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290Y1 -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290Y1
KR200269290Y1 KR2020010037990U KR20010037990U KR200269290Y1 KR 200269290 Y1 KR200269290 Y1 KR 200269290Y1 KR 2020010037990 U KR2020010037990 U KR 2020010037990U KR 20010037990 U KR20010037990 U KR 20010037990U KR 200269290 Y1 KR200269290 Y1 KR 200269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elevator
pinion
sides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2020010037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290Y1/ko

Links

Landscapes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는 승강기의 측부에 구비되는 랙기어와, 이 랙기어에 교합되며 이송망부의 하측으로 기대의 일측에 회전되게 구비되는 구동 피니언, 그리고 이송망부의 상측으로 기대의 일측에 회전되게 설치되면서 구동 피니언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종동 피니언과, 이 종동 피니언의 일측에 위치되어 연동하며 승강기의 랙과 교합되는 역구동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이송망부와 평행하는 기대의 일측에 체인에 연동되게 설치되는 연결피니언과, 이 연결피니언과 동축상에 위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1휠을 포함하며, 이 제1휠의 일측에 위치되어 교합되는 제2휠 및 제2휠의 양측으로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샤프트에 의해 일체로 축지지되어 연동하는 제3휠, 그리고 상기 고정망부의 일측에 회전되게 구비되는 제4휠과, 제3휠과 제4휠을 연결하며 양단이 이송망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이송체인으로 구성되는 동력전달 수단과; 상기 고정망부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레일과, 상기 이송망부의 저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한쌍의 레일에 구름접촉되는 롤러로 구성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lift}
본 고안은 건축 공사용 승강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공사장에서 고층으로 자재 또는 근로자를 이송하는 승강기의 추락시 추락충격을 저감시켜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을 신축할 때에는 건축자재 및 근로자를 운반하는 수단으로 대개 건축용 승강기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건설용 승강기는 통상적으로 모터나 엔진과 같은 구동장치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됨으로써 승하강을 이루게 되며, 각종 건축자재를 운반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공사현장까지 이동할 때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종래의 건축용 승강기는 자체적으로 안전장치를 가지고는 있으나, 잦은 분해조립과 반복 사용에 따른 안전장치의 미작동으로 대형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마모와 파손으로 승강기기 추락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승강기가 추락하는 경우에는 인명피해는 물론이고, 건설사의 대외적인 신뢰도가 크게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출원 00-0009999호를 통해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즉,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종래의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는 승강기(e)가 이동되는 이동로상에 소정 크기의 장방형 형상을 갖는 안전망을 구비시킨 것으로서, 상기 안전망은 다시 고정 상태의 고정망부(200)와 이 고정망부(2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송망부(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망부(300)는 통상 전원공급에 의해 정역방향의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m)로부터 다수의 기어(g)와 체인(c)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는 바, 이때의 모터(m)는 기대(100)를 따라 승강기(e)가 승강되어질 때 승강기(e)에 의해 접촉되는 리미트 스위치(s)의 온오프 신호를 받아 구동된다.
따라서, 승강기(e)가 승강될 때 소정위치에 구비된 리미트 스위치(s)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m)를 일방향 구동시키게 되고, 이때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망부(30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여 승강기(e)의 이송로를 차단 또는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는 다수개의 리미트 스위치(s)와 모터(m)를 설치해야 하므로, 제조 생산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전원에 의해 작동되므로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작동이 중단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승강기의 승강동작시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안전망이 작동되도 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제조 생산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기 2 : 기대
3 : 이송망부 4 : 고정망부
10 : 랙기어 11 : 구동 피니언
12 : 종동 피니언 13 ; 체인
14 : 역구동 피니언 20 : 연결 피니언
21,22,23,24 : 휠 25 : 이송체인
30 : 레일 31 : 롤러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는, 기대를 따라 승강되어지는 승강기의 이동로상에 폭넓게 설치되며 승강기의 승강 동작시 장방형의 이송망부가 구조물의 발코니에 고정된 고정망부측으로 이동되어 이동로를 개방 및 차단시키는 승강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승강기의 측부에 구비되는 랙기어와, 이 랙기어에 교합되며 이송망부의 하측으로 기대의 일측에 회전되게 구비되는 구동 피니언, 그리고 이송망부의 상측으로 기대의 일측에 회전되게 설치되면서 구동 피니언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종동 피니언과, 이 종동 피니언의 일측에 위치되어 연동하며 승강기의 랙과 교합되는 역구동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이송망부와 평행하는 기대의 일측에 체인에 연동되게 설치되는 연결 피니언과, 이 연결 피니언과 동축상에 위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1휠을 포함하며, 이 제1휠의 일측에 위치되어 교합되는 제2휠 및 제2휠의 양측으로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샤프트에 의해 일체로 축지지되어 연동하는 제3휠, 그리고 상기 고정망부의 일측에 회전되게 구비되는 제4휠과, 제3휠과 제4휠을 연결하며 양단이 이송망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이송체인으로 구성되는 동력전달 수단과,
