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399B1 -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 - Google Patents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399B1
KR101635399B1 KR1020140156220A KR20140156220A KR101635399B1 KR 101635399 B1 KR101635399 B1 KR 101635399B1 KR 1020140156220 A KR1020140156220 A KR 1020140156220A KR 20140156220 A KR20140156220 A KR 20140156220A KR 101635399 B1 KR101635399 B1 KR 101635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support
coupled
support bracke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462A (ko
Inventor
유성철
Original Assignee
(주)유성스테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스테이지 filed Critical (주)유성스테이지
Priority to KR102014015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3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무대연출을 위한 조명, 배경막이 걸려진 바튼으로부터 다수 지점 연결된 와이어를 각각 걸어 무대장치가 시설되는 그리드측에 설치된 구동부의 드럼으로 권선을 안내하는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는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풀리와 샤프트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가 벽체에 회전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부의 위치 변경에 따라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와이어와 접하는 활차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와이어의 탈선을 방지하여 무대장치에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PULLEY CAPABLE OF ANGLE ADJUSTMENT FOR STAGE EQUIPMENT}
본 발명은 무대 장치용 활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무대 연출을 위해 와이어와 활차를 이용한 승강구조에 있어, 와이어 인장에 따른 방향에 맞추어 활차의 경사각도가 변하고, 와이어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극이나 오페라 및 음악회와 같은 다양한 장르의 예술이 공연되는 공연장은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와, 이 무대에서 펼쳐지는 공연을 관람하기 위하여 관객이 착석하는 객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대장치는 연극, 무용, 오페라 등 각종 무대 공연에서 무대 배경 등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대 배경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안전성이 대단히 요구된다.
무대장치는 통상적으로 배경이 되는 배경막, 조명등이 설치된 바튼(일명, 설치 구조물임.)을 일정 길이 간격으로 수개의 와이어로 지지하도록 하고, 각 와이어에 대응하는 활차를 그리드아이언 상면에 설치하고, 각 활차는 수직의 와이어를 수평이나 경사지게 방향을 바꿔 드럼에 감거나 풀리도록 한다. 여기서 드럼의 구동력은 모터의 동력을 감속기를 통하여 드럼의 회전축과 결합하여 바튼을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활차가 등록특허 제10-1328197호(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식 무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연극, 무용, 오페라 등 각종 무대 공연에는 무대의 배경을 설치하거나 각종 조명장치 등을 설치하기 위해서 승강식 무대장치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연극, 무용, 오페라 등 각종 무대 공연에서 무대 배경을 설치하거나 각종 조명장치 등을 설치하기 위한 승강식 무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대 배경을 위한 조물이나 조명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바튼레일(2)과 상기 바튼 레일(2) 연결된 다수개의 와이어(1)와, 상기 와이어(1)의 방향을 전환하는 다수개의 수직활차(4)와, 상기 와이어(1)를 권취하기 위한 구동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승강식 무대장치는 무대 구조물인 그리드 프레임(Grid Frame : 3)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개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승강식 무대장치는 바튼 레일(2)을 승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와이어(1)가 구동부(10)에 권취되는 것으로써 상기 구동부(10)에 권취되는 다수개의 와이어(1)는 구동부(10)에 형성된 그루브(도시되지 않음)의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각각 수직활차(4) 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수직활차(4)에 의해 수평에서 수직으로 방향 전환되어 바튼 레일(2)과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체형 승강이동식 무대장치는, 안내 롤러(4)에 의하여 방향 전환되는 다수개의 와이어(1)가 상기 구동부(10)로부터 집결되어 배출되지 못하여 구동부(10)에 형성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안내 롤러(4) 방향으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와이어(1)가 안내 롤러(4)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와이어(1)에 연결되는 바튼 레일(2)이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부(10)로부터 배출되어 각각의 수직 활차(4)에 의해 방향 전환된 다수개의 와이어(1)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선 상에 위치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수직활차(4)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가 되어야 함으로써 구동부(10)로부터 배출되어 수직활차(4)에 의해 지지되어 방향 전환되는 와이어(1)의 이격된 거리가 구동부(10)로부터 수직활차(4)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됨으로써 수직 활차(4)에 수직 방향의 힘과 좌우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구동부(10)를 작동하여 각종 무대 설비가 설치된 바튼 레일(2)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경우 상기 바튼 레일이 좌우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안정적으로 바튼 레일을 승,하강 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상기 수직활차(4)에 의해 지지된 와이어(1)가 수직활차(4)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와이어를 각각 위치된 활차를 통해 바튼을 승강함에 있어, 구동모터와 감속기의 출력 축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드럼에 감기는 와이어가 작용하는 힘이 동일하게 작용하여야 하지만, 실질적으로 각각의 와이어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활차로부터 와이어의 권선되는 인장력은 각기 달라진다.
