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698B1 -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698B1
KR101883698B1 KR1020170145106A KR20170145106A KR101883698B1 KR 101883698 B1 KR101883698 B1 KR 101883698B1 KR 1020170145106 A KR1020170145106 A KR 1020170145106A KR 20170145106 A KR20170145106 A KR 20170145106A KR 101883698 B1 KR101883698 B1 KR 101883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uide
batten
ba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찬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젠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엑스젠비쥬얼
여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젠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엑스젠비쥬얼, 여찬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젠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70145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8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guides movable relative to drum or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부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는 바텐줄을 가이드 롤러가 안내하면서 바텐바가 수평을 유지함과 동시에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는 천장 상부로부터 승, 하강되는 바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 관인 회전축의 내부에 설치되며 모터를 갖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양측 단에 고정판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 결합 돌기를 갖는 전동부와,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다수가 설치되며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축공을 갖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며 양측에 오링 홈이 형성된 원형의 가이드축과, 나사공과 축공이 형성된 두 개의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축에 설치하며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된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축의 양단에 브래킷을 설치하고 오링으로 고정한 후, 브래킷을 외부케이스의 내부 상면에 고정하는 가이드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의 나사산과 가이드 롤러부의 나사와 맞물려 이동하며 하단에 바텐바가 설치된 바텐줄과, 상기 롤러부를 갖는 회전축과 가이드 롤러부가 삽입 설치되며 하측에 개방부를 가지면서 양측 단에 마감판이 체결되는 외부케이스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Lifting device of electric bar tent}
본 발명은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부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는 바텐줄을 가이드 롤러가 안내하면서 바텐바가 수평을 유지함과 동시에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극, 무용, 오페라 등 각종 무대 공연장에서 사용되는 조명, 현수막 등과 같은 설치물은 무대 상단의 바텐에 설치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바텐은 별도의 승하강 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구조를 갖고있다.
상기와 같은 승하강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 상에 다수 홈을 갖은 드럼과, 일단은 상기 드럼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바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연결 형성되어 드럼의 홈에 감기거나 풀리는 다수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는 도르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바텐 승하강 장치를 이용하여 바텐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구동부의 드럼에 의해 다수의 와이어가 감기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많은 동력이 필요함은 물론 이에 따라 구동부의 크기가 대형화되어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 아니라 현장에서 용접작업등 복잡한 설치공사를 해야 하므로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바텐 승하강시 수평 밸런스가 중요하나,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드럼에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기 때문에 바텐을 승하강시키는 과정에서 바텐이 외부 장애물에 걸릴 경우, 수평을 잃으면서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쏠려 바텐에 설치 사용되는 설치물이 파손되어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바텐줄이 롤러부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할 때, 가이드 롤러가 함께 이동하면서 바텐바가 수평을 유지함과 동시에 다수의 바텐줄이 균일하게 승강 및 하강하며, 외부의 충격이나 바텐바를 들어올려도 바텐줄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장 상부로부터 승, 하강되는 바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 관인 회전축의 내부에 설치되며 모터를 갖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양측 단에 고정판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 결합 돌기를 갖는 전동부와,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다수가 설치되며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축공을 갖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며 양측에 오링 홈이 형성된 원형의 가이드축과, 나사공과 축공이 형성된 두 개의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축에 설치하며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된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축의 양단에 브래킷을 설치하고 오링으로 고정한 후, 브래킷을 외부케이스의 내부 상면에 고정하는 가이드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의 나사산과 가이드 롤러부의 나사와 맞물려 이동하며 하단에 바텐바가 설치된 바텐줄과, 상기 롤러부를 갖는 회전축과 가이드 롤러부가 삽입 설치되며 하측에 개방부를 가지면서 양측 단에 마감판이 체결되는 외부케이스로 구성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는 롤러부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는 바텐줄을 가이드 롤러가 안내하면서 바텐바가 수평을 유지함과 동시에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도 1~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전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롤러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7은 본 발명인 가이드 롤러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텐줄과 바텐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이하는 본 발명의 구성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이의 도면 중 부호 200은 본 발명의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200)는 첨부된 도면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동부(120)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롤러부(130)와, 가이드 롤러부(140)와, 하단에 바텐바(155)가 설치되며 롤러부(130)의 나사산(131)에 삽입됨과 동시에 가이드 롤러부(140)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하는 바텐줄(150)과, 회전축(110)과 가이드 롤러부(140)가 설치되는 외부케이스(160)로 구성한다.
