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112B1 - 전선권출장치 - Google Patents

전선권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112B1
KR102193112B1 KR1020200076219A KR20200076219A KR102193112B1 KR 102193112 B1 KR102193112 B1 KR 102193112B1 KR 1020200076219 A KR1020200076219 A KR 1020200076219A KR 20200076219 A KR20200076219 A KR 20200076219A KR 102193112 B1 KR102193112 B1 KR 102193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nwinding
frame
roller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철
Original Assignee
김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철 filed Critical 김동철
Priority to KR1020200076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32Stands or frameworks
    • B65H49/32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40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2Arrangements for removing spent cores or receptacles and replacing by supply packages at paying-out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27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related to high pressure, tension or stress cond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권출장치 및 에어부스를 포함하는 전자장비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자장비에 사용되는 전선을 권출시키기 위한 전선권출장치부; 및 전자장비를 이송하여 용접 또는 사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에어부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선권출장치{electric wire unwinding device}
본 발명은 전선권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장비에 사용되는 전선을 권출시키기 위한 것인 전선권출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비제조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관을 권출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지는 롤형 전선관 권출장치는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통상 전선관을 권출하는 수단으로 일정 직경을 갖는 지지판의 중앙부에 기둥부재를 세워 놓고, 기둥부재가 전선관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기둥부재 상측에서 전선관을 내려놓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전선관을 권출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기둥부재가 전선관의 이탈을 방지시켜 전선관을 권출시키고 있으나, 상기 기둥부재가 전선관의 내주면에 밀착되지 않고 내측공간에 돌출되어 있는 관계로 전선관의 권출시 회전력에 따라 사방으로 유동되면서 권출되어 지고 이로 인해 기둥부재가 파손되거나 전선관의 표피손상을 가져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의 용접 등의 작업을 하는 부스는 작업시 발생하는 자외선과 분진 등의 빛과 유해가스가 주변의 사람들에게 누출되지 않도록 건물 내 공간을 벽 등으로 구분 짓는 건축시설 또는 설비가 대부분이며, 용접대를 단순하게 칸막이 등으로 구분 짓고 커튼 형식으로 직물을 달아 각각의 구분 장소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42580호
본 발명은 전자장비에서 사용되는 전선을 일정 텐션을 갖으며 자동 권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며, 전자장비의 높낮이에 따라 권출되는 전선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하여 원활한 전선이 권출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자장비를 이송하여 용접 또는 사상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며, 전자장비를 회전시켜 다방향 측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장비에 사용되는 전선을 권출시키기 위한 전선권출장치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선권출장치부는, 작업자가 권출되는 권출전선 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안전프레임; 권출전선이 안착되며, 안착된 권출전선을 지지하도록 안전프레임 내부 지면에 형성되는 권출프레임; 권출전선이 권출되는 전선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며, 바고정단에 안착 될 수 있도록 권출전선 중앙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권출바; 권출바가 안착 고정되도록 권출프레임 일측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바고정단을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선권출장치부는, 권출되는 전선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권출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권출조절부는, 구동체인을 회전시키기 위해 권출프레임 일측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구동기어; 회전되는 구동체인 사이에 결합되어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이동기어; 이동기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권출프레임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구동기어에 연결 형성되는 구동체인; 구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권출프레임 일측으로 구동기어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구동기어와 연결 형성되는 구동모터; 바고정단과 이동기어 간 연결을 위해 이동기어 일측과 바고정단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권출장치부는, 안착되는 권출전선을 바고정단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선안착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안착이동부는, 권출전선을 권출프레임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수단; 및 권출프레임 측으로 이동되는 권출전선을 바고정단의 위치 측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롤승하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수단은, 슬라이드플레이트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슬라이드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권출프레임 내부에서 외부측 지면에 형성되는 지면프레임; 지면프레임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지면프레임에서 일전 간격을 두고 상부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플레이트; 복수개의 롤러부재를 각각 고정하기 위해 지면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 복수개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에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롤러부재; 지면프레임을 기준으로 슬라이드플레이트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면프레임 일측에 형성되어 실린더 축이 슬라이드플레이트 일측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롤승하강수단은, 권출전선이 안착되어 승하강되도록 슬라이드플레이트 상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승하강플레이트; 안착되는 권출전선이 흔들림에 의해 승하강플레이트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승하강플레이트 상부로 형성되는 롤고정부재; 