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894B1 -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 Google Patents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894B1
KR101547894B1 KR1020150086745A KR20150086745A KR101547894B1 KR 101547894 B1 KR101547894 B1 KR 101547894B1 KR 1020150086745 A KR1020150086745 A KR 1020150086745A KR 20150086745 A KR20150086745 A KR 20150086745A KR 101547894 B1 KR101547894 B1 KR 101547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blocking plate
wire
screen
colum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셔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셔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셔터
Priority to KR102015008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2Roll-up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4Fir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가 개시되는 것으로, 스크린 셔터장치에 있어서, 권취드럼(10)에는 상기 제1승하강와이어(11) 및 제2승하강와이어(12)가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와이어보빈(13)이 더 구비되고, 복수개의 권취드럼(10)을 서로 연결하여 모터구동체(20)의 회전력을 복수개의 권취드럼(10)에 전달하는 제1연결체(30)는, 서로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치합되는 제1베벨기어(31)와 제2베벨기어(32)로 이루어지며, 기둥프레임체(F)에는, 상기 스크린셔터(40)가 승하강시에 스크린셔터(40)를 지지하는 가이드체(50)와; 상기 기둥프레임체(F)의 내부로 연기나 유독가스가 유입되거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셔터바(60)의 승하강시에 벌어졌다가 모아져 기둥프레임체(F)의 내부를 차단하는 차단체(7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screen shutter for fire prevention}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에 대한 설치성의 향상은 물론 굴곡진 공간에서의 설치가 가능하며 스크린 셔터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이 단계별로 진행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화염은 물론 연기 및 유독가스기 새어나감을 방지하도록 한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되는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의 번짐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방화셔터는 통상 천정면에 설치되는 구동장치와 이 구동장치에 의해 바닥면측으로 하강되는 셔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셔터의 재질에 따라 각각 재질이 철재로 이루어진 철재셔터와 방화시크로 이루어진 스크린셔터로 구분되어 있으며 근자들어서는 대개 방화시트로 이루어진 스크린셔터가 주로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크린 셔터는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스크린 셔터가 하강되어 건물의 내부 구획공간을 차단함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구역으로부터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동가스와 같은 위해 요인이 번지지 않도록 하여 화재에 따른 인명사고 및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스크린 셔터의 경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드럼에 직접적으로 스크린셔터가 감겨져 있기 때문에 스크린 셔터의 설치에 따른 천장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저하되고 특히, 대개의 스크린 셔터가 보행자가 통행하는 통로를 차단하는 구조로만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예를 들어 굴곡진 설치구간에는 스크린 셔터를 설치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굴곡진 설치구간에 스크린 셔터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굴곡진 공간 천정부를 따라 각각 권취드럼을 설치하고 각각의 권취드럼에 각각 스크린셔터를 설치하여야 하는 바, 권취드럼과 권취드럼을 각각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체 간에 공간이 발생되고 이러한 공간을 통해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가 빠져나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인 등록특허 10-1348122호인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스크린천이 승강바에 안착되고 다수의 승강용와이어에 의해 승강바가 들어 올려지면 스크린천이 승강바에 의해 폴더 타입으로 접히면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되 다수의 승강용와이어가 권취되는 다수의 권취드럼이 한 개의 구동모터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여 스크린천이 폴더 타입으로 접히면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연결부분 없이 자유롭게 굴곡지게 설치할 수 있으며, 가로 및 세로 권취드럼이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한 개의 구동모터를 통해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각각의 권취드럼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분에 대한 완전 밀폐가 불가능하여 화염은 차단할 수 있다 하더라도 연기나 유독가스를 차단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승강용 와이어가 승강바에 직접 연결되어 있고 한 개의 구동모터에 의해 승강 및 하강이 진행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승강바가 급격하게 하강됨에 따라 승강바의 아래에 위치하는 대피자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48122호(2013.12.30.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87888호(2010.10.07. 등록)
