축 결합된 다수의 롤러, 상기 전, 후방의 연결판에 가공된 볼트공에 나사 조립된 길이 연결볼트 및 상기 좌, 우측의 롤러지지판의 전, 후방에 가공된 볼트공에 나사조립된 한 쌍의 폭 연결볼트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전진구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이송지지수단의 가이드판에 가공된 세팅공에 결합되는 세팅돌기로 조립되는 구동력 지지판, 상기 구동력 지지판에 실린더몸체의 후방이 지지되고 실린더로드의 선단이 상기 후방 연결판에 밀착 지지되는 유, 공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의 중량물의 크기에 제약없이 간소한 설치에 의해 건물의 내부에서 안전한 이송과 중량물 이송에 따른 작업의 편리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부품의 단순화에 의한 경제성 보장과 설치작업에 따른 신속성, 편리성이 보장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내부에서 이송거리에 상관없이 중량물을 안전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신뢰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를 후면방향에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를 전면방향에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가이드 이송지지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이송롤러수단을 구성하는 활주롤러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이송롤러수단을 구성하는 활주롤러체의 가이드 이송지지수단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전진구동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가이드 이송지지수단에 이송롤러수단의 조립단계 사시도이다.
도 9는 전진구동수단의 조립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F"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사용예의 조립상태의 후면방향에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중량물 이송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G"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진구동수단에 의해 이송롤러수단이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가이드 이송지지수단에서 전진작동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를 후면방향에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를 전면방향에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량물 이송장치는,
가이드 이송지지수단(100), 이 가이드 이송지지수단의 상부 안착되어 전진 이동하는 이송롤러수단(200), 이 이송롤더수단의 후방에서 상기 가이드 이송지지수단(100)에 세팅되어 상기 이송롤러수단(200)을 전진 구동하는 전진구동수단(300)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 이송지지수단(100)은 조립식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가이드판(110)을 길이방향에 소정거리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가이드판(110)은 병열의 세팅공(120)이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고 전, 후면에 연결돌기(130)와 연결홈(140)이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130)와 연결홈(140)으로 연속 조립에 가이드 이송지지수단(100)을 구축한다.
이때, 상기 연결돌기(130)는 양 외측이 확장된 외광내협의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기(130)에 대응하여 조립되는 연결홈(140)은 외협내광의 홈으로 형성되어 상, 하방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의 이탈이 차단된다.
그 결과, 상기 중량물을 안착한 상태로 전진 활주하는 이송롤러수단(200)의 활주운동에도 빠짐이 없이 활주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송롤러수단(200)은 상기 가이드 이송지지수단(100)의 상부에서 안치되는 중량물(W)의 폭에 대응하도록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활주 이동하는 다수의 활주롤러체(2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송롤러수단(200)을 구축하는 상기 활주롤러체(210)는 전, 후방 연결판(230,231)과 좌, 우측 롤러지지판(240,241)으로 용접으로 결속된 몸체프레임(220), 상기 좌, 우측 롤러지지판(240,241)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을 갖고 가공된 축공(241)에 축 결합된 다수의 롤러(211), 상기 전, 후방 연결판(230,231)에 가공된 볼트공(232)에 나사 조립된 길이 연결볼트(B1) 및 상기 좌, 우측의 롤러지지판(240,241)의 전, 후방에 가공된 볼트공(242)에 나사조립된 한 쌍의 폭 연결볼트(B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롤러(211)는 우레탄몸체와 이 우레탄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롤러(211)의 구조는 이미 당업계서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활주롤러체(210)를 구축하는 다수의 롤러(211)는 지면에 맞닿은 상태로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프레임(220)의 하부면보다는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판(110)의 상부에서 활주이동이 제공되도록 좌, 우측롤러지판(240,241)에 일정간격으로 가공된 축공에 회전축으로 축결합 됨은 당연하다.
