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338B1 -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338B1
KR100756338B1 KR1020050090559A KR20050090559A KR100756338B1 KR 100756338 B1 KR100756338 B1 KR 100756338B1 KR 1020050090559 A KR1020050090559 A KR 1020050090559A KR 20050090559 A KR20050090559 A KR 20050090559A KR 100756338 B1 KR100756338 B1 KR 100756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inlet
compressed air
semi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5775A (ko
Inventor
정성희
김종범
김진섭
진준하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9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338B1/ko
Publication of KR2007003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01N23/085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XAFS], e.g. extended XAFS [EXA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3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integrated 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01N1/203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by deviating part of a fluid stream, e.g. by drawing-off or tapping
    • G01N1/204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by deviating part of a fluid stream, e.g. by drawing-off or tapping using a piston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amp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G01N21/5907Densitometers
    • G01N2021/5957Densitometers using an image detector type detector, e.g. CC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5Sp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증류탑을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사선 검출기와 방사선원이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검사 작업 중 일부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보다 효율적인 검사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증류탑의 특정 검사구간 또는 작은 검사구간 등 작업상황에 관계없이 검사장치의 설치 및 검사작업의 신속한 수행이 가능하고, 증류탑의 플랫폼에 직접 설치가 가능한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증류탑의 내부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방사선 검출기와 방사선원이 구비되는 검사장치에 있어서, 판체형상체로 형성되는 베이스판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길이 조절부와, 상기 길이 조절부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일측면 양 측 적소에 각각 구비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연결되어 각 스프링을 지지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고정부와 이동부의 상부면에 하방향을 향하여 가압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를 각각 갖는 제1 피스톤과, 제2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가압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되되 외주연에 소정길이를 갖는 케이블이 권취되는 롤러와, 그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2개의 회전체를 갖는 케이블 제어부로 구성되는 권취부; 및 밸브 제어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공기압식, 수직구동, 반자동, 피스톤, 이동부, 고정부, 밸브 제어장치, 제1 밸브체, 제2 밸브체, 2-way 밸브

Description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movement perpendicularity air pressure type for automatic gamma column scann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의 피스톤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3,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의 밸브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의 밸브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7,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의 피스톤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에 압축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압력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에 따른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 3 : 방사선 검출기,
5 : 방사선원, 10 : 본체부,
11 : 베이스판, 13 : 길이 조절부,
15 : 이동부, 16 : 스프링,
17 : 고정부, 18 : 댐퍼,
30 : 가압부, 31 : 제1 피스톤,
31′: 제2 피스톤, 35, 35′: 제1 유입구,
37, 37′ : 제2 유입구, 50 : 권취부,
51 : 케이블, 53 : 롤러,
55 : 회전체, 57 : 케이블 제어부,
59 : 손잡이, 70 : 밸브 제어장치,
70a : 제1 밸브체, 70b : 제2 밸브체,
71 : 유출구, 71a : 제1 유출구,
71b : 제2 유출구, 71c : 제3 유출구,
71d : 제4 유출구, 73 : 유입관,
75 : 압축공기 주입구, 90 : 압력용기,
91 : 조절기.
본 발명은 증류탑의 내부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류탑을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사선 검출기와 방사선원이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검사 작업 중 일부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증류탑 검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증류탑의 특정 검사구간 또는 작은 검사구간 등 작업여건 및 작업상황에 관계없이 검사장치의 설치 및 검사작업의 신속한 수행이 가능하고, 증류탑의 플랫폼(Platform)에 직접 설치가 가능한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의 증류탑 내부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증류탑의 검사 및 진단 방법은 고효율의 방사선 검출기(Detector)와 방사선원을 증류탑의 외측 적소에 동일한 높이로 각각 위치시킨 후 증류탑을 따라 이동시키고, 이로 인해 측면에서 계측 및 측정되는 밀도 분포를 검사한다.
