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864B1 -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864B1
KR101445864B1 KR1020130106752A KR20130106752A KR101445864B1 KR 101445864 B1 KR101445864 B1 KR 101445864B1 KR 1020130106752 A KR1020130106752 A KR 1020130106752A KR 20130106752 A KR20130106752 A KR 20130106752A KR 101445864 B1 KR101445864 B1 KR 101445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afety device
wire
box
spu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은표
정쌍래
김성회
Original Assignee
국은표
정쌍래
김성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은표, 정쌍래, 김성회 filed Critical 국은표
Priority to KR102013010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component faults o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승하강을 지지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칸막이(11)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12)이 형성된 가이드레일(10)(10a)의 공간(12)과 수평으로 형성된 하부트러스(40)에 도어의 하강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20)를 구성하고, 상기 안전장치(20)는 사각형의 하우징(21)으로 전방 삽입구(21a)에 도어차단박스(22)가 삽입형성되고, 상기 도어차단박스(22)는 와이어(23)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23)는 권취드럼(24)에 권취되고, 상기 권취드럼(24)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24a)에는 평기어(25)와 맞물려 연결되고, 상기 평기어(25)는 랫치기어(26)와 연결되고, 상기 랫치기어(26)는 안전고리(27)와 연결하고, 상기 도어차단박스(22)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봉(28)에 탄성스프링(29)을 장착하여 탄성스프링(29)의 탄발에 의해 도어차단박스(22)가 가이드레일(10)의 공간(12)으로 전진 및 후진가능하도록 하는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Description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protecting from falling of canvas door}
본 발명은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캔버스도어에 설치하여 도어 작동시 갑작스런 오작동에 의해 축의 절단 및 와이어 절단으로 인한 추락(자유낙하)을 방지하여 도어의 파손 방지는 물론, 도어의 추락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버스도어는 각종 출입구 게이트 및 대문류, 공장 출입문 등에 사용되어 출입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공장 등에서 대면적으로 도어를 모터의 동작에 의해 단일의 작업자가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초대형 캔버스도어는 양측의 지지부를 지지하여 도어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 모터가 설치됨과 함께 도어의 배면에 다수개의 와이어 로프가 설치되어 있어 모터의 구동을 따라 와이어 로프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캔버스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종래 상기와 같은 캔버스도어를 사용시 도어의 와이어 로프가 끊어질 경우 비정상적인 작용에 의해 권취 드럼의 파손을 가져오며 도어가 어떠한 안전 장비 없이 하강하게 되므로 도어의 하부에 위치한 물건이 파손되거나 사람이 크게 다치게 되는 사고의 우려가 매우 높으며, 도어가 파손되어 유지 및 보수비용의 상승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캔버스도어 장치는 일반적으로 용접공장이나 대형 선박 조립 공장 또는 페인트 공장 등에는 초대형 전동 도어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완전한 밀폐의 기능이 아닌 다소의 비바람 및 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있다.
종래의 초대형 캔버스도어는 양측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도어가 상하로 접철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종래의 초대형 전동 도어장치(1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가이드레일을 통해 도어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모터(103)가 설치됨과 함께 도어의 좌우측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112)이 구성되고, 그 가이드레일(112)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도어의 상부를 지지하는 수평트러스(114)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 트러스(114)와 가이드레일(112) 내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도어프레임(116)이 제공되며, 그 도어프레임(116)의 이격간격을 폐쇄시키며 그 도어 내측으로의 시야를 차단하기 위해 그 도어프레임(116)의 전면에 설치된 타포린시트(118)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도어프레임(116)의 수직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행거를 연결하기 위한 행거 벨트(미도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수평 트러스(114)의 중앙 상단에 구비되어 하단 입체트러스(131)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1개의 모터와 그 측방으로 복수개의 와이어드럼이 각각 제공된다.