권출전선을 승항강시키기 위해 승하강플레이트 하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안착실린더; 승하강플레이트의 하강시 안착실린더에 가해지는 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해 슬라이드플레이트 상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안착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권출장치부는, 전자장비 측으로 권출되는 전선의 텐션을 감지하여 설정되는 텐션값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전선텐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텐션부는, 밀착롤러를 지지하도록 권출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대; 권출되는 전선을 밀착시키기 위해 전선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밀착롤러; 전선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밀착롤러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밀착롤러 일측으로 형성되는 밀착고정바; 밀착고정바를 지지대 측으로 연결 시키기 위해 밀착고정바 하부로 형성되는 롤러고정대; 권출되는 전선의 텐션을 감지하도록 권출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텐션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자장비를 이송하여 용접 또는 사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에어부스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부스부는, 사각의 함체로 지면에 형성되는 부스챔버; 부스챔버를 지지하기 위해 부스챔버 각 모서리와 모서리간 수평상에 형성되는 부스프레임; 부스챔버 내부에서 작업시 발생되는 가스, 분진, 용접 빛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부스챔버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스개폐문; 부스챔버 내부의 작업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부스챔버 일측면에 형성되는 확인창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부스부는, 부스챔버 내부로 전자장비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수단은, 전자장비가 안착되며 이동레일 상부로 안착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재; 안착부재를 부스챔버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초기위치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이동레일; 안착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체인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이 고정 형성되도록 지면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체인고정함; 안착부재를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체인고정함 내부로 형성되는 체인기어에 연결 형성되는 회전체인; 회전체인을 일측과 타측에서 연결 고정시키기 위해 지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체인고정함 내부로 형성되는 체인기어; 회전체인의 회전 이동시 안착부재가 이동되도록 안착부재 하부로 형성되어 회전체인에 연결 형성되는 회전풀리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부스부는, 전자장비를 부스챔버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면 상에 형성되는 챔버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챔버이동부는, 전자장비가 안착되어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 안착플레이트 상부로 안착되는 전자장비를 고정시키기 위해 안착플레이트 상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챔버고정핀; 전자장비에 챔버고정핀이 삽입되도록 안착플레이트 내부에 삽입되어 챔버고정핀을 승하강시키도록 형성되는 핀실린더; 안착플레이트를 상승시키도록 안착플레이트 하부로 형성되는 플레이트실린더; 안착플레이트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플레이트실린더 하부로 형성되어 롤러레일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이송롤러; 플레이트이송레일이 안착되도록 지하면에 형성되는 롤러레일; 롤러레일을 회전시키기 위해 플레이트실린더 일측으로 형성되는 레일모터; 상승되는 안착플레이트가 일측방향으로 이동시 플레이트실린더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면에 이동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홈;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안착플레이트를 정지시키기 위해 지하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안전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부스부는, 전자장비의 용접 및 사상을 위한 작업시 전자장비를 상승 및 회전시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챔버승하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챔버승하강부는, 전자장비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챔버승하강수단; 및 전자장비를 회전시키기 위한 챔버회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승하강수단은, 안착부재 상부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승하강스크류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고정프레임 상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승하강프레임; 승하강프레임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고정프레임 상부 각 모서리에 형성되어 승하강프레임과 나사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승하강스크류; 승하강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고정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모터; 스크류모터에서 생성된 회전동력을 승하강스크류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승하강스크류 하부 일측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스크류부재; 승하강되는 승하강프레임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해 승하강프레임 하부로 형성되는 높낮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회전수단은, 안착부재 상부로 형성되는 회전프레임; 회전프레임을 기준으로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프레임 상부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 회전롤러가 안착되어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프레임 상부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레일; 회전레일에 안착되어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플레이트 하부로 형성되는 롤러지지대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롤러; 회전롤러를 회전플레이트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회전플레이트 하부로 형성되는 롤러지지대;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기 위해 회전플레이트와 회전프레임 둘레로 일정 각도를 두고 형성되는 회전각도센서; 회전 완료된 회전플레이트가 회전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회전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고정핀; 회전고정핀을 상승 또는 복귀시키기 위해 회전고정핀 하부로 형성되는 고정핀스토퍼; 회전고정핀이 삽입되도록 회전플레이트 둘레로 일정 각도를 두고 형성되는 핀홈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비에서 사용되는 전선을 일정 텐션을 갖으며 자동 권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며, 전자장비의 높낮이에 따라 권출되는 