즉, 증류탑의 외측 검사 위치에 케이블을 이용하여 방사선 검출기와 방사선원을 설치하되, 상호 대향되도록 위치시킨 후 증류탑의 밀도 분포를 검사하며, 이 러한 방사선 검출기와 방사선원을 사용하여 증류탑을 검사하는 종래의 검사방법은 먼저, 증류탑의 검사 위치에 케이블을 이용하여 방사선원을 설치한 후 설치 높이를 줄자 등의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 또는 길이에 따라 방사선원과 동일한 높이 및 방사선원과 대향되는 위치를 선정한 후 방사선 검출기를 설치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줄자 등의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방사선원과 방사선 검출기를 동일한 높이 및 증류탑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하고, 방사선원과 방사선 검출기를 설치하기 위한 케이블의 흔들림이 정지된 후 증류탑 검사를 실시하거나, 방사선원과 방사선 검출기를 설치하기 위한 케이블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 케이블을 설치함으로써 방사선원과 방사선 검출기에 연결된 케이블을 고정시킨 후 증류탑 검사를 실시한다.
여기서, 증류탑의 다른 부분을 검사하고자 할 경우, 측정 위치를 변경한 후 상술한 절차 및 과정에 따라 방사선원과 방사선 검출기를 설치하여 검사를 실시한다.
이러한 증류탑을 검사하는 방법에는 검사작업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여 수행하는 방법과 자동 검사장치를 통하여 자동으로 검사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 증류탑의 검사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진행됨으로써 검사장치의 사전 작업이 거의 필요치 않다는 장점이 있으나, 증류탑 검사 시 작업자의 단순 반복작업에 의한 작업자의 피로 등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능 피폭에 대한 위험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 증류탑의 검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성이 용이하고, 방사능 피폭에 대한 위험이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증류탑 검사를 위한 많은 검사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간 및 공간상의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현재 자동 검사장치가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산업 현장의 증류탑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플랫폼(Platform)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플랫폼은 증류탑의 진단을 위한 검사장치의 설치 시 방사선 검출기 및 방사선원의 이동에 방해가 되며, 이로 인해 증류탑 검사작업의 장애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증류탑의 검사를 위한 자동 검사장치의 설치 시 플랫폼의 발판을 제거하거나, 화염 절단기 등의 절단 장비를 사용하여 별도의 구멍을 확보한 후 검사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이로 인해 증류탑의 검사를 위해 별도의 구멍을 확보하여야 하는 등 증류탑 검사를 위한 추가 비용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산업안전 측면에서도 큰 위험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한편, 증류탑의 수직 전 구간을 검사할 경우에는 이러한 번거로움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효율적이기 때문에 자동 검사장치를 사용하나, 증류탑의 전체 구간이 아닌 특정 구간, 즉 플랫폼과 플랫폼 사이를 검사 및 측정할 경우 플랫폼의 구조물을 활용하여 손쉽게 설치한 후 방사선 검출기와 방사선원을 증류탑 내부를 통하여 하방향으로 하강시키면서 검사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용이한 소형 검사장치의 필요성이 현재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증류탑을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사선 검출기와 방사선원이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짐으로서 검사작업 중 일부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증류탑 검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을 위한 사전 준비를 필요치 않아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증류탑의 특정 검사구간 또는 작은 검사구간에서의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여건 또는 작업상황에 관계없이 신속한 검사장치의 설치 및 검사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증류탑의 검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증류탑 검사 기술의 산업화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설치에 제약이 없고 휴대가 간편하여 현장에서의 활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증류탑의 플랫폼(Platform)에 직접 설치가 가능한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증류탑의 내부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방사선 검출기와 방사선원이 구비되는 검사장치에 있어서, 판체형상체로 형성되는 베이스판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길이 조절부와, 상기 길이 조절부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일측면 양 측 적소에 각각 구비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연결되어 각 스프링을 지지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고정부와 이동부의 상부면에 하방향을 향하여 가압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를 각각 갖는 제1 피스톤과, 제2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가압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되되 외주연에 소정길이를 갖는 케이블이 권취되는 롤러와, 그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2개의 회전체를 갖는 케이블 제어부로 구성되는 권취부; 및 밸브 제어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제어장치는 제1 유출구와 제2 유출구를 갖는 제1 밸브체와, 제3 유출구와 제4 유출구를 갖는 제2 밸브체로 구성되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컨트롤되어 구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제1 밸브체의 제1 유출구와 제2 유출구는 상기 제1 피스톤에 구비되는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에 각각 연결되는 유입관을 통하여 외부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 밸브체의 제3 유출구와 제4 유출구는 상기 제2 피스톤의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에 각각 연결되는 유입관을 통하여 외부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밸브 제어장치의 하부 적소에 제1 밸브체 및 제2 밸브체의 각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주입구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의 고정부 일측면에 이동부의 이동에 따른 충격흡수를 위한 댐퍼가 돌출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의 측면에는 그 외주연에 구비되는 케이블을 권취하기 위한 손잡이가 일측으로 편향되게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조절기를 갖는 압력용기가 더 포함된다.
