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628B1 -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628B1
KR102340628B1 KR1020210085315A KR20210085315A KR102340628B1 KR 102340628 B1 KR102340628 B1 KR 102340628B1 KR 1020210085315 A KR1020210085315 A KR 1020210085315A KR 20210085315 A KR20210085315 A KR 20210085315A KR 102340628 B1 KR102340628 B1 KR 102340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st
cover
fastene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경
Original Assignee
김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경 filed Critical 김무경
Priority to KR102021008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66B9/02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by rack and pinion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복수개의 단위 마스트(100)들을 상하로 조립하여 만들어지되, 단위 마스트(100)들 각각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배열된 4개의 마스트 봉(120)들과, 마스트 봉(120)들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 베이스틀(140)과, 마스트 봉(120)들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 베이스틀(160)을 포함하고, 단위 마스트(100)들 각각에는 단위 랙기어(110)가 일체로 구비되어, 단위 마스트(100)들이 상하로 연결될 때, 단위 랙기어(110)들이 끊김 없는 랙기어(11)를 형성하고,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마스트들(100, 110)은 상하로 서로 일치하는 제1 체결홀(141)과 제2 체결홀(161)을 상단 베이스틀(140)과 하단 베이스틀(160)에 각각 구비하며, 패스너(150)는 제1 체결홀(141)과 제2 체결홀(161)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마스트들(100, 100)의 상단 베이스틀(140)과 하단 베이스틀(160)을 결합하며, 패스너(150)는 제1 체결홀(141)과 제2 체결홀(161)에 차례로 끼워지는 볼트(151)와, 볼트(151)에 체결되는 너트(152)를 포함하는, 마스트(10); 및 마스트(10)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구동부(30)와 구동부(30)에 의해 마스트(10)에 구비된 랙기어(11)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랙기어(11)를 타고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피니언기어(31)가 구비되고, 지붕에는 마스트(10)의 설치 및 해체 작업에 참여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표준안전난간(22)이 설치된 운반구(20)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용 승강기의 안전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건설 공사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는,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마스트들(100, 100)의 상단 베이스틀(140)과 하단 베이스틀(160)을 체결하는 패스너(15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도록 설치된 커버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유닛(300)은, 힌지축(310)과, 상기 힌지축(310)을 중심으로 상기 패스너(150)의 하부를 덮는 패스너 가림 위치와 상기 패스너 가림 위치로부터 90도 간격을 이루는 패스너 노출 위치 사이에서 작업자의 힘에 의해 회전하는 커버(320)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320)가 상기 패스너 가림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커버(320)를 편향시키는 편향 토션 스프링(330)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320)는 상기 상단 베이스틀(140)의 하부면에 접하면서 회전하는 접동부(321)와. 상기 패스너(150)의 하부를 덮도록 상기 상단 베이스틀(10)의 하부면과 이격된 커버부(322)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표준안전난간(22)에는, 상기 상단 베이스틀(10)의 위로 단위 마스트가 해체되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운반구(20)가 과상승할 때, 상기 패스너 노출 위치에 놓여 상기 운반구(20) 측으로 돌출된 상기 커버(320)에 접하도록 안전 리미트 스위치(90)가 설치되며, 상기 안전 리미트 스위치(90)가 상기 패스너 노출 위치에서 상기 커버(320)에 접촉하면, 상기 구동부(30)의 구동이 정지된다.

Description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Safety equipments for lifter used in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설 공사용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공사에는 승강기가 이용된다. 건설 공사용 승강기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운반구를 이용하여, 건설 공사에 투입되는 각종 자재나 설비 또는 사람을 운반하는 것으로서, 건설 현장에서는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설비이다.
