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610B1 -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610B1
KR102471610B1 KR1020200086920A KR20200086920A KR102471610B1 KR 102471610 B1 KR102471610 B1 KR 102471610B1 KR 1020200086920 A KR1020200086920 A KR 1020200086920A KR 20200086920 A KR20200086920 A KR 20200086920A KR 102471610 B1 KR102471610 B1 KR 102471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hain
elevator
cargo
dri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8993A (ko
Inventor
민병은
강정규
Original Assignee
그린엘리베이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엘리베이터(주) filed Critical 그린엘리베이터(주)
Priority to KR1020200086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6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for lifts associated with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저면부에 구비되며, 체인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의 회전 구동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 및 내부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정차시 상기 승강장의 바닥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이동식 카바닥; 및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CARGO CARRYING AIDS IN ELEVATOR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로의 화물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건축물이나 고정된 시설물에 설치되어 일정한 경로로 이동되며 사람이나 화물을 승강장으로 옮기는 데에 사용되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서 승용 승강기, 화물용 승강기로, 자동차용 승강기, 덤웨이터로 구분된다.
여기서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건축물이나 고정된 시설물에 설치되어 일정한 경로로 이동되며 화물을 상층 및 하층 승강장으로 옮기는 데에 사용되는 것으로 적재된 화물을 지게차나 소형트럭과 같은 운송수단으로 운반하여 싣고 내리는 작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존의 화물용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는 화물수송수단으로 사용되는 운송수단을 운전하는 작업자의 운전미숙이나 적재된 화물에 시야가 가려 도어와 충돌하게 되면 충격을 이기지 못한 도어가 개방되며 엘리베이터 통로 하단으로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 및 외부로의 운반이 용이해지고,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화물을 운반할 때 도어와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화물의 무게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처짐이 발생되어도 안전하게 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저면부에 구비되며, 체인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의 회전 구동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 및 내부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정차시 상기 승강장의 바닥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이동식 카바닥; 및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식 카바닥은 저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의 회전하는 제1 체인 상부에서 제1 체인에 맞물려 회전하는 다수의 제1 이동 스프로킷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카바닥은 상기 다수의 제1 이동 스프로킷이 회전하여 수평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저면부에서 카도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카도어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카바닥 인출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카바닥은 상기 승강장 방향으로 인출될 때 상기 가이드면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저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 및 상부 높이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높이를 갖고, 상기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의 회전 구동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가 상기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와 연결되고, 상부에 전동윈치를 구비하는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은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의 회전하는 제3 체인 상부에서 체인에 맞물려 회전하는 다수의 제1 이동 스프로킷을 포함하고, 상기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은 상기 다수의 제2 이동 스프로킷이 회전하여 수평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를 이용하면, 엘리베이터 카 내부 및 외부로의 운반이 용이해지고,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화물을 운반할 때 도어와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화물의 무게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처짐이 발생되어도 안전하게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 및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 및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바닥 인출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 및 이동식 카바닥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화물운반 보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 및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 및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바닥 인출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 및 이동식 카바닥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화물운반 보조장치는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 이동식 카바닥(200), 제어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는 이동식 카바닥(200)을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는 제1 샤프트(111), 제2 샤프트(112), 제3 샤프트(113), 제1 구동모터(120), 제1 구동 스프로킷(130), 복수의 제1 종동 스프로킷(141), 복수의 제2 종동 스프로킷(142), 복수의 제3 종동 스프로킷(143), 복수의 제1 체인(151), 및 제2 체인(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111)는 엘리베이터 카(10)의 카도어 측 또는 카도어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샤프트(111)는 엘리베이터 카(10)의 카도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샤프트(112)는 제1 샤프트(111)의 반대측, 예를 들어, 카도어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샤프트(113)는 제1 샤프트(111) 및 제2 샤프트(1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모터(120)는 동력원으로서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1 구동 스프로킷(130)은 제1 구동모터(12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종동 스프로킷(141)은 제1 샤프트(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1 종동 스프로킷(141)은 3개일 수 있고, 각각 제1 샤프트(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종동 스프로킷(142)은 제2 샤프트(112)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2 종동 스프로킷(142)은 2개일 수 있고, 각각 제2 샤프트(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종동 스프로킷(143)은 제3 샤프트(113)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3 종동 스프로킷(143)은 2개일 수 있고, 각각 제3 샤프트(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체인(151)은 제1 내지 제3 샤프트(113) 상에 배열된 제1 내지 제3 종동 스프로킷(143)들에 감겨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체인(151)은 2개일 수 있고, 2개의 제1 체인(151) 중 어느 하나는 제1 내지 제3 샤프트(113) 상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 종동 스프로킷(143)에 감길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제1 체인(151)은 제1 내지 제3 샤프트(113) 상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 종동 스프로킷(143)에 감길 수 있다.