상기 회전관(110)은 첨부된 도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관이면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그 내부 공간(111)에 전동부(120)를 삽입 설치한다.
상기 전동부(120)는 첨부된 도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모터(M)가 설치되면서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의 회전체(121)를 형성하고, 회전체(121)의 양측 단에 원형의 고정판(122)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 외부로 돌출된 사각 형태의 결합 돌기(123)를 형성한다.
상기 전동부(120)를 회전관(110)의 내부 공간(111)에 삽입 설치하며, 회전체(121)의 고정판(122)이 회전관(110)의 양측 단에 지지하고, 외부로 돌출된 결합 돌기(123)에 볼트공(127)을 가지면서 돌기 구멍(126)이 형성된 브래킷(125)을 설치하여 고정한다.
상기 브래킷(125)의 후면에 상단이 외부케이스(160)의 내부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128)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 고정판(128)은 ㄱ자 형태의 철판이며 상면과 측면에 다수의 볼트 공(128a)(128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부(130)는 첨부된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면에 나사산(131)을 형성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삽입공(132)를 형성한다.
상기 롤러부(130)의 삽입공(132)을 회전관(110)의 외면에 삽입하여 설치하고, 회전관(110)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롤러부(130)를 설치하며, 롤러부(130)는 회전관(1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부(140)은 첨부된 도면 도 6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단에 오링홈(141a)이 형성된 원형의 가이드축(141)을 형성하고, ㄱ자 형태이며 상면에 나사공(142)이 형성되고 측면에 축공(143)이 형성된 브래킷(144)을 형성한다.
그리고 내부를 관통하는 축공(146)을 가지면서 외면에 나사산(145)이 형성된 가이드 롤러(147)를 가이드축(141)의 외면에 설치한다.
그런 다음, 가이드축(141)의 양단에 축공(143)을 갖는 브래킷(144)을 설치한 후, 오링홈(141a)에 오링(148)을 체결하여 가이드축(141)을 고정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147)는 가이드축(141)의 안내를 받으면서 좌, 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바텐 줄(150)은 첨부된 도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쪽 끝을 롤러부(130)의 나사산(131) 사이에 감아서 설치하고 끝단을 롤러부(130)에 고정하다. 그리고 다른 쪽 끝단에는 바텐바(155)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외부케이스(160)는 내부 공간을 갖는 사각 형태이며 양측 면과 하측 후방 면이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전동부(120)의 고정판(128)을 외부케이스(160)의 내부 상면에 고정 설치하여 회전체(110)를 외부케이스(160)의 내부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130)의 나사산(131)에 가이드 롤러(147)의 나사산(145)에 맞물리도록 결합한 다음에 브래킷(144)의 나사공(142)에 나사를 체결하여 외부케이스(160)의 상면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외부케이스(160)의 양측 단에 마감판(161)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147)는 롤러부(13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 되면서 바텐줄(150)을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수의 바텐줄(150)이 균등하게 승,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1과 도 3 및 도 9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회전체(110)에 길이가 짧은 바텐바(155)인 경우에는 설치물의 하중이 많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롤러부(130)를 두 개 정도 설치하고, 바텐바(155) 길이가 길어 많은 하중이 발생할 경우에는 롤러부(130)를 세 개 이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롤러부(130)에 가이드 롤러부(140)를 나사 결합하여 바텐줄(150)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무선 리모컨을 이용하여 하강 신호를 입력하면, 첨부된 도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체(110)가 정방향 회전함과 동시에 롤러부(130)가 회전하면서 바텐줄(150)이 하측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가이드 롤러부(140)는 롤러부(130)와 연동되면서 가이드축(141)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바텐줄(150)이 나사산(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다수의 바텐줄(150)이 균일하게 하측으로 내려오게 한다.