상기 와이어 드럼에는 일정 거리 간격으로 승강용 와이어(128)가 권취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트러스(114)의 상면 양측에는 일정거리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상부롤러(125a, 125d)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프레임(116) 중 최하단에는 승강용 와이어를 연결하고, 도어에 자중을 부여하는 입체 트러스(131)의 내부에 4개의 하부 롤러(130a, 130b,130c,130d)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승강용 와이어(128)는 좌우측 하단의 하부 롤러(130e, 130f)를 통해 연결되고, 다시 일정거리 이격된 하면에 구비된 또 다른 하부 롤러(130b, 130c)를 통해 연결되고, 그 승강용 와이어(128)는 다시 수평트러스(114)에 고정된 상부 롤러(125a,125b,125c,125d)를 통해 각각 연결되고 최종적으로 하부트러스(131)에 좌우측에 각각 위치된 하부롤러(130a,130d)를 통해 고정되어져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방향에서 각각 권취되는 승강용 와이어(128)는 상기 와이어드럼의 회전에 의해 권취됨으로써 상부로 이송되어 도어가 오픈되고, 또한, 다시 와이어 드럼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와이어 드럼상에 권취된 승강용 와이어(128)가 풀리면서 도어가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캔버스도어장치(110)는 상기 도어의 총중량이 대략적으로 약 5 내지 10톤에 이르게 되므로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하부트러스(131)에 고정되어 이송되는 승강용 와이어(128)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그 하중에 의해 만약 상기 승강용 와이어(128)가 절단되게 되면, 그 하부에 위치된 물건이 파손됨은 물론 사람 등이 크게 다치게 되는 등의 사고 우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캔버스도어를 승강하기 위한 상기 승강용 와이어(128)의 절단시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미 실용신안등록 제355684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355684호에 개재된 고안은 승강용와이어가 절단되더라도 이와 연결된 연결 와이어는 무게추가 신속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풀어지지 아니하고 제1, 2 롤러가 상하로 지지하고 있고 어느 정도 팽팽한 상태(장력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결국, 고안의 핵심내용이라 할 수 있는 하강방지수단인 걸림 브라켓의 위치이동(시계방향으로 90도 하향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55684호
2. 국내 특허등록 제 10-0834028호
3.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 20-2010-0000101호
4.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4586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캔버스도어가 수직으로의 업다운 동작이 원활하게 되면서도 갑작스런 오작동에 의해 도어의 축 또는 와이어의 절단에 의한 자유낙하를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이고 짧은 거리에서 정확한 정지를 하여 재산상의 손실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장에 있는 대형 출입문을 사용함에 있어서, 업다운 하는 캔버스도어를 구동하는 구동부 축의 절단이나 와이어의 절단에 의한 도어의 자유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현재까지 설치되어 활용되고 있는 구성은 자중과 자유낙하시 가속도가 붙은 도어를 정지시키는데 불합리적이어서 자중과 가속이 붙기전에 짧은 거리에서 안정적으로 자유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하부트러스에 장착되어 도어의 축 또는 와이어가 절단되어 도어가 추락할 때, 안전블럭이 이를 감지하여 랫치기어와 연결된 안전고리가 상승하여 랫치기어를 권취드럼과 연결된 평기어에서 해제시키면 권취드럼에 권취된 와이어가 풀어지면서 탄지되어 있던 탄성스프링의 탄반력에 의해 도어차단박스가 가이드레일의 공간으로 전진하여 자유낙하 하는 도어를 짧은 거리에서 차단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도어의 축 또는 와이어가 오작동시 절단되어 캔버스도어가 추락할 때, 상기 캔버스 도어를 매우 짧은 거리인 50Cm 내에서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여서 캔버스도어의 신속한 추락방지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캔버스도어의 파손 방지 및 인명피해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의 실시 예(와이어 견인식)에 따른 캔버스도어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 종래의 다른 실시 예(드럼식)에 따른 캔버스도어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캔버스도어의 안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캔버스도어의 안정장치가 결합된 사시도.