전선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하여 원활한 전선이 권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전자장비를 이송하여 용접 또는 사상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며, 전자장비를 회전시켜 다방향 측의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전자장비제조시스템의 전선권출장치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전선권출장치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권출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전선권출장치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전선안착이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전선권출장치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전선텐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전자장비제조시스템의 에어부스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에어부스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챔버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 에어부스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챔버승하강부의 챔버승하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 에어부스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챔버승하강부의 챔버회전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전자장비제조시스템(10)의 전선권출장치부(1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선권출장치부(100)는 전자장비(P)에 사용되는 전선을 권출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이 권취되어 있는 전선롤에서 전선이 권출되도록 하기 위해 지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권출장치부(100)는 안전프레임(110), 권출프레임(120), 권출바(130), 바고정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프레임(110)은 작업자가 권출되는 권출전선(G) 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회전되는 권출전선(G)에 끼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프레임(110)은 지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전선권출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면에 앵커볼트를 통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출프레임(120)은 권출전선(G)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권출프레임(120)은 안착된 권출전선(G)을 지지하도록 안전프레임(1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출프레임(120)은 전선권출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면에 앵커볼트를 통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출프레임(120)은 지면에서 양측으로 형성되거나, 일측과 중앙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과 중앙에 형성되는 권출프레임(120)에는 상단에 권출전선(G)이 형성되며, 중앙과 타측에 형성되는 권출프레임(120)에는 중앙에 권출전선(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권출되는 전선의 높낮이에 따라 권출프레임(120)에 안착되는 권출전선(G)의 안착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출바(130)는 권출전선(G)이 권출되는 전선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권출바(130)는 권출프레임(120)에 형성된느 바고정단(140)에 안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출바(130)는 권출전선(G) 중앙에서 수평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고정단(140)은 권출바(130)가 안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권출프레임(120) 상단 또는 중앙 또는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고정단(140)은 권출바(130)의 안착시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전선권출장치부(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권출조절부(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선권출장치부(100)는 권출조절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권출조절부(200)는 권출되는 전선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권출조절부(200)는 전자장비(P)의 높낮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출조절부(200)는 구동기어(210), 이동기어(220), 구동체인(230), 구동모터(240), 고정단부재(25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210)는 구동체인(230)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기어(210)는 권출프레임(120) 일측면 상부와 하부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어(210)는 구동모터(240)에 의해 회전되며, 구동모터(240)에서 생성된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구동체인(23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기어(220)는 구동체인(230) 상에 형성되어 구동기어(210)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체인(230)에 의해 상측과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체인(230)은 이동기어(220)를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체인(230)은 권출프레임(120)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구동기어(210) 간의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체인(230)은 이동기어(220)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체인(230) 사이에 이동기어(220)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240)는 구동기어(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240)는 권출프레임(120) 일측으로 형성되어 구동모터(240) 축이 하부로 형성되는 구동기어(210)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단부재(250)는 바고정단(140)과 이동기어(220)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단부재(250)는 일측이 바고정단(140)과 연결되며, 타측은 이동기어(220)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 전선권출장치부(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전선안착이동부(3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선권출장치부(100)는 전선안착이동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안착이동부(300)는 안착되는 권출전선(G)을 바고정단(14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권출전선(G)을 권출프레임(120) 내부로 이동시킴과 권출전선(G)에 형성되는 권출바(130)가 안착되는 바고정단(140)의 위치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안착이동부(300)는 슬라이드수단(310)과 롤승하강수단(350)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수단(310)은 권출전선(G)을 권출프레임(12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수단(310)은 지면프레임(311), 슬라이드플레이트(312), 롤러고정부재(313), 롤러부재(314), 슬라이드실린더(315)를 포함한다.