통상 건설 공사용 승강기는, 콘크리트 기초면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가이드레일 역할을 하는 마스트(mast)와, 마스트를 따라 안내되면서 상하로 승강하는 운반구를 포함한다. 이때, 마스트는 복수개의 단위 마스트들을 상하로 적층 조립하여 구성되며, 복수개의 단위 마스트 각각은 단위 랙기어를 구비하며, 복수개의 단위 마스트가 조립되어 하나의 마스트가 세워지면, 복수개의 단위 랙기어들이 하나의 기다란 랙기어를 형성하다. 또한, 운반구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해, 운반구 측에는 랙기어와 기어 맞물림되는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부가 설치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건설 공사용 승강기는 심각한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특히 건설 공사용 승강기를 이용하는 작업이 고소에서 주로 이루어지므로, 추락 재해가 자주 발생하며, 추락 재해 발생 시 대부분 사람의 생명을 잃게 하는 중대 재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재해를 발생시키는 원인들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몇 가지 예를 들면,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운반구의 이동, 정격하중 초과로 인한 승강기의 파손 또는 고장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승강기를 이용한 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먼저, 마스트를 해체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 마스트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운반구가 과상승하여 마스트를 이탈하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는 마스트 해체 과정에서 마스트 상단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가 제거될 수 밖에 없어서, 운반구의 과상승을 막아줄 수 있는 수단이 없어짐으로 인해 야기된다.
이에 대하여, 운반구 측에 마스트 없음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지만, 이 기술은 응답 속도가 낮아 중고속 승강기에 적용이 제한되며,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위 마스트들 사이는 볼트 체결에 의해 단단하게 조립되는데, 상단 마스트 해체 전에, 그 아래에 위치한 마스트들 사이의 볼트 체결을 미리 풀어놓음으로 인한 사고도 발생된 바 있었다.
특허등록 제10-2178507(2020년 11월 13일 등록) 특허등록 제10-1831590(2018년 2월 19일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447012(2009년 12월 9일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269290(2002년 3월 11일 등록) 특허등록 제10-1910546(2018년 10월 16일 등록)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설공사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복수개의 단위 마스트(100)들을 상하로 조립하여 만들어지되, 단위 마스트(100)들 각각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배열된 4개의 마스트 봉(120)들과, 마스트 봉(120)들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 베이스틀(140)과, 마스트 봉(120)들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 베이스틀(160)을 포함하고, 단위 마스트(100)들 각각에는 단위 랙기어(110)가 일체로 구비되어, 단위 마스트(100)들이 상하로 연결될 때, 단위 랙기어(110)들이 끊김 없는 랙기어(11)를 형성하고,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마스트들(100, 110)은 상하로 서로 일치하는 제1 체결홀(141)과 제2 체결홀(161)을 상단 베이스틀(140)과 하단 베이스틀(160)에 각각 구비하며, 패스너(150)는 제1 체결홀(141)과 제2 체결홀(161)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마스트들(100, 100)의 상단 베이스틀(140)과 하단 베이스틀(160)을 결합하며, 패스너(150)는 제1 체결홀(141)과 제2 체결홀(161)에 차례로 끼워지는 볼트(151)와, 볼트(151)에 체결되는 너트(152)를 포함하는, 마스트(10); 및 마스트(10)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구동부(30)와 구동부(30)에 의해 마스트(10)에 구비된 랙기어(11)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랙기어(11)를 타고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피니언기어(31)가 구비되고, 지붕에는 마스트(10)의 설치 및 해체 작업에 참여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표준안전난간(22)이 설치된 운반구(20)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용 승강기의 안전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건설 공사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는,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마스트들(100, 100)의 상단 베이스틀(140)과 하단 베이스틀(160)을 체결하는 패스너(15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도록 설치된 커버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유닛(300)은, 힌지축(310)과, 상기 힌지축(310)을 중심으로 상기 패스너(150)의 하부를 덮는 패스너 가림 위치와 상기 패스너 가림 위치로부터 90도 간격을 이루는 패스너 노출 위치 사이에서 작업자의 힘에 의해 회전하는 커버(320)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320)가 상기 패스너 가림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커버(320)를 편향시키는 편향 토션 스프링(330)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320)는 상기 상단 베이스틀(140)의 하부면에 접하면서 회전하는 접동부(321)와. 