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609B1 - 승강장치 및 그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승강장치 및 그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609B1
KR920001609B1 KR1019890006193A KR890006193A KR920001609B1 KR 920001609 B1 KR920001609 B1 KR 920001609B1 KR 1019890006193 A KR1019890006193 A KR 1019890006193A KR 890006193 A KR890006193 A KR 890006193A KR 920001609 B1 KR920001609 B1 KR 920001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ontact
switch
overlo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894A (ko
Inventor
조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광산업기계
조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광산업기계, 조명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광산업기계
Priority to KR101989000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609B1/ko
Publication of KR90001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강장치 및 그 제어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요부확대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 승강장치의 제어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스트 2 : 적재함
3 : 과적검출장치 4 : 구동모우터부
5 : 안전제동장치 10 : 랙
20 : 적재틀 20a : 고정편
21 : 승강지지안내부 22 : 상한검출스위치
23 : 과부하검출스위치 30 : 고정판
31 : 장공 32 : 탄성부
40,50 : 피니언 100 : 운정방향절환접점부
200 : 브레이크제어부 300 : 정상운전설정부
400 : 상하운전지령부 500 : 과적상태검출부
600 : 브레이크 지령부
본 발명은 고층건물을 짓기위한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승강장치 및 그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카는,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다음에 모우터를 구동시켜, 상기 모우터의 구동에 의해 케이블을 풀리에 권선하거나 풀면서 적재함을 승강하는 것이었다. 또, 상승하는 적재함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적재함의 하단일측에 하한검출스위치를 설치하여 적재함을 정지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카에 있어서는,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의 적재하는 량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않기 때문에, 적재함에 화물을 허용하중용량내로 적재하였을때에는 별무리가 없으나 과적재하여 반복사용하였을 때에는 케이블이 하중을 받게되어 상기 케이블이 하중에 견디지못하여 케이블의 와이어가 한가닥씩 끊어지게되고, 결국에는 와이어전체가 끊어지면서 적재함이 작업장지면으로 탈락되므로 인하여 인명피해 및 적재화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끊어진 케이블을 재사용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상기 케이블 전체를 교환하여야하기 때문에 부대적으로 수리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적재함에 과적재로 반복사용하므로인하여 모우터 또한 과부하를 받게되어 용이하게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적재함의 하단에 하한검출스위치를 설치하므로 인하여, 적재함상단이 마스트상단부를 벗어나면서 정지하게되므로 상기 적재함이 건설현장지면에 탈락될 위험성이 항상 존재케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되므로 인하여 인명피해방지 및 적재화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는 량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특히, 랙이 마련된 마스트(Mast)와, 랙에 상응되게 설치되도록한 각각의 피니언이 마련된 구동모우터부 안전제동장치와, 승강지지안내부가 마련된 적재틀과 고정판사이에 탄성부를 설치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과적검출장치와의 관련구성으로하여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의 적재량을 측정하므로 과적재를 방지함에 의해 인명피해 및 적재화물의 탈락으로 인한 자재손실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다른 목적은 적재함상단에 상한검출스위치를 설치하여 적재함의 상단부가 마스트상단부를 벗어나지 못하게하면서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제1도 내지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랙(10)이 수직상태로 설치된 마스트(1)와, 고정편(20a)이 마련된 적재틀(20) 및 복수개의 승강지지안내부(21)로 되는 적재함(2)과, 적재틀(20)의 고정편(20a)이 복수개의 장공(31)이 천설된 고정판(30)에 의해 상하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틀(20)과 고정판(30)사이에 탄성부(32)를 개재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과적검출장치(3)와, 고정판(30)에 부착된 구동모우터부(4) 및 안전제동장치(5)의 단부에 연결된 각각의 피니언(40,50)이 상기 랙(10)에 맞물리는 관련구성으로된다.
마스트(1)는 사각형상으로 건물높이에 따라 설치되며, 그 전면에 랙(10)이 수직상태로 부착고정된다.