즉, 와이어의 인장상태에 따라 활차가 받는 응력은 활차가 설치된 그 중심축 또한, 다수의 와이어를 각각 위치된 활차를 통해 바튼을 승강함에 있어, 구 베어링부분에 영향을 주고, 상대적으로 와이어에 의해 힘을 받고 있는 활차는 와이어와의 마찰이 심해져 와이어가 안내되는 부위가 심하게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활차의 마모부위로 하여금 활차의 수명에 악영향을 초래함은 물론, 활차로부터 와이어가 탈선되는 사례로 무대장치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의 와이어는 수직에서 수평으로 안내하는 활차에 의하여 드럼에 와이어가 감기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상황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드럼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와이어의 방향을 바꾸어 드럼에 순방향으로 감기게 하여야 하나 현재의 구조로는 와이어의 수평 방향을 바꿀 수 없기때문에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무대연출을 위해 와이어를 각 지점에 안내하는 활차를 개선하여 와이어의 진행 각도와 활차의 경사각도를 유도할 수 있는 와이어 각도 조절용 활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대연출을 위한 조명, 배경막이 걸려진 바튼으로부터 다수 지점 연결된 와이어를 각각 걸어 무대장치가 시설되는 천정측에 설치된 구동부의 드럼으로 권선을 안내하는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는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풀리와 샤프트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가 그리드에 회전 지지되게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활차는 바튼 레일로부터 다수 지점 연결된 와이어를 각각 걸어 무대장치가 시설되는 그리드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로 권선을 안내하는 수직활차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외주면에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된 풀리가 와이어의 숫자만큼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게 구성한다.
또한, 활차는 외주면에는 나사공이 다수 개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양측 끝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풀리와, 상기 샤프트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플랫바와 상기 플랫바의 일단 각각에 결합되는 플랫바홀드를 포함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플랫바홀드를 회전 지지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단과 그리드에 고정되는 회전브라켓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으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단의 중앙에 제1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관통홀을 중심으로 단턱진 제1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제1 삽입홈과 대향되는 면에 제2 삽입홈을 형성한 회전브라켓과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삽입홈에 중앙이 통공된 베어링을 삽입하고,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통공, 그리고 상기 제2 삽입홈이 결합부재로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회전브라켓과 나사결합되어 그리드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이어 각도 조절용 활차에 의하면, 구동부의 위치 변경에 따라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와이어와 접하는 활차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와이어의 탈선을 방지하여 무대장치에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식 무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평활차의 사용례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수평활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평활차의 다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활차의 일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활차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A부분 확대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부를 예시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풀리의 종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평활차의 사용례를 예시한 도면으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수평 활차(100)는 무대연출을 위한 조명, 배경막이 걸려진 바튼 레일(2)로부터 다수 지점 연결된 와이어(1)를 각각 걸어 무대장치가 시설되는 천정측에 설치된 구동부(10)의 드럼으로 권선을 안내하기 위한 수직활차(4)와 구동부(10) 사이에 하나 이상 개재되어 와이어(1)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평 활차는 와이어(1)의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즉, 바튼 레일(2)부터 다수 지점 연결된 와이어(1)를 각각 걸어 무대장치가 시설되는 천정측에 설치된 구동부(10)로 권선을 안내하는 수직활차(4)와 구동부(10)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벽체에 지지대는 지지부(200)와 활차부(10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바튼 레일에 연결된 와이어가 6개 이므로, 활차부(100)에 풀리가 6개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활차부(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의 본 발명의 수평활차의 사시도, 도 4의 본 발명의 수평활차의 다른 사시도, 도 5의 본 발명의 수평활차의 일 분리 사시도, 도 6의 본 발명의 수평활차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활차부(100)는 지지부(200)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화이어를 안내하도록 동작된다.