제2 체인(152)은 제1 구동모터(120)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1 구동 스프로킷(130) 및 제1 샤프트(111) 상에 배열되는 3개의 제1 종동 스프로킷(141)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1 종동 스프로킷(141)에 감겨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카(10)의 저면부(1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10)의 저면부(11) 아래에 박스 형태의 하우징(20)을 설치하고 하우징(20) 내부를 기계실(12)로 구성하고, 상기 기계실(12) 내에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내지 제3 샤프트(113)는 기계실(12)을 구성하는 하우징(20)의 측벽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동식 카바닥(200)은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의 회전 구동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와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카(10)가 엘리베이터 승강장(30)에 정차시 승강장(30)의 바닥에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동식 카바닥(20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 바닥을 구성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10)의 저면부(11) 상부로 일정 높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카바닥(200)은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의 회전 구동에 연동하기 위해, 다수의 제1 이동 스프로킷(2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제1 이동 스프로킷(210)은 이동식 카바닥(200)의 저면부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카바닥(200)의 저면의 좌측에 상기 제1 내지 제3 샤프트(113)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브라켓(221) 및 이동식 카바닥(200)의 저면의 우측에 상기 제1 내지 제3 샤프트(113)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 브라켓(222)을 구비하고, 각각의 제1 브라켓(221) 및 제2 브라켓(222)들에 제1 이동 스프로킷(210)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브라켓(221)에 연결되는 제1 이동 스프로킷(210)들은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의 제1 내지 제3 샤프트(113) 상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체인(151)과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브라켓(222)에 연결되는 제1 이동 스프로킷(210)들은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의 제1 내지 제3 샤프트(113) 상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제1 체인(151)과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1 이동 스프로킷(210) 및 복수의 제1 체인(151) 간의 연결을 위해, 엘리베이터 카(10)의 저면부(11)에 각각의 제1 체인(151)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제1 체인(151)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는 제1 가이드 슬릿(11a)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1 이동 스프로킷(210)이 각각의 제1 가이드 슬릿(11a)으로 삽입되어 각각의 제1 체인(151)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이동식 카바닥(200)은 카바닥 이동 가이드수단(400)에 의해 수평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카바닥 이동 가이드수단(400)은 제1 가이드레일(411), 제2 가이드레일(412), 복수의 제1 가이드롤러(431) 및 복수의 제2 가이드롤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레일(411) 및 제2 가이드레일(412)은 엘리베이터 카(10)의 저면부(11)의 안쪽, 즉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서 이동식 카바닥(200)과 마주하는 저면부(11)의 안쪽면의 좌측 및 우측에 복수의 제1 체인(15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레일(411)은 엘리베이터 카(10)의 카도어(13) 측에서 볼 때 좌측에 위치하고, 제2 가이드레일(412)은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가이드롤러(431)는 이동식 카바닥(200)의 저면에서 이동식 카바닥(200)의 좌측 또는 우측, 예를 들어, 좌측에 제3 브라켓(421)을 통해 연결되고 제1 가이드레일(411)을 따라 배열되어 제1 가이드레일(4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가이드롤러(432)는 이동식 카바닥(200)의 저면에서 이동식 카바닥(200)의 좌측 또는 우측, 예를 들어, 좌측에 제4 브라켓(422)을 통해 연결되고 제2 가이드레일(412)을 따라 배열되어 제2 가이드레일(41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카바닥 이동 가이드수단(400)은 이동식 카바닥(200)을 지지하고, 이동식 카바닥(200)이 수평이동할 때 원활히 수평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어장치(300)는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장치(300)는 제어부(310) 및 리모콘(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 또는 상기 기계실(12) 내에 설치될 수 있고, 무선통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기계실(12) 내에 설치될 수 있고, 무선통신기는 와이파이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10)는 무선통신기를 통해 제어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의 제1 구동모터(120)가 작동되도록 제1 구동모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리모콘(미도시)은 제어부(310)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카바닥(200)의 인출을 위한 제1 동작스위치 및 이동식 카바닥(200)의 복귀를 위한 제2 동작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는 카바닥 인출 가이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카바닥 인출 가이드(500)는 엘리베이터 카(10)의 저면부(11)에서 카도어 측에 배치될 수 있고, 카도어(13)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가이드면(501)을 포함할 수 있다.
