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47477A2 - 건설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47477A2
WO2010047477A2 PCT/KR2009/005605 KR2009005605W WO2010047477A2 WO 2010047477 A2 WO2010047477 A2 WO 2010047477A2 KR 2009005605 W KR2009005605 W KR 2009005605W WO 2010047477 A2 WO2010047477 A2 WO 201004747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carrier
building
carriers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560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47477A3 (ko
Inventor
유경남
이재성
정동준
김의동
김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프텍
Publication of WO201004747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47477A2/ko
Publication of WO201004747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4747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66B9/02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by rack and pinion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and more specifically, by constructing a lifting device capable of vertically lifting and lowering the carrier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for lifting and lifting the upper floor and the carrier material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for the worker to mov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that increases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carrier and further improves work efficiency.
  • the construction site is to install the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on the outer wall of the structure is in progress or completed for the rapid movement of workers and the supply of construction materials.
  • Such a lifting device is installed by controlling the carrier so that the height of the building, that is, moving at a low speed, medium speed, and high speed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rier.
  • a plurality of trusses are connected to A vertical frame installed vertically on the outer wall, a carrier guided to the vertical frame and provided with a control button therein, the door being provided to be liftable, a rack gear fixed to the vertical frame, and a pinion bitten by the rack gear; It consists of a lifting drive motor which is installed in the carrier by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supply wire to rotate, that is, drive the pinion.
  • the lifting drive motor is driven to correspond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button after the operator gets on the carrier, and the pinion is driven by the driving gear of the lifting drive motor. By moving along, the carrier moves.
  • the conventional general construction lifting device mad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carrier is inevitably deteriorated when it is installed and us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high-rise building, since one carrier is installed and driven to the vertical frame. .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peration of the carrier by having a low floor operating carrier and an upper floor operating carrier in one vertical frame having a rack gea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that can improve the ability, there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ertical unit installed i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the construction lifting device for transporting workers and transporting materials, equipped with a rack gear on one surf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ingle unit
  • One vertical frame is installed vertically by fixedly connecting the trusses manufactured by the connection member with each other, and by applying power to each of the lower and upper can be lifted relative to any point of the vertical frame
  • the lower floor part is provided with a pinion gear which is bittenly driven by the rack gear so as to correspond to the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be forward and backward driven, and an openable door is installed at the front side and a control unit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 buttons therein.
  • the carrier for the carrier and the upper layer, and at any point of the vertical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ock buffer provided to cushion the vertical fall along the vertical frame due to the failure of the upper carrier.
  •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floor movement of the low-floor carrier and the lower floor of the upper carrier is further comprised of a transfer means provided to enable the worker to transfer to the lower-floor carrier or the upper carrier. It features.
  • shock absorbing portion through the vertical frame through the center portion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hock-buffer frame is fixed to the building and the vertical frame by bolts and nuts, and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ock buffer frame
  • the shock absorbing spring is provided with a dog, and the other end of the buffer sp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ispersion plate provided to disperse the impact force by fixing on the bottom.
  • the transit means may include a vertical transit frame installed with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vertical frame having a rack gear inside the building, and a pinion gear to enable elevating along the rack gear of the vertical transit frame.
  • a drive moto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to drive the gear so as to be reversely drive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 the front and rear doors are provided, and the transfer carrier includes a control unit having a control button therein. It is done.
  • the operation capability of the carrier by having a low-floor running carrier and an upper-floor running carrier in one vertical frame having a rack gea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t can improve the efficiency, there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struction lifting device 100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as a device for transporting workers and moving material, equipped with a rack gear (not shown) on one side
  • One vertical frame 110 that is installed vertical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lower floor carrier carrier 130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relative to the middle of the vertical frame 110 to be provided to lift the lower floor;
  • the upper layer carrier 150 is installed above the middle part of the vertical frame 110 so as to be capable of lifting the upper part, and the middle part of the vertical frame 1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middle par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at any point of the vertical frame) to impact vertical fall along the vertical frame 110 due to the failure of the upper carrier 150.
  • Made of a shock absorbing unit 170 is provided to charge.
  • the operator transfers to the lower floor carrier 130 or the upper floor carrier 150 in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A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floor movement of the lower floor carrier 130 and the lower floor movement of the upper carrier 150. It further comprises a transfer means 190 provided to be available at the time.
  • the vertical frame 110 is installe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the vertical frame 110 is a plurality of trusses (manufactured as a unit) 111 is provided as a single body by connecting to each other via a connecting member, for example, a bolt and a nut so as to be in a straight line.