이를 위하여 활차부(100)는 내부에 풀리(110)가 개재된 한 쌍의 플레이트(120)와, 한 쌍의 플레이트(120)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30)과 지지브라켓(130)의 일단에 결합된 회전부(150)와 회전부(150)에 결합되어 지지바(200)에 지지되는 회전브라켓(160)을 지지바(2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쌍의 플레이트(120)는 그 외주면에 나사공을 다수 개 형성한 판형상이고, 한 쌍의 플레이트(120)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양측 끝단부가 고정되어 한 쌍의 플레이트(120)에 의해 지지되고, 풀리(110)가 축설되어 회전할 수 있는 샤프트(131a)를 구비한다.
즉, 샤프트(131a)는 회전하는 풀리를 축설하기 위한 것이므로, 플레이트(120)의 중앙부에 삽입고정되고, 한쌍의 플레이트(120)의 외주연에는 일정 거리 플레이트간의 거리를 이격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121)에 의하여 풀리(110)가 축설되었을 경우 풀리(110)가 충분히 회전할 수 있는 이격 거리를 갖게 하여야 한다.
또한 풀리는 도 6을 참고하면 외주면에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된 풀리가 와이어의 숫자만큼_본 실시예에서는 6개_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나, 이의 와이어의 숫자나 또는 필요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풀리가 축설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풀리의 종류를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플레이트에 하나의 풀리가 축설된 것부터 7개 풀리가 축설된 활차를 확인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130)은 일단은 한쌍의 플레이트(120)를 지지함과 동시에 타단에는 회전부(150)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지지브라켓(130)은 샤프트(131a)의 양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한쌍의 플레이트(120)를 고정 지지하는 플랫바(131)와 플랫바(131)의 일단 각각에 결합되는 플랫바홀드(132)를 포함한다.
플랫바(131)는 소정 두께를 갖으며 일측이 개방된 말굽형상의 금속재로 구성하고, 개방부에 플레이트(120)가 삽설된다.
또한, 플랫바(131)와 한 쌍의 플레이트(120)와의 보다 견고한 구조를 위하여 플랫바(131)는 한 쌍의 플레이트(120)를 돌출한 샤프트(131a)의 양단과, 또 다른 곳에서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20)와 결합부재(121)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바홀드(132)도 소정 두께를 갖으며 일측이 개방된 말굽형상의 금속재로 구성하되, 말굽 형상의 플랫바(131)를 수용 고정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하고, 플랫바(131)와 90회전된 형상으로 조립되어 결합부재(132c)에 의하여 체결된다.
회전부(150)는 플랫바홀드(132)와 벽체에 고정되는 지지바(200)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바(200)를 기준으로 회전부(150)에 결합된 플랫바홀드(132)가 일정 각도 유격되게 동작되어 와이어와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와이어의 인장상태 또는 와이어와 활차의 각도 차에 따라 활차가 받는 응력은 활차가 설치된 그 중심축 베어링부분에 영향을 주고, 상대적으로 와이어에 의해 힘을 받고 있는 활차는 와이어와의 마찰이 심해져 와이어가 안내되는 부위가 심하게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와 같은 활차의 마모부위로 하여금 활차의 수명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활차로부터 와이어가 탈선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부(150)는 지지브라켓(130)과 회전브라켓(160)의 사이에 개재할 수 있는 베어링으로 구성하고, 지지브라켓과 베어링 그리고 회전브라켓을 결합부재로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7의 도 6의 A부분 확대도와 도 8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부를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먼저 도 6에서 회전부(150)는 지지브라켓(130)의 플랫바홀드(132)의 일면과 회전브라켓(160)의 사이에 개재할 수 있는 일정 두께를 갖으며 중앙이 통공된 판형상의 회전부재로 