상기 패스너(150)의 하부를 덮도록 상기 상단 베이스틀(10)의 하부면과 이격된 커버부(322)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표준안전난간(22)에는, 상기 상단 베이스틀(10)의 위로 단위 마스트가 해체되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운반구(20)가 과상승할 때, 상기 패스너 노출 위치에 놓여 상기 운반구(20) 측으로 돌출된 상기 커버(320)에 접하도록 안전 리미트 스위치(90)가 설치되며, 상기 안전 리미트 스위치(90)가 상기 패스너 노출 위치에서 상기 커버(320)에 접촉하면, 상기 구동부(30)의 구동이 정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31) 아래에서 상기 랙기어(11)와 맞물리는 보조 피니언기어(31') 및 상기 보조 피니언기어(31')와 클러치 접속될 때 역방향으로 상기 보조 피니언기어(31')를 구동시키는 보조 구동부(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 리미트 스위치(90)가 작동하지 않아 상기 운반구(20)가 추가 과상승하여 상기 피니언기어(31)가 상기 랙기어(11)를 이탈한 경우, 제어부는 상기 보조 구동부(30')와 상기 보조 피니언기어(31')를 클러치 접속 상태에서 역방향 구동시켜 상기 운반구(20)를 안전한 높이로 후퇴 하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트 해체 작업시, 해체된 단위 마스트로 인해, 운반구가 과상승하여 마스트로부터 이탈되는 매우 위험한 재해를 막아줄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건설 공사용 승강기를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에 적용되는 마스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커버유닛의 패스너 가림 위치에 있는 도면이고,
도 3은 커버유닛이 패스너 노출 위치에 있는 도면이고,
도 4는 패스너 노출 위치에 있는 커버와 안전 리미트 스위치와의 협력에 의해 운반구 과상승을 방지하는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안전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아 피니언기어가 랙기어를 이탈할 때까지 운반구의 추가 상승이 있는 상태에서 운반구를 후퇴 하강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건설 공사용 승강기를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에 적용되는 마스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커버유닛의 패스너 가림 위치에 있는 도면이고, 도 3은 커버유닛이 패스너 노출 위치에 있는 도면이고, 도 4는 패스너 노출 위치에 있는 커버와 안전 리미트 스위치와의 협력에 의해 운반구 과상승을 방지하는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안전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아 피니언기어가 랙기어를 이탈할 때까지 운반구의 추가 상승이 있는 상태에서 운반구를 후퇴 하강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설 공사용 승강기(1)는 마스트(10)와, 마스트(10)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운반구(20)와, 운반구(20)가 마스트(1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운반구(20)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마스트(10)는, 운반구(20)를 상하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구조를 갖는 한편, 상하로 기다란 랙기어(11)를 포함한다. 운반구(20)는 케이지와 전방 도어 및 후방 도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마스트(10)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운반구(20)의 지붕 위에는 마스트(10)의 해체 작업시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운반구(20)의 지붕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운반구(20)의 지붕에는 표준안전난간(22)이 설치된다. 또한, 운반구(20)의 지붕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그 개구를 통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자재나 해체된 단위 마스트(100)를 운반구(20) 내에 실을 수도 있다.
또한, 운반구(10) 측에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30)와 구동부(30)에 의해 마스트(10)에 구비된 랙기어(11)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랙기어(11)를 타고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피니언기어(31; 도 4 참조)가 구비된다. 피니언기어(11)와 랙기어(31)의 기어 작용에 의해, 운반구(20)가 마스트(1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마스트(10)와 운반구(20) 각각의 구조적 안전을 위한 안전장치의 구성 및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스트(10)의 상부 및 중간 부위는 건축물(또는, 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단위 마스트(100) 각각과 구조물의 각 층을 고정하는 월브레이싱(40)이 이용된다. 