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479B1 - 금속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479B1
KR102372479B1 KR1020200035576A KR20200035576A KR102372479B1 KR 102372479 B1 KR102372479 B1 KR 102372479B1 KR 1020200035576 A KR1020200035576 A KR 1020200035576A KR 20200035576 A KR20200035576 A KR 20200035576A KR 102372479 B1 KR102372479 B1 KR 102372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ic force
shaft
uni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9115A (ko
Inventor
정영훈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5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47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electrostatic or magnetic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컨베이어의 상부 부착영역과 타측의 배출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유닛과, 이동유닛에 장착되며, 자력 발생 및 자력 소멸 동작을 통해 부착영역에서 부착된 금속재를 배출영역에서 낙하시키는 자력발생유닛 및, 자력발생유닛의 자력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자력발생유닛의 자력 상실 감지시 컨베이어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감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속 검출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METAL}
본 발명은 금속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의 작동 오류 발생시 컨베이어의 구동이 중지되므로, 금속재 이송에 의한 컨베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으로부터 하역되는 원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철편이 함유되어 이송하면서 벨트컨베이어를 손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철편검출기를 설치하여 벨트컨베이어 손상을 방지하고 있
종래에는 철편검출기의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사람이 철편조각(시편)을 벨트상부에 투입하고 있으나, 철편조각에 의해 컨베이어가 손상되거나, 작업자가 컨베이어에 협착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87287호(공개일: 2014년 07월 09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금속편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치의 작동 오류 발생시 컨베이어의 구동이 중지되므로, 금속재 이송에 의한 컨베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인력 투입에 의한 비용과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금속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는 컨베이어의 상부 부착영역과 타측의 배출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에 장착되며, 자력 발생 및 자력 소멸 동작을 통해 상기 부착영역에서 부착된 금속재를 상기 배출영역에서 낙하시키는 자력발생유닛 및,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자력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자력 상실 감지시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감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부착영역과 상기 배출영역을 따라 길이를 갖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 전달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및, 상기 레일의 하부에서 상기 롤러와 함께 이동 가능하며, 상부에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발생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그네트는 승강부재에 의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마그네트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상단에 걸림부가 구비되는 샤프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샤프트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 소멸시 상하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켜 상기 샤프트를 하강 위치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 발생시 상기 마그네트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샤프트를 상승 위치시키는 시편 및, 상기 샤프트의 상승 및 하강을 감지하며, 상기 샤프트의 하강시 상기 제어부로 하강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하강 감지신호 전달시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샤프트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단이 상기 스토퍼의 하단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의 외부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감지부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서 상기 감지부재의 상승 및 하강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감지부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상승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감지부재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하강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는 마그네트에 자력 발생시에만 컨베이어가 구동되므로, 금속재 이송에 의한 컨베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장치의 오류발생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인력 투입에 의한 비용과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이동유닛과 자력발생유닛이 부착영역으로 이동된 후 마그네트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컨베이어를 구동시키고, 마그네트에 자력을 발생시켜 금속재를 부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마그네트를 상승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이동유닛과 자력발생유닛이 배출영역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마그네트에 자력을 소명시켜 금속재를 낙하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마그네트에 자력을 발생시켜 시편을 마그네트의 하면에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이동유닛과 자력발생유닛이 부착영역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오류 발생에 의해 마그네트에 자력에 소멸되고 시편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이동유닛과 자력발생유닛이 부착영역으로 이동된 후 마그네트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컨베이어를 구동시키고, 마그네트에 자력을 발생시켜 금속재를 부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마그네트를 상승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이동유닛과 자력발생유닛이 배출영역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마그네트에 자력을 소명시켜 금속재를 낙하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마그네트에 자력을 발생시켜 시편을 마그네트의 하면에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이동유닛과 자력발생유닛이 부착영역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오류 발생에 의해 마그네트에 자력에 소멸되고 시편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에 포함된 금속재(1)를 선별 부착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동유닛(100)과, 자력발생유닛(200) 및, 감지유닛(300)을 포함한다.
