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661B1 -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 Google Patents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661B1
KR102069661B1 KR1020190055460A KR20190055460A KR102069661B1 KR 102069661 B1 KR102069661 B1 KR 102069661B1 KR 1020190055460 A KR1020190055460 A KR 1020190055460A KR 20190055460 A KR20190055460 A KR 20190055460A KR 102069661 B1 KR102069661 B1 KR 102069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ire rope
winding drum
stage devic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길튼
정인석
Original Assignee
(주)유성스테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스테이지 filed Critical (주)유성스테이지
Priority to KR1020190055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65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pivotably mounte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무대장치는 천장(W)에 설치고정되어, 다수개의 수직활차(20)가 설치된 그리드 아이언(10)과, 상기 그리드 아이언(10)의 하방에서 상기 수직활차(20)를 매개로 연결된 와이어로프(L)에 의해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무대 조명장치 및 막이 연결된 무대장치바턴(30) 및 상기 무대장치버턴(30)의 승강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그리드 아이언(10)의 상방에 설치되며, 와이어로프(L)를 권취 또는 권해하도록 동작하는 권취드럼(430)을 구비한 구동부(40)를 포함하는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는, 상기 그리드 아이언(10)의 상방과 상기 구동부(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활차(20)를 매개로 연결되는 각각의 와이어로프(L)가 상기 권취드럼(430)에 각각 권취 또는 권해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활차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구동부의 하부에 안내활차를 배치하게 함으로써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SLIDING STAGE UNIT WITH INTEGRATED PULLEY AND DRIVE}
본 발명은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의 권취 및 권해동작을 통해 승하강이동하는 무대시설에 안내활차와 구동부를 일체로 구성하고, 와이어로프 장력조절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 공간을 개선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에는 무대를 조명하는 조명기구는 물론 공연내용에 필요한 효과를 연출하는 효과기구, 무대를 객석과 가변적으로 격실하는 막 승강기구 등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장치들은 대개 관리 및 보수와 공연 연출을 위한 이유로서 승강식 무대시설에 탑재되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승강식 무대시설의 모습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 무대시설은 설치프레임(30)을 승강이동 시키기 위한 시설로 천장(W)에 소정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평형 벽체 또는 그리드 아이언(10) 등이 행거로 연결된 구조물을 형성한다.
여기서, 그리드 아이언(10)은 그 상부에 힌지구조를 갖는 안내스프라켓(11)을 갖는 다수개의 수직활차(12)가 설치되며, 수직활차(12)의 일단에는 가이드휠(21)이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활차(20)가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휠(21)은 활차(1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지고, 각 활차(12)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서로 다른 위치관계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한편, 무대 지면에는 조명등 또는 무대와 객석을 가변적으로 격실하는 막과 같은 기구들을 승강시키는 승강식 무대시설의 구동원인 구동부(40)가 설치된다.
이때, 구동부(4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41)와, 회전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42)와 감속된 구동모터(4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권취드럼(43)이 설치된다.
이에, 권취드럼(43)의 외주면에는 와이어로프(L)의 권취하기 위한 드럼홈이 형성된다.
또한, 무대장치바턴(30)에는 다수개의 와이어로프(L)가 연결되며, 각 와이어로프(L)는 활차(12)의 각 안내스프라켓(11)과 가이드활차(20)의 각 가이드휠(21)을 경유하여 구동부(40)의 권취드럼(43)에 권취 및 권해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41)의 회전력을 통해 귄취드럼(43)에 와이어로프(L)가 권취되면, 와이어로프(L)를 당겨 무대장치바턴(30)이 상승하고, 권취드럼(43)에 와이어로프(L)를 권해하면, 무대장치바턴(30)은 하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무대시설 중 구동부(40)와 가이드휠(21)이 그리드 상부에 설치되어 무대장치바턴(30)을 승하강시키는 데, 실제 가이드휠(21)과 구동부(40)가 서로 다른 공간에 설치되어 있어 협소한 공간을 고려할 때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무대장치바턴(30)은 다수 개의 와이어로프(L)와 연결되어 수평을 유지하여야 하는 데 오랜 사용으로 와이어로프간 길이가 달라져 수평조절을 해야 하나 종래의 장치는 와이어 장력 조정용 바튼이 와이어로프(L)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어 길이 조절이 매우 불편하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325149호(2013.10.29)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부 하부에 가이드휠을 배치시켜 공간활용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를 활차의 상부에서 이동시켜 활차의 고장과 수리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무대장치바턴에 와이어 장력조절장치를 구비한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장(W)에 설치고정되어, 다수개의 수직활차(20)가 설치된 그리드 아이언(10)과, 상기 그리드 아이언(10)의 하방에서 상기 수직활차(20)를 매개로 연결된 와이어로프(L)에 의해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무대 조명장치 및 막이 연결된 무대장치바턴(30) 및 상기 무대장치버턴(30)의 승강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그리드 아이언(10)의 상방에 설치되며, 와이어로프(L)를 권취 또는 권해하도록 동작하는 권취드럼(430)을 구비한 구동부(40)를 포함하는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는, 상기 그리드 아이언(10)의 상방과 상기 권취드럼(4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활차(20)를 매개로 연결되는 각각의 와이어로프(L)가 상기 권취드럼(430)에 각각 권취 또는 권해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활차(50)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안내활차(50)는 상기 권취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그리드에 순차적으로 배치 고정된 한 쌍의 지지브라켓(520), 및 상기 지지브라켓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를 와인딩 또는 리와인딩하는 활차회전체(530)를 포함하고 상기 활차회전체는 각각 서로 다른 인입각으로 상기 권취드럼에 와인딩되게 구성한다.