  • a connecting member for example, a bolt and a nut
  • a rack gear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10 so that the lower and upper carriers 130 and 150 are respectively meshed and lifted.
  • the rack gear is formed on the truss 111 made of a single unit, but since the truss 111 is configured as a vertical frame 11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installa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vertical frame 110 below. .
  • the low-level carrier carrier 130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the basis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upper carrier carrier 150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re mounted on the rack gear of the vertical frame 110. Equipped with a pinion gear that is bitten, it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so that it can be lifted and supported in response to the driving of a driving motor (not shown)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to receive the power from a power supply wire.
  • the door is installed and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rol buttons inside.
  • Such a low-layer carrier 130 and the upper carrier 150 is well know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shock absorbing unit 170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vertical frame 110, when the upper carrier 150 falls due to a failure, is provided to cushion the shock to prevent accidents,
  • the shock absorbing unit 170 the vertical frame 110 through the center portion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uilding (A) and the vertical frame 110 to the bolt and nut
  • the shock-absorbing portion frame 171 fixed by the bottom, the buffer spring 17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mpact buffer frame 171, and the other end of the buffer spring 173 It is composed of a distribution plate 175 for dispersing the impact force by fixing to.
  • the transfer means 190 is moved upstairs by using another carrier, that is, the lower carrier carrier 130, by using the lower carrier carrier 130 or the upper carrier carrier 150, and then moving upstairs. If you want to use 150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A) to be available.
  • the transfer means 190 a vertical frame for transfer (191) installed with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vertical frame 110 having a rack gear (not shown) inside the building (A)
  • the drive motor (not shown) is provided with a pinion gear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rack gear of the transit vertical frame 191, the forward and reverse driving corresponding to the power applied to the upper to drive the pinion gear is installed.
  • the front and rear doors (not shown) are provided, and the inside of the transfer carrier 193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having a control button (not shown).
  • the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carrier is a carrier for one lower layer and the upper layer so as to be able to lift the lower and upper layers based on the middle of the vertical frame.
  • the shock absorber 170 installed at the middle of the vertical frame 110 ′ having rack gears on both sides to further improv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carrier is provided.
  • the lower carrier 130' and the upper carrier 150 ' may be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110'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lower and upper sides, respectively.
  • Carrier 130 is operated to the 19th floor and the upper carrier 150 is operated from the 21st floor to the 40th floor, so the operator first boards the lower carrier 130, which is elev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110, Press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19th floor of the control buttons of the controller.
  • the pinion gear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110 so that the lower carrier carrier 130 is vertical.
  • the floor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button pushed up and down along the frame 110 is reached, that is, the 19th floor.
  • the operator opens and lowers the door of the lower carrier 130, and then transfers the carrier that runs between the 19th and 20th floors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 Climb to (193) and press the control button corresponding to the 21st floor.
  • the low-level carrier carrier 130 which is elevated to the 19th floor can be lowered and used by another worker's call it is possible to move other workers more quickly.
  • the transfer carrier 193 By pressing the control button installed in the transfer carrier 193, the transfer carrier 193 is elevated along the transfer vertical frame 191 to reach the 21st floor.
  • the transfer carrier 193 When the transfer carrier 193 reaches the 21st floor, the operator gets off and climbs the upper carrier 150 to be elevated from the 21st floor to the 40th floor, and presses a control button corresponding to the 40th floor provided in the controller.
