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223B1 - 와이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와이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223B1
KR102659223B1 KR1020220030064A KR20220030064A KR102659223B1 KR 102659223 B1 KR102659223 B1 KR 102659223B1 KR 1020220030064 A KR1020220030064 A KR 1020220030064A KR 20220030064 A KR20220030064 A KR 20220030064A KR 102659223 B1 KR102659223 B1 KR 102659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nit
fixed
press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3045A (ko
Inventor
정성희
문진호
박장근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3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223B1/ko
Publication of KR20230133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for action on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26Operating devices pneumatic or hydraul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66D2700/0191Cable guiding during winding or pay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3Mechanisms with latches or braking devices in general for capstans, hoists or similar devices as well as braking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or by fluid under pressure
    • B66D2700/035Fluid operated brak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08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upport of radiation sour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 G01N2223/330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object fixed; source and detector m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되, 선택적으로 와이어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가압부, 상기 고정가압부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고정가압부와 가까워지는 움직임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이동가압부 및 상기 이동가압부의 움직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운동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WIRE CONTROL DEVICE AND RADIOGRAPHIC INSP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와이어 조절장치 및 와이어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설비 및 다양한 배관들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내부구조나 유체 유동에 대한 검사/진단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다만, 산업설비, 배관들의 규모가 큰 경우에는 내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규모가 큰 산업설비 등에 대해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투과계측검사가 수행되며, 방사선 피폭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정확한 계측진단을 위해 모터와 통신을 이용한 자동제어 검사장치가 이용된다. 또한, 검사장비들을 수직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큰 규모의 산업설비의 높이방향을 따라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도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 따르면, 검사장치의 검사위치를 수동으로 변경해가면서 측정하는 방식은 작업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검사결과의 신뢰도도 떨어지며, 수직 구동시키는 방식은 낙하충격에 의해 수직위치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정확한 이동거리를 유지 및 변경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큰 규모의 산업설비에 대한 검사 과정에서 검사장비들을 수직 구동시킬 때, 검사장비들의 낙하충격으로 인해 수직위치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고 유지함으로써 검사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 조절장치 및 와이어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되 선택적으로 와이어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가압부, 상기 고정가압부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고정가압부와 가까워지는 움직임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이동가압부 및 상기 이동가압부의 움직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운동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과검사 시스템은, 컬럼을 투과 가능한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선원, 상기 방사선원에 의해 방출되어 상기 컬럼을 투과한 방사선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컬럼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방사선원의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방사선검출기 및 상기 방사선원 및 상기 방사선검출기와 각각의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조절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와, 상기 와이어가 풀리지 않도록 가압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가압부 및 이동가압부, 상기 이동가압부가 상기 고정가압부에 대해 직선운동 가능하게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운동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검사장비들의 위치 및 이동거리를 정밀하게 조절하고 유지함으로써 검사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산업설비에 대한 검사가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효율적인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장치를 일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장치의 밸브부 및 밸브부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장치의 운동조절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과검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장치(1)를 일 방향에서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장치(1)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와이어 조절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와이어(2)의 말단에 물체가 결합된 경우, 물체가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힘으로 와이어(2)가 와이어 조절장치(1)에서 풀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2)의 말단에 방사선원(예: 도 6의 방사선원(120))이나 방사선검출기(예: 도 6의 방사선검출기(130))가 결합되는 경우, 방사선원(예: 도 6의 방사선원(120))이나 방사선검출기(예: 도 6의 방사선검출기(130))의 무게로 인해 와이어 조절장치(1)에 와인딩 된 와이어(2)가 언와인딩 될 수 있다. 