카바닥 인출 가이드(500)는 이동식 카바닥(200)이 승강장(30) 방향으로 인출될 때 이동식 카바닥(20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때, 이동식 카바닥(200)은 가이드면(501)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바닥 인출 가이드(500)는 복수일 수 있고, 각각의 카바닥 인출 가이드(500)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411)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412)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카도어(13)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카바닥 인출 가이드(500)의 가이드면(501)의 높이는 이동식 카바닥(200)이 승강장(30) 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가이드면(5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이동식 카바닥(200)이 이동되도록 하는 다수의 제1 이동 스프로킷(210)이 복수의 제1 체인(151)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카바닥 인출 가이드(500)는 엘리베이터 카(10)가 승강장(30)에 정차할 때 이동식 카바닥(200)이 승강장(30)의 바닥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는 높이로 정차하는 경우 승강장(30)의 바닥 및 이동식 카바닥(200) 간의 높이 차(h)를 보상할 수 있다. 즉, 승강장(30)의 바닥 및 이동식 카바닥(200) 간의 높이 차가 발생되어도 카바닥 인출 가이드(500)의 가이드면(501)의 상단부가 승강장(30)의 바닥 높이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으므로 이동식 카바닥(200)이 승강장(30)의 바닥으로 안전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이동식 카바닥(200)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는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600) 및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600)는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을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600)는 제4 샤프트(611), 제5 샤프트(612), 제6 샤프트(613), 제7 샤프트(614), 제2 구동모터(620), 제2 구동 스프로킷(630), 복수의 제4 종동 스프로킷(641), 복수의 제5 종동 스프로킷(642), 복수의 제6 종동 스프로킷(643), 복수의 제7 종동 스프로킷(644), 복수의 제3 체인(651), 및 제4 체인(6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샤프트(611) 및 제5 샤프트(612)는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의 제1 샤프트(111) 및 제2 샤프트(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제6 샤프트(613) 및 제7 샤프트(614)는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의 제2 샤프트(112) 및 제3 샤프트(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제2 구동모터(620)는 동력원으로서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2 구동 스프로킷(630)은 제2 구동모터(62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복수의 제4 종동 스프로킷(641)은 제4 샤프트(611)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4 종동 스프로킷(641)은 3개일 수 있고, 각각 제4 샤프트(6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5 종동 스프로킷(642)은 제5 샤프트(612)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5 종동 스프로킷(642)은 2개일 수 있고, 각각 제5 샤프트(6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6 종동 스프로킷(643)은 제6 샤프트(613)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6 종동 스프로킷(643)은 2개일 수 있고, 각각 제6 샤프트(6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7 종동 스프로킷(644)은 제7 샤프트(614)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7 종동 스프로킷(644)은 2개일 수 있고, 각각 제7 샤프트(6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체인(651)은 제4 내지 제7 샤프트(614) 상에 배열된 제4 내지 제7 종동 스프로킷(644)들에 감겨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3 체인(651)은 2개일 수 있고, 2개의 제3 체인(651) 중 어느 하나는 제4 내지 제7 샤프트(614) 상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제4 내지 제7 종동 스프로킷(644)에 감길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제3 체인(651)은 제4 내지 제7 샤프트(614) 상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제4 내지 제7 종동 스프로킷(644)에 감길 수 있다.