추가로, 마스트(10)는 허용응력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여 충분한 강성을 보유하여야 하며, 사용 중 뒤틀림 발생에 대비해 보강재가 추가된다. 또한, 마스트(10)의 하단에는 작업자 외 다른 사람의 무단 출입을 막도록 방호울(5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운반구(20)는 마스트(10)와 균형이 유지되어야 하고,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억제되어야 하고,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스트(10)의 설치 및 해체 작업시 안전을 위해 표준안전난간(22)이 상부에 설치되어야 하고, 운반구(20)의 상부에는 보호용 천장이 설치되어야 하고, 풍하중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또한, 운반구(20)의 상부에는 마스트(10)의 설치 및 해체 작업시 해체된 단위 마스트(100)를 운반하기 위한 크레인(60)이 배치된다. 또한, 운반구(20)와 구조물의 벽체 사이의 틈에 작업자의 발이 끼거나 추락할 위험이 없도록 발판이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일반 작업시 안전사고를 막기 위한 수단들로서, 권과 방지 유닛(71), 삼상 전원 차단 유닛(72), 비상 정지 유닛(73) 및 과부하 방지 유닛(미도시됨)이 제공된다. 상기 권과 방지 유닛(71)은, 운반구(20)가 마스트(10)의 상단 또는 하단 부근에 도달할 때 자동으로 정지되게 하는 수단으로서, 마스트(10)의 상단 또는 하단 부근에 부착되는 상단 리미트 캠 및 하단 리미트 캠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하여 운반구(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정지시킨다. 상기 삼상 전원 차단 유닛(72)은 권과 방지 유닛(71)이 작동하지 않거나, 마스트 해체시, 마스트(10)의 하단에 설치된 하중센서(75)의 측정값과 운반구(20)에 설치된 위치센서(76)의 측정값의 비교결과, 운반구(20) 과상승에 의한 위험 감지의 경우, 삼상 전원을 차단하는 최종적인 안전장치이다. 상기 비상 정지 유닛(73)은 운반구(20)는 작동 중 위험 상황이 발생할 경우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임으로 운행을 정지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과부하 방지 유닛은, 운반구(20)에 허용 적재하중을 초과하여 적재된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운반구(20)가 애초에 움직이지 않도록 구동부(30)를 제어하는 수단이다. 과부하방지유닛을 구현하기 위해, 운반구(20)의 바닥판(210)은 행렬 배열된 다수개의 압축스프링(220)들에 의해 지지되며, 바닥판(210)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230)가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건설 공사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는 권과 방지 유닛의 상부 리미트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운반구(20)의 과상승을 기계적으로 막아 운반구(20)의 과상승의 강제적으로 막는 스토퍼(81)와, 운반구(20)가 기계적 또는 전기적 이상으로 급강하할 때 원심력 원리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여 전원을 자동 차단하는 낙하 방지 유닛(82)과, 운반구(20)의 전방 도어 및 후방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운반구(20)가 이동을 억제하도록 운반구(20)의 전방 도어 및 후방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감지부(83a, 83b)와, 운반구(20)가 방호울(50)에 안착되었을 때에만 펜스도어를 열고 그 외에는 펜스도어를 잠그는 펜스도어 인터록킹 유닛(84)과, 방호울(50) 내에 설치되어 운반구(20)가 멈추지 않고 계속 하강할 경우 바닥과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 스프링 유닛(85)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건설 공사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는,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마스트(100)들 사이를 연결하는 패스너(150)의 하부를 해체시에만 노출시키도록 설치된 커버유닛(300)을 추가로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유닛(300)은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운반구(20; 도 1 참조) 측에 구비된 안전 리미트 스위치(90; 도 4 참조)와 협력하여, 해체 작업 중 상단 단위 마스트(100) 해체에 의하여 함께 없어진 상단 리미트 캠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10)는 복수개의 단위 마스트(100)들을 상하로 조립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단위 마스트(100)들 각각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배열된 4개의 마스트 봉(120)들과, 상기 마스트 봉(120)들의 상단을 지지하는 액자형 상단 베이스틀(140)과, 상기 마스트 봉(120)들의 하단을 지지하는 액자형 하단 베이스틀(16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위 마스트(100) 각각은 상단 베이스틀(140)과 하단 베이스틀(160) 사이에 상기 단위 마스트(100)를 지지하는 보강재들을 포함한다. 단위 마스트(100)들이 상하로 조립된 상태에서 마스트 봉(120)들이 끊김 없이 이어져 운반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형성한다. 또한 단위 마스트(100)들 각각에는 단위 랙기어(110)가 일체로 구비되며, 단위 마스트(100)를 상하로 연결하여 마스트(10)를 세우면, 단위 랙기어(110)들이 끊김 없는 하나의 큰 랙기어(11)를 형성한다. 