와이어(2)가 언와인딩 될 때, 와이어 조절장치(1)는 와이어(2)가 풀리지 않도록(또는 언와인딩 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조절장치(1)는 와이어(2)가 풀리는 경우(또는 언와인딩 되는 경우)에는 소정 거리만큼만 풀리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이어 조절장치(1)는 베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와이어 조절장치(1)의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0) 상에는 후술하는 고정가압부(20), 이동가압부(30), 운동조절부(40), 밸브부(50), 롤러(60), 와이어가이드부(61)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술한 구성들 중 일부만 베이스(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베이스판(1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11)은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베이스(10)는 가이드로드(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로드(12)는 베이스판(11)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로드(12)는 후술하는 이동가압부(3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로드(12)는 베이스판(11)에서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분에서, 베이스판(11)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로드(12)의 연장방향은 와이어(2)가 풀리는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가이드로드(12)는 직선형의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고정가압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가압부(20)는 베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가압부(20)는 가이드로드(12)의 연장방향 상에, 가이드로드(12)와 겹치지 않도록 베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고정가압부(20)는 와이어(2)가 풀리는 방향(또는 언와인딩되는 방향) 상의 베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가압부(20)는 고정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는 베이스(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1)가 베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고정가압부(20)가 베이스(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가압부(20)는 제1 가압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부(22)는 고정부(2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압부(22)는 연결부재를 통해, 고정부(21)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고정부(21)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가압부(22)는, 제1 가압부(22)와 고정부(21)의 사이에 와이어(2)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고정부(2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에 와이어(2)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가압부(22)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압부(22)의 피스톤은, 연결부재를 따라 고정부(21)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1 가압부(22)는 와이어(2)가 지지되도록, 와이어(2)를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압부(22)는 피스톤을 이용하여 와이어(2)를 가압할 수 있다. 제1 가압부(22)는, 고정부(21)와 제1 가압부(22)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2)를 피스톤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이동가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압부(30)는 베이스(1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가압부(30)는, 고정가압부(2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움직임을 가지도록, 베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가압부(30)는, 베이스(10)의 가이드로드(1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가이드로드(12)를 따라 고정가압부(2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움질일 수 있다. 가이드로드(12)가 직선형 로드의 형태인 경우, 이동가압부(30)는 가이드로드(12)를 따라, 고정가압부(20)에 대해 직선운동할 수 있다.
이동가압부(30)는 이동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31)는 가이드로드(1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31)는 가이드로드(12)를 따라 움직이도록, 가이드로드(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31)는 가이드로드(12)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부(31)의 홀에 가이드로드(12)가 삽입됨으로써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가압부(30)는 제2 가압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압부(32)는 이동부(3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압부(32)는 연결부재를 통해, 이동부(31)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이동부(31)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가압부(32)는, 제2 가압부(32)와 고정부(21) 사이에 와이어(2)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동부(3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에 와이어(2)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가압부(32)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압부(32)의 피스톤은, 연결부재를 따라 이동부(31)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압부(32)는 와이어(2)가 지지되도록, 와이어(2)를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압부(32)는 피스톤을 이용하여 와이어(2)를 가압할 수 있다. 제2 가압부(32)는, 이동부(31)와 제2 가압부(22)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2)를 피스톤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가압부(30)는, 이동부(31)가 가이드로드(1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가압부(20)로부터 멀어지거나 고정가압부(20)와 가까워지는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동가압부(30)는 제2 가압부(32)의 피스톤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와이어(2)를 가압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고정가압부(20) 및 이동가압부(30)를 이용하여, 와이어(2)가 풀리는 방향(또는 언와인딩 되는 방향) 상의 다른 위치에서 와이어(2)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고정가압부(20) 및 이동가압부(30) 각각이 서로 다른 시점에 와이어(2)를 가압하게 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운동조절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운동조절부(40)를 이용하여 이동가압부(2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조절장치(1)는 운동조절부(40)를 이용하여, 이동가압부(20)가 고정가압부(20)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조절장치(1)는 운동조절부(40)를 이용하여, 이동가압부(20)가 움직이는 거리(또는 직선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운동조절부(40)의 구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운동조절부(40)는 공압실린더(41)를 포함할 수 있다. 공압실린더(41)는, 이동가압부(3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이동가압부(30)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공압실린더(41)는 구동축부재(42)가 움직이도록, 구동축부재(42)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공압실린더(41)는 제1 밸브(41-1) 및 제2 밸브(41-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공기는 제1 밸브(41-1) 및 제2 밸브(41-2)를 통해 공압실린더(41)에 출입될 수 있다. 공압실린더(41)는 압축공기의 출입에 따른 공압 조절에 의해, 구동축부재(42)에 동력을 제공하여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제1 밸브(41-1) 및 제2 밸브(41-2)는, 전기신호로 공압을 조절하는 솔래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조절부(40)는 구동축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부재(42)는, 공압실린더(41)를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축부재(42)의 일측말단(예: 도 4의 일측말단(42-1))은 와이어(2)가 풀리는 방향(또는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동축부재(42)의 타측말단(예: 도 4의 타측말단(42-2))은 이동부(31)와 결합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구동축부재(42)는 이동부(31)와 결합됨으로써, 이동가압부(30)와 결합될 수 있다.