컨베이어(10)는 일정 길이의 이송 경로를 갖는 것으로, 이송 경로를 따라 회전 가능하며, 상면으로 원료가 투입되는 이송 벨트와, 이송 벨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 및, 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유닛(100)은 컨베이어(10)의 상부 부착영역(A)과 타측의 배출영역(B)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레일(110)과, 가이드부재(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110)은 컨베이어(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부착영역(A)과 배출영역(B)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레일(110)은 별도의 설치 구조물에 의해 일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0)는 레일(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가이드부재(120)는 레일(110)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121) 및, 롤러(121)와 함께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21)는 구동부(130)의 회전력 전달에 의해 레일(110)을 따라 회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레일(12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레일(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롤러(121)가 레일(121)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태로 설명 하였으나, 롤러(121)와 레일(121)의 결합되는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플레이트(122)는 롤러(121)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레일(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롤러(121)의 이동에 의해 레일(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구동부(130)는 가이드부재(12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레일(110)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 플레이트(122)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130)는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부(130)는 구동축이 롤러(121)의 회전중심과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부(130)의 구동축과 롤러(121)의 사이에는 감속용 장치(미도시)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유닛(100)은 후술 될 자력발생유닛(200)을 레일(110)의 길이 방향측에 위치된 부착영역(A)과, 부착영역(A)과 반대되는 배출영역(B)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자력발생유닛(200)은 자력 발생 및 자력 소멸 동작을 통해 부착영역(A)에서 부착된 금속재(1)를 배출영역(B)에서 낙하시키기 위한 것으로, 마그네트(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210)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자력이 발생 및 소멸되는 것으로, 승강부재(312)에 의해 플레이트(122)의 하부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마그네트(210)는 컨베이어(10)의 상측에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고, 후술 될 제어부(220)에 의해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자력 형성을 위해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그네트(210)는 부착영역(A)에서 자력을 발생시켜 금속재(1)를 하면에 부착시키고, 배출영역(B)에서 자력을 소면시켜 하면에 부착된 금속재(1)를 하방으로 낙하시킨다.
승강부재(312)는 마그네트(210)를 승강시켜 높이를 변경시키기 위한 것으로, 승강부재(312)는 상하로 로드가 출몰하는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승강부재(312)의 상단이 플레이트(122)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단으로 출몰하는 로드가 마그네트(2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마그네트(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외부의 전원 공급부에서 전달되는 전력을 마그네트(210)로 공급 및 차단하며, 후술 될 감지센서(350)로부터 하강 감지신호 전달시 컨베이어(1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감지유닛(300)은 제어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자력발생유닛(200)의 자력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자력발생유닛(200)의 자력 상실시 컨베이어(1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여기서, 감지유닛(300)은 샤프트(310)와, 스토퍼(320)와, 탄성부재(330)와, 시편(340) 및, 감지센서(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310)는 마그네트(210)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것으로, 샤프트(310)의 상단과 하단이 마그네트(210)의 상부와 하부로 수직하게 돌출되고, 샤프트(310)의 상단에는 걸림부(311)가 구비된다.
걸림부(311)는 샤프트(31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며, 샤프트(311)가 하강시 후술 될 스토퍼(320)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어 하강이 제한된다.
또한, 샤프트(310)의 외부에는 마그네트(210)의 상부에서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감지부재(312)가 구비되는데, 감지부재(312)는 걸림부(311)와 마그네트(210)의 사이에 배치된다.
감지부재(312)는 샤프트(310)와 함께 상승 위치시 후술 될 감지센서(350)의 감지영역에 위치되고, 샤프트(310)와 함께 하강 위치시 감지센서(350)의 감지영역을 벗어난다.