운반구(20; 도 1 참조) 측에 구비된 채 구동부(30)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31; 도 5 참조)가 랙기어(11)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운반구(10; 도 1 참조)가 상하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하로 연결되는 단위 마스트(100)는 서로 상하로 일치하는 제1 체결홀(141)들과 제2 체결홀(161)들을 상단 베이스틀(140)과 하단 베이스틀(160)에 각각 4개씩 구비하며, 패스너(150)는 제1 체결홀(141)과 제2 체결홀(161)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마스트(100, 100)들의 상단 베이스틀(140)과 하단 베이스틀(160)을 결합한다. 패스너(150)는 제1 체결홀(141)과 제2 체결홀(161)에 차례로 끼워지는 볼트(151)와, 볼트(151)에 체결되는 너트(1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볼트(151)의 머리가 아래에 위치한 단위 마스트(100)의 상단 베이스틀(140)의 하부에 위치하고 너트(152)는 위에 위치한 마스트(100)의 하단 베이스틀(160)의 상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 공사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마스트(100, 100)들의 상단 베이스틀(140)과 하단 베이스틀(160)을 체결하는 패스너(15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도록 설치된 커버유닛(300)을 포함하다. 상기 커버유닛(300)은 힌지축(310)과 상기 힌지축(310)을 중심으로 상기 패스너(150)의 하부인 볼트(151)의 머리를 덮는 패스너 가림 위치(도 2에 도시됨)와 상기 패스너 가림 위치로부터 대략 90도 회전한 패스너 노출 위치(도 3에 도시됨) 사이에서 회전하는 커버(3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320)는 상단 베이스틀(140)의 하부면에 접하면서 회전하는 접동부(321)와, 실질적으로 상기 패스너(150)의 하부를 덮도록 상기 상단 베이스틀(10)의 하부면과 이격된 커버부(322)를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300)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320)가 항상 상기 패스너 가림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커버(320)를 편향시키는 편향 토션 스프링(330)을 포함한다. 상기 가림 위치에서 편향 토션 스프링(330에) 의해 일방향으로 편향된 커버(320)를 가림 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토퍼(340)가 추가로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300)은 상기 커버(320)가 상기 노출 위치에 놓일 때에 상기 접동부(321)를 삽입 상태로 고정하는 리세스(360)를 더 포함한다. 가림위치에서 상기 리세스(360) 밖에 있던 접동부(321)는 상기 노출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리세스(360) 내에 수용되면서 그 리세스(360)에 고정된 탄성 부재(미도시됨)에 의해 고정되어, 커버(320)는 노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마스트 해체 작업시 작업자는 패스너(150)의 해체를 위해 필수적으로 커버(320)를 도 2에 도시된 패스너 가림 위치에서 도 3에 도시된 패스너 노출 위치로 회전시켜 이동시키게 된다. 해당 단위 마스트(100)의 상단 베이스틀(140)에 설치된 커버(320)가 패스너 노출 위치에 있다는 것은 해당 단위 마스트(100)의 상부에 존재하였던 다른 단위 마스트가 해체되어 제거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위치로 이동한 커버(320)는 마스트 해체 작업에서 상단 리미트 캠을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커버(320)는 노출 위치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아래 위치하고 있는 다른 커버들과 달리 운반구 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어 위에 있는 단위 마스트들이 없어진 현 시점에서의 상단 리미트 캠 역할을 할 수 있다.
운반구에 설치된 표준안전난간(22)에는 상승시 상기 커버(320)에 접하도록 설치된 안전 리미트 스위치(90)가 설치된다. 안전 리미트 스위치(90)가 상기 패스너 노출 위치에서 운반구 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커버(320)에 접촉하면, 피니언기어(31; 도 5 참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0)의 구동이 정지되어, 운반구(20; 도 1 참조)가 멈춰지며, 따라서, 운반구(20; 도 1 참조)가 마스트(10; 도 1 참조)를 이탈하여 추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는 랙기어(11)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로서, 주 피니언기어(31)와 상기 주 피니언기어(31)보다 아래 위치한 보조 피니언기어(31')가 제공될 수 있다. 주 피니언기어(31)는 주 구동부(30)에 의해 구동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 있는 피니언기어는 모두 주 피니언기어를 의미하는 것이다. 보조 피니언기어(31')는 보조 구동부(30')에 의해 구동된다. 보조 피니언기어(31')는 평상시 보조 구동부(30')와 동력 연결이 끊긴 채 공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운반구(20; 도 1 참조)의 과상승이 있었지만 전술한 안전 리미트 스위치(90; 도 4 참조)가 작동하지 못한 경우, 주 피니언기어(31)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랙기어(11)를 이탈하게 된다. 이 경우 부하가 갑자기 낮아지게 되며, 제어부(2)는 이로부터 주 구동부(30)의 부하 급감을 통해 주 피니언기어(30)의 이탈을 감지하여, 보조 구동부(30')와 보조 피니언기어(31')를 클러치 접속 상태에서 구동시켜 보조 피니언기어(31')를 역방향, 즉, 운반구(20; 도 1 참조)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따라서, 위 구성은 전술한 안전 리미트 스위치(90; 도 4 참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을시 운반구(20; 도 1 참조)의 과상승을 막고 더 나아가 운반구(20; 도 1 참조)를 안전한 높이로 후퇴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건설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는 운반구에 구비되어 운반구가 마스트에서 이탈되는 비상 상황시 마스트(10)에 걸리는 안전후크(500)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10: 마스트 11: 랙기어