상기 몸체프레임(220)은 전, 후방 연결판(230,231) 간이 상기 볼트공(232)과 길이 연결볼트(B1)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할 수 있고,
상기 몸체프레임(220)의 좌, 우측 롤러지지판(240,241) 간이 상기 한 쌍의 볼트공(242)와 폭 연결볼트(B2)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폭을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W)의 하중과 길이 및 폭에 대응해서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이송롤러수단(200)의 구축은 상기 가이드 이송지지수단(100)의 길이방향으로 연결과, 폭방향에 대응하여 병열 또는 그 이상의 설치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가능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진구동수단(300)은 상기 이송롤러수단(200)의 최후방의 활주롤러체(210)를 전진 구동하여 상기 이송롤러수단(200)을 전진시켜 그 상부에 안착된 중량물(W)을 이송하는 유, 공압실린더(3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진구동수단(300)은 상기 가이드 이송지지수단(100)의 가이드판(110)에 가공된 세팅공(120)에 결합되는 세팅돌기(330)로 구동력 지지판(320)이 조립 구비되고, 상기 구동력 지지판(320)에 상기 유, 공압실린더(310)의 실린더몸체(311)의 후방이 지지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312)의 선단이 상기 이송롤러수단(200)의 후방 연결판(231)에 밀착 지지로 설치한다.
상기 구동력 지지판(320)은 상기 유, 공압실린더(310)의 작동에 따른 반발력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판(110)에서 견고한 결속으로 휨이 없이 유지하도록 휨억제브라켓(340)이 후방에 용착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휨억제브라켓(340)은 상기 유, 공압실린더(310)의 실린더로드(312)의 전진동작에 따른 실린더몸체(311)를 구동력 지지판(320)이 받침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롤러수단(200)의 전진이동에 따른 상기 구동력 지지판(320)의 전단력을 보강하여 휨이 없이 받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의 작동에 대해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요지는 건물 내부에서 크레인과 같은 중량물 운반기구를 적용할 수 없는 공간에서 중량물(W)을 이송하는 것에 적용하는 이송장치를 개시한 것이다.
먼저, 크레인과 같은 중량물 운반기구를 이용하여 실내 입구 측에 설비하고자 하는 변압기, 발전기 등등의 중량물을 운반하여 내려놓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기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중량물의 양측에서 작동하여 지면에서 임시로 부양한 상태에서 본 발명을 설치하고 작기 작동을 제거한 상태에서 건물의 내부에서 소정장소로 이송하도록 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 이송지지수단(100)의 가이드판(110)에 이송롤러수단(200)의 활주롤러체(210)를 병열상태로 조립해서 중량물(W)의 길이에 대응하여 활주롤러체(210)를 연접한 상태로 조립해서 설치한다.
이렇게 병렬 배치된 활주롤러체(210)를 구성하는 몸체프레임(220)의 좌측 롤러지지판(240)과 우측 롤러지지판(241)이 폭 연결볼트(B2)에 의해 볼트공(242)과의 나사조립으로 병열 연결 조립하고,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 연접배치되는 각 활주롤러체(210)의 전방 연결판(230)에 후방 연결판(231)을 길이 연결볼트(B1)에 의해 볼트공(232)과의 나사조립으로 연결하여 가이드 이송지지수단(100)의 가이드판(110)의 상부에 안착한다.
그리고 이렇게 연접한 상태로 설치된 상기 이송롤러수단(200)의 최후방에 도 9 및 도 10,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진구동수단(300)을 배치한다.
즉, 전진구동수단(300)은 상기 가이드 이송지지수단(100)의 가이드판(110)에 가공된 세팅공(120)에 결합되는 양측의 세팅돌기(330)로 구동력 지지판(320)을 조립하고, 상기 구동력 지지판(320)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유, 공압실린더(310)의 실린더몸체(311) 후방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로드(312)는 후진되어 그 선단이 상기 이송롤러수단(200)의 후방 연결판(231)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한다.