제4 체인(652)은 제2 구동모터(620)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2 구동 스프로킷(630) 및 제4 샤프트(611) 상에 배열되는 3개의 제4 종동 스프로킷(641)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4 종동 스프로킷(641)에 감겨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600)는 엘리베이터 카(10)의 저면부(1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계실(1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600)는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와 연동되지 않고, 개별 제어될 수 있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4 내지 제7 종동 스프로킷(644)은 엘리베이터 카(10)의 저면부(11)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종동 스프로킷(143)보다 외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4 내지 제7 샤프트(614)는 상기 제1 내지 제3 샤프트(1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은 상부 높이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높이를 갖고, 상기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600)의 회전 구동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가 상기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6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은 이동식 카바닥(200)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고 이동식 카바닥(20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710), 각각의 하부프레임들(710)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고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의 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720), 한 쌍의 하부프레임(710)과 평행하고 복수의 수직프레임(720) 상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상부프레임(731) 및 복수의 제1 상부프레임(731)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상부프레임(732)을 포함할 수 있다.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은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600)의 회전 구동에 연동하기 위해, 다수의 제2 이동 스프로킷(4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제2 이동 스프로킷(440)은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의 하부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710) 중 좌측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710)의 저면에 상기 제4 내지 제7 샤프트(614)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5 브라켓(451) 및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710) 중 우측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710)의 저면에 상기 제4 내지 제7 샤프트(614)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6 브라켓(452)을 구비하고, 각각의 제5 브라켓(451) 및 제6 브라켓(452)들에 제2 이동 스프로킷(440)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5 브라켓(451)에 연결되는 제2 이동 스프로킷(440)들은 제4 내지 제7 샤프트(614) 상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제3 체인(651)과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6 브라켓(452)에 연결되는 제2 이동 스프로킷(440)들은 제4 내지 제7 샤프트(614) 상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제3 체인(651)과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2 이동 스프로킷(440) 및 복수의 제3 체인(651) 간의 연결을 위해, 엘리베이터 카(10)의 저면부(11)에 각각의 제3 체인(651)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제3 체인(651)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는 제2 가이드 슬릿(11b)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2 이동 스프로킷(440)이 각각의 제2 가이드 슬릿(11b)으로 삽입되어 각각의 제3 체인(651)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은 상부에 전동윈치(740)가 구비될 수 있다.
전동윈치(740)는 원통형의 드럼에 와이어 로프를 감아 전동식으로 와이어 로프가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면서 중량물을 들어올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600) 및 전동윈치(740)는 제어장치(300)를 통해 개별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모콘은 상기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의 인출을 위한 제3 동작스위치, 상기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의 복귀를 위한 제4 동작스위치, 상기 전동윈치(740)를 동작시키기 위한 업/다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 및 외부로 화물을 운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의 화물운반 과정
1) 화물이 승강장까지 운반된다.
이 과정은, 운송수단, 예를 들어, 지게차가 화물을 승강장까지 운반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예로, 화물은 상부에 인양고리가 구비되는 팔레트 상에 놓여서 운반될 수 있다.
2)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이 엘리베이터 카(10) 내부로부터 수평이동 하여 승강장(30)으로 인출된다(도 4 참조).
이 과정은, 화물을 운반하는 작업자가 제어장치(300)의 리모콘을 조작하여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600)를 구동시키고,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600)의 복수의 제3 체인(651)이 승강장(30)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복수의 제3 체인(651)에 맞물린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 하부에 구비된 복수의 제2 이동 스프로킷(440)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이 승강장(30) 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승강장(30)으로 인출된다. 이때, 작업자는 화물이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3) 전동윈치(740)의 와이어가 하강 및 상승하여 화물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들어올린다.
이 과정은, 작업자가 제어장치(300)의 리모콘을 조작하여 전동윈치(740)를 제어할 수 있고, 전동윈치(740)의 와이어의 끝에 구비되는 후크가 화물이 놓인 팔레트 상부의 인양고리에 연결된 상태로 와이어가 전동윈치(740)의 드럼에 감기면서 화물이 일정 높이 들어올려질 수 있다.
4) 이동식 카바닥(200)이 엘리베이터 카(10) 내부로부터 수평이동 하여 승강장(30)으로 인출된다(도 5 참조).
이 과정은, 화물을 운반하는 작업자가 제어장치(300)의 리모콘을 조작하여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를 구동시키고,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의 복수의 제1 체인(151)이 승강장(30)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복수의 제1 체인(151)에 맞물린 이동식 카바닥(200) 저면에 구비된 복수의 제1 이동 스프로킷(210)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이동식 카바닥(200)이 승강장(30) 방향으로 수평이동 하여 승강장(30)으로 인출된다. 이때, 이동식 카바닥(200)은 전동윈치(740)를 통해 지면과 이격되어 있는 화물의 아래에 위치된다.