한편, 길이 조절부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와, 스프링과, 고정부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 일측면에 구비되는 댐퍼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하방향으로 가압가능하게 구비되되, 일측면에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가 각각 구비되는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가압부와; 케이블이 권취되는 롤러와, 케이블 제어부로 구성되는 권취부와; 제1 유출구 및 제2 유출구를 갖는 제1 밸브체와, 제3 유출구와 제4 유출구를 갖는 제2 밸브체로 구성되되, 하부 적소에 압축공기 주입구를 갖는 밸브 제어장치; 및 압력용기를 포함하는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에 따른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롤러에 권취된 케이블을 방사선 검출기 또는 방사선원의 단부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방사선 검출기 또는 방사선원을 검사 시작위치로 이동시킨 후 투과 방사선 계측값 및 현재 위치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밸브 제어장치의 제1 밸브체를 통하여 제1 피스톤의 제1 유입구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해제하고, 제2 유입구로 압축공기를 유입시켜 제1 피스톤의 케이블 가압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제1 피스톤의 가압이 해제됨과 동시에 방사선 검출기 또는 방사선원 자체 하중에 의하여 이동부가 고정부측으로 이동되면서 방사선 검출기 또는 방사선원이 소정거리만큼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 피스톤의 제1 유입구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키고, 제2 유입구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해제하여 제1 피스톤의 케이블 가압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밸브 제어장치의 제2 밸브체를 통하여 제2 피스톤의 제1 유입구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해제하고, 제2 유입구로 압축공기를 유입시켜 제2 피스톤의 케이블 가압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제2 피스톤의 가압이 해제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하여 이동부가 길이 조절부측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밸브 제어장치의 제2 밸브체를 통하여 상기 제2 피스톤의 제1 유입구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키고, 제2 유입구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해제하여 제2 피스톤의 케이블 가압을 설정한 후 투과 방사선 계측값 및 현재 위치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상기 방사선 검출기 또는 방사선원이 하방향으로 소정거리 하강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밸브 제어장치의 압축공기 주입구로 압력용기의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각 유출구에 연결되는 유입관을 통하여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에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댐퍼에 맞닿아 충격이 흡수되면서 이동이 정지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의 피스톤을 나타내는 확 대사시도이고, 도 3,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의 밸브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의 밸브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7,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의 피스톤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1)는 본체부(10)와 가압부(30)와 권취부(50)와 밸브 제어장치(7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직사각형의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판(1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길이 조절부(13)와 상기 길이 조절부(13)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15)와 상기 이동부(15)의 일측면 양 측 적소에 각각 구비되는 스프링(16)과 상기 스프링(16)의 단부에 연결되어 각 스프링(16)을 지지하는 고정부(1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7)의 일측면, 즉 상기 이동부(15)의 일측면 양 측에 구비되는 스프링(16)의 단부에 연결되는 일측면 중심에 댐퍼(18)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7)에 구비되는 댐퍼(18)는 상기 이동부(15)가 고정부(17)측으로 수평방향 이동 후 정지 시 이동부(15)의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부(15)가 소정위치까지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의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가압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고정부(17) 및 이동부(15)의 상부면에 하방향을 향하여 가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은 그 일측면 소정위치에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유입관(73)의 일측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밸브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의 일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제1 유입구(35,35′)와 제2 유입구(37,37′)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유입구(35,35′) 및 제2 유입구(37,37′)는 외부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각 유입관(73)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유입구(35,35′) 및 제2 유입구(37,37′)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이 상, 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의 일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유입구(35,35′)와 제2 