운동조절부(40)는 스토퍼(4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43)는 이동가압부(30) 또는 구동축부재(42)의 이동거리(또는 직선운동거리)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이동거리의 범위는, 와이어(2)가 풀리는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스토퍼(43)는 구동축부재(42)의 일측말단(예: 도 4의 일측말단(42-1))과 공압실린더(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43)는, 이탈방지를 위해, 구동축부재(42)의 일측말단(예: 도 4의 일측말단(42-1))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토퍼(43)는 복수개의 스토퍼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유닛의 개수를 변경하면, 스토퍼(43)의 높이(또는 길이)도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가압부(30) 또는 구동축부재(42)의 이동거리(또는 직선운동거리)의 범위도 변경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밸브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50)는 와이어 조절장치(1)의 구성들의 공압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부(50)는 고정가압부(20), 이동가압부(30) 및 운동조절부(40)에 연결되어, 고정가압부(20), 이동가압부(30) 및 운동조절부(40)의 동작을 위한 공압을 조절할 수 있다. 밸브부(50)는 전기신호로 공압을 조절하는 솔래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50)는 복수개의 밸브유닛(51, 52, 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밸브유닛(51, 52, 53)은, 제1 밸브유닛(51), 제2 밸브유닛(52) 및 제3 밸브유닛(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유닛(51), 제2 밸브유닛(52) 및 제3 밸브유닛(53) 각각은 이동가압부(30), 고정가압부(20) 및 운동조절부(40) 각각의 공압을 조절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롤러(6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60)는, 이동가압부(30)를 기준으로 고정가압부(20)의 반대측인 베이스(10)의 일측 말단에 설치될 수 있다. 롤러(60)는 와이어(2)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롤러(60)는 와이어(2)를 안착시킬 수 있으며,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시에 와이어(2)를 지지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와이어가이드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베이스(10)의 타측말단에 설치될 수 있다. 롤러(60)와 와이어가이드부(61)는 이동가압부(30) 및 고정가압부(20)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10)의 일측말단 및 타측말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가이드부(61)는, 롤러(60)로부터 와이어(2)가 언와인딩 될 때, 베이스(10)의 타측말단에서 와이어(2)를 이동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와이어가이드부(61)는 복수개의 회전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2)가 가이드되도록, 복수개의 회전체들은 와이어(2)를 상하로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2)가 언와인딩 될 때, 와이어(2)가 이동하는 방향의 상하에서 복수개의 회전체들이 회전하면서 지지하므로, 와이어(2)가 효과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장치(1)의 밸브부(50)를 나타낸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밸브부(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밸브부(50)를 이용하여 고정가압부(20), 이동가압부(30) 및 운동조절부(40)의 공압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밸브부(50)는 복수개의 밸브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부(50)는 제1 밸브유닛(51), 제2 밸브유닛(52), 제3 밸브유닛(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유닛(51), 제2 밸브유닛(52), 제3 밸브유닛(53) 각각은 제어부(예: 도 6의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고정가압부(20), 이동가압부(30) 및 운동조절부(40)의 공압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밸브부(50)를 이용하여 이동가압부(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부(50) 중 제1 밸브유닛(51)은 에어튜브(51-1, 51-2)를 통해 이동가압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밸브유닛(51)은 에어튜브(51-1)를 통해 이동가압부(3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에어튜브(51-2)를 통해 압축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이동가압부(30)가 와이어(2)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밸브유닛(51)은 에어튜브(51-1)를 통해 이동가압부(30)에서 압축공기를 배출시키고 에어튜브(51-2)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이동가압부(30)가 와이어(2)를 가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조절장치(1)는 제1 밸브유닛(51)을 이용하여, 에어튜브(51-1, 51-2)를 통해 이동가압부(30)가 와이어(2)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밸브부(50)를 이용하여 