5) 전동윈치(740)의 와이어가 하강하여 화물을 이동식 카바닥(200) 상에 놓이도록 한다.
이 과정은, 작업자가 제어장치(300)의 리모콘을 조작하여 전동윈치(740)를 제어할 수 있고, 전동윈치(740)의 와이어가 드럼으로부터 풀리면서 하강하여 화물이 이동식 카바닥(200) 상에 놓이도록 한다.
6)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이 엘리베이터 카(10) 내측 방향으로 수평이동 하여 엘리베이터 카(10) 내측으로 복귀된다.
이 과정은, 작업자가 제어장치(300)의 리모콘을 조작하여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600)를 구동시키고,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600)의 복수의 제3 체인(651)이 승강장 방향으로 회전하면 복수의 제3 체인(651)에 맞물린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 하부에 구비된 복수의 제2 이동 스프로킷(440)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이 엘리베이터 카(10) 방향으로 수평이동 하여 엘리베이터 카(10) 내측으로 복귀된다.
7) 이동식 카바닥(200)이 엘리베이터 카(10) 내측 방향으로 수평이동 하여 엘리베이터 카(10) 내측으로 복귀된다.
이 과정은, 작업자가 제어장치(300)의 리모콘을 조작하여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를 구동시키고,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100)의 복수의 제1 체인(151)이 승강장(30) 방향으로 회전하면 복수의 제1 체인(151)에 맞물린 이동식 카바닥(200) 저면에 구비된 복수의 제1 이동 스프로킷(210)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이동식 카바닥(200)이 엘리베이터 카(10) 방향으로 수평이동 하여 엘리베이터 카(10) 내측으로 복귀된다.
엘리베이터 카 외부로의 화물운반 과정
1) 엘리베이터 카(10)가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하여 호출된 승강장에 정차하면, 이동식 카바닥(200) 및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이 동시에 승강장(30) 방향으로 수평이동 하여 승강장(30)으로 인출된다.
2) 전동윈치(740)의 와이어가 하강 및 상승하여 화물을 이동식 카바닥(200)으로부터 일정 높이 들어올린다.
3) 전동윈치(740)의 와이어가 하강하여 화물을 승강장(30)에 대기하고 있던 운송수단에 놓이도록 한다.
이 과정은, 운송수단, 예를 들어, 지게차의 포크가 화물 및 카바닥 사이로 삽입되고, 전동윈치(740)의 와이어가 하강하여 화물을 포크 위로 놓이도록 하며, 화물을 목적지로 운반한다.
4) 이동식 카바닥(200) 및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이 엘리베이터 카(10) 내측 방향으로 수평이동 하여 엘리베이터 카(10) 내측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카 외부로의 화물운반 과정에서 이동식 카바닥(200) 및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의 수평이동 과정은 앞서 설명한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의 화물운반 과정에서 설명된 이동식 카바닥(200) 및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700)의 수평이동 과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를 이용하면, 화물을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로의 운반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즉, 화물을 운반할 때 지게차와 같은 운송수단이 화물을 싣고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 진입하지 않고도 화물을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로 운반할 수 있으므로 화물의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로의 운반이 쉬워질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10) 내부로 화물을 싣기 위해 운송수단을 운전하는 작업자의 운전미숙이나 적재된 화물에 시야가 가려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충돌하게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화물이 실린 엘리베이터 카(10)가 승강장(30)에 정차할 때 화물의 무게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10)의 처짐이 발생되어 이동식 카바닥(200)이 승강장(30)의 바닥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는 높이로 정차하는 경우 카바닥 인출 가이드(500)에 의해 승강장(30)의 바닥 및 이동식 카바닥(200) 간의 높이 차(h)가 보상되어 이동식 카바닥(200)의 승강장(30)으로의 이동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 카의 저면부 아래에 박스 형태로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 측 및 상기 카도어의 반대측 사이에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 체인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바닥을 구성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저면부의 상부로 일정 높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의 회전 구동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 및 내부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정차시 상기 승강장의 바닥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이동식 카바닥;
    상기 이동식 카바닥의 저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체인 상부에서 상기 제1 체인에 맞물리고, 회전하는 제1 체인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식 카바닥을 상기 제1 체인을 따라 수평이동 시키는 다수의 제1 이동 스프로킷;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식 카바닥과 마주하는 저면부의 안쪽면의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제1 체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 상기 이동식 카바닥의 저면에서 상기 이동식 카바닥의 좌측 및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 내에 수용되며 상기 이동식 카바닥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롤러 및 복수의 제2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카바닥 이동 가이드수단;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체인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3 체인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식 카바닥을 내측에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상부 높이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높이를 갖고, 하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저면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의 회전 구동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가 상기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와 연결되고, 상부에 전동윈치를 구비하는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