유입구(37,37′)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각 유입관(73)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기 위하여 다수개의 유출구(71)를 갖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컨트롤되어 구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밸브 제어장치(7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 및 제2 유입구(37)에 각 유입관(73)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되, 외부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유출구(71a) 및 제2 유출구(71b)를 갖는 제1 밸브체(70a)와 상기 제2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 및 제2 유입구(37′)에 각 유입관(73)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되, 외부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3 유출구(71c) 및 제4 유출구(71d)를 갖는 제2 밸브체(70b)로 구성되는 밸브 제어장치(70)가 상기 본체부(10)의 고정부(17) 일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밸브체(70a) 및 제2 밸브체(70b)의 제1 유출구(71a) 및 제3 유출구(71c)는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의 일측면 상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유입구(35,35′)에 각 유입관(73)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 밸브체(70a) 및 제2 밸브체(70b)의 제2 유출구(71b) 및 제4 유출구(71d)는 상기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의 일측면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2 유입구(37,37′)에 각 유입관(73)을 통하여 연결되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의 일측면 상,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유입구(35,35′) 및 제2 유입구(37,37′)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하여 작용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이 상, 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밸브 제어장치(70)는 2-way 밸브로 이루어지며,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구동될 뿐만 아니라, 각 피스톤(31, 31′)으로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의 작용방향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 제어장치(70)가 2-way 밸브로 이루어져 있으나, 각각의 피스톤(31, 31′)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을 제어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컨트롤될 수 있다면 기타 다양한 구조의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밸브 제어장치(70)의 하부 적소에는 밸브 제어장치(70)의 각 유출구(71)를 통하여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주입구(75)가 구비되며, 상기 압축공기 주입구(75)에 의하여 주입된 압축공기가 각 유출구(71) 및 상기 각 유출구(71)에 연결되는 각 유입관(73)을 통하여 각 유입구(35,35′,37,37′)로 유입된다.
상기 권취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양 단부에 구비되되, 그 외주연에 소정길이를 갖는 케이블(51)이 권취되는 롤러(53)와 상기 롤러(53)를 회전시켜 케이블(51)을 권취하기 위하여 일측에 편향되게 구비되는 손잡이(59)와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2개의 회전체(55)를 갖는 케이블 제어부(5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부(50)에 권취되는 케이블(51)은 철선으로 구비되고, 그 자유단부는 상기 본체부(10)의 케이블 제어부(57)에 연결되어 증류탑의 검사를 위해 설치되는 방사선 검출기(3) 또는 방사선원(5)에 연결되되, 그 적소는 상기 가압부(30)의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의 하부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권취부(50)에 권취되는 소정길이의 케이블(51)은 그 자유단부가 2개의 회전체(55)를 갖는 케이블 제어부(57)의 각 회전체(55) 사이에 개재되어 증류탑 검사를 위한 방사선 검출기(3) 또는 방사선원(5)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51)의 적소는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의 하부면 중심에 위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에 의하여 가압되어 고정되거나, 가압이 해제되어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 주입구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압력용기(9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압력용기(90)는 내부 압력 변화에 무관하게 일정한 압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조절기(9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용기(90)는 증류탑을 검사하기 위한 작업자의 휴대성을 고려하여 휴대가 용이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1)에 따른 측정방법을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1)의 권취부(50)에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51)의 자유단부에 증류탑을 검사하기 위한 방사선 검출기(3) 및 방사선원(5)을 연결한다(S1).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산업현장에서 증류탑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검출기(3)와 방사선원(5)이 연결되기 위한 2개의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장치(1)가 필요하며, 밸브 제어장치(7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별도의 콘트롤 박스가 더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반자동 감마선 투과장치에 케이블(51)로 방사선 검출기(3) 및 방사선원(5)을 연결한 다음, 상기 방사선 검출기(3) 및 방사선원(5)을 증류탑의 상부의 검사 시작위치로 이동시킨 후 투과 방사선 계측값 및 현재 위치를 기록한다(S2).