상기 구동력 지지판(320)은 세팅돌기(330)에 의해 가이드 이송지지수단(100)의 가이드판(110)에 일정간격을 갖고 가공된 세팅공(120)에 상기 유, 공압실린더(310)의 작동거리, 즉 실린더로드(312)의 후진상태의 길이을 수용할 수 있게 신속한 세팅의 단순작업으로 편리성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을 병렬로 구축한 상태에서 건물의 입구에 운반된 중량물(W)의 양측을 작기로 이용해서 부양하고, 상기와 같이 구축된 본 발명을 중량물의 하부에 밀어넣어 배치한 상태에서 다시 작기 작동을 해제하여 중량물(W)을 하강하여 이송롤러수단(200에 안착한다(도 12 또는 도 14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진구동수단(300)의 구동, 즉 유, 공압실린더(310)의 동작에 의해 실린더로드(312)가 실린더몸체(311)에 전진하고, 상기 실린더몸체(311)는 그 후방에 세팅된 구동력 지지판(320) 및 휨억제브라켓(340)에 의해 후방이동이 억제된 상태로 상기 이송롤러수단(200)의 각 활주롤러체(210)가 전진하여 중량물(W)을 전진 이송하게 된다.
이렇게 중량물(W)을 전진 이송한 상태에서 전진구동수단(300)을 분리하고, 상기 전지구동수단을 세팅했던 가이드 이송지지수단(100)의 가이드판(110)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중량물(W)을 안착한 이송롤러수단(200)을 지지하는 가이드판(110)에 재조립하여 연장하고, 상기 전진구동수단(300)은 다시 중량물(W)의 후방에 배치된 가이드 이송지지수단(100)의 가이드판(110)에 전술한 과정으로 다시 세팅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단계에 의해 중량물(W)을 안정적으로 연속 이송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중량물의 방향전환 시에는 상기 중량물(W)을 작기에 의해 부양한 상태에서 본 발명을 각도를 이송방향으로 배치하고, 부양력을 제공하고 있던 작기의 동작을 해제하여 중량물을 이송롤러수단(200)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전술한 전진구동수단(300)의 작동에 의해 이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 한 목적 및 장점을 완전히 만족시키는 중량물 이송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많은 대안, 수정 및 변형이 전술 한 설명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명백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 된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넓은 범위 내에있는 그러한 모든 대안,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에 중량물 설치에 따른 작업자에게 안전하고 신속한 설치로 중량물을 건물의 내부에서 이송작업이 가능하여 산업상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 가이드 이송지지수단 110 : 가이드판
120 : 세팅공 130 : 연결돌기
140 : 연결홈 200 : 이송롤러수단
210 : 활주롤러체 211 : 롤러
220 : 몸체프레임 230 : 전방 연결판
231 : 후방 연결판 232 : 볼트공
240 : 좌측 롤러지지판 241 : 우측 롤러지지판
242 : 볼트공 300 : 전진구동수단
310 : 유, 공압실린더 311 : 실린더몸체
312 : 실린더로드 320 : 구동력 지지판
330 : 세팅돌기 340 : 휨억제브라켓
W : 중량물 B1 : 길이 연결볼트
B2 : 폭 연결볼트

Claims (5)

  1.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길이방향에 연장되는 다수의 가이드판으로 구축되는 가이드 이송지지수단:
    상기 이송지지수단의 상부에서 안치되는 중량물의 폭에 대응하도록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활주 이동하는 다수의 활주롤러체로 구축되는 이송롤러수단; 및,
    상기 이송롤러수단의 최 후방의 이동롤러를 전진 구동하여 상기 이송롤러수단을 전진시켜 그 상부에 안착된 중량물을 이송하는 유, 공압실린더를 구비한 전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이송지지수단은, 병열의 세팅공이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고 전, 후면에 연결돌기와 연결홈이 교대로 형성된 가이드판이 상기 연결돌기와 연결홈으로 연속 조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는 양 외측이 확장된 외광내협의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기에 대응하여 조립되는 연결홈은 외협내광의 홈으로 형성되어 상, 하방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의 이탈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롤러체는 전, 후방의 연결판과 좌, 우측의 롤러지지판으로 용접으로 결속된 몸체프레임, 상기 롤러지지판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을 갖고 가공된 축공에 축 결합된 다수의 롤러, 상기 전, 후방의 연결판에 가공된 볼트공에 나사 조립된 길이 연결볼트 및 상기 좌, 우측의 롤러지지판의 전, 후방에 가공된 볼트공에 나사조립된 한 쌍의 폭 연결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구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이송지지수단의 가이드판에 가공된 세팅공에 결합되는 세팅돌기로 조립되는 구동력 지지판, 이 구동력 지지판의 후방에 용착되는 휨억제브라켓, 상기 구동력 지지판의 전방에서 실린더몸체의 후방이 지지되고 실린더로드의 선단이 상기 후방 연결판에 밀착 지지되는 유, 공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