본 발명은 스크린 셔터를 굴곡진 설치구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권취드럼과 다른 하나의 권취드럼과의 연결을 베벨기어로 연결하여 연결공간을 최소화하며 기둥프레임에 차단체를 구비하여 권취드럼과 권취드럼 사이에 위치되는 기둥프레임의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화염은 물론 연기 및 유독가스가 새어나가거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승강용 와이어의 승강 및 하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스크린 셔터의 하부에 구비되는 셔터바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는, 천정에 구비되고 서로에 대해 직교 또는 틀어짐 각도로 위치되는 복수개의 권취드럼과,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의 회전동작에 의해 풀어지거나 감겨지는 제1승하강와이어 및 제2승하강와이어와 상기 제1승하강와이어와 제2승하강와이어의 끝단이 연결고정되는 셔터바와 상기 제1승하강와이어에 연결되어 제1승하강와이어의 하강시에 펼쳐지고 제1승하강와이어의 승강시에 접어지는 복수개의 접이부가 구비된 스크린셔터와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 중 어느 하나의 권취드럼에 연결되는 모터구동체와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모터구동체의 구동에 의해 복수개의 권취드럼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제1연결체와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기둥프레임체로 이루어진 스크린 셔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에는 상기 제1승하강와이어 및 제2승하강와이어가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와이어보빈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을 서로 연결하여 모터구동체의 회전력을 복수개의 권취드럼에 전달하는 제1연결체는, 서로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치합되는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프레임체에는, 상기 스크린셔터가 승하강시에 스크린셔터를 지지하는 가이드체와; 상기 기둥프레임체의 내부로 연기나 유독가스가 유입되거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셔터바의 승하강시에 벌어졌다가 모아져 기둥프레임체의 내부를 차단하는 차단체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체는, 상기 기둥프레임체의 수직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제1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이동하는 제1롤링부와;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제2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이동하는 제2롤링부와; 상기 스크린셔터의 복수개의 접이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롤링부와 제2롤링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가이드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연결부는 상기 제1롤링부와 제2롤링부에 각각 지그재그형으로 순차적으로 끼워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차단체는, 상기 기둥프레임체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벌림면과 제2벌림면을 갖는 제1차단판과; 상기 기둥프레임체의 내면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차단판과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1차단판과 밀착되고 상기 제1차단판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된 제1벌림면과 제2벌림면에 대해 대칭방향으로 벌어진 제3벌림면과 제4벌림면을 갖는 제2차단판과;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기둥프레임체의 일측 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제1차단판이 벌어진 후 모아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차단판과 상기 기둥프레임체의 타측 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제2차단판이 벌어진 후 모아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스프링과; 상기 셔터바의 하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차단판과 제2차단판에 대해 수직선상에서 일직선상으로 각각 위치되어 상기 셔터바의 하강시에 상기 제1차단판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벌림면과 제2차단판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3벌림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하강되어 상기 제1차단판과 제2차단판이 서로에 대해 벌어지도록 하고, 상기 셔터바의 승강시에 상기 제1차단판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2벌림면과 제2차단판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4벌림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승강되어 상기 제1차단판과 제2차단판이 서로에 대해 벌어지도록 하는 2개의 구름베어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셔터바의 하강 또는 승강시에 상기 셔터바의 하강 또는 승강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구동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보조승하강와이어보빈이 축설되는 제2모터구동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승하강와이어보빈에는, 상기 셔터바에 일측이 연결되는 보조승하강와이어가 더 권취되어,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셔터바가 하강할 때 제2모터구동체가 먼저 구동되어 셔터바가 하강되었다가 상기 제2모터구동체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에 의해 하강하던 셔터바가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체가 구동되어 상기 일시적으로 정지된 셔터바를 계속 하강시켜 상기 스크린셔터가 펼쳐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을 연결하여 모터구동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연결체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연결체는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 중 서로 마주보는 권취드럼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는 유니버셜조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굴곡진 공간에 방화 스크린 셔터를 설치함에 있어서 복수개로 연결되는 권취드럼과의 연결을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연결함에 따라 설치공간에 대한 활용성을 높이고 베벨기어간의 치합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이 각각의 권취드럼에 전달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권취드럼의 회전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셔터바의 하강 속도 및 승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스크린 셔터의 하강시에 급작스럽게 셔터바가 하강되어 야기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기둥프레임을 통해 연기와 유독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체로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어 화염의 번짐은 물론 연기와 유독가스와 같은 