100: 단위 마스트 110: 단위 랙기어
140: 상단 베이스틀 160: 하단 베이스틀
150: 패스너 151: 볼트
152: 너트 20: 운반구
300: 커버유닛 310: 힌지축
320: 커버 330: 편향 토션 스프링
90: 안전 리미트 스위치

Claims (2)

  1. 복수개의 단위 마스트(100)들을 상하로 조립하여 만들어지되, 단위 마스트(100)들 각각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배열된 4개의 마스트 봉(120)들과, 마스트 봉(120)들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 베이스틀(140)과, 마스트 봉(120)들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 베이스틀(160)을 포함하고, 단위 마스트(100)들 각각에는 단위 랙기어(110)가 일체로 구비되어, 단위 마스트(100)들이 상하로 연결될 때, 단위 랙기어(110)들이 끊김 없는 랙기어(11)를 형성하고,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마스트들(100, 100)은 상하로 서로 일치하는 제1 체결홀(141)과 제2 체결홀(161)을 상단 베이스틀(140)과 하단 베이스틀(160)에 각각 구비하며, 패스너(150)는 제1 체결홀(141)과 제2 체결홀(161)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마스트들(100, 100)의 상단 베이스틀(140)과 하단 베이스틀(160)을 결합하며, 패스너(150)는 제1 체결홀(141)과 제2 체결홀(161)에 차례로 끼워지는 볼트(151)와, 볼트(151)에 체결되는 너트(152)를 포함하는, 마스트(10); 및
    마스트(10)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구동부(30)와 구동부(30)에 의해 마스트(10)에 구비된 랙기어(11)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랙기어(11)를 타고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피니언기어(31)가 구비되고, 지붕에는 마스트(10)의 설치 및 해체 작업에 참여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표준안전난간(22)이 설치된 운반구(20)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로서,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마스트들(100, 100)의 상단 베이스틀(140)과 하단 베이스틀(160)을 체결하는 패스너(15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도록 설치된 커버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유닛(300)은, 힌지축(310)과, 상기 힌지축(310)을 중심으로 상기 패스너(150)의 하부를 덮는 패스너 가림 위치와 상기 패스너 가림 위치로부터 90도 간격을 이루는 패스너 노출 위치 사이에서 작업자의 힘에 의해 회전하는 커버(320)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320)가 상기 패스너 가림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커버(320)를 편향시키는 편향 토션 스프링(330)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320)는 상기 상단 베이스틀(140)의 하부면에 접하면서 회전하는 접동부(321)와. 상기 패스너(150)의 하부를 덮도록 상기 상단 베이스틀(140)의 하부면과 이격된 커버부(322)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표준안전난간(22)에는, 상기 상단 베이스틀(140)의 위로 단위 마스트가 해체되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운반구(20)가 과상승할 때, 상기 패스너 노출 위치에 놓여 상기 운반구(20) 측으로 돌출된 상기 커버(320)에 접하도록 안전 리미트 스위치(90)가 설치되며,
    상기 안전 리미트 스위치(90)가 상기 패스너 노출 위치에서 상기 커버(320)에 접촉하면, 상기 구동부(30)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31) 아래에서 상기 랙기어(11)와 맞물리는 보조 피니언기어(31') 및 상기 보조 피니언기어(31')와 클러치 접속될 때 역방향으로 상기 보조 피니언기어(31')를 구동시키는 보조 구동부(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 리미트 스위치(90)가 작동하지 않아 상기 운반구(20)가 추가 과상승하여 상기 피니언기어(31)가 상기 랙기어(11)를 이탈한 경우, 제어부는 상기 보조 구동부(30')와 상기 보조 피니언기어(31')를 클러치 접속 상태에서 역방향 구동시켜 상기 운반구(20)를 안전한 높이로 후퇴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
KR1020210085315A 2021-06-30 2021-06-30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 KR102340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15A KR102340628B1 (ko) 2021-06-30 2021-06-30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15A KR102340628B1 (ko) 2021-06-30 2021-06-30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628B1 true KR102340628B1 (ko) 2021-12-16