또한, 무대장치바턴(30)에 연결된 모든 와이어로프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브라켓(60), 및 안내활차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드럼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권취드럼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레일(450)을 더 포함하게 구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으로 상기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통하여 상기 안내활차 상방에 설치된 권취드럼을 이동시켜 상기 안내활차의 상부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대장치바턴(30)은 상기 와이어로프(L)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를 상기 무대장치바턴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수직활차의 수만큼 구비하고,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무대장치바턴(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와이어로프(L)를 가이드하며 와이어로프의 장력방향을 변경하는 턴롤러(311)와, 상기 턴롤러를 통과한 와이어로프를 결속하는 하나 이상의 바인더(312)와, 무대장치바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턴롤러를 통과한 와이어로프가 일단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파이프(315) 및 내주면 일측에 구비된 나사산이 상기 회전파이프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도록 상기 회전파이프가 삽설되는 고정케이스(314)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파이프의 회전에 의하여 와이어로프가 좌우로 이동하게 구성하여 장력을 손쉽게 조절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에 의하면, 구동부의 하부에 안내활차를 배치하게 함으로써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에 의하면, 구동부의 위치를 활차의 상부에서 활차의 상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손쉽게 활차를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에 의하면, 무대장치바턴에 와이어 장력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바턴의 수평상태를 눈으로 보면서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쉽고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승강식 무대시설의 모습을 도시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구동부와 안내활차의 구성 참고도,
도 6 내지 도 7은 안내활차의 인입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구동부와 안내활차의 구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장력조절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딩 무대장치는 천장(W)에 설치고정되어, 다수개의 수직활차(20)가 설치된 그리드 아이언(10)과, 상기 그리드 아이언(10)의 하방에서 상기 수직활차(20)를 매개로 연결된 와이어로프(L)에 의해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무대 조명장치 및 막이 연결된 무대장치바턴(30) 및 무대장치버턴(30)의 승강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그리드 아이언(10)의 상방에 설치되며, 와이어로프(L)를 권취 또는 권해하도록 동작하는 권취드럼(430)을 구비한 구동부(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무대장치는 활차와 구동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기존에는 그리드의 상부 별도 공간에 각각 구동부와 안내활차를 배치하였기때문에 공간 확보에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활차와 구동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그리드 아이언(10)의 상부에 구동부(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직활차(20)를 매개로 연결되는 각각의 와이어로프(L)가 권취드럼(430)에 각각 권취 또는 권해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활차(50)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의 구동부와 안내활차의 구성도를 참고하면, 권취드럼(430) 하부에 안내활차(50)가 하나의 베이스 기판(460) 상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베이스 기판(460)은 그리드(10)의 상부에 권취드럼(430)의 하부에 고정결합된다.
안내활차(50)는 무대장치버턴(30)에 연결된 와이어로프가 수직활차(20)를 매개로 연결되어 각각의 와이어로프(L)가 권취드럼(430)의 일정 공간에 각각 권취 또는 권해하도록 베이스 기판(460) 상에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안내활차(50)는 권취드럼(130)의 길이 방향으로 활차지지브라켓(510)에 순차적으로 배치 고정된 한 쌍의 지지브라켓(520)과 각각의 지지브라켓(530)에 회전 설치되어 와이어로프를 와인딩 또는 리와인딩하는 활차회전체(530)를 포함하고 활차회전체(530)는 각각 서로 다른 인입각으로 와이어로프를 권취드럼(430)에 와인딩 또는 리와인딩되도록 하는 것이다.