여기서, 상기 반자동 감마선 투과장치(1)의 구동 전 상태는 제1 피스톤(31)과 제2 피스톤(31′)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유입구(35,35′)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유입되고, 제2 유입구(37,37′)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즉 압축공기가 해제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때에는, 상기 각 제1 유입구(35,35′)를 통하여 상기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의 상부로만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의 작용방향이 하방향을 향하고, 이로 인해 각 피스톤(31,31′)은 그 하부면 중심에 구비되는 케이블(51)을 가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반자동 감마선 투과장치에 연결되는 방사선 검출기(3) 및 방사선원(5)을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유입구(35,35′)에는 상기 밸브 제어장치(70)의 제1 밸브체(70a)의 제1 유출구(71a) 및 제2 밸브체(70b)의 제3 유출구(71c)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유입됨으로써 각 피스톤(31, 31′)의 작용방향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되어 있는 반자동 감마선 투과장치(1)의 구동은 작업자가 갖는 콘트롤 박스의 전기적 신호가 밸브 제어장치(70)에 인가되면 상기 밸브 제어장치(70)의 제1 밸브체(70a)의 제1 유출구(71a)를 통하여 제1 피스톤(31)의 일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유입구(35)로 유입되던 압축공기가 유입이 해제되고, 제2 유출구(71b)를 통하여 제1 피스톤(31)의 일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유입구(37)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킨다.
즉, 상기 제1 밸브체(70a)를 통하여 제1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로 유입되던 압축공기의 유입을 막고, 제2 유입구(37)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제1 피스톤(31)의 작용방향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그 하부면 중심에 구비되는 케이블(51)의 가압이 해제되도록 한다(S3).
이렇게 상기 제1 피스톤(31)의 가압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51)의 단부에 연결되는 방사선 검출기(3) 또는 방사선원(5)의 자체 무게 또는 하중에 의하여 이동부(15)가 고정부(17)측으로 이동되면서 방사선 검출기(3) 또는 방사선원(5)이 소정거리만큼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S4).
즉, 상기 케이블(51)의 단부에 연결되는 방사선 검출기(3) 또는 방사선원(5)은 그 자체 무게 또는 하중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방사선 검출기(3) 또는 방사선원(5)의 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케이블(51)을 가압한 상태로 고정되는 제2 피스톤(31′) 및 상기 제2 피스톤(31′)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15)가 고정부(17)측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51)의 단부에 연결되는 방사선 검출기(3) 또는 방사선원(5)의 무게 또는 자체 하중에 의하여 증류탑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는 거리는 상기 이동부(15)와 고정부(17) 사이의 간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부(15)의 이동은 상기 고정부(17)의 일측면 중심에 구비되되 이동부(15)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댐퍼(18)에 의하여 충격이 완화된 후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피스톤(31)의 제2 유입구(37)와 상기 제2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에만 제1 밸브체(70a)의 제2 유출구(71b) 및 제2 밸브체(70b)의 제3 유출구(71c)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1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와 제2 피스톤(31′)의 제2 유입구(37′)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밸브체(70a)의 제1 유출구(71a) 및 제2 밸브체(70b)의 제4 유출구(71d)는 압축공기를 공급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케이블(51)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 방사선 검출기(3) 또는 방사선원(5)이 소정거리만큼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피스톤(31)이 그 하부면에 구비되는 케이블(51)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이동되는 이동부(15)는 상기 제1 밸브체(70a)의 제1 유출구(71a)를 통하여 제1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키고, 제2 유출구(71b)를 통하여 제2 유입구(37)로 유입되던 압축공기의 공급을 해제함으로써 케이블(51) 가압을 설정(S5)한 후 상기 제2 밸브체(70b)의 제3 유출구(71c)를 통하여 제2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에 유입되던 압축공기의 공급을 해제하고, 제4 유출구(71d)를 통하여 제2 유입구(37′)에 압축공기를 유입함으로써 케이블(51)의 가압을 해제한다(S6).