KR1020200052226A 2020-04-29 2020-04-29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 KR102382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226A KR102382919B1 (ko) 2020-04-29 2020-04-29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226A KR102382919B1 (ko) 2020-04-29 2020-04-29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522A true KR20210133522A (ko) 2021-11-08
KR102382919B1 KR102382919B1 (ko) 2022-04-04

Family

ID=7849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226A KR102382919B1 (ko) 2020-04-29 2020-04-29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9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5651A (ja) * 1992-10-07 1994-04-26 Mitsubishi Heavy Ind Ltd 鋼球式搬送システム
JP2004067280A (ja) * 2002-08-02 2004-03-04 Ichiei Kogyo Kk ローラコンベア装置
KR101627210B1 (ko) 2015-12-04 2016-06-03 기현엘에스 주식회사 대중량물 이송용 휠블럭 장치
KR102018247B1 (ko) * 2019-04-08 2019-11-04 이정훈 초중량급 중량물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5651A (ja) * 1992-10-07 1994-04-26 Mitsubishi Heavy Ind Ltd 鋼球式搬送システム
JP2004067280A (ja) * 2002-08-02 2004-03-04 Ichiei Kogyo Kk ローラコンベア装置
KR101627210B1 (ko) 2015-12-04 2016-06-03 기현엘에스 주식회사 대중량물 이송용 휠블럭 장치
KR102018247B1 (ko) * 2019-04-08 2019-11-04 이정훈 초중량급 중량물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919B1 (ko) 202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1786A (ko) 발전기, 발전기의 기초대, 및 발전기의 보수 방법
KR101359131B1 (ko) 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송 방법
CN104801955A (zh) 一种船舶与海洋工程中大型轴类的安装方法
KR102382919B1 (ko) 건물 내부의 중량물 이송장치
CN110562856B (zh) 重物的起重装置以及起重搬运方法
US3659823A (en) Device for moving large and heavy apparatus
JP6484443B2 (ja) 重量物の輸送及び昇降システム
EP0108748A1 (en) Mechanically operated elevating apparatus of steel column structure for elevating and moving advantageously containers of series 1, vehicles and heavy objects
JP7258834B2 (ja) 橋梁架設方法及び橋梁架設用手延べ機
US11976424B2 (en) Railroad maintenance systems and methods
JP2854741B2 (ja) 車体搬送用仮台車
BRPI1100106A2 (pt) guindaste de torre e método de montagem, desmontagem e deslocamento ascensional em poço de elevador
KR20210000005A (ko) 철로용 리프트 작업대
JP2007077656A (ja) 橋桁の構築方法及び橋桁
CN110371862B (zh) 一种组装式吊装设备
US20240175277A1 (en) Load dispersion-type indoor lifting apparatus for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by using same
KR100404903B1 (ko) 물체 이송 시스템
CN219061665U (zh) 一种单环多块式隧道衬砌拼装台车
CN220434363U (zh) 核辅助厂房及核电站
CN115949218B (zh) 一种扩展式多功能集成施工空中造楼平台及其施工方法
KR200373696Y1 (ko) 크린룸 바닥 구조물 설치용 자재 운반장치
CA2832193C (en) Mobile veneer dryer
CN112573406B (zh) 起吊运输装置
JP6139146B2 (ja) トンネル用のプレキャスト板の設置方法
JP2007138595A (ja) 地下躯体の切断撤去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