위해요인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의 구성요부 중 하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의 구성요부 중 하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의 스크린셔터가 접어진 상태의 측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의 스크린셔터가 펼쳐진 상태의 측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스크린셔터가 펼쳐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차단체가 닫혀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차단체가 열리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는, 천정에 구비되고 서로에 대해 직교 또는 틀어짐 각도로 위치되는 복수개의 권취드럼과,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의 회전동작에 의해 풀어지거나 감겨지는 제1승하강와이어 및 제2승하강와이어와 상기 제1승하강와이어와 제2승하강와이어의 끝단이 연결고정되는 셔터바와 상기 제1승하강와이어에 연결되어 제1승하강와이어의 하강시에 펼쳐지고 제1승하강와이어의 승강시에 접어지는 복수개의 접이부가 구비된 스크린셔터와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 중 어느 하나의 권취드럼에 연결되는 모터구동체와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모터구동체의 구동에 의해 복수개의 권취드럼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제1연결체와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기둥프레임체로 이루어진 스크린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크린셔터는, 상기 모터구동체의 동력 즉 모터구동체의 회전동력에 의해 천정에서 바닥측으로 하강되어 화재 발생시에 화염이 타 공간측으로 번져나감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작용은 종래 기술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권취드럼(10)을 연결하는 제1연결체(30)의 구성을 간단하게 함에 따라 모터구동체(20)의 동력전달이 더욱 빠르게 전달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권취드럼(10)의 회전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권취드럼(10)에는 상기 제1승하강와이어(11) 및 제2승하강와이어(12)가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와이어보빈(13)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10)을 서로 연결하여 모터구동체(20)의 회전력을 복수개의 권취드럼(10)에 전달하는 제1연결체(30)는, 서로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치합되는 제1베벨기어(31)와 제2베벨기어(3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승하강와이어(11) 및 제2승하강와이어(12)가 권취드럼(10)에 축설 고정된 와이어보빈(13)에 감겨짐에 따라 권취드럼에 직접 와이어가 감겨져 야기되는 엉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승하강와이어(11) 및 제2승하강와이어(12)가 하나의 와이어보빈(13)에 감겨지기 때문에 제1승하강와이어(11) 및 제2승하강와이어(12)가 감겨지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보빈(13)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제1승하강와이어(11) 및 제2승하강와이어(12)가 서로 엉키거나 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종래 기술의 경우 스크린셔터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수단인 와이어가 권취드럼의 외면에 그대로 감겨지기 때문에 와이어의 감김동작시에 감겨지는 와이어가 권취드럼의 외면을 타고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와이어들이 서로 엉키는 현상이 발생되지만, 본 발명은 제1승하강와이어(11) 및 제2승하강와이어(12)가 하나의 와이어보빈(13)에 감겨지기 때문에 권취드럼(10)의 외면을 타고 벗어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와이어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권취드럼(10)을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체(30)가 제1베벨기어(31)와 제2베벨기어(32)로 구비됨에 따라 이들 제1베벨기어(31)와 제2베벨기어(32)의 치합에 의해 모터구동체(20)의 동력전달이 각각의 권취드럼(10)측에 빠르게 전달될 수 있어 스크린셔터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덜 하강되거나 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발생시에 신속하게 스크린셔터가 하강될 수 있기 때문에 화염이 타 공간으로 번지는 것을 빠르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둥프레임체(F)에는, 상기 스크린셔터(40)가 승하강시에 스크린셔터(40)를 지지하는 가이드체(50)와, 상기 기둥프레임체(F)의 내부로 연기나 유독가스가 유입되거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셔터바(60)의 승하강시에 벌어졌다가 모아져 기둥프레임체(F)의 내부를 차단하는 차단체(7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체(50)는 하강 또는 승강되는 스크린셔터(40)가 하강 또는 승강되는 과정에서 흔들거림이나 유동됨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체(50)에 의해 흔들거림없이 스크린셔터(40)의 하강 및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크린셔터(40)가 하강되어 다 펼쳐진 후에는 상기 가이드체(50)에 의해 스크린셔터(40)의 양측이 고정되기 때문에 스크린셔터(40)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화염이 타 공간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함이 용이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체(50)는, 상기 기둥프레임체(F)의 수직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가이드레일(51) 및 제2가이드레일(52)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51)에 끼워져 제1가이드레일(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이동하는 제1롤링부(53)와, 상기 제2가이드레일(52)에 끼워져 제2가이드레일(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이동하는 제2롤링부(54)와, 상기 스크린셔터(40)의 복수개의 접이부(41)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롤링부(53)와 제2롤링부(54)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가이드연결부(55)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스크린셔터(40)가 하강 또는 승강될 때 상기 제1가이드레일(51)과 제2가이드레일(52)에 각각 끼워진 제1롤링부(53)와 제2롤링부(54)가 스크린셔터(40)의 하강 또는 승강 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제1가이드레일(51)과 제2가이드레일(52)을 타고 하강 또는 승강된다.