Family

ID=7903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315A KR102340628B1 (ko) 2021-06-30 2021-06-30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201B1 (ko) * 2022-09-02 2023-01-02 임우순 랙 앤드 피니언 승강 방식 구조를 포함하는 싱글타입 건설용 리프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135B1 (ko) * 1993-11-05 1998-08-17 박만춘 톱크레인을 탑재한 케이지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클라이밍 장치 및 원리
KR200269290Y1 (ko) 2001-12-10 2002-03-23 이정호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KR20020060916A (ko) * 2001-01-13 2002-07-19 정인숙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KR200447012Y1 (ko) 2008-09-25 2009-12-17 이상철 건설용 리프트의 위치감지센서 이물질제거장치
KR101558316B1 (ko) * 2015-04-27 2015-10-12 윤지원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KR101831590B1 (ko) 2017-11-21 2018-02-26 주식회사 은성건업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 개폐장치
KR101910546B1 (ko) 2018-03-23 2018-10-22 주다진 건설 리프트 과상승 방지 제어시스템
KR102178507B1 (ko) 2019-02-11 2020-11-13 김윤호 마스트 지지 방식 건설용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135B1 (ko) * 1993-11-05 1998-08-17 박만춘 톱크레인을 탑재한 케이지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클라이밍 장치 및 원리
KR20020060916A (ko) * 2001-01-13 2002-07-19 정인숙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KR200269290Y1 (ko) 2001-12-10 2002-03-23 이정호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KR200447012Y1 (ko) 2008-09-25 2009-12-17 이상철 건설용 리프트의 위치감지센서 이물질제거장치
KR101558316B1 (ko) * 2015-04-27 2015-10-12 윤지원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KR101831590B1 (ko) 2017-11-21 2018-02-26 주식회사 은성건업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 개폐장치
KR101910546B1 (ko) 2018-03-23 2018-10-22 주다진 건설 리프트 과상승 방지 제어시스템
KR102178507B1 (ko) 2019-02-11 2020-11-13 김윤호 마스트 지지 방식 건설용 리프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201B1 (ko) * 2022-09-02 2023-01-02 임우순 랙 앤드 피니언 승강 방식 구조를 포함하는 싱글타입 건설용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5246B2 (ja) 検査されるエレベータの頂部や底部における最小空間を確保する安全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安全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
JP4742591B2 (ja) エレベータの終端安全装置
EP1110900B2 (en) Shaft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JPS61172984A (ja) 竪方向蛇腹型ドアの安全兼緊急アクチユエ−タ装置
KR102340628B1 (ko)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
KR102480892B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KR101036020B1 (ko)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CN115627916B (zh) 建筑施工用升降脚手架
KR101747682B1 (ko) 안전 기능을 강화한 승강기
KR100942560B1 (ko) 자체 구동형 케이지 엘리베이터
JP5600778B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12723084B (zh) 一种应对电梯急停故障的救援设施
GB2476704A (en) An elevator safety system
US11235952B2 (en) Elevator car apron
US11136222B2 (en) Elevator car apron
CN212531879U (zh) 一种电梯定位及保护装置
KR101826881B1 (ko) 내진성능을 갖춘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선 방지 구조
KR100646813B1 (ko)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US7334664B2 (en) Device for storing goods
AU2019410026A1 (en) Fall-prevention device for motor-driven rack and pinion elevator
US20240067502A1 (en) Lift assembly and assembling/dismantling and docking method
KR100638258B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승강카
KR200389633Y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승강카
CN217676202U (zh) 一种安全型升降货梯
KR102021842B1 (ko)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인명 추락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