상기 고정망부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레일과, 상기 이송망부의 저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한쌍의 레일에 구름접촉되는 롤러로 구성되는 가이드 수단으로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는 축조된 구조물의 외부로 설치되어진 승강기(1)의 승강 이동로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기(1)의 안전장치는 크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망부(3)를 이송시키는 동력전달 수단, 그리고 상기 이송망부(3)가 안정되게 이동로를 차단 및 개방되게 하는 가이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구동수단은 크게 랙기어(10)와 구동 피니언(11) 그리고 종동 피니언(12) 및 역구동 피니언(14)로 구성되는 바, 이때의 구동수단은 도면에서 바라보면 승강기(1)와, 이 승강기(1)와 대향하는 기대(2)의 일측에 구비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랙기어(10)는 승강기(1)의 일측에 도2에서 바라보면 수직하게 설치되며, 이때의 랙기어(10)의 전체 길이는 승강기(1)의 폭에 비하여 긴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피니언(11)은 상기 이송망부(3)를 중심으로 하측 소정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기대(2)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종동 피니언(12)은 상기 이송망부(3)를 중심으로 상측 소정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기대(2)에 설치된다. 이때의구동 피니언(11)과 종동 피니언(12)은 체인(13)에 의해 연동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종동 피니언(12)의 일측으로는 역구동 피니언(14)이 연동되게 설치되는 바, 이때의 역구동 피니언(14)은 구동 피니언(11)과 마찬가지로 승강기(1)의 랙기어(10)와 교합되게 구비된다.
동력전달 수단은 크게 연결 피니언(20)과 제1,2,3,4휠(21),(22),(23),(24) 및 이송체인(25)으로 구성되는 바, 이때의 연결 피니언(20)은 상술한 구동 피니언(11)과 종동 피니언(12)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 피니언(20)은 도면에서 바라보면 상기 이송망부(3)와 평행하는 기대(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연으로 체인(13)이 접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피니언(20)은 샤프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연결 피니언(20)과 동축으로 제1휠(21)이 구비되어 일체로 연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휠(21)의 일측으로는 제2휠(22)이 구비되어 교합되도록 구성되며, 이때의 제2휠(22)의 양측으로 제3휠(23)이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제2휠(22)과 제3휠(23)은 샤프트에 의해 축끼움되며 , 이 샤프트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복수개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조이다.
한편, 고정망부(4)의 양측부에는 제4휠(24)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 제4휠(24)은 상술한 제3휠(23)과 이송체인(25)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체인(25)은 일단이 상기 이송망부(3)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망부(3)의 타측에 연결되는 구조로서, 도면에서 바라보면 이송망부(3)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이다.
가이드 수단은 크게 레일(30)과, 롤러(31)로 구성되는 바, 이때의 상기 레일(30)은 고정망부(4)의 상부 양측에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롤러(31)는 이송망부(3)의 저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30)에 구름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수단의 레일(30)은 별도의 지지구조물에 의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기어 형태의 피니언과 휠 및 체인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하지 않고 승강기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이송망부가 이동로를 개방 및 차폐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태의 동력 전달용 부재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일예로 기어 및 피니언은 풀리 등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이때의 체인은 와이어나 로프 또는 벨트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강기(1)가 기대(2)를 따라 상승할 때 승강기(1)의 랙기어(10)가 구동 피니언(11)과 교합된 상태로 상승하게 되면, 구동 피니언(11)이 회전을 이루게 되고, 이때의 회전력에 의해 체인(13)으로 연결된 종동 피니언(12)이 연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피니언(11)과 종동 피니언(12) 사이에 구비된 연결 피니언(20) 또한 일체로 연동하여 일 방향 회전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 피니언(20)과 동축적으로 구비된 제1휠(21) 또한 일체로 연동하여 회전을 이루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휠(21)과 교합되는 제2휠(22)이 회전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제2휠(22)은 제1휠(21)의 회전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역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2휠(22)의 역회전력은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3휠(23)을 역회전시켜 결과적으로 이송체인(25)이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도 2에서 바라보면 이송망부(3)가 공정망부(4)가 위치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동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망부(3)는 고정망부(4)의 상측에 구비된 레일(30)을 따라 이동되어짐으로써 안정된 이동이 보장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승강기(1)가 이송망부(3)가 형성한 이동로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진행하게 되면, 소정위치에서 승강기(1)의 랙기어(10)가 역구동 피니언(14)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때의 역구동 피니언(14)은 일방향으로 회전을 이루면서 종동 피니언(1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동 피니언(12)이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체인(13) 또한 역방향으로 이동을 이루게 되고, 이와 같은 동력전달 순서에 의해 결과적으로 이송망부(3)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승강기(1)의 이동로를 차단하게 된다.