또한, 스크린셔터(40)가 완전히 하강되어 다 펼쳐진 후에는 상기 스크린셔터(40)의 접이부(41)에 구비되는 가이드연결부(55)가 상기 제1롤링부(53)와 제2롤링부(54)에 각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가이드레일(51)과 제2가이드레일(52)에 각각 끼워진 제1롤링부(53)와 제2롤링부(54)에 의해 스크린셔터(40)의 흔들거림이 방지되어 스크린셔터(4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연결부(55)는 상기 제1롤링부(53)와 제2롤링부(54)에 각각 지그재그형으로 순차적으로 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스크린셔터(40)가 하강되거나 승강될 때 상기 접이부(41)에 구비되는 가이드연결부(55)에 각각 연결된 제1롤링부(53)와 제2롤링부(54)가 서로에 대해 간섭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차단체(70)는, 스크린셔터(40)를 지지하는 기둥프레임체(F)를 통해 연기나 유독가스가 새어나가거나 또는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대개의 방화 스크린 셔터의 경우 천정에 설치되는 권취드럼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기둥프레임이 스크린셔터의 양측에 구비되는 바, 이 때 화염은 스크린셔터에 의해 차단되더라도 연기나 유독가스는 기둥프레임의 내부를 통해 번지게 되어 인명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차단체(70)를 기둥프레임체(F)에 구비함에 따라 연기나 유독가스의 새어나옴에 따른 번짐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단체(70)는, 상기 기둥프레임체(F)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벌림면(71)과 제2벌림면(72)을 갖는 제1차단판(73)과, 상기 기둥프레임체(F)의 내면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차단판(73)과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1차단판(73)과 밀착되고 상기 제1차단판(73)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된 제1벌림면(71)과 제2벌림면(72)에 대해 대칭방향으로 벌어진 제3벌림면(74)과 제4벌림면(75)을 갖는 제2차단판(76)과, 상기 제1차단판(73)과 상기 기둥프레임체(F)의 일측 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제1차단판(73)이 벌어진 후 모아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스프링(77)과, 상기 제2차단판(76)과 상기 기둥프레임체(F)의 타측 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제2차단판(76)이 벌어진 후 모아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스프링(78)과, 상기 셔터바(60)의 하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차단판(73)과 제2차단판(76)에 대해 수직선상에서 일직선상으로 각각 위치되어 상기 셔터바(60)의 하강시에 상기 제1차단판(73)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벌림면(71)과 제2차단판(76)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3벌림면(74)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하강되어 상기 제1차단판(73)과 제2차단판(76)이 서로에 대해 벌어지도록 하고, 상기 셔터바(60)의 승강시에 상기 제1차단판(73)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2벌림면(72)과 제2차단판(76)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4벌림면(75)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승강되어 상기 제1차단판(73)과 제2차단판(76)이 서로에 대해 벌어지도록 하는 2개의 구름베어링(79)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단체(70)는 스크린셔터(40)가 천정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셔터바(60) 역시 상기 제1차단판(73)과 제2차단판(76)의 상부측에 위치된 상태인 것으로, 화재가 발생되어 스크린셔터(40)가 하강되면 상기 셔터바(60) 역시 하강되고 셔터바(60)의 하강동작에 의해 상기 셔터바(60)에 구비되는 2개의 구름베어링(79)이 상기 제1차단판(73)의 제1벌림면(71)과 제2차단판(76)의 제3벌림면(74)에 밀착된 상태로 하강된다.