스토퍼(320)는 걸림부(311)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스토퍼(320)는 마그네트(2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스토퍼(320)의 상단이 샤프트(310)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20)는 샤프트(310)를 하부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310)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320)는 스토퍼(320)와 감지부재(312)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탄성부재(320)의 상단이 스토퍼(320)의 하단에 지지되고, 탄성부재(320)의 하단이 감지부재(312)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330)는 마그네트(210)의 자력 소멸시 상하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켜 샤프트를 하강 위치시키고, 마그네트(210)의 자력 발생시 감지부재(312)의 상승에 의해 상하로 압축되어 길이가 감소된다.
시편(340)은 샤프트(31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시편(340)은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하도록 금속 소재로 구비되고, 샤프트(310)보다 더 넓은 폭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시편(340)은 마그네트(210)의 자력 발생시 마그네트(210)의 하단에 부착되어 샤프트(310)를 상승 위치시키며, 마그네트(210)의 자력 소멸시 샤프트(310)와 함께 마그네트(21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된다.
감지센서(350)는 마그네트의 상부에서 감지부재(312)의 상승 및 하강을 감지하는 것으로, 감지부재(312)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마그네트(210)의 자력 발생 및 자력 소멸 상태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감지센서(350)는 감지부재(312)가 감지되는 경우, 시편(340)이 마그네트(210)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감지부재(312) 상승 감지신호를 제어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면, 감지센서(350)는 감지부재(312)가 하강되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시편(340)이 마그네트(210)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감지부재(312) 하강 감지신호를 제어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마그네트(210)의 자력이 소멸된 것으로 판단하여, 컨베이어(10)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9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속 검출장치를 동작시키는 경우, 도 2에서처럼 이동유닛(100)과 자력발생유닛(200)을 부착영역(A)으로 이동시키고, 마그네트(122)를 하강시켜 컨베이어(10)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마그네트(210)에 자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감지부재(312)가 상승 위치되어 감지센서(350)의 감지영역 내에 위치되고, 감지부재(312)의 상승에 의해 탄성부재(330)가 상하로 압축되면서 길이가 축소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처럼 컨베이어(10)를 구동시켜 원료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원료에 포함된 금속재(1)를 마그네트(210)의 하면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도 4에서처럼 마그네트(210)를 임의로 조작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승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에서처럼 이동유닛(100)과 자력발생유닛(200)을 배출영역(B)으로 이동시킨 후, 도 6에서처럼 마그네트(210)에 자력을 소멸시켜 마그네트(210)의 하면에 부착된 금속재(1)를 낙하시킬 수 있다.
마그네트(210)의 자력 발생 시점은 이동유닛(100)과 자력발생유닛(200)을 부착영역(A)으로 이동시킨 후가 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7에서처럼 마그네트(210)를 상승 위치시킬 수 있으며, 도 8에서처럼 이동유닛(100)과 자력발생유닛(200)을 부착영역(A)으로 이동시킨 후, 전술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처럼 금속 검출장치의 오류 발생에 의해 마그네트(210)의 자력이 소멸되는 경우, 시편(340)이 마그네트(210)의 하면으로부터 분리되어 하강 위치되고 샤프트(310)가 하강된다.