    상기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체인 상부에서 상기 제3 체인에 맞물리고, 회전하는 제3 체인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식 카바닥을 상기 제3 체인을 따라 수평이동 시키는 다수의 제2 이동 스프로킷;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 상기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 및 상기 전동윈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기 제1 체인 드라이브 장치, 상기 제2 체인 드라이브 장치 및 상기 전동윈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저면부에서 카도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카도어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카바닥 인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카바닥은 상기 승강장 방향으로 인출될 때 상기 가이드면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되고,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화물 운반시, 상기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이 승강장으로 인출되어 상기 전동윈치로 화물을 인양한 후 상기 이동식 카바닥이 승강장으로 인출되어 상기 전동윈치를 통해 상기 이동식 카바닥 상에 화물이 놓이면 상기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 및 상기 이동식 카바닥은 상기 엘리베이터 내로 복귀되고,
    엘리베이터 카 외부로 화물 운반시, 상기 전동윈치가 화물을 인양 후 상기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이 승강장으로 인출되어 화물을 승강장으로 운반한 후 상기 화물운반 서포트 구조물이 상기 엘리베이터 내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화물 운반 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86920A 2020-07-14 2020-07-14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 KR102471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920A KR102471610B1 (ko) 2020-07-14 2020-07-14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920A KR102471610B1 (ko) 2020-07-14 2020-07-14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993A KR20220008993A (ko) 2022-01-24
KR102471610B1 true KR102471610B1 (ko) 2022-11-29

Family

ID=8004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920A KR102471610B1 (ko) 2020-07-14 2020-07-14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3922B (zh) * 2023-06-01 2023-12-05 布劳恩机电(嘉兴)有限公司 一种便于货物移动的减震曳引式货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7133B2 (ja) * 1990-08-13 1998-11-18 株式会社日本シューター ワゴン搬送設備におけるエレベーターのケージに設けるワゴン搬出装置
JP2000248746A (ja) * 1999-03-03 2000-09-12 Kumagai Gumi Co Ltd 昇降運搬装置用荷物積み降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7133B2 (ja) * 1990-08-13 1998-11-18 株式会社日本シューター ワゴン搬送設備におけるエレベーターのケージに設けるワゴン搬出装置
JP2000248746A (ja) * 1999-03-03 2000-09-12 Kumagai Gumi Co Ltd 昇降運搬装置用荷物積み降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993A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5572B2 (ja) 機械式駐車場
KR100453147B1 (ko) 이동식 발을 이용한 주차차량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KR102215908B1 (ko)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
KR102471610B1 (ko)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JP431651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JP2017066809A (ja) 車両飛び込み防止装置とその運転方法
CN111392528A (zh) 一种自动装卸货梯及控制方法
JPH11217950A (ja) 駐車設備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
JP6161383B2 (ja) 機械式駐車設備
JP4837488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乗降用ステージ
KR102359448B1 (ko)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
CN211998305U (zh) 一种自动装卸货梯
JP4329104B2 (ja) 駐車装置の昇降リフト構造
JP2932879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JPH0678375U (ja) 工事用昇降装置に関連する扉装置
JP5653134B2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3094713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JP2019090292A (ja) 機械式駐車装置リプレース方法およびリプレース機械式駐車装置
JPH0716698Y2 (ja) 揚重リフトの荷下ろし装置
JPH07259371A (ja) 立体駐車装置
KR100257111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승강바닥장치
KR101774156B1 (ko)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KR20230102219A (ko) 자동 주차 설비
JP3018370U (ja) 立体式駐車装置のパレット保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