이와 같이 상기 2개의 구름베어링(79)이 상기 제1차단판(73)의 제1벌림면(71)과 제2차단판(76)의 제3벌림면(74)에 밀착된 상태로 하강되는 과정에서 제1차단판(73)과 제2차단판(76)을 서로에 대해 점차적으로 벌어줌에 따라 스크린셔터(40)가 하강됨에 따른 간섭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스크린셔터(40)가 완전히 하강되면 상기 제1차단판(73)과 제2차단판(76)을 서로에 대해 별려주던 2개의 구름베어링(79)이 제1차단판(73)의 제2벌림면(72)과 제2차단판(76)의 제4벌림면(75)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서로에 대해 벌어진 상태로 위치하던 제1차단판(73)과 제2차단판(76)은 상기 제1스프링(77)과 제2스프링(78)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서로 밀착되도록 모아지게 되어 차단체(70)에 의해 기둥프레임체(F)의 내부가 완전히 차단된다.
상기 서로에 대해 벌어진 상태로 위치하던 제1차단판(73)과 제2차단판(76)이 상기 제1스프링(77)과 제2스프링(78)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서로 밀착되도록 모아짐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2개의 구름베어링(79)이 상기 제1차단판(73)의 제1벌림면(71)과 제2차단판(76)의 제3벌림면(74)에 밀착된 상태로 하강되면서 제1차단판(73)과 제2차단판(76)을 서로에 대해 벌려줄 때 상기 제1스프링(77)과 제2스프링(78)이 각각 눌러지게 되고, 상기 스크린셔터(40)가 완전히 하강되어 2개의 구름베어링(79)이 제1차단판(73)의 제2벌림면(72)과 제2차단판(76)의 제4벌림면(75)의 하부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차단체(70)를 구성하는 제1차단판(73)과 제2차단판(76)을 벌려주는 힘이 해제되어 눌러진 제1스프링(77)과 제2스프링(78)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제1차단판(73)과 제2차단판(76)을 밀어주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셔터바(60)의 하강 또는 승강시에 상기 셔터바(60)의 하강 또는 승강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구동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80)와 상기 제어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보조승하강와이어보빈(81)이 축설되는 제2모터구동체(8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승하강와이어보빈(81)에는, 상기 셔터바(60)에 일측이 연결되는 보조승하강와이어(83)가 더 권취되어 상기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셔터바(60)가 하강할 때 제2모터구동체(82)가 먼저 구동되어 셔터바(60)가 하강되었다가 상기 제2모터구동체(82)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에 의해 하강하던 셔터바(60)가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상기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체(20)가 구동되어 상기 일시적으로 정지된 셔터바(60)를 계속 하강시켜 상기 스크린셔터(40)가 펼쳐지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어부(80)와 제2모터구동체(82) 및 보조승하강와이어(83)가 더 구비됨에 따라 화재가 발생되어 스크린셔터(40)와 함께 셔터바(60)가 하강될 때 상기 제2모터구동체(82)가 먼저 작동되어 셔터바(60)를 일시적으로 하강시키고 다시 모터구동체(20)가 작동되어 일시적으로 하강된 셔터바(60)를 하강시키기 때문에 셔터바(60)가 한 번에 빠르게 하강되는 것에 의해 미처 대피하지 못한 대피자와 셔터바(60)가 부딪혀 야기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제2모터구동체(82)가 작동하여 보조승하강와이어(83)가 풀리는 동작을 통해 셔터바(60)가 하강될 때 상기 제1승하강와이어(11) 및 제2승하강와이어(12)가 권취된 와이어보빈(13)이 구비되는 상기 권취드럼(10)은 상기 셔터바(60)가 제2모터구동체(82)에 의해 하강되는 동안 자유회전되도록 구비함이 당연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보조승하강와이어(83)와 보조승하강와이어보빈(81) 및 제2모터구동체(82)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모터구동체(20)에 상기 제어부(8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구동체(20)가 작동되었다가 일시적으로 정지된 후 다시 작동되도록 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10)을 연결하여 모터구동체(2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연결체(9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연결체(90)는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10) 중 서로 마주보는 권취드럼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는 유니버셜조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니버셜조인트로 구비되는 제2연결체(90)를 더 구비함에 따라 예를 들어 제1연결체(30)를 구비하는 제1베벨기어(31)와 제2베벨기어(32)로 연결하기 어려운 굴곡진 공간에 방화 스크린셔터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서로 마주보는 권취드럼(10)을 유니버셜조인트로 구비되는 제2연결체(90)로 연결함으로써 설치되는 공간 환경에 관계없이 본 발명인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설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권취드럼 11 : 제1승하강와이어
12 : 제2승하강와이어 13 : 와이어보빈
20 : 모터구동체 30 : 제1연결체
31 : 제1베벨기어 32 : 제2베벨기어
40 : 스크린셔터 41 : 접이부
50 : 가이드체 51 : 제1가이드레일
52 : 제2가이드레일 53 : 제1롤링부
54 : 제2롤링부 55 : 가이드연결부
60 : 셔터바 70 : 차단체
71 : 제1벌림면 72 : 제2벌림면
73 : 제1차단판 74 : 제3벌림면
75 : 제4벌림면 76 : 제2차단판
77 : 제1스프링 78 : 제2스프링
79 : 구름베어링 80 : 제어부
81 : 보조승하강와이어보빈 82 : 제2모터구동체