즉, 상기 밸브 제어장치(70)에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제1 피스톤(31)의 제2 유입구(37)를 통하여 하부로 유입되던 압축공기의 유입을 해제한 후 제1 유입구(35)를 통하여 상부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상기 제1 피스톤(31)이 그 하부면 중심에 구비되는 케이블(51)을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케이블(51)을 고정시킨 다음, 상기 제2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를 통하여 상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입을 해제한 후 제2 유입구(37′)를 통하여 하부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제2 피스톤(31′)이 그 하부면 중심에 구비되는 케이블(51)의 가압을 해제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17)측에 근접되게 위치하던 이동부(15)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S7).
여기서, 상기 길이 조절부(13)는 최초의 위치로 이동되는 이동부(15)의 이동 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의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이동부(15)와 고정부(17)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16)은 그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15)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16)은 탄성 및 복원력에 의하여 고정부(17)측으로 이동된 이동부(15)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17)측으로 이동된 이동부(15)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때 이동부(15)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역할까지 담당한다.
이렇게 상기 제1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에 압축공기를 유입시키고, 제2 유입구(37)에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해제시켜 제1 피스톤(31)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케이블(51)을 고정시킨 후 제2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에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해제시키고, 제2 유입구(37′)에 압축공기를 유입시켜 제2 피스톤(31′)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케이블(51)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제2 피스톤(31′) 및 이동부(15)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S8)시킨 다음, 다시 제2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에 압축공기를 유입시키고, 제2 유입구(37′)에 유입되던 압축공기를 해제시켜 제2 피스톤(31′)이 그 하부면에 위치하는 케이블(51)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한 후, 투과 방사선 계측값 및 현재 위치를 기록한다(S8).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 및 방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장치(1)로 증류탑을 검사할 경우 방사선 검출기(3)와 방사선원(5)이 동일한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증류탑의 검사작업이 용이해진다.
한편, 상기 길이 조절부(13)는 이동부(15)와 고정부(17) 사이의 간격, 즉 방사선 검출기(3) 또는 방사선원(5)이 하방향으로 하강될 때의 거리를 소정 길이로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폭으로 제작되어 교체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부(15)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고정부(17)의 중심에 구비되는 댐퍼(18) 또한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어 교체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유입구(35,35′)와 제2 유입구(37,37′)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제1 밸브체(70a)와 제2 밸브체(70b)로 이루어지는 밸브 제어장치(70)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밸브 제어장치(70)는 작업자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에 구비되는 각각의 유입구(35,35′,37,37′)에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이로 인해 상기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1)에 연결되는 방사선 검출기(3) 및 방사선원(5)을 단계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1)는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하여 그 적소에 구비되는 압축공기 주입구(75)가 그 내부에 압축공기를 갖는 압력용기(90)에 연결된다.