고정가압부(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부(50) 중 제2 밸브유닛(52)은 에어튜브(52-1, 52-2)를 통해 고정가압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밸브유닛(52)은 에어튜브(52-1)를 통해 고정가압부(2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에어튜브(52-2)를 통해 압축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고정가압부(20)가 와이어(2)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밸브유닛(52)은 에어튜브(52-1)를 통해 고정가압부(20)에서 압축공기를 배출시키고 에어튜브(52-2)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고정가압부(20)가 와이어(2)를 가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조절장치(1)는 제2 밸브유닛(52)을 이용하여, 에어튜브(52-1, 52-2)를 통해 고정가압부(20)가 와이어(2)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밸브부(50)를 이용하여 운동조절부(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부(50) 중 제3 밸브유닛(53)은 에어튜브(53-1, 53-2)를 통해 운동조절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밸브유닛(53)은, 에어튜브(53-1)를 통해 운동조절부(40)의 제1 밸브(41-1)에 연결될 수 있고, 에어튜브(53-2)를 통해 운동조절부(40)의 제2 밸브(4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밸브유닛(53)은 제1 밸브(41-1) 및 제2 밸브(41-2)에 대해 압축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조절함으로써, 운동조절부(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 밸브유닛(51), 제2 밸브유닛(52), 제3 밸브유닛(53) 각각은 고정가압부(20), 이동가압부(30) 및 운동조절부(40)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복수개의 밸브유닛(51, 52, 53)을 포함하는 밸브부(50)를 이용하여 고정가압부(20), 이동가압부(30) 및 운동조절부(40)의 동작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조절장치(1)는, 이동가압부(30)가 와이어(2)를 가압하되 고정가압부(20)가 와이어(2)를 가압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가압부(30)가 와이어(2)를 가압한 상태에서, 와이어 조절장치(1)는 와이어(2)의 말단에 연결된 물체(예: 도 6의 방사선원(120), 방사선검출기(130))의 하중 또는 운동조절부(40)에 의해, 이동가압부(30)가 고정가압부(20)에 대해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2)는 이동가압부(30)가 이동하는 소정의 이동거리만큼 풀릴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이동가압부(30)가 소정의 이동거리만큼 이동하면, 고정가압부(20)가 와이어(2)를 가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가압부(20)의 가압에 의해, 와이어(2)는 풀리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고정가압부(20)가 와이어(2)를 가압한 상태에서, 와이어 조절장치(1)는 이동가압부(30)의 와이어(2)에 대한 가압을 해제할 수 있으며, 이동가압부(30)가 고정가압부(2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운동조절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이동가압부(30)를 고정가압부(20)에서 소정 이동거리만큼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고, 이동가압부(30)가 와이어(2)를 다시 가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가압부(30)가 와이어(2)를 가압하게 되면, 와이어 조절장치(1)는 고정가압부(20)가 와이어(2)를 가압하지 않도록, 가압 해제시킬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 따라, 와이어 조절장치(1)는, 고정가압부(20), 이동가압부(30) 및 운동조절부(40)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운동조절부(4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장치(1)의 운동조절부(40)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와이어 조절장치(1)는 밸브부(50)를 이용하여 밸브들(예: 제1 밸브(41-1), 제2 밸브(41-2))을 통해 운동조절부(40)의 공압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조절장치(1)는 제3 밸브유닛(53)을 이용하여 제1 밸브(41-1)를 통해 공압실린더(41)에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조절장치(1)는 제3 밸브유닛(53)을 이용하여 제2 밸브(41-2)를 통해 공압실린더(41)로부터 압축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운동조절부(40)의 구동축부재(42)는 와이어(2)가 풀리는 방향(또는 언와인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축부재 타측말단(42-2)은 이동가압부(30)와 연결되므로, 이동가압부(30)는 구동축부재(42)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가압부(30)는 고정가압부(20)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와이어 조절장치(1)는 밸브부(50)를 이용하여 밸브들(예: 제1 밸브(41-1), 제2 밸브(41-2))을 통해 운동조절부(40)의 공압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조절장치(1)는 제3 밸브유닛(53)을 이용하여, 제1 밸브(41-1)를 통해 공압실린더(41)로부터 압축공기를 배출시키고 제2 밸브(41-2)를 통해 공압실린더(41)에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운동조절부(40)의 