적재함(2)은 마스트(1)의 전면에 설치되는 적재틀(20)의 배면에 각각의 고정편(20a)과 복수개의 승강지지안내부(21)가 설치되며, 그 배면상단과 측면에 각각의 상한검출스위치(22)와 과부하검출스위치(23)가 설치되는 구성으로된다.
상기 과부하검출스위치(23)의 설치위치의 조절에 따라 허용하중용량을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된다.
과적검출장치(3)는 적재틀(20)의 고정편(20a)이 복수개의 장공(31)이 천설된 고정판(30)에 의해 상하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틀(20)의 상부하단과 고정판(30)의 상단부사이에 코일스프링으로 되는 탄성부(32)가 개재설치되며, 탄성부(32)의 일측에 마련된 돌부(32a)가 과부하검출스위치(23)를 터치시키면서 무게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고정판(30)의 배면에 랙(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압축로울러(33)가 부착되는 구성으로된다.
고정판(30)의 소정위치에 부착고정된 구동모우터부(4) 및 안전제동장치(5)의 축단부에는 각각의 피니언(40,50)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피니언(40,50)은 마스트(1)의 랙(10)에 맞물리게 설치하는 구성으로된다.
상기 구동모우터부(4)에는 모우터를 2개설치하였으나, 적재함(2)에 적재되는 화물의 허용하중용량이 감소 또는 증가에 따라 모우터의 갯수를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는 구성으로된다.
상기한 랙 앤피니언 타입의 승강장치에 사용되는 제어회로는 제6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로차단기(NFB1)(No Fuse Breaker)를 거친 3상전원(RST)은 운전 방향절환접점부(100)와 과부하 차단기(OCB)(Overlad Circuit Breaker)를 차례로 통하여 구동모우터부(4)내의 모우터(V)로 제공되게 연결한다.
상기 운전방향 절환접점부(100)는 서로 반대로 작동되는 상승운전마그네트콘택터의 3련 a접점(UM1)과 하강운전마그네트콘택터의 3련 a접점(DM1)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로차단기(NFB1)를 거친 3상 전원(RST)으로부터 단상을 인출하여 트랜스(T)의 1차측(L1)으로 입력되게 연결하고, 상기 트랜스(T)의 2차측(L2,L3)에 각각 유기되는 전압을 각기 브레이크제어부(200)와 정상운전설정부(300)로 제공되게 연결한다.
상기 브레이크제어부(200)는 트랜스(T)의 2차측(L2)에 유기된 전압이 회로차단기(NFB2)와 후술하게될 상·하운전용 마그네트콘택터(UM·DM)의 각 a접점(UM2,DM2)을 통하여 정류기(RE)로 제공되게 연결하고, 상기 정류기(RE)의 DC 출력이 후술하게될 브레이크마그네트콘택터(BM)의 a접점(BM1)을 통하여 브레이크(BR)를 제공하게 연결한다.
상기 갱상운전 설정부(300)는 회로차단기(NFB3), 상기 과부하차단기의 b접점(OCB1), 상한검출보조스위치(TL1), 상한검출스위치(22) 하한검출스위치(7), 도어스위치(DD1), 안전제동장치(5)내의 과속검출스위치(OP1)를 적결회로로 구성하고, 상기 상, 하한검출스위치(22,7)에는 각각 후술할 마스터콘트롤스위치(MS1)에 의한 각 접점(MS11,MS12)을 각각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정상운전설정부(300)는 상하운전지령부(400) 과적상태검출부(500), 브레이크지령부(600)에 트랜스(T1)의 2차 측(L3) 전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상하운전지령부(400)는 마스터콘트롤스위치(MS1)의 선택에 따라서 램프(LP1), 하강운전마그네트콘택터의 b접점(DM3) 릴레이의 b접점(RY1)에 의한 상승운전마그네트콘택터(UM)가 선택되거나, 램프(LP2), 상승운전마그네트콘택터의 b접점(UM3), 릴레이의 b접점(RY2)에 의한 하강운전마그네트콘택터(DM)가 선택되게 연결구성한다.