활차지지브라켓(510)은 베이스 기판(460)의 상부에 권취드럼(430)의 하부 사이에 체결부재(511)에 의하여 베이스 기판(46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된다.
와이어로프(L)는 권취드럼(430)의 폭 내에서 안내활차(50)와 수직활차(2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수직활차(20)는 권취드럼(130)의 폭(W) 내에서 와이어로프 두께만큼씩 비켜 설치되어야 하고, 수직활차(20)에 연결된 안내활차(50)는 권취드럼의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와인딩(winding) 또는 리와인딩(rewinding)되게 하기 위하여 인입각이 서로 다르게 설치되어야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권취드럼(430)의 길이 방향 내에서 안내활차(50)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각 권취드럼(430)의 일정 면에 와이어로프를 와인딩하거나 리와인딩하는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수직활차에서 인입되는 와이어로프가 각각의 안내활차를 통하여 권취드럼(430)의 일정면에 와인딩 또는 리와인딩되도록 동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권취드럼(430)의 폭(W)내에서 활차지지브라켓(510)에 안내활차들이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기울기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과 도 7의 안내활차의 인입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참고하여 안내활차의 인입각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권취드럼(430)의 하부에 한 쌍의 지지브라켓(520)이 폭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권취드럼(430)을 향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와이어로프를 7개 구성한 예를 제시하였으므로 지지브라켓(520)도 7개 구성한 예를 예시한 것이다.
이는 수직활차(20)에서 안내되는 와이어로프가 꼬임없이 권취드럼(430)에 와인딩 또는 리와인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내활차(50)도 권취드럼(430)의 폭 방향으로 순차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권취드럼(430)에 와인딩 또는 리와인딩되는 와이어로프의 위치도 달라지게 되므로 각 안내활차(50)는 서로 다른 인입각(θ)으로 권취드럼(430)으로 와이어로프를 안내하여야 와이어로프가 수직으로 권취드럼에 와인딩 또는 리와인딩되는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한 쌍의 지지브라켓(520)이 인입각(θ)을 형성하도록 활차지지브라켓(510)에 결합되고,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511)에 의하여 베이스 기판(460)에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슬라이딩 무대장치는 공간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권취드럼의 하부에 안내활차가 위치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안내활차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안내활차의 상부에 위치한 권취드럼에 의하여 방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안내활차의 고장과 수리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권취드럼을 안내활차의 상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딩 무대장치는 무대장치바턴(30)에 연결된 모든 와이어로프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브라켓(60)과 안내활차(50)의 상부에 설치되어 권취드럼(430)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권취드럼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레일(4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수직활차(20)와 안내활차(50) 사이에 각 와이어로프가 와인딩되거나 리와인딩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브라켓(60)이 일례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와이어로프의 일단에 무대장치바턴(30)이 안내활차의 수리를 위하여 움직이면 되지 않기 때문에 각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고정브라켓(60)이 수직활차와 안내활차 사이에 배치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 와이어로프를 고정할 수 있으면 족하므로 그 위치는 다양하게 선정하여 설치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안내활차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고정브라켓(60)으로 와이어로프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권취드럼을 안내활차의 상부에서 이동시켜 활차의 고장과 수리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브라켓(60)으로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고, 슬라이딩 레일(450)을 통하여 안내활차 상방에 설치된 권취드럼을 이동시켜 안내활차의 상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8과 도 9의 구동부와 안내활차의 구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을 보면, 화살표가 좌측 방향인 즉 권취드럼(430)을 안내활차(50) 상부로 이동시켜 실제 무대장치바턴(30)을 상하로 이동시켜 구동되다가 수리가 필요한 경우, 고정브라켓(60)으로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고 도 9에서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안내활차(50) 상부가 개방되도록 권취드럼(430)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수리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물론 이동할 경우에는 와이어로프가 텐선을 유지한 채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부(40)의 구동모터(440)를 리와인딩시켜 와이어로프의 텐션을 해제한 다음 권취드럼(430)을 좌우로 이동하면 된다.