이 경우, 감지부재(312)가 하강 위치되어 감지센서(350)의 감지영역을 벗어나고, 탄성부재(33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감지부재(312)가 하강되며, 감지센서(350)가 감지부재(312)의 하강 감지신호를 제어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금속 검출장치의 오류 발생 상태로 판단하여 컨베이어(10)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으며, 이동유닛(100)과 자력발생유닛(200)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금속 검출장치의 동작은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상기한 동작 순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는 마그네트(210)에 자력 발생시에만 컨베이어(10)가 구동되므로, 금속재(1) 이송에 의한 컨베이어(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장치의 오류발생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인력 투입에 의한 비용과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검출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금속재 10: 컨베이어
100: 이동유닛 110: 레일
120: 가이드부재 121: 롤러
122: 플레이트 130: 구동부
200: 자력발생유닛 210: 마그네트
220: 제어부 300: 감지유닛
310: 샤프트 311: 걸림부
312: 감지부재 320: 스토퍼
330: 탄성부재 340: 시편
350: 감지센서 400: 승강부재
A: 부착영역 B: 배출영역

Claims (9)

  1. 컨베이어의 상부 부착영역과 타측의 배출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에 장착되며, 자력 발생 및 자력 소멸 동작을 통해 상기 부착영역에서 부착된 금속재를 상기 배출영역에서 낙하시키는 자력발생유닛; 및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자력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자력 상실 감지시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력발생유닛은,
    가이드부재의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마그네트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상단에 걸림부가 구비되는 샤프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샤프트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 소멸시 상하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켜 상기 샤프트를 하강 위치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 발생시 상기 마그네트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샤프트를 상승 위치시키는 시편 및,
    상기 샤프트의 상승 및 하강을 감지하며, 상기 샤프트의 하강시 상기 제어부로 하강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하강 감지신호 전달시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부착영역과 상기 배출영역을 따라 길이를 갖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 전달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및,
    상기 레일의 하부에서 상기 롤러와 함께 이동 가능하며, 상부에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상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승강부재에 의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샤프트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단이 상기 스토퍼의 하단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부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감지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서 상기 감지부재의 상승 및 하강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감지부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상승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감지부재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하강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검출장치.
KR1020200035576A 2020-03-24 2020-03-24 금속 검출장치 KR102372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76A KR102372479B1 (ko) 2020-03-24 2020-03-24 금속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76A KR102372479B1 (ko) 2020-03-24 2020-03-24 금속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115A KR20210119115A (ko) 2021-10-05
KR102372479B1 true KR102372479B1 (ko) 2022-03-08

Family

ID=7807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576A KR102372479B1 (ko) 2020-03-24 2020-03-24 금속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7564A (zh) * 2019-07-06 2019-09-10 江门旭弘磁材有限公司 压制磁瓦检测机构及传输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271Y1 (ko) * 2006-09-25 2006-12-18 주식회사 키텍엔지니어링 벨트컨베이어 상의 철편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461B1 (ko) * 2012-09-28 2014-08-2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원료로부터의 철편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271Y1 (ko) * 2006-09-25 2006-12-18 주식회사 키텍엔지니어링 벨트컨베이어 상의 철편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115A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9046B1 (en) Emergency stop system of elevator
KR101936728B1 (ko) 레이저 절삭가공을 위한 가공물 자동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72479B1 (ko) 금속 검출장치
KR101968820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834876B1 (ko) 컨베이어라인용 작업 테이블 승강 장치
KR102021196B1 (ko)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CN110497131B (zh) 一种激光拼焊机的预定位平台
KR101330277B1 (ko) 도금액 유지 장치
EP1748017A1 (en)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KR101953817B1 (ko)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0929185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밀림 방지장치
JP419094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784027B1 (ko) 벨트 콘베이어 상의 철편검출기의 감도 테스트장치
KR100813767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0581623B1 (ko) 리프트와 대차 사이의 단차에 의한 팔레트 이송 불능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차장치 및 팔레트 이송 제어방법
CN105312991A (zh) 一种可用于不同直径的建筑钢筋打磨装置
KR101932647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알루미늄 주조용 철망필터 공급장치
KR101715494B1 (ko) 코크스 오븐용 장입 장치
KR102177874B1 (ko) 연속식 하역기용 레일 손상 감지장치
KR102043548B1 (ko) 철편검출기용 파손 방지장치
KR101456535B1 (ko) 프레스 시스템의 슬라이더 제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동방법
KR200184045Y1 (ko) 벨트콘베어의 안전장치
KR102410226B1 (ko)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KR100945239B1 (ko) 웨이퍼 이송로봇 및 웨이퍼 이송방법
KR101876209B1 (ko) 냉간 성형 제품 이송용 리프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