  • the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ach carrier which is lifted and separated for the upper layer for the lower layer in one vertical frame, thereby enabling the workers to move more quickly.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수직프레임에 저층부 운행용 케리어와 상층부 운행용 케리어를 구비함으로써 케리어의 운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건축물의 외벽에 소정 거리를 두고 랙기어를 일면에 갖추어 단일 유니트로 제조된 트러스를 서로 연결부재를 매개로 고정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수직되게 설치되는 하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임의의 지점을 기준으로 하부와 상부를 각각 승강가능하도록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정역구동가능하게 상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에 대응되게 상기 랙기어에 물림되어 구동하는 피니언기어를 갖추고,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제어버튼이 다수개 갖추어진 제어부가 내설되어 구비되는 저층부용 케리어 및 상층부용 케리어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어 상층부용 케리어의 고장으로 인한 수직프레임을 따라 수직낙하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충격완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건설용 승강장치
본 발명은 건설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자재를 수직 운반하거나,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해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케리어를 저층부 승강용과 상층부 승강용으로 분할 승강가능하게 승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케리어의 운행 효율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작업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설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이동과 건설자재 등의 신속한 공급을 위하여 골조가 진행중이거나 완료된 건축물의 외벽에 건설용 승강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승강장치의 설치로 인하여,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승강장치는 건축물의 높이 즉, 케리어의 이동거리에 대응되게 저속, 중속, 고속으로 승강되도록 케리어를 제어하여 설치하게 되는바, 종래의 일반적인 건설용 승강장치의 구성은, 다수개의 트러스를 연결하여서 건축물의 외벽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안내되고 내부에 제어버튼을 갖추며 도어가 마련되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케리어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물림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 즉, 구동시키기 위해 전원인가용 전선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케리어에 설치되는 승강용구동모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승강장치의 구동은, 작업자가 케리어에 승차한 후, 제어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승강용구동모터가 구동하게 되고, 상기 승강용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인하여 피니언은 랙기어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케리어가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건설용 승강장치는 수직프레임에 하나의 케리어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여 구동시키게 되므로, 고층 건축물 시공시 설치되어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케리어의 운행능률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승강장치를 고층 건축물에 설치하여 케리어를 운행시키게 되면, 한 번의 운행시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게 되므로 케리어의 운행 능률과 함께 작업 능률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랙기어를 갖는 하나의 수직프레임에 저층부 운행용 케리어와 상층부 운행용 케리어를 구비함으로써 케리어의 운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용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작업자의 이동 및 자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건설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에 소정 거리를 두고 랙기어를 일면에 갖추어 단일 유니트로 제조된 트러스를 서로 연결부재를 매개로 고정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수직되게 설치되는 하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임의의 지점을 기준으로 하부와 상부를 각각 승강가능하도록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정역구동가능하게 상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에 대응되게 상기 랙기어에 물림되어 구동하는 피니언기어를 갖추고,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제어버튼이 다수개 갖추어진 제어부가 내설되어 구비되는 저층부용 케리어 및 상층부용 케리어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어 상층부용 케리어의 고장으로 인한 수직프레임을 따라 수직낙하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충격완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저층부용 케리어의 최상층 이동과 상기 상층부용 케리어의 최하층 이동에 대응되는 건축물의 층수에는 작업자가 저층부용 케리어 또는 상층부용 케리어로 환승시 이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환승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완충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을 중앙부로 관통시켜 일단과 타단은 건축물과 수직프레임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충격완충부프레임과, 상기 충격완충부프레임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다수개로 구비되는 완충용스프링과, 상기 완충용스프링의 타단을 저면에 고정시켜 충격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분산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환승수단은, 건축물 내부에 랙기어를 갖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동일한 구성을 갖추어 설치되는 환승용수직프레임과, 상기 환승용수직프레임의 랙기어를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피니언기어를 갖추고 이의 피니언기어를 구동시키도록 상부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정역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제어버튼을 갖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환승용케리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승강장치에 따르면, 건축물의 외벽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랙기어를 갖는 하나의 수직프레임에 저층부 운행용 케리어와 상층부 운행용 케리어를 구비함으로써 케리어의 운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승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승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승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승강장치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승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승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승강장치(100)는, 건축물(A)의 외벽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작업자의 이동 및 자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장치로서, 랙기어(도면 생략)를 일면에 갖추어 건축물의 외벽에 소정 거리를 두고 수직되게 설치되는 하나의 수직프레임(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설치되어 저층부를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층부용 케리어(130)와,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부 설치되어 상층부를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상층부용 케리어(150)와,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중간부(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직프레임의 어느 지점에도 가능하다)에 설치되어 상층부용 케리어(150)의 고장으로 인한 수직프레임(110)을 따라 수직낙하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충격완충부(1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저층부용 케리어(130)의 최상층 이동과 상기 상층부용 케리어(150)의 최하층 이동에 대응되는 건축물(A)의 층수에는 작업자가 저층부용 케리어(130) 또는 상층부용 케리어(150)로 환승시 이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환승수단(1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승강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수직프레임(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A)의 외벽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단위 유니트로 제조된 다수개의 트러스(111)를 일직선이 되도록 연결부재, 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시켜 단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측면에는 상기 하층부 및 상층부용 케리어(130,150)가 각각 기어물림되어 승강가능하도록 랙기어가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랙기어는 단일 유니트로 제조된 트러스(111)에 형성되나, 상기 트러스(111)가 연결설치됨에 따른 수직프레임(110)으로 구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수직프레임(1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부에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층부용 케리어(130) 및 상부에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상층부용 케리어(15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랙기어에 물림되는 피니언기어를 갖추어 전원인가용 전선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정역구동가능하게 상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도면 생략)의 구동에 대응되게 승강가능하도록 직사각 형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제어버튼이 다수개 갖추어진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저층부용 케리어(130) 및 상층부용 케리어(150)는 주지된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충격완충부(170)는, 수직프레임(110)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층부용 케리어(150)가 고장으로 인하여 추락할 경우, 충격을 완충시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완충부(17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을 중앙부로 관통시켜 일단과 타단은 건축물(A)과 수직프레임(110)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충격완충부프레임(171)과, 상기 충격완충부프레임(171)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다수개로 구비되는 완충용스프링(173)과, 상기 완충용스프링(173)의 타단을 저면에 고정시켜 충격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판(175)으로 구성된다.