도 5 - 본 발명에 따른 캔버스도어의 안전장치가 방출되기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 본 발명에 따른 캔버스도어의 안전장치가 방출되기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 본 발명에 따른 캔버스도어의 안전장치가 방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 - 본 발명에 따른 캔버스도어의 안전장치가 방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 본 발명에 따른 캔버스도어의 안전장치를 2블럭에 적용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10 - 본 발명에 따른 캔버스도어의 안전장치를 1블럭에 적용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캔버스도어의 하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어의 승하강을 지지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칸막이(11)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12)이 형성된 가이드레일(10)(10a)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0)(10a)의 공간(12)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도어의 하강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20)를 하부트러스(40)에 장착하고, 상기 안전장치(20)는 사각형태의 하우징(21)으로 내부 삽입구(21a)에 도어차단박스(22)가 삽입형성되고, 상기 도어차단박스(22)는 와이어(23)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23)는 권취드럼(24)에 권취되고, 상기 권취드럼(24)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24a)에는 평기어(25)와 맞물려 연결되고, 상기 평기어(25)는 랫치기어(26)와 연결되고, 상기 랫치기어(26)는 안전고리(27)와 연결하고, 상기 도어차단박스(22)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봉(28)에 탄성스프링(29)을 장착하여 탄성스프링(29)의 탄발에 의해 도어차단박스(22)가 가이드레일(10)의 공간(12)으로 전진 및 후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안전장치(20)는 사각형 형태의 하우징(21)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하우징(21)의 전방에는 4방향으로 모두 막아 삽입구(21a)를 형성한다. 상기 삽입구(21a)에는 추락하는 도어를 차단하기 위한 도어차단박스(22)가 삽입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차단박스(22)는 전방에 걸고리(22a)를 형성하여 와이어(23)의 일측을 연결할 수 있게 형성하고, 와이어(23)의 타측은 권취드럼(24)에 와이어(23)를 권취하여 도어차단박스(22)를 고정한다. 또한, 권취드럼(24)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24a)에는 평기어(25)가 맞물려 형성되고, 평기어(25)는 다시 랫치기어(26)와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랫치기어(26)의 끝단, 즉 레버부분에는 안전고리(27)가 걸려있는 상태이고, 안전고리(27)는 안전고리 구동수단, 즉 안전블럭에 연결된다. 상기 안전블럭에는 충격감지센서 또는 캔버스도어추락감지센서가 내장된 상태이다.
또 상기 도어차단박스(22)의 걸고리(22a) 양측에는 지지봉(28)의 일단을 도어차단박스(22)의 내부에 삽입고정하고, 지지봉(28)의 타단은 지지대(28a)에 고정하여 구성하고, 지지대(28a)의 외주면에는 고탄성을 갖는 탄성스프링(29)을 장착하여 구성한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21)의 후방은 상부측이 개방되어 지지봉(28), 지지대(28a), 탄성스프링(29), 와이어(23), 권취드럼(24), 평기어(25), 랫치기어(26), 안전고리(27) 등을 설치한 후,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덮개(21b)를 덮어 고정되게 구성한다.
상기 안전장치(20) 하우징(21)의 전방 삽입구(21a)에 도어차단박스(22)가 삽입장착되고, 상기 도어차단박스(22)와 연결된 와이어(23)는 권취드럼(24)에 권취되어 있고, 권취드럼(24)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24a)와 연결된 평기어(25)는 랫치기어(26)와 맞물려 고정되게 지지하고 있고, 또 도어차단박스(22)의 지지봉(28)에 장착된 탄성스프링(29)은 권취드럼(24)에 권취된 와이어(23)에 의해 탄지되어 진다.
상기 도어차단박스(22)와 연결된 와이어(23)는 권취드럼(24)에 권취된 상태로, 안전장치(20)의 하우징(21) 전방 삽입구(21a)에는 권취드럼(24)에 권취된 와이어(23)에 의해 지지된 도어차단박스(22)가 삽입되어 있고, 도어차단박스(22)의 지지봉(28)에 장착된 탄성스프링(29)은 권취된 와이어(23)에 의해 탄지되어 진다
상기 하부트러스(40)의 양측에는 각각 도어의 안전장치(20)가 설치되며, 일측의 가이드레일(10)에는 도어차단박스(22)가 안전장치(20)의 하우징(21) 삽입구(21a)에서 전진되고, 타측의 가이드레일(10a)에는 도어차단박스(22)가 안전장치(20)의 하우징(21) 삽입구(21a)에 삽입고정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20)의 작동에 대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안전블럭에 내장된 충격감지센서 또는 캔버스도어추락감지센서가 캔버스도어의 갑작스러운 추락을 감지하게 되면 안전블럭은 안전고리(27)을 견인하게 되고, 이처럼 견인된 안전고리(27)는 평기어(25)에 맞물려 있던 랫치기어(26)가 이탈되도록 한다.
따라서 안전고리(27)가 위로 견인되면 랫치기어(26)의 끝단, 즉 레버부분을 들어올리게 되고, 평기어(25)에 맞물려 있던 기어부는 평기어(25)에서 분리되면서 권취드럼(24)의 회전 억지력이 해제되는 것이다.