상기 지면프레임(311)은 슬라이드플레이트(312)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면프레임(311)은 지면 상부로 형성되며, 상기 지면프레임(311)은 슬라이드플레이트(312)를 지지하도록 권출프레임(120) 내부에서 외부 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312)는 지면프레임(311)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312)는 지면프레임(311)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일정간격은 롤러부재(314)의 높이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고정부재(313)는 지면프레임(311) 상부로 형성되는 롤러부재(314)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고정부재(313)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고정부재(313)는 지면프레임(311)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부재(314)는 복수개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313) 상에 결합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부재(314)는 슬라이드플레이트(312)가 원활하게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실린더(315)는 지면프레임(311)을 기준으로 슬라이드플레이트(312)를 일측방향 즉, 권출프레임(120) 내부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실린더(315)는 지면프레임(311)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실린더(315)는 일측이 지면프레임(311)에 고정되며, 타측의 실린더 축은 슬라이드플레이트(312)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승하강수단(350)은 권출프레임(120) 측으로 이동되는 권출전선(G)을 바고정단(140)의 위치 측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롤승하강수단(350)은 승하강플레이트(351), 롤고정부재(352), 안착실린더(353), 안착탄성부재(354)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51)는 권출전선(G)이 안착되어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51)는 슬라이드플레이트(312) 상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51)가 슬라이드플레이트(312) 상부로 형성시 일정간격은 안착실린더(353)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고정부재(352)는 안착되는 권출전선(G)의 흔들림 발생시 이를 승하강플레이트(351) 상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롤고정부재(352)는 승하강플레이트(351)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고정부재(352)는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실린더(353)는 권출전선(G)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실린더(353)는 승하강플레이트(351) 하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실린더(353)는 권출바(130)가 바고정단(140)에 안착되도록 권출전선(G)을 상승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탄성부재(354)는 승하강플레이트(351)의 하강시 안착실린더(353) 측으로 가해지는 무게 또는 충격을 감쇄 및 분산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탄성부재(354)는 슬라이드플레이트(312) 상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 전선권출장치부(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전선텐션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선권출장치부(100)는 전선텐션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텐션부(400)는 전자장비(P) 측으로 권출되는 전선의 텐션을 감지하며, 감지되는 텐션에 따라 미리 입력된 텐션값과의 비교시 설정된 텐션값 이하이거나, 이상일 경우 미리 입력된 텐션값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텐션부(400)는 지지대(410), 밀착롤러(420), 밀착고정바(422), 롤러고정대(421), 텐션감지센서(4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410)는 밀착롤러(42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410)는 권출프레임(120) 일측 즉, 중앙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롤러(420)는 권출되는 전선을 밀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롤러(420)는 전선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롤러(420)는 둘레가 전선의 밀착시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고정바(422)는 전선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밀착롤러(42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고정바(422)는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밀착롤러(420)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고정바(422)에 결합시 밀착롤러(420)는 간섭없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고정대(421)는 밀착고정바(422)를 지지대(410) 일측으로 연결 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고정대(421) 일측은 밀착고정바(422)와 연결 형성되며, 타측은 지지대(410) 상부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감지센서(430)는 권출되는 전선의 텐션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권출프레임(1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감지센서(430)에 의해 감지되는 텐션값에 따라 텐션값이 이상일 경우 즉, 팽팽해지는 경우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 전선의 끈어짐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전자장비제조시스템(10)의 에어부스부(5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부스부(500)는 전자장비(P)를 이송하여 용접 또는 사상 또는 도장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에어부스부(500)는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여 외부로 분진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부스부(500)는 부스챔버(510), 부스프레임(520), 부스개폐문(530), 확인창(540)을 포함한다.