상기 압력용기(90)에는 내부 압력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조절기(91)가 구비되어 일정한 압력의 압축공기를 상기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1)의 압축공기 주입구(75)를 통하여 공급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증류탑을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사선 검출기와 방사선원이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검사작업 중 일부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증류탑 검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을 위한 사전 준비를 필요치 않아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증류탑의 특정 검사구간 또는 작은 검사구간에서의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여건 또는 작업상황에 관계없이 신속한 검사장치의 설치 및 검사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증류탑의 검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증류탑 검사 기술의 산업화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설치에 제약이 없고 휴대가 간편하여 현장에서의 활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증류탑의 플랫폼(Platform)에 직접 설치가 가능하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10)

  1. 증류탑의 내부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방사선 검출기와 방사선원이 구비되는 검사장치에 있어서,
    판체형상체로 형성되는 베이스판(1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길이 조절부(13)와, 상기 길이 조절부(13)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15)와, 상기 이동부(15)의 일측면 양 측 적소에 각각 구비되는 스프링(16)과, 상기 스프링(16)의 단부에 연결되어 각 스프링(16)을 지지하는 고정부(17)로 구성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고정부(17)와 이동부(15)의 상부면에 하방향을 향하여 가압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제1 유입구(35,35′)와 제2 유입구(37,37′)를 각각 갖는 제1 피스톤(31)과 제2 피스톤(31′)으로 구성되는 가압부(30);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되되 외주연에 소정길이를 갖는 케이블(51)이 권취되는 롤러(53)와, 그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2개의 회전체(55)를 갖는 케이블 제어부(57)로 구성되는 권취부(50); 및
    밸브 제어장치(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장치(70)는 제1 유출구(71a)와 제2 유출구(71b)를 갖는 제1 밸브체(70a)와, 제3 유출구(71c)와 제4 유출구(71d)를 갖는 제2 밸브체(70b)로 구성되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컨트롤되어 구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체(70a)의 제1 유출구(71a)와 제2 유출구(71b)는 상기 제1 피스톤(31)에 구비되는 제1 유입구(35)와 제2 유입구(37)에 각각 연결되는 유입관(73)을 통하여 외부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 밸브체(70b)의 제3 유출구(71c)와 제4 유출구(71d)는 상기 제2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와 제2 유입구(37′)에 각각 연결되는 유입관(73)을 통하여 외부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장치(70)의 하부 적소에 제1 밸브체(70a) 및 제2 밸브체(70b)의 각 유출구(71)를 통하여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주입구 (7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고정부(17) 일측면에 이동부(15)의 이동에 따른 충격흡수를 위한 댐퍼(18)가 돌출구비되는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에 의한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53)의 측면에는 그 외주연에 구비되는 케이블(51)을 권취하기 위한 손잡이(59)가 일측으로 편향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에 의한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유입구(35,35′)와 제2 유입구(37,37′)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조절기(91)를 갖는 압력용기(9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
  8. 길이 조절부(13)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15)와, 스프링(16)과, 고정부(17)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17) 일측면에 구비되는 댐퍼(18)를 포함하는 본체부(10)와; 하방향으로 가압가능하게 구비되되, 일측면에 제1 유입구(35,35′)와 제2 유입구(37,37′)가 각각 구비되는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으로 구성되는 가압부(30)와; 케이블(51)이 권취되는 롤러(53)와, 케이블 제어부(57)로 구성되는 권취부(50)와; 제1 유출구(71a) 및 제2 유출구(71b)를 갖는 제1 밸브체(70a)와, 제3 유출구(71c)와 제4 유출구(71d)를 갖는 제2 밸브체(70b)로 구성되되, 하부 적소에 압축공기 주입구(75)를 갖는 밸브 제어장치(70); 및 압력용기(90)를 포함하는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1)에 따른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롤러(53)에 권취된 케이블(51)을 방사선 검출기(3) 또는 방사선원(5)의 단부에 연결하는 단계(S1);
    상기 방사선 검출기(3) 또는 방사선원(5)을 검사 시작위치로 이동시킨 후 투과 방사선 계측값 및 현재 위치를 기록하는 단계(S2);
    상기 밸브 제어장치(70)의 제1 밸브체(70a)를 통하여 제1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해제하고, 제2 유입구(37)로 압축공기를 유입시켜 제1 피스톤(31)의 케이블(51) 가압을 해제하는 단계(S3);
    상기 제1 피스톤(31)의 가압이 해제됨과 동시에 방사선 검출기(3) 또는 방사선원(5) 자체 하중에 의하여 이동부(15)가 고정부(17)측으로 이동되면서 방사선 검출기(3) 또는 방사선원(5)이 소정거리만큼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4);
    상기 제1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키고, 제2 유입구(37)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해제하여 제1 피스톤(31)의 케이블(51) 가압을 설정하는 단계(S5);
    상기 밸브 제어장치(70)의 제2 밸브체(70b)를 통하여 제2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해제하고, 제2 유입구(37′)로 압축공기를 유입시켜 제2 피스톤(31′)의 케이블(51) 가압을 해제하는 단계(S6);
    상기 제2 피스톤(31′)의 가압이 해제됨과 동시에 스프링(16)에 의하여 이동부(15)가 길이 조절부(13)측으로 이동하는 단계(S7);
    상기 밸브 제어장치(70)의 제2 밸브체(70b)를 통하여 상기 제2 피스톤(31′)의 제1 유입구(35′)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키고, 제2 유입구(37′)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해제하여 제2 피스톤(31′)의 케이블(51) 가압을 설정한 후 투과 방사선 계측값 및 현재 위치를 기록하는 단계(S8); 및
    상기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상기 방사선 검출기(3) 또는 방사선원(5)이 하방향으로 소정거리 하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에 따른 측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밸브 제어장치(70)의 압축공기 주입구(75)로 압력용기(90)의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각 유출구(71)에 연결되는 유입관(73)을 통하여 제1 피스톤(31) 및 제2 피스톤(31′)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유입구(35,35′)와 제2 유입구(37,37′)에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에 따른 측정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7)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부(15)는 상기 고정부(17)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댐퍼(18)에 맞닿아 충격이 흡수되면서 이동이 정지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 측정장치에 따른 측정방법.