83 : 보조승하강와이어 90 : 유니버셜조인트

Claims (5)

  1. 천정에 구비되고 서로에 대해 직교 또는 틀어짐 각도로 위치되는 복수개의 권취드럼과,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의 회전동작에 의해 풀어지거나 감겨지는 제1승하강와이어 및 제2승하강와이어와 상기 제1승하강와이어와 제2승하강와이어의 끝단이 연결고정되는 셔터바와 상기 제1승하강와이어에 연결되어 제1승하강와이어의 하강시에 펼쳐지고 제1승하강와이어의 승강시에 접어지는 복수개의 접이부가 구비된 스크린셔터와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 중 어느 하나의 권취드럼에 연결되는 모터구동체와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모터구동체의 구동에 의해 복수개의 권취드럼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제1연결체와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기둥프레임체로 이루어진 스크린 셔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10)에는 상기 제1승하강와이어(11) 및 제2승하강와이어(12)가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와이어보빈(13)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10)을 서로 연결하여 모터구동체(20)의 회전력을 복수개의 권취드럼(10)에 전달하는 제1연결체(30)는,
    서로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치합되는 제1베벨기어(31)와 제2베벨기어(32)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프레임체(F)에는,
    상기 스크린셔터(40)가 승하강시에 스크린셔터(40)를 지지하는 가이드체(50)와;
    상기 기둥프레임체(F)의 내부로 연기나 유독가스가 유입되거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셔터바(60)의 승하강시에 벌어졌다가 모아져 기둥프레임체(F)의 내부를 차단하는 차단체(7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50)는,
    상기 기둥프레임체(F)의 수직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가이드레일(51) 및 제2가이드레일(52)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51)에 끼워져 제1가이드레일(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이동하는 제1롤링부(53)와;
    상기 제2가이드레일(52)에 끼워져 제2가이드레일(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이동하는 제2롤링부(54)와;
    상기 스크린셔터(40)의 복수개의 접이부(41)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롤링부(53)와 제2롤링부(54)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가이드연결부(55)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연결부(55)는 상기 제1롤링부(53)와 제2롤링부(54)에 각각 지그재그형으로 순차적으로 끼워지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체(70)는,
    상기 기둥프레임체(F)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벌림면(71)과 제2벌림면(72)을 갖는 제1차단판(73)과;
    상기 기둥프레임체(F)의 내면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차단판(73)과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1차단판(73)과 밀착되고 상기 제1차단판(73)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된 제1벌림면(71)과 제2벌림면(72)에 대해 대칭방향으로 벌어진 제3벌림면(74)과 제4벌림면(75)을 갖는 제2차단판(76)과;
    상기 제1차단판(73)과 상기 기둥프레임체(F)의 일측 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제1차단판(73)이 벌어진 후 모아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스프링(77)과;
    상기 제2차단판(76)과 상기 기둥프레임체(F)의 타측 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제2차단판(76)이 벌어진 후 모아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스프링(78)과;
    상기 셔터바(60)의 하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차단판(73)과 제2차단판(76)에 대해 수직선상에서 일직선상으로 각각 위치되어 상기 셔터바(60)의 하강시에 상기 제1차단판(73)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벌림면(71)과 제2차단판(76)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3벌림면(74)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하강되어 상기 제1차단판(73)과 제2차단판(76)이 서로에 대해 벌어지도록 하고,
    상기 셔터바(60)의 승강시에 상기 제1차단판(73)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2벌림면(72)과 제2차단판(76)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4벌림면(75)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승강되어 상기 제1차단판(73)과 제2차단판(76)이 서로에 대해 벌어지도록 하는 2개의 구름베어링(79)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바(60)의 하강 또는 승강시에 상기 셔터바(60)의 하강 또는 승강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구동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80)와 상기 제어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보조승하강와이어보빈(81)이 축설되는 제2모터구동체(82)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승하강와이어보빈(81)에는,
    상기 셔터바(60)에 일측이 연결되는 보조승하강와이어(83)가 더 권취되어,