또한, 구동부(40)는 그리드 아이언(10)의 상방에 안내활차(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안내활차(50)에서 인입되는 와이어로프(L)를 권취 또는 권해하도록 동작한다.
즉, 구동부(40)는 와이어로프(L)를 와인딩 또는 리와인딩함으로써, 무대장치바턴(30)이 승하강하도록 동작하는 것으로서, 그리드 아이언(10)의 상방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440)와, 구동모터(440)에 회전연결된 와이어로프(L)를 권취 또는 권해하는 권취드럼(4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대장치바턴에 와이어 장력조절장치를 구비하여 바턴의 수평상태를 눈으로 보면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무대장치바턴(30)은 구동부(40)에 의해 승하강하는 둘 이상의 와이어로프(L)에 연결되어, 설치된 무대 조명장치 및 막을 승하강시키는 장치로서, 오랜 사용과 잦은 무대 조명장치 및 막의 교환, 그리고 인가되는 하중으로 인하여 와이어로프(L)의 장력이 변하게 되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대장치바턴(30)은 와이어로프(L)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310)를 무대장치바턴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하되 수직활차(20)의 수만큼 구비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장력조절장치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무대장치바턴(30)은 와이어로프(L)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310)를 무대장치바턴(30)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수직활차(20)의 수만큼 구비하여 각 수직활차(20)에 연결된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장력조절장치(310)가 무대장치바턴(30)의 상측에 결합부재(317)로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부재(317)로 결합되는 것 외에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장력조절장치(310)의 케이스(318)를 무대장치바턴(30)에 직접 결합하거나 또는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장력조절장치(310)는 무대장치바턴(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와이어로프(L)를 가이드하며 와이어로프의 장력방향을 변경하는 턴롤러(311)와, 턴롤러(311)를 통과한 와이어로프를 결속하는 하나 이상의 바인더(312), 무대장치바턴(30)의 일측에 구비되어 턴롤러(311)를 통과한 와이어로프가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조절용 나사홈(미도시)이 구비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파이프(315)와 내주면 일측에 구비된 나사산이 회전파이프(31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도록 회전파이프(315)가 삽설되는 고정케이스(314)를 포함하고, 회전파이프(315)의 회전에 의하여 와이어로프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조절한다.
바인더(312)를 통과한 와이어로프는 회전파이프(315)의 일단에 결합되고, 회전파이프(315)는 무대장치바턴(30)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케이스(314)의 내부에서 나사결합에 의하여 좌우 이동되므로, 결국 와이어로프의 길이가 조정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수직활차(20)에서 턴롤러(311)를 통과한 와이어로프를 회전파이프(315)의 일단에 구비된 결합링(313)을 통과시켜 고리를 형성하게 하고 하나 이상의 바인더(312)를 사용하여 와이어로프가 풀리지 않도록 결속하는 것이다.
수직활차(20)는 그리드 아이언(10)의 상면에 설치되어 구동부(40)의 구동으로 무대장치바턴(30)이 와이어로프(L)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안전하게 가이드해야 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무대장치바턴(30)이 흔들림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그리드 아이언 20 : 수직활차
L : 와이어로프
30 : 무대장치버턴 40 : 구동부
410 : 텐션롤러 430 : 권취드럼
440 : 구동모터
50 : 안내활차 60 : 고정브라켓

Claims (5)

  1. 천장(W)에 설치고정되어, 다수개의 수직활차(20)가 설치된 그리드 아이언(10)과, 상기 그리드 아이언(10)의 하방에서 상기 수직활차(20)를 매개로 연결된 와이어로프(L)에 의해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무대 조명장치 및 막이 연결된 무대장치바턴(30) 및 상기 무대장치바턴(30)의 승강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그리드 아이언(10)의 상방에 설치되며, 와이어로프(L)를 권취 또는 권해하도록 동작하는 권취드럼(430)을 구비한 구동부(40)를 포함하는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아이언(10)의 상방과 상기 권취드럼(4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활차(20)를 매개로 연결되는 각각의 와이어로프(L)가 상기 권취드럼(430)에 각각 권취 또는 권해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활차(50);
    상기 무대장치바턴(30)에 연결된 모든 와이어로프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브라켓(60);및
    상기 안내활차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드럼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권취드럼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레일(50);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으로 상기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통하여 상기 안내활차의 상부에 설치된 권취드럼을 이동시켜 상기 안내활차의 상부를 개방하는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활차(50)는
    상기 권취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그리드에 순차적으로 배치 고정된 한 쌍의 지지브라켓(520);및
    상기 지지브라켓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를 와인딩 또는 리와인딩하는 활차회전체(530);