한편, 승강기(1)가 하강할 때에는 상기 전술한 작동순서에 의해 이송망부(3)가 이동로를 차단 및 개방시키게 되는 바, 이때에는 승강기(1)가 하강되는 것에 의해 역구동 피니언(14)이 이송망부(3)를 개방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게 되고, 상기 구동 피니언(11)은 이송망부(3)를 차단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는 승강기의 승강 동작에 의해 이송망부가 작동되므로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종래의 안전장치에 사용되던 고가의 리미트 스위치와 모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조 생산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기대를 따라 승강되어지는 승강기의 이동로상에 폭넓게 설치되며 승강기의 승강 동작시 장방형의 이송망부가 구조물의 발코니에 고정된 고정망부측으로 이동되어 이동로를 개방 및 차단시키는 승강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승강기의 측부에 구비되는 랙기어와, 이 랙기어에 교합되며 이송망부의 하측으로 기대의 일측에 회전되게 구비되는 구동 피니언, 그리고 이송망부의 상측으로 기대의 일측에 회전되게 설치되면서 구동 피니언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종동 피니언과, 이 종동 피니언의 일측에 위치되어 연동하며 승강기의 랙과 교합되는 역구동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이송망부와 평행하는 기대의 일측에 체인에 연동되게 설치되는 연결 피니언과, 이 연결 피니언과 동축상에 위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1휠을 포함하며, 이 제1휠의 일측에 위치되어 교합되는 제2휠 및 제2휠의 양측으로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샤프트에 의해 일체로 축지지되어 연동하는 제3휠, 그리고 상기 고정망부의 일측에 회전되게 구비되는 제4휠과, 제3휠과 제4휠을 연결하며 양단이 이송망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이송체인으로 구성되는 동력전달 수단과;
    상기 고정망부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레일과, 상기 이송망부의 저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한쌍의 레일에 구름 접촉되는 롤러로 구성되는 가이드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KR2020010037990U 2001-12-10 2001-12-10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KR200269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990U KR200269290Y1 (ko) 2001-12-10 2001-12-10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990U KR200269290Y1 (ko) 2001-12-10 2001-12-10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290Y1 true KR200269290Y1 (ko) 2002-03-23

Family

ID=7311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990U KR200269290Y1 (ko) 2001-12-10 2001-12-10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29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80B1 (ko) * 2005-07-12 2007-06-18 이정호 안전망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승강기 안전 장치
WO2010047477A2 (ko) * 2008-10-22 2010-04-29 주식회사 리프텍 건설용 승강장치
KR101014646B1 (ko) 2010-06-07 2011-02-16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타워 구조물 유지점검보수작업용 승강시스템
KR102340628B1 (ko) 2021-06-30 2021-12-16 김무경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80B1 (ko) * 2005-07-12 2007-06-18 이정호 안전망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승강기 안전 장치
WO2010047477A2 (ko) * 2008-10-22 2010-04-29 주식회사 리프텍 건설용 승강장치
WO2010047477A3 (ko) * 2008-10-22 2010-07-22 주식회사 리프텍 건설용 승강장치
KR101014646B1 (ko) 2010-06-07 2011-02-16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타워 구조물 유지점검보수작업용 승강시스템
KR102340628B1 (ko) 2021-06-30 2021-12-16 김무경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7609B (zh) 分割門構造
CA2413590C (en) Pantographic device for conveying loads in vehicle assembly lines
KR101036020B1 (ko)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KR200269290Y1 (ko)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JP2001048450A5 (ko)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KR20150010060A (ko) 건설용 리프트 장치
JP2017128918A (ja) 昇降扉構造
JPH11217950A (ja) 駐車設備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
KR20100113242A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JP4120861B2 (ja) ケーブルの案内装置
KR102471610B1 (ko)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
CN211419238U (zh) 一种螺旋升降式载人电梯
EP1497516B1 (en) Storage installation
JP2712984B2 (ja) 昇降搬送装置の安全装置
JP2005022863A (ja) 駐車場における昇降装置
KR0137096Y1 (ko) 주차설비의 파레트 낙하방지 및 리프트 위치고정 장치
CN110745667A (zh) 一种升降机爬行机构
KR100335987B1 (ko) 승강기식 주차설비
CN213085101U (zh) 一种电梯操作控制台
CN219991043U (zh) 一种凸轮式升降装置
JPH056392Y2 (ko)
JP2579276B2 (ja) 開口部開閉装置
KR20010090928A (ko)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JP3901386B2 (ja) 駐車設備の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