구동축부재(42)는 와이어(2)가 풀리는 방향(또는 언와인딩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축부재 타측말단(42-2)은 이동가압부(30)와 연결되므로, 이동가압부(30)는 구동축부재(42)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가압부(30)는 고정가압부(2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가압부(30)는 스토퍼(43)에 의해 소정범위 내에서 직선운동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구동축부재 일측 말단(42-1)에는 스토퍼(43)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축부재 일측말단(42-1)은 스토퍼(43)가 길이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블로킹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43)는 복수개의 스토퍼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토퍼유닛의 개수에 따라 스토퍼(43)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가 제1 밸브(41-1)를 통해 공압실린더(41)로부터 압축공기를 배출시키고 제2 밸브(41-2)를 통해 공압실린더(4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구동축부재(42)는 와이어(2)가 풀리는 방향(또는 언와인딩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축부재(42)는 스토퍼(43)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직선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압실린더(41) 및 구동축부재 일측말단(42-1)의 사이에 스토퍼(43)가 배치되어 구동축부재(42)의 직선운동이 소정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가압부(30)가 고정가압부(20)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는 직선운동거리도 스토퍼(43)에 의해 소정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조절장치(1)는 이동조절부(40)의 공압실린더(41) 및 구동축부재(42)를 이용하여, 이동가압부(30)가 이동(예: 직선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조절장치(1)는 스토퍼(43)를 이용하여, 이동가압부(30)가 소정범위 내에서 이동(예: 직선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가 공압실린더(41)를 이용하여 이동가압부(30)에 연결된 구동축부재(42)를 제어함으로써, 와이어(2) 말단에 연결되는 물체(예: 도 6의 방사선원(120), 방사선검출기(130))의 하중에 따라 와이어 조절장치(1)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 조절장치(1)가 스토퍼(43)를 포함함으로써, 스토퍼(43)의 길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소정거리만큼 와이어(2)가 언와인딩 또는 풀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과검사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투과검사 시스템(100)은 컬럼(110)의 내부에 대한 검사, 측정, 진단 등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 컬럼(110)은 규모가 큰 산업설비로, 높이방향을 따라 수직위치를 변경하면서 내려옴으로써,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투과검사 시스템(100)은 방사선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원(120)은, 컬럼(110)을 투과 가능한 방사선을 방출할 수 있다.
투과검사 시스템(100)은 방사선검출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검출기(130)는 방사선원(120)에 의해 방출되어 컬럼(110)을 투과한 방사선을 검출할 수 있다. 방사선검출기(130)는 컬럼(110)을 사이에 두고 방사선원(120)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투과검사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와이어 조절장치(1, 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와이어 조절장치(1, 1')는, 방사선원(120) 및 방사선검출기(130)를 각각 와이어(2, 2')를 통해 지지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장치(1')는 와이어 조절장치(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투과검사 시스템(100)은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와이어 조절장치(1, 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와이어 조절장치(1)의 이동가압부(30), 고정가압부(20) 및 운동조절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와이어 조절장치(1')의 이동가압부(30), 고정가압부(20) 및 운동조절부(40)에 대응하는 구성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각각의 와이어(2, 2')에 연결되는 방사선원(120) 및 방사선검출기(130)가 서로 대응하는 높이로 이동되게, 와이어 조절장치(1. 1')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투과검사 시스템(100)은 압력조절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150)는 공압 조절을 위해 고정가압부(20), 이동가압부(30) 및 운동조절부(4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압력조절부(150)는 제어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고정가압부(20), 이동가압부(30) 및 운동조절부(40) 각각의 공압을, 압력조절부(150)를 제어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와이어 조절장치(1')에도 적용될 수 있다.