상기와 같이 바텐바(155)를 하측으로 내린 상태에서 현수막을 고정 설치한 후에, 무선 리모컨을 이용하여 승강 신호를 입력하면, 회전체(110)가 역방향 회전함과 동시에 롤러부(130)가 회전하고, 이때, 가이드 롤러부(140)는 롤러부(130)와 연동되면서 가이드축(141)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바텐줄(150)을 상측으로 승강하게 된다.
200: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
110:회전축 120:전동부
130:롤러부 140:가이드 롤러부
150:바텐줄 155:바텐바
160:외부케이스

Claims (3)

  1. 천장 상부로부터 승, 하강되는 바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 관인 회전축의 내부에 설치되며 모터를 갖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양측 단에 고정판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 결합 돌기를 갖는 전동부와,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다수가 설치되며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축공을 갖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며 양측에 오링 홈이 형성된 원형의 가이드축과, 나사공과 축공이 형성된 두 개의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축에 설치하며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된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축의 양단에 브래킷을 설치하고 오링으로 고정한 후, 브래킷을 외부케이스의 내부 상면에 고정하는 가이드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의 나사산과 가이드 롤러부의 나사와 맞물려 이동하며 하단에 바텐바가 설치된 바텐줄과,
    상기 롤러부를 갖는 회전축과 가이드 롤러부가 삽입 설치되며 하측에 개방부를 가지면서 양측 단에 마감판이 체결되는 외부케이스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145106A 2017-11-02 2017-11-02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 KR101883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106A KR101883698B1 (ko) 2017-11-02 2017-11-02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106A KR101883698B1 (ko) 2017-11-02 2017-11-02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698B1 true KR101883698B1 (ko) 2018-08-01

Family

ID=6322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106A KR101883698B1 (ko) 2017-11-02 2017-11-02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086B1 (ko) 2023-03-16 2023-11-23 이종승 권취가이드에 기인하여 승하강 움직임이 정밀 제어되는 전동식 바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875A (ko) * 2008-06-05 2009-12-09 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플래카드 배튼의 승강장치
KR20160119020A (ko) * 2016-09-30 2016-10-12 주식회사 한국시스템아트 무대설비물 상하 이동장치
KR101713633B1 (ko) * 2016-10-07 2017-03-08 주식회사 두륭 리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875A (ko) * 2008-06-05 2009-12-09 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플래카드 배튼의 승강장치
KR20160119020A (ko) * 2016-09-30 2016-10-12 주식회사 한국시스템아트 무대설비물 상하 이동장치
KR101713633B1 (ko) * 2016-10-07 2017-03-08 주식회사 두륭 리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086B1 (ko) 2023-03-16 2023-11-23 이종승 권취가이드에 기인하여 승하강 움직임이 정밀 제어되는 전동식 바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804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활차
KR100825670B1 (ko) 무대시설용 안전장치
US20190185299A1 (en) Compact hoist system
KR101328400B1 (ko) 무대설비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KR101883698B1 (ko)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
KR102069661B1 (ko)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KR101195976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권취장치
KR101451751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구동장치
KR101713633B1 (ko) 리깅장치
KR20050054972A (ko) 일사차폐장치의 승강코드 권취기구
JP2010208054A (ja) 電動昇降ボード装置
KR101566326B1 (ko)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KR20160150399A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453528B1 (ko) 무대장치용 와이어 가이드장치
KR20180043509A (ko)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KR101905437B1 (ko) 무대장치 승강용 와이어로프 시스템
CN110192758B (zh) 智能伸缩电动窗帘杆
KR101678032B1 (ko) 세트 틸트 배튼
KR20150087593A (ko) 벨트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장치
KR100905039B1 (ko) 일체형 무대장치
JP2003117264A (ja) 舞台設備における吊物昇降装置
KR101635399B1 (ko)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
KR101261828B1 (ko) 케이블 가이드용 전동롤러장치
KR200442254Y1 (ko) 무대소품을 동일한 속도로 승강토록 하는 배튼 승강장치
JP2010116265A (ja) ウインチ及び該ウインチを用いた移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