상기 과적상태검출부(500)는 과적검출장치(3)내의 과부하검출스위치(23), 부져(BZ) 각 상하운전마그네트콘택터의 b접점(DM5,UM5), 릴레이(RY)를 직렬회로로 연결 구성한다.
상기 브레이크 지령부(600)는 병렬연결된 상기 각 상하운전마그네트콘택터의 a접점(DM4,UM4)과 브레이크마그네트콘택터(BM)를 직렬회로로 연결구성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R은 저항이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 a접점을 상시 오프접점이고 b접점은 상시 온접점이며, 모우터(M)와 병렬로 1개또는 2이상의 모우터를 병렬로 연결하여 승강장치의 구동력을 증가시켜 줄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정상운전 설정부(300)내에 추가되는 과부하차단기의 접점이 직렬로 더 연결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승강장치 및 그 제어회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에서, 회로차단기(NFB1-NFB3)를 올리면 트랜스(T)의 2차측(L2,L3)에 유기된 전압이 브레이크 제어부(200)와 정상운전설정부(300)에 제공된다. 이때 상하운전지령부(400)내의 마스터콘트롤스위치(MS1)가 중립위치에 놓여있고 또한 케이지의 과적상태여부를 검출하는 과부하검출스위치(OL1)가 열려있으면, 브레이크제어부(200)내의 브레이크(BR)에는 DC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모터(M)에 브레이크를 걸어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BR)는 DC 전압이 걸림으로서 모터(M)의 브레이크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있다. 한편 제1도에 도시한 적재함(2)의 개폐문을 열고 상기 적재함(2)의 내면에 화물을 적재할 때, 적재틀(20)의 상부하단과 고정판(30) 상단부와의 사이에 개재설치된 과적검출장치(3)의 탄성부(32)가 화물의 적재량에 따라 압축됨과 동시에 적재틀(20)의 고정편(20a)이 고정판(30)의 장공(31)(제4도 참조)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적재함(2)에 적재되는 화물의 적재량이 허용하중용량보다 초과하게되면, 탄성부(32)의 돌부(32a)가 하강하면서 적재틀(20)의 과부하검출스위치(23)를 터치시킴과 동시에 부져(BZ)에서 경보를 발하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적재함(2)에 초과적재된 화물을 허용하중 이내로 내려놓게되면, 상기 탄성부(32)의 돌부(32a)가 적재틀(20)의 과부하검출스위치(23)를 치면서 상승케되므로 부져(BZ)에서 발하던 경보는 멈추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스터콘트롤스위치(MS1)를 1쪽에 위치시키면 램프(LP1)가 점등되고 상승운전마그네트콘택터(UM)가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상승운전마그네트콘택터(UM)의 각 a,b접점들 (UM1-UM5)이 작동하게되는데, 그의 a접점(UM1)은 모우터(M)에 정회전 전류를 흘려주게되고, 그의 a접점(UM2)은 정류기(RE)에 트랜스(T)의 2차측 AC 전압을 제공하게 되고, 그의 b접점(UM3)은 하강운전마그네트콘택터(DM)의 동작을 차단하게되고, 그의 a접점(UM4)은 브레이크마그네트콘택터(BM)를 동작시키게되고, 그의 b접점(UM5)은 운전개시후 과부하검출스위치(23)에 의한 릴레이(RY)의 동작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브레이크마그네트(BM)의 a접점(BM1)이 닫혀져 브레이크(BR)에 DC 전압이 가해지게 되므로, 브레이크제어부(200)에 의한 모우터(M)의 브레이크상태를 해제하게된다.
따라서 구동모우터부(4)의 구동에 의해 모우터(M)에 연결된 피니언(40)과 안전제동장치(5)에 연결된 피니언(50)이 마스트(1)의 랙(10)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게도니다.
이때, 상기 랙(10)과 각 피니언(40,50)이 맞물려 있는 상태의 랙(10) 반대방향에 당접되어 있는 압축로울러(33)에 의해 상기 랙(10)이 밀려나가게됨을 방지하게된다.
또한, 상기 적재함(20)은 적재틀(20) 배면의 상, 하단양측에 복수개로 설치된 승강지지안내부(21)와 마스트(1)에 의하여 안전하게 지지되면서 상승하게된다.