구성하고, 지지브라켓과 회전부재 그리고 회전브라켓을 일레로 볼트(151)와 너트(152)로 구성된 결합부재로 결합하여 단단하게 고정하고 사용하다가, 소정 각도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결합부재를 해제하고, 소정 각도를 조절한 다음 다시 단단하게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도, 지지브라켓(130)의 플랫바홀드(132)의 일단에 중앙에 제1 관통홀(132a)을 형성하고, 회전브라켓(160)의 단부 중앙에도 제2관통홀(162)을 형성하고, 플랫바홀드(132)의 제1 관통홀(132a)과, 회전부재의 관통홀(151), 회전브라켓(160)의 제2관통홀(162)을 결합부재인 볼트(151)와 너트(152)로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도 8은 회전부를 베어링으로 구성한 경우로서, 지지브라켓(130)의 플랫바홀드(132)의 일단에 중앙에 제1 관통홀(132a)을 형성하고, 제1 관통홀(132a)을 중심으로 단턱진 제1 삽입홈(132b)을 형성하고, 플랫바홀드(132)의 제1 삽입홈(132b)과 대향되는 면에 중앙에 제2 관통홀(162)을 형성하고, 제2 관통홀(162)을 중심으로 단턱진 제2 삽입홈(162a)을 형성한 회전브라켓(160)과 제1 삽입홈(132b)과 제2 삽입홈(162a)에 중앙이 통공된 통공부(141)를 형성한 베어링(140)을 삽입하고, 제1 관통홀(132a)과 베어링의 통공부(141), 그리고 제2 관통홀(162)을 결합부재로 결합하여 회전브라켓(160)에 대하여 지지브라켓(130)의 플랫바홀드(132)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를 베어링으로 구성하면, 회전각도가 고정된 경우 보다 동작중에 와이어의 진입 각도가 일부 틀어지더라도 베어링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회전 각도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회전브라켓(160)도 소정 두께를 갖으며 일측이 개방되고 중앙의 벽체와 양쪽의 날개부 형상인 말굽형상의 금속재로 구성하고, 벽체는 회전부와 결합되고, 날개부는 지지부(200)의 한 쌍의 수직 앵글(210)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부재(161)에 의하여 결합된다.
지지부(200)는 활차부(100)를 그리드와 같은 고정부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회전브라켓(160)과 나사결합되는 나사공(211)을 장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한 수직 앵글(210)과 수직 앵글(210)의 일단에 결합되어 벽체에 지지결합되며 벽체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결합공(221)을 장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한 수평 앵글(22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수직 앵글(210)은 말굽형상의 회전브라켓(160)의 양 날개부가 삽설될 수 있는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와이어의 진행 방향에 마추어 적절한 위치에 결합할 수 있는 나사공(211)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직앵글과 수평앵글의 결합형상이 대략 "L"자 형상으로 결합된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지지부(200)는 단순하게 활차부(1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고정부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보조 기구이므로 앵글의 종류나 지지부의 형상에 국한하지 않는다.
또한, 보다 견고하게 수직앵글과 수평앵글을 결합하기 위하여 수직앵글과 수평앵글을 지지바(230)로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플랫바홀드(132)를 플랫바(131)와 결합하고, 그 단부에 회전부를 결합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플랫바(131)의 단부에 회전부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의 작용에 대하여 알아본다.
도 2를 참고하면, 와이어(1)의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즉, 바튼 레일부터 다수 지점 연결된 와이어(1)를 각각 걸어 무대장치가 시설되는 그리드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10)로 권선을 안내하는 수직활차(4)와 구동부(10)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그리드에 지지부(200)의 수평 앵글(220)의 결합공(221)을 통하여 나사와 같은 고정부재로 고정시킨다.