상기 환승수단(190)은, 상기 저층부용 케리어(130)를 이용하거나 상층부용 케리어(150)를 이용하여 승강한 후 다른 케리어 즉, 저층부용 케리어(130)를 이용하여 위층으로 이동하여 상층부용 케리어(150)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이용가능하도록 건축물(A)에 설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승수단(190)은, 건축물(A) 내부에 랙기어(도면 생략)를 갖는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동일한 구성을 갖추어 설치되는 환승용수직프레임(191)과, 상기 환승용수직프레임(191)의 랙기어를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피니언기어를 갖추고 이의 피니언기어를 구동시키도록 상부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정역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미도시)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미도시)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도면이 생략된 제어버튼을 갖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환승용케리어(193)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승강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리어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층부와 상층부를 승강가능하게 하나의 하층부용 케리어와 상층부용 케리어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리어의 운행 능률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양측면에 랙기어를 갖는 수직프레임(110')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충격완충부(170')를 기준으로 하부와 상부의 양측면에 각각 하층부용 케리어(130')와 상층부용 케리어(150')를 한 쌍으로 수직프레임(1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40층에 작업자가 가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10)에 구비된 하층부용 케리어(130)는 19층까지 운행되고 아울러 상층부용 케리어(150)는 21층부터 40층까지 운행되므로 작업자는 먼저 수직프레임(110)의 하부에서 승강되는 하층부용 케리어(130)에 탑승한 후, 제어부의 제어버튼 중 19층에 해당되는 버튼을 누름시킨다.
상기 제어버튼의 누름으로 저층부용 케리어(130)는 정역가능하게 구동되는 구동모터가 구동하므로 인하여 피니언기어가 수직프레임(110)에 구비된 랙기어와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저층부용 케리어(13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을 따라 승강하여 누름시킨 제어버튼에 해당되는 층 즉, 19층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하층부용 케리어(130)가 19층에 도달되면, 작업자는 하층부용 케리어(130)의 도어를 개방시켜 하차한 후, 건축물(A) 내부에 설치된 19층과 20층 사이를 운행하는 환승용 케리어(193)에 승탑하여 21층에 해당되는 제어버튼을 누름시킨다.
한편, 상기 19층으로 승강된 상기 저층부용 케리어(130)는 다른 작업자의 호출에 의해 하강되어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게 다른 작업자들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환승용 케리어(193)에 설치된 제어버튼을 누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환승용 케리어(193)는 환승용수직프레임(191)을 따라 승강하여 21층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환승용 케리어(193)가 21층에 도달되면 작업자는 하차하여, 21층부터 40층까지 승강되는 상층부용 케리어(150)에 승탑하여 제어부에 구비되는 40층에 해당되는 제어버튼을 누름시킨다.
상기 제어버튼을 누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정역구동가능한 구동모터가 구동함으로 인하여 상층부용 케리어(150)는 수직프레임(110)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승강장치는 하나의 수직프레임에 하부층용 상부층용으로 구분되게 승강되는 각각의 케리어를 구비하게 되므로 작업자들의 이동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건축물(A)의 외벽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작업자의 이동 및 자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건설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건축물(A)의 외벽에 소정 거리를 두고 랙기어를 일면에 갖추어 단일 유니트로 제조된 트러스(111)를 서로 연결부재를 매개로 고정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수직되게 설치되는 하나의 수직프레임(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임의의 지점을 기준으로 하부와 상부를 각각 승강가능하도록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정역구동가능하게 상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에 대응되게 상기 랙기어에 물림되어 구동하는 피니언기어를 갖추고,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제어버튼이 다수개 갖추어진 제어부가 내설되어 구비되는 저층부용 케리어(130) 및 상층부용 케리어(150)와;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어 상층부용 케리어(150)의 고장으로 인한 수직프레임(110)을 따라 수직낙하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충격완충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층부용 케리어(130)의 최상층 이동과 상기 상층부용 케리어(150)의 최하층 이동에 대응되는 건축물(A)의 층수에는 작업자가 저층부용 케리어(130) 또는 상층부용 케리어(150)로 환승시 이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환승수단(19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승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부(17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을 중앙부로 관통시켜 일단과 타단은 건축물(A)과 수직프레임(110)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충격완충부프레임(171)과, 상기 충격완충부프레임(171)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다수개로 구비되는 완충용스프링(173)과, 상기 완충용스프링(173)의 타단을 저면에 고정시켜 충격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분산판(17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승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승수단(190)은, 건축물(A) 내부에 랙기어를 갖는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동일한 구성을 갖추어 설치되는 환승용수직프레임(191)과, 상기 환승용수직프레임(191)의 랙기어를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피니언기어를 갖추고 이의 피니언기어를 구동시키도록 상부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정역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제어버튼을 갖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환승용케리어(19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승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리어(130'150')의 운행 능률을 가일층 향상시키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양측면에는 랙기어를 갖추고, 상기 랙기어에 물림되어 정역구동가능한 구동모터의 구동에 대응되게 승강가능하도록 수직프레임(110')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는 충격완충부(170')를 기준으로 한 쌍의 하층부용 케리어(130') 및 한 쌍의 상층부용 케리어(150')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승강장치.