이와 같이 승강장치가 상승하여 적재함(2) 상부에 설치되는 정상운전설정부(300)내의 상한검출스위치(22)가 열리거나 또는 마스트(1)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한검출보조스위치(TL1)가 열리면 적재함(2)은 멈추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적재틀(20)의 상단에 설치된 상한검출스위치(22)는 적재함(2)이 마스트(1)의 랙(10)의 상단부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된다.
또한, 이때에는 상하운전지령부(400)내의 마그네트콘택터(UM)가 동작하지않게되므로, 브레이크지령부(500)에 의해 브레이크제어부(200)내의 브레이크(BR)가 모우터(M)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후 마스터콘트롤스위치(MS1)를 2에 위치시켜 하강운전을 하고자할 경우, 상기 마스터콘트롤스위치(MS1)에 의한 접점(MS12)이 닫혀지게되므로 이번에는 하향운전마그네트콘택터(DM)가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하향운전마그네트콘택터(DM)의 a접점이 닫혀지므로 모우터(M)에는 역회전전류가 제공이 되고, 그의 a접점(DM2)가 닫혀져 정류기(RE)에 AC 전압이 제공이 되고, 그의 b접점(DM3)가 열려져 상승운전마그네트콘택터(UM)의 회로를 열게되고, 그의 a접점(DM4)이 닫혀져 모우터(M)에 걸린 브레이크(BR)를 해제하게되고, 그의 b접점(DM5)가 열려져 적재함(2)의 하향운전개시후에는 과부하검출스위치(23)의 작동을 무력화시키게되므로 적재함(2)은 정상하강운전이되게된다.
이러한 하강운전중 적재함(2)의 개폐물이 열리게되거나 안전제동장치(5)내의 과속검출스위치(OP1)에 의해 과속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과속검출스위치(OP1)가 열려 모우터(M)의 구동전원을 차단하게 되고 또한 안전제동장치(5)의 과속제동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적재함(2)를 급정지하게되며, 상기 위험, 즉 과속상태가 해지되면 상기 안전제동장치(5)의 제동브레이크 해제조작에 의해 적재함(2)은 정상하강운전으로 돌입하게되는 것이다.
이후 적재함(2)이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에 이르면 하한검출스위치(7)가 열리게 되며, 브레이크지령부(600)에 의한 브레이크제어부(200)의 브레이크(BR)가 모우터(M)에 걸리게되는 것이다. 한편, 마스터콘트롤스위치(MS1)를 중립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적재함(2)에 짐을 싣게되는데, 적재함(2)이 과적상태로되면 과부하검출스위치(23)가 동작하여 부져(BZ)가 경보를 발하면서 릴레이(RY)가 작동된다.
따라서 상하운전지령부(400)내의 상, 하운전마그네트콘택터(UM,DM)의 회로를 열게되므로 적재함(2)내에서 짐을 덜어내지 않는한 적재함(2)의 승강운전이 불가능하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승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대형승강장치의 제작 및 현장설치가 용이하게되고 또한 승강장치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특히 특수용도에 따른 승강장치의 설계변경, 예를 들면 구동능력이나 설치높이의 변경이 용이하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나타나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란에는 단일적재함의 승강장치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마스트에 2개의 적재함을 설치운용(트윈케이지방식)하는 것도 가능하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랙 앤피니언타입 승강장치는 화물전용 엘리버이터, 나아가서는 인명전용 엘리베이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3)

  1. 랙(10)이 수직상태로 설치된 마스트(1)와, 그 일측에 설치되어 승강작용을 하는 적재틀(20)에 각각의 고정편(20a)과 복수개의 승강지지안내부(21) 및 과부하검출스위치(23)로 구성되는 적재함(2)과, 적재틀(20)의 고정편(20a)이 복수개의 장공(31)이 천설된 고정판(30)에 의해 상하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틀(20)과 고정판(30)사이에 탄성부(32)를 개재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과적검출장치(3)와, 고정판(30)에 부착된 구동모우터부(4) 및 안전제동장치(5)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 각각의 피니언(40,50)이 상기 랙(10)에 맞물리도록하는 관련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재틀(20)의 배면상단에 상한검출스위치(22)를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3. 승강장치제어회로에 있어서, 트랜스(T)의 2차측(L2)전압은 정류기(RE) 및 브레이크마그네트의 a접점(BM1)을 통하여 모우터(M)의 브레이크(BR)로 제공되게 연결하고, 상기 트랜스(T)의 2차측(L3)전압은 과속검출스위치(OP1) 도어검출스위치(DD1), 상하한검출스위치(7,22) 및 상기 상하한검출스위치(7,22)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 마스터콘트롤스위치(MS1)의 접점(MS11,MS12)등으로 구성된 정상운전설정부(300)를 통하여 상하운전지령부(400), 과적상태검출부(500) 및 브레이크지령부(600)로 제공되게 연결하고, 상기 상하운전지령부(400)는 마스터콘트롤스위치(MS1)의 선택 및 릴레이(RY)의 각 b접점(RY1,RY2)에 의해 상,하운전마그네트콘택터(UM,DM)가 제어되게 연결하고, 상기 과적상태검출부(500)는 과부하검출스위치(23), 상하운전마그네트콘택터(UM,DM)의 각 b접점(UM5,DM5) 및 릴레이(RY)를 직렬로 연결하고, 상기 브레이크지령부(600)는 상기 상하운전마그네트콘택터(UM,DM)의 각 a접점을 병렬로 브레이크마그네트콘택터(BM)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승강장치의 제어회로.