    를 포함하고
    상기 활차회전체는 각각 서로 다른 인입각으로 상기 권취드럼에 와인딩되는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대장치바턴(30)은
    상기 와이어로프(L)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310)를 상기 무대장치바턴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수직활차의 수만큼 구비한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무대장치바턴(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와이어로프(L)를 가이드하며 와이어로프의 장력방향을 변경하는 턴롤러(311);
    상기 턴롤러를 통과한 와이어로프를 결속하는 하나 이상의 바인더(312);
    무대장치바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턴롤러를 통과한 와이어로프가 일단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파이프(315);및
    내주면 일측에 구비된 나사산이 상기 회전파이프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도록 상기 회전파이프가 삽설되는 고정케이스(314);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파이프의 회전에 의하여 와이어로프가 좌우로 이동하는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KR1020190055460A 2019-05-13 2019-05-13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KR102069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460A KR102069661B1 (ko) 2019-05-13 2019-05-13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460A KR102069661B1 (ko) 2019-05-13 2019-05-13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661B1 true KR102069661B1 (ko) 2020-02-11

Family

ID=6956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460A KR102069661B1 (ko) 2019-05-13 2019-05-13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6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644B1 (ko) 2020-04-28 2021-02-08 (주)아이티에스 수납식 무대 장치
KR102336011B1 (ko) 2021-01-29 2021-12-03 (주)아이티에스 수납식 무대 장치
KR102650156B1 (ko) 2023-04-12 2024-03-20 김종열 수직 권취 드럼을 구비한 무대장치용 리프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064B1 (ko) * 2008-05-02 2010-08-25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무대구동장치
KR101041445B1 (ko) * 2011-01-24 2011-06-15 대아공전주식회사 무대구동장치
KR101325149B1 (ko) 2013-07-17 2013-11-06 (주)유성스테이지 무대기계용 와이어로프의 안내유도 안전장치
KR101713633B1 (ko) * 2016-10-07 2017-03-08 주식회사 두륭 리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064B1 (ko) * 2008-05-02 2010-08-25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무대구동장치
KR101041445B1 (ko) * 2011-01-24 2011-06-15 대아공전주식회사 무대구동장치
KR101325149B1 (ko) 2013-07-17 2013-11-06 (주)유성스테이지 무대기계용 와이어로프의 안내유도 안전장치
KR101713633B1 (ko) * 2016-10-07 2017-03-08 주식회사 두륭 리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644B1 (ko) 2020-04-28 2021-02-08 (주)아이티에스 수납식 무대 장치
KR102336011B1 (ko) 2021-01-29 2021-12-03 (주)아이티에스 수납식 무대 장치
KR102650156B1 (ko) 2023-04-12 2024-03-20 김종열 수직 권취 드럼을 구비한 무대장치용 리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661B1 (ko)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KR101777804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활차
KR100825670B1 (ko) 무대시설용 안전장치
WO2017183616A1 (ja) 照明昇降装置
US10183850B2 (en) Compact hoist system
KR101980157B1 (ko) 와이어로프 안내유도 및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시설용 안전 승하강장치
KR101328400B1 (ko) 무대설비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KR102151698B1 (ko) 와이어로프 장력조절 및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시설용 안전 장치
KR101823442B1 (ko) 무대설비용 케이블 가이드장치
KR100645889B1 (ko) 전원케이블 승강장치
KR102117293B1 (ko)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KR101871245B1 (ko)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KR20090126875A (ko) 플래카드 배튼의 승강장치
KR200429777Y1 (ko) 승강식 무대장치의 케이블 지지구조
KR101905437B1 (ko) 무대장치 승강용 와이어로프 시스템
KR101678032B1 (ko) 세트 틸트 배튼
KR102151699B1 (ko) 안내유도장치가 구비된 무대시설용 안전 승하강장치
KR100905039B1 (ko) 일체형 무대장치
KR200370951Y1 (ko) 와이어 권취 장치
KR101883698B1 (ko)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
KR200219047Y1 (ko) 무대소품 승강장치
KR102377496B1 (ko)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흔들림방지 안전장치
KR102154703B1 (ko)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
KR101635399B1 (ko)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
KR200357690Y1 (ko) 전원케이블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