결국 권취드럼(24)이 회전하면서 와이어(23)는 풀리게 되고, 결국 스프링(29)을 견인하고 있던 와이어(23)의 견인력이 해제 되면서 스프링(29)의 탄력 작용에 의해 도어차단박스(22)가 앞으로 전진하면서 가이드레일(10)의 칸막이(11)에 걸리게 되면서 캔버스도어의 추락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10a. 가이드레일 11. 칸막이
12. 공간 20. 안전장치
21, 하우징 21a. 삽입구
21b. 덮개 22. 도어차단박스
22a. 걸고리 23. 와이어
24. 권취드럼 24a. 기어
25. 평기어 26. 랫치기어
27. 안전고리 28. 지지봉
28a. 지지대 29. 탄성스프링
30. 핸들

Claims (3)

  1. 도어의 승하강을 지지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칸막이(11)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12)이 형성된 가이드레일(10)(10a)의 공간(12)과 수평으로 형성된 하부트러스(40)에 도어의 하강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20)를 구성하고,
    상기 안전장치(20)는 사각형의 하우징(21)으로 전방 삽입구(21a)에 도어차단박스(22)가 삽입형성되고, 상기 도어차단박스(22)는 와이어(23)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23)는 권취드럼(24)에 권취되고, 상기 권취드럼(24)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24a)에는 평기어(25)와 맞물려 연결되고, 상기 평기어(25)는 랫치기어(26)와 연결되고, 상기 랫치기어(26)는 안전고리(27)와 연결하고, 상기 도어차단박스(22)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봉(28)에 탄성스프링(29)을 장착하여 탄성스프링(29)의 탄발에 의해 도어차단박스(22)가 가이드레일(10)의 공간(12)으로 전진 및 후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기어의 축 단부에 핸들을 장착하여 핸들의 회전에 의해 평기어에 맞물린 랫치기어를 분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일단은 도어차단박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타단은 지지대에 고정되고, 지지봉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탄성스프링의 일단은 도어차단박스에 지지되고, 타단은 지지대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0130106752A 2013-09-05 2013-09-05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1445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752A KR101445864B1 (ko) 2013-09-05 2013-09-05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752A KR101445864B1 (ko) 2013-09-05 2013-09-05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864B1 true KR101445864B1 (ko) 2014-10-01

Family

ID=5199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752A KR101445864B1 (ko) 2013-09-05 2013-09-05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8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636B1 (ko) * 2018-09-17 2019-10-01 주식회사 씨알 캔버스도어의 문 추락방지 장치
KR102224723B1 (ko) * 2019-12-16 2021-03-09 (주)일신오토클레이브 유체방식을 이용한 고온 고압 소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715A (ko) * 2009-03-09 2009-03-27 박정수 형광등 정전기 차폐장치
KR20090099036A (ko) * 2009-06-05 2009-09-21 태양산기(주) 캔버스 도어 안전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715A (ko) * 2009-03-09 2009-03-27 박정수 형광등 정전기 차폐장치
KR20090099036A (ko) * 2009-06-05 2009-09-21 태양산기(주) 캔버스 도어 안전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636B1 (ko) * 2018-09-17 2019-10-01 주식회사 씨알 캔버스도어의 문 추락방지 장치
KR102224723B1 (ko) * 2019-12-16 2021-03-09 (주)일신오토클레이브 유체방식을 이용한 고온 고압 소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6869B2 (ja) 設備機器浸水対策システム
JP201803556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US8955648B1 (en) Motor home dumbwaiter
KR101445864B1 (ko) 캔버스도어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GB2476704A (en) An elevator safety system
KR20090099036A (ko) 캔버스 도어 안전 개폐장치
KR101073529B1 (ko) 무대 장치
KR20070034036A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KR200355684Y1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안전장치
KR200395107Y1 (ko) 폴드업 셔터
JP2011122338A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2193123B1 (ko) 에어부스
KR20080024802A (ko) 더블 상하작동 스크린도어
KR20110110496A (ko) 방호수단이 구성된 타워크레인
JP2014031637A (ja) 線材吊上げ式昇降ゲート
CN221031592U (zh) 一种电梯井自适应一体化临边防护装置
JP5612865B2 (ja) 電動昇降式収納庫ユニット
KR101812597B1 (ko) 대형 도어의 수동 개방장치
CN220148948U (zh) 爬梯逃生门开锁装置、轿厢及升降设备
KR101992636B1 (ko) 캔버스도어의 문 추락방지 장치
JP2000248767A (ja) 立体駐車設備のゲート装置
JP5982178B2 (ja) 機器取込ハッチ用安全柵
CN221093324U (zh) 一种塔筒升降机系统
KR101608462B1 (ko) 캔버스 도어의 처짐 방지장치
KR101495061B1 (ko) 추락 방지 기능을 구비한 캔버스 도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