PCT/KR2009/005605 2008-10-22 2009-09-30 건설용 승강장치 WO2010047477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430 2008-10-22
KR1020080103430A KR101029982B1 (ko) 2008-10-22 2008-10-22 건설용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47477A2 true WO2010047477A2 (ko) 2010-04-29
WO2010047477A3 WO2010047477A3 (ko) 2010-07-22

Family

ID=4211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5605 WO2010047477A2 (ko) 2008-10-22 2009-09-30 건설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9982B1 (ko)
WO (1) WO201004747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5122A (zh) * 2017-03-08 2017-08-11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导架爬升式工作平台系统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744B1 (ko) * 2011-12-09 2013-06-07 빛샘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290Y1 (ko) * 2001-12-10 2002-03-23 이정호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JP2005126157A (ja) * 2003-10-21 2005-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免震建築物用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683Y2 (ko) 1976-10-08 1981-06-10
WO1992021838A1 (en) 1991-05-28 1992-12-10 Bokarn Pty. Ltd. Work platform system for multi-storey buildings
US5660249A (en) * 1995-11-29 1997-08-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bs transferred horizontally between double deck elevators
JPH107332A (ja) * 1996-06-19 1998-01-13 Hitachi Ltd 超高層ビルのエレベータ
JP3372892B2 (ja) 1999-04-30 2003-02-04 株式会社サノヤス・ヒシノ明昌 工事用エレベ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290Y1 (ko) * 2001-12-10 2002-03-23 이정호 건설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JP2005126157A (ja) * 2003-10-21 2005-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免震建築物用エレベー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5122A (zh) * 2017-03-08 2017-08-11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导架爬升式工作平台系统及其施工方法
CN107035122B (zh) * 2017-03-08 2023-10-24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导架爬升式工作平台系统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47477A3 (ko) 2010-07-22
KR20100044337A (ko) 2010-04-30
KR101029982B1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2161B (zh) 一种智能多轿厢电梯
CN111108055B (zh) 智能多轿厢电梯系统
CN207226728U (zh) 一种具有防坠落装置的电梯
JPH0821100A (ja) 揚重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構築資材の運搬方法
CN101549818B (zh) 电梯制动装置
KR101923924B1 (ko)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CN207063635U (zh) 立体无避让停车设备
CN111453585A (zh) 一种装配式智能化单塔嵌套式双笼施工电梯
WO2015119367A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WO2010047477A2 (ko) 건설용 승강장치
CN201012894Y (zh) 复合式升降机
JP573742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203529674U (zh) 一台曳引机驱动两台轿厢的节能电梯组
CN210764061U (zh) 一种多层集装箱吊装装置
JP6586490B2 (ja) 人荷昇降装置付き移動昇降式足場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施工方法及びこれらの設置方法
CN201211991Y (zh) 节能双轿厢电梯
WO2007020674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378202B1 (ko) 기계실 및 승강로 구조물이 필요없는 싱글 마스트 구조의 로프식 트윈형 탑승카 자체구동 승강기
CN102408053A (zh) 多层升降机
CN101597004B (zh) 节能双轿厢电梯
CN201148300Y (zh) 电梯的提升机构
CN201065665Y (zh) 新型无框架升降横移停车设备
CN210563655U (zh) 一种液压升降式停车场
CN108275548A (zh) 一种建筑用施工升降机
CN212374664U (zh) 一种装配式智能化单塔嵌套式双笼施工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221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221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