KR1019890006193A 1989-05-09 1989-05-09 승강장치 및 그 제어회로 KR920001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6193A KR920001609B1 (ko) 1989-05-09 1989-05-09 승강장치 및 그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6193A KR920001609B1 (ko) 1989-05-09 1989-05-09 승강장치 및 그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894A KR900017894A (ko) 1990-12-20
KR920001609B1 true KR920001609B1 (ko) 1992-02-20

Family

ID=1928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193A KR920001609B1 (ko) 1989-05-09 1989-05-09 승강장치 및 그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690A2 (ko) * 2010-06-07 2011-12-15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타워 구조물 유지점검보수작업용 승강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047B1 (ko) 2001-07-18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구동기에 있어서 광량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544204B1 (ko) 2004-06-24 2006-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출력 제어장치
KR102484201B1 (ko) * 2022-09-02 2023-01-02 임우순 랙 앤드 피니언 승강 방식 구조를 포함하는 싱글타입 건설용 리프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690A2 (ko) * 2010-06-07 2011-12-15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타워 구조물 유지점검보수작업용 승강시스템
WO2011155690A3 (ko) * 2010-06-07 2012-02-16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타워 구조물 유지점검보수작업용 승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894A (ko) 199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6506A1 (en) Vertically movable working platform
CN108861902B (zh) 电梯的电流切断装置
KR920001609B1 (ko) 승강장치 및 그 제어회로
KR101978474B1 (ko) 건설용 리프트의 과상승 방지 시스템
KR101012293B1 (ko)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JP2024050801A (ja) 駐車装置
WO2004024609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4833380A (en) Hoist motor protection
JP6541698B2 (ja) エレベーター非常止め装置の動作試験方法および動作試験用短絡装置
KR102340628B1 (ko)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
KR101165622B1 (ko) 특고압 변압기 내부(oltc) 수리용 인양 장치
CN104692206A (zh) 电梯的维修检查用制动器控制装置
KR10064782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707942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張力平衡装置
KR100809373B1 (ko)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JP3238621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JP42486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H11255446A (ja) エレベータの安全スイッチ用短絡装置
CN210029641U (zh) 一种家用梯安全检修的电气系统
JPH03260268A (ja) 二段式駐車装置のモータ制御回路
JP2870614B2 (ja) 物品昇降装置
JP2001220069A (ja) マシー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装置
CN108463422B (zh) 电梯及其控制装置
JPS647959B2 (ko)
JP3250165B2 (ja)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における駆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