KR1020050090559A 2005-09-28 2005-09-28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 KR100756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559A KR100756338B1 (ko) 2005-09-28 2005-09-28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559A KR100756338B1 (ko) 2005-09-28 2005-09-28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775A KR20070035775A (ko) 2007-04-02
KR100756338B1 true KR100756338B1 (ko) 2007-09-06

Family

ID=3815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559A KR100756338B1 (ko) 2005-09-28 2005-09-28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223B1 (ko) * 2022-03-10 2024-04-22 한국원자력연구원 와이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1355A (en) 1974-08-27 1976-04-2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utomatic cable winding apparatus
JPS57189974A (en) 1981-05-08 1982-11-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Brake unit for wire-shaped member feeder
JPH11348898A (ja) 1998-06-05 1999-12-21 Hino Motors Ltd グライダ用曳航装置
KR200223824Y1 (ko) 1996-09-18 2001-06-01 이구택 권취코일의 내권부 풀림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1355A (en) 1974-08-27 1976-04-2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utomatic cable winding apparatus
JPS57189974A (en) 1981-05-08 1982-11-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Brake unit for wire-shaped member feeder
KR200223824Y1 (ko) 1996-09-18 2001-06-01 이구택 권취코일의 내권부 풀림방지장치
JPH11348898A (ja) 1998-06-05 1999-12-21 Hino Motors Ltd グライダ用曳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775A (ko) 2007-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7494A (en) Apparatus for moving carriages along ladders
KR101289905B1 (ko) 파괴인성 시험장치
KR101203937B1 (ko) 댐퍼 시험장치
JP2004502131A (ja) 可搬式万能摩擦試験機及び試験方法
KR100756338B1 (ko) 공기압식에 의하여 수직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감마선 투과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
KR20190065804A (ko) 선박 조립용 자동 지그 장치
CN103792187A (zh) 一种磁屏蔽复合式摩擦磨损试验机
CN110567667A (zh) 一种跌落测试装置
KR101995416B1 (ko) 점용접 비파괴 검사기의 탐촉자 가압 기구
CN106989884B (zh) 落球试验装置
JP6720110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および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20120094997A (ko) 앵글용 절단기
KR101482267B1 (ko) 피 측정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마모량측정방법
CN217901417U (zh) 一种混凝土预制板压力测试设备
US3354553A (en) Measuring apparatus for machine tools
KR102659223B1 (ko) 와이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투과검사 시스템
CN110646142A (zh) 电池托盘通用气密检测压紧设备
CN205891380U (zh) 试验用网带炉自动上料装置
CN105651506B (zh) 酒矛座测试用的径向力加载装置
CN207020015U (zh) 一种座椅耐久性试验机
KR102372479B1 (ko) 금속 검출장치
KR20190001635A (ko) 보일러용 이동식 비계장치
KR20070009024A (ko) 러기지 트레이용 충격시험장치
JP4226883B2 (ja) エレベータのカウンターウエイト揚重方法
CN208206504U (zh) 一种机器人静态柔顺性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