    상기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셔터바(60)가 하강할 때 제2모터구동체(82)가 먼저 구동되어 셔터바(60)가 하강되었다가 상기 제2모터구동체(82)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에 의해 하강하던 셔터바(60)가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상기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체(20)가 구동되어 상기 일시적으로 정지된 셔터바(60)를 계속 하강시켜 상기 스크린셔터(40)가 펼쳐지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10)을 연결하여 모터구동체(2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연결체(9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연결체(90)는 상기 복수개의 권취드럼(10) 중 서로 마주보는 권취드럼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는 유니버셜조인트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1020150086745A 2015-06-18 2015-06-18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101547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745A KR101547894B1 (ko) 2015-06-18 2015-06-18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745A KR101547894B1 (ko) 2015-06-18 2015-06-18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894B1 true KR101547894B1 (ko) 2015-08-26

Family

ID=5406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745A KR101547894B1 (ko) 2015-06-18 2015-06-18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8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560B1 (ko) * 2015-10-19 2015-12-22 변인환 굴곡형 방화 스크린 셔터
KR20220074541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선일기업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62B1 (ko) 2012-12-13 2013-03-13 이세일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259521B1 (ko) 2012-08-07 2013-05-06 주식회사디오이엔씨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곡면 개폐라인을 구현하는 장치
KR101300908B1 (ko) 2012-03-29 2013-08-27 위선복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348122B1 (ko) 2013-05-15 2014-01-08 이세일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908B1 (ko) 2012-03-29 2013-08-27 위선복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259521B1 (ko) 2012-08-07 2013-05-06 주식회사디오이엔씨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곡면 개폐라인을 구현하는 장치
KR101243062B1 (ko) 2012-12-13 2013-03-13 이세일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348122B1 (ko) 2013-05-15 2014-01-08 이세일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560B1 (ko) * 2015-10-19 2015-12-22 변인환 굴곡형 방화 스크린 셔터
KR20220074541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선일기업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656680B1 (ko) * 2020-11-27 2024-05-02 주식회사 선일기업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KR101348122B1 (ko)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JP201803556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KR102085438B1 (ko) 하부 롤러를 갖춘 방화셔터
KR101547894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JP4353898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6246085A (zh) 一种多功能防护窗
KR20150013410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102193112B1 (ko) 전선권출장치
JP5832808B2 (ja) 横引き扉の非常時閉鎖システム
KR20140134887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30101698A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WO2014002326A1 (ja) ブラインド装置
KR101780418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JP55721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32343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76916B1 (ko) 발코니용 회전식 방화판
JP657076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KR102085439B1 (ko)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
KR102193123B1 (ko) 에어부스
JP2007068913A (ja) スライド式防火シャッタ
KR102334716B1 (ko) 차열 강화 방화셔터
CN210214484U (zh) 微机房电梯
KR101445864B1 (ko)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JP6300715B2 (ja) エレベータ用足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