투과검사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지지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지지설비는 복수개의 와이어 조절장치(1, 1')를 지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설비는 복수개의 와이어 조절장치(1, 1')가 소정 높이에 배치되어 작동하도록, 복수개의 와이어 조절장치(1, 1')를 지지할 수 있다.
투과검사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와이어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와이어지지부는, 방사선원(120) 및 방사선검출기(130)와, 복수개의 와이어 조절장치(2, 2')를 연결하는 각각의 와이어(2, 2')가 지지되도록, 컬럼(110)의 주위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와이어지지부는, 도르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투과검사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와이어 조절장치(1, 1')를 이용하여, 방사선원(120) 및 방사선검출기(130)를 컬럼(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간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와이어 조절장치(1, 1')는 방사선원(120) 및 방사선검출기(130)가 소정범위의 직선운동을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방사선원(120) 및 방사선검출기(130)는 소정범위의 거리를 반복 이동하면서 규모가 큰 컬럼(110)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투과검사 시스템(100)은 제어부(140)를 이용하여, 압력조절부(150) 및/또는 와이어 조절장치(1, 1')를 제어함으로써, 컬럼(110)에 대한 검사, 측정, 진단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1': 와이어 조절장치
2, 2': 와이어
10: 베이스
11: 베이스판
12: 가이드로드
20: 고정가압부
21: 고정부
22: 제1 가압부
30: 이동가압부
31: 이동부
32: 제2 가압부
40: 운동조절부
41: 공압실린더
41-1: 제1 밸브
41-2: 제2 밸브
42: 구동축부재
42-1: 구동축부재 일측 말단
42-2: 구동축부재 타측 말단
43: 스토퍼
50: 밸브부
51: 제1 밸브유닛
51-1: 에어튜브
51-2: 에어튜브
52: 제2 밸브유닛
52-1: 에어튜브
52-2: 에어튜브
53: 제3 밸브유닛
53-1: 에어튜브
53-2: 에어튜브
60: 롤러
61: 와이어가이드부
100: 투과검사 시스템
110: 컬럼
120: 방사선원
130: 방사선검출기
140: 제어부
150: 압력조절부

Claims (16)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되, 선택적으로 와이어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가압부;
    상기 고정가압부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고정가압부와 가까워지는 움직임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이동가압부; 및
    상기 이동가압부의 움직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운동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압부는, 소정의 직선형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고정가압부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고정가압부와 가까워지는 움직임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운동조절부는,
    상기 이동가압부와 결합되는 구동축부재;
    상기 구동축부재가 직선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공압실린더; 및
    상기 구동축부재가 소정범위 내에서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구동축부재의 말단과 상기 공압실린더 사이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복수개의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와이어 조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의 공압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운동조절부에 연결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조절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압부 및 상기 이동가압부는 각각, 상기 와이어에 대한 가압을 수행하는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 각각의 공압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더 연결되는, 와이어 조절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1 가압부, 상기 제2 가압부 및 상기 공압실린더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와이어 조절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전기신호로 공압이 조절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절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가압부가 고정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되 상기 이동가압부의 상기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압부는,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에 대한 가압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절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압부는,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가 지지되게 가압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절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압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가압부의 반대측인 상기 베이스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되, 상기 와이어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되도록 마련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로부터 상기 와이어가 언와인딩 될 때, 상기 베이스 상의 타측 말단에서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와이어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절장치.