이후, 지지부(200)의 한 쌍의 수직 앵글(210) 사이에 와이어의 진행방향에 ?추어 적절한 나사공(211)이 형성된 위치에 활차부(100)의 회전브라켓(160)을 위치하고, 결합부재로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를 사용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와이어의 마찰손상을 줄이고, 와이어 가이드홈으로부터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를 필요한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어 무대 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와이어 2 : 바튼레일
3 : 그리드프레임 4 : 안내롤러
100 : 활차 110 : 풀리
120 : 플레이트 131 : 플랫바
132 : 플랫바홀드 150 : 회전부
160 : 브라켓 200 : 지지바
210 : 수직앵글 220 : 수평앵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무대연출을 위한 조명, 배경막이 걸려진 바튼으로부터 다수 지점 연결된 와이어를 각각 걸어 무대장치가 시설되는 천정측에 설치된 구동부의 드럼으로 권선을 안내하는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에 있어서,
    나사공을 장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한 한쌍의 수직앵글과 상기 수직앵글의 일단에 결합되어 벽체에 지지결합되며 결합공을 장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한 수평앵글을 포함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활차는
    외주면에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된 풀리가 와이어의 숫자만큼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고, 샤프트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단과 그리드에 고정되는 회전브라켓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으로 구성된 회전부를 포함하고, 바튼 레일로부터 다수 지점 연결된 와이어를 각각 걸어 무대장치가 시설되는 그리드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로 권선을 안내하는 수직활차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활차의 회전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의 한 쌍의 수직앵글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활차는
    외주면에는 나사공이 다수 개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양측 끝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풀리와, 상기 샤프트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플랫바와 상기 플랫바의 일단 각각에 결합되는 플랫바홀드를 포함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플랫바홀드를 회전 지지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단의 중앙에 제1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관통홀을 중심으로 단턱진 제1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제1 삽입홈과 대향되는 면에 제2 삽입홈을 형성한 회전브라켓과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삽입홈에 중앙이 통공된 베어링을 삽입하고,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통공, 그리고 상기 제2 삽입홈이 결합부재로 결합되는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




  7. 삭제
KR1020140156220A 2014-11-11 2014-11-11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 KR101635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20A KR101635399B1 (ko) 2014-11-11 2014-11-11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20A KR101635399B1 (ko) 2014-11-11 2014-11-11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462A KR20160056462A (ko) 2016-05-20
KR101635399B1 true KR101635399B1 (ko) 2016-07-04

Family

ID=5610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220A KR101635399B1 (ko) 2014-11-11 2014-11-11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3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877B1 (ko) 2022-01-03 2022-06-28 주식회사 한국시스템아트 공연장의 무대설비에 설치되는 무대설비 이동용 활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587B1 (ko) * 2012-06-30 2012-08-30 (주)유성스테이지 무대연출 프리싱글 호이스트 구동장치
KR101195247B1 (ko) * 2012-02-14 2012-10-29 주식회사 아트필 무대설비 승강장치
KR101457811B1 (ko) * 2013-07-24 2014-11-05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경사조절가능한 다중활차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247B1 (ko) * 2012-02-14 2012-10-29 주식회사 아트필 무대설비 승강장치
KR101178587B1 (ko) * 2012-06-30 2012-08-30 (주)유성스테이지 무대연출 프리싱글 호이스트 구동장치
KR101457811B1 (ko) * 2013-07-24 2014-11-05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경사조절가능한 다중활차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877B1 (ko) 2022-01-03 2022-06-28 주식회사 한국시스템아트 공연장의 무대설비에 설치되는 무대설비 이동용 활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462A (ko) 201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712B2 (en) Hoist assembly
US11111117B2 (en) Compact hoist system
KR102088513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777804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활차
KR101328400B1 (ko) 무대설비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ES2335898T5 (es) Método y aparato para cambiar el cable de un ascensor con polea de tracción
KR101980157B1 (ko) 와이어로프 안내유도 및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시설용 안전 승하강장치
KR101195976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권취장치
KR101296890B1 (ko) 감속모터가 구비된 무대장치용 드럼브라켓
KR101635399B1 (ko)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
CN203095479U (zh) 一种电动晾衣架卷线机构
KR100645889B1 (ko) 전원케이블 승강장치
KR101713633B1 (ko) 리깅장치
JP2010064895A (ja) ウインチ
KR101005712B1 (ko) 일체형 승강이동식 무대장치
KR101905437B1 (ko) 무대장치 승강용 와이어로프 시스템
KR200370951Y1 (ko) 와이어 권취 장치
KR102476780B1 (ko) 가이드롤러 일체형 디스크드럼 무대구동장치
KR20100098175A (ko) 와이어지지용 활차를 구비하는 무대장치
KR101009032B1 (ko) 와이어 로프 유도장치
KR101942409B1 (ko) 다양한 형태의 현장 시공이 가능한 무대설비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대설비
KR101883698B1 (ko)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
KR200435379Y1 (ko) 무대설비의 승하강장치
JP2003117264A (ja) 舞台設備における吊物昇降装置
KR101457811B1 (ko) 경사조절가능한 다중활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24

Effective date: 201605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