  13. 컬럼을 투과 가능한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선원;
    상기 방사선원에 의해 방출되어 상기 컬럼을 투과한 방사선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컬럼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방사선원의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방사선검출기; 및
    상기 방사선원 및 상기 방사선검출기와 각각의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조절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
    상기 와이어가 풀리지 않도록 가압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가압부 및 이동가압부;
    상기 이동가압부가 상기 고정가압부에 대해 직선운동 가능하게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운동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압부는, 소정의 직선형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고정가압부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고정가압부와 가까워지는 움직임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운동조절부는,
    상기 이동가압부와 결합되는 구동축부재;
    상기 구동축부재가 직선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공압실린더; 및
    상기 구동축부재가 소정범위 내에서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구동축부재의 말단과 상기 공압실린더 사이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압부, 고정가압부 및 운동조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와이어에 연결되는 상기 방사선원 및 상기 방사선검출기가 서로 대응하는 높이로 이동되도록, 상기 고정가압부, 상기 이동가압부 및 상기 운동조절부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투과검사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공압 조절을 위해 상기 고정가압부, 상기 이동가압부 및 상기 운동조절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가압부, 상기 이동가압부 및 상기 운동조절부 각각의 공압을 상기 밸브부를 제어함으로써 조절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원 및 상기 방사선검출기와, 복수개의 와이어 조절장치를 연결하는 각각의 와이어가 지지되도록 상기 컬럼의 상부 주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KR1020220030064A 2022-03-10 2022-03-10 와이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KR102659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064A KR102659223B1 (ko) 2022-03-10 2022-03-10 와이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064A KR102659223B1 (ko) 2022-03-10 2022-03-10 와이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045A KR20230133045A (ko) 2023-09-19
KR102659223B1 true KR102659223B1 (ko) 2024-04-22

Family

ID=8819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064A KR102659223B1 (ko) 2022-03-10 2022-03-10 와이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2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743B1 (ko) 2019-09-26 2021-12-16 김응복 승강장치
KR102363507B1 (ko) 2020-05-29 2022-02-15 조재용 반도체 제조 설비용 호이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622B1 (ko) * 2003-09-18 2007-12-21 한국원자력연구원 자동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KR100756338B1 (ko) * 2005-09-28 2007-09-06 한국원자력연구원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
KR101126625B1 (ko) * 2010-04-21 2012-03-26 (주)대일하이텍 전류 저항열을 이용한 와이어 절단장치
KR20160029886A (ko) * 2014-09-05 2016-03-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청소로봇용 케이블 감지 및 제어를 위한 승강장치
NO339910B1 (no) * 2015-11-25 2017-02-13 Rolls Royce Marine As System og spoleapparat for spoling av et tau på en vinsjtromm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743B1 (ko) 2019-09-26 2021-12-16 김응복 승강장치
KR102363507B1 (ko) 2020-05-29 2022-02-15 조재용 반도체 제조 설비용 호이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045A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7494A (en) Apparatus for moving carriages along ladders
US10151710B2 (en) Portable industrial radiography apparatus
KR101842940B1 (ko) 볼트 나사산의 인장 강도 시험 장치
CN104849295A (zh) X射线分析装置
KR102659223B1 (ko) 와이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EP3199481A1 (en) Apparatus for unwinding cables on seabeds and method of operation of an apparatus for unwinding cables on seabeds
CN108861923A (zh) 自动电梯检查系统和方法
CN102507610B (zh) 管体周向焊缝自动化射线检查臂
KR101526125B1 (ko) 교정용 감마선 조사장치의 턴테이블장치
KR20180063798A (ko) 점용접 비파괴 검사기의 탐촉자 가압 기구
US20080184773A1 (en) Test equipment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component
CN107228866A (zh) 一种具有辐射防护功能的射线探伤机校验平台
CN103884469B (zh) 用于轴向加力装置的侧向力施加装置
CN106338383A (zh) 一种光学检测平台及光学检测方法
KR100756338B1 (ko)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
KR102242403B1 (ko) 원자로용 표적 장전 장치
KR102522987B1 (ko) 에스컬레이터의 체인의 흔들림폭 확인 장치 및 흔들림폭 확인 방법
KR102633841B1 (ko) 드론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에 설치된 블레이드의 DR(Digital Radiography) 방사선투과검사 장비 및 이를 이용한 DR 방사선투과검사 방법
RU208770U1 (ru) Многопозиционный облучатель для дозиметр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гамма-излучения
CN202109893U (zh) 凸度仪用校准机构
CN108027275A (zh) 用于测量高压扼流器或高压变压器的声压级的方法
CN109278290B (zh) 用于制造三维物体的设备
KR102562615B1 (ko) 방사성폐기물을 위한 방사능 검사 장치
KR102134712B1 (ko) 횡방향 구동력에 의해 탐촉자 상승이 가능한 원격조종차량을 이용한 원전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측정용 원격 자동화 시스템
KR102538160B1 (ko) 증류탑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