상기 부스챔버(510)는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어 전자장비(P)가 내부로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스챔버(510)는 지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스챔버(510)는 내부가 밀폐될 수 있도록 전체면에 막혀진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폐가능한 부스개폐문(530)이 형성되도록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스프레임(520)은 부스챔버(510)를 지지하기 위해 부스챔버(510) 각 모서리와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부스프레임(520) 간의 상부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스개폐문(530)은 부스챔버(5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부스챔버(510) 내부로 전자장비(P)가 투입 및 배출시 상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인창(540)은 부스챔버(510) 내부에서 작업중인 진행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확인창(540)은 부스챔버(510) 일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확인창(540)은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부스부(500)는 레일수단(560)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수단(560)은 부스챔버(510) 내부로 전자장비(P)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수단(560)은 안착부재(561), 이동레일(562), 체인고정함(563), 회전체인(564), 체인기어(565), 회전풀리(566)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재(561)는 전자장비(P)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부재(561)는 이동레일(562)에 안착되어 회전체인(564)의 이동에 따라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재(561)는 이동레일(562) 상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으로, 안착부재(561)와 이동레일(562) 간의 롤러 결합 또는 슬라이드 결합 중 어느 하나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레일(562)은 안착부재(561)를 부스챔버(510)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레일(562)은 지면에 형성되며, 부스챔버(510) 내부 지면과 부스챔버(510) 외부 지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인고정함(563)은 안착부재(561)를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체인(564)의 양측 끝단을 고정 및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체인고정함(563)은 부스챔버(510) 외부의 지면 즉, 회전체인(564)의 일측 끝단 지면에 형성되고, 부스챔버(510) 내부의 지면 즉, 회전체인(564)의 타측 끝단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인(564)은 안착부재(561)를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체인(564)은 외부로 형성되는 체인고정함(563)의 내부에 형성된 체인기어(565)와 부스챔버(510) 내부로 형성되는 체인고정함(563)에 형성된 체인기어(565) 간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인(564)은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 회전되어 회전체인(564)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풀리(566)가 회전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인기어(565)는 체인고정함(563)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인기어(565)는 부스챔버(510) 외부로 형성되는 체인고정함(563) 내부와 부스챔버(510) 내부로 형성되는 체인고정함(563)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풀리(566)는 회전체인(564)의 회전 이동시 안착부재(561)가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풀리(566)는 안착부재(561) 하부로 형성되어 회전풀리(566) 상부와 하부로 회전체인(564)이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체인(564)이 일측방향으로 회전 이동시 회전체인(564) 상에 위치한 회전풀리(566)가 회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 에어부스부(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챔버이동부(6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부스부(500)는 챔버이동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챔버이동부(600)는 전자장비(P)를 부스챔버(510)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면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챔버이동부(600)는 안착플레이트(610), 챔버고정핀(611), 핀실린더(612), 플레이트실린더(620), 플레이트이송롤러(630), 롤러레일(640), 레일모터(650), 이동홈(660), 안전탄성체(67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610)는 전자장비(P)가 안착되어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플레이트(610)는 지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이동시 지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상승하여 이동홈(660)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챔버고정핀(611)은 안착플레이트(610) 상부에 안착되는 전자장비(P)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챔버고정핀(611)은 핀실린더(612)에 작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챔버고정핀(611)은 일부가 안착플레이트(610)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가 핀실린더(612)의 작동시 안착플레이트(610)의 작동이 이루어지게되면 전자장비(P) 측으로 완전 돌출되어 전자장비(P)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실린더(612)는 상기 챔버고정핀(611)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핀실린더(612)는 안착플레이트(610) 내부에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실린더(612)는 안착플레이트(610)에 안착되는 전자장비(P) 감지시 작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실린더(620)는 안착플레이트(610)의 이동시 안착플레이트(61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실린더(620)는 안착플레이트(610) 하부로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실린더(620)는 전자장비(P)의 이탈방지에 대한 안전을 고려하여 핀실린더(612)의 작동이 완료된 후 작동되도록 하여 전자장비(P)가 안착플레이트(610)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이송롤러(630)는 안착플레이트(610)를 일측 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이송롤러(630)는 플레이트실린더(620)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이송롤러(630)는 롤러레일(640)에 안착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이송롤러(630)와 롤러레일(640)은 요철방식으로 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레일(640)은 플레이트이송롤러(6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레일(640)은 지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모터(650)는 롤러레일(64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모터(650)는 플레이트이송롤러(63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모터(650)로부터 생성되는 회전동력은 플레이트이송롤러(630) 측으로 제공하며, 레일모터(650) 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풀리와 플레이트이송롤러(630) 일측으로 형성되는 풀리 간의 벨트 또는 체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 됨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홈(660)은 안착플레이트(610)의 상승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 플레이트실린더(620)가 지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지면에 롤러레일(640)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탄성체(670)는 안착플레이트(610)의 이동시 부스챔버(510) 내에서 더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탄성체(670)는 지하 일측면에 형성되어 레일모터(650)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레일모터(650)의 접촉시 안전탄성체(670)는 일측으로 일정 간격 밀리도록 형성되어 레일모터(650)와 접촉시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안착플레이트(610)의 진입을 정지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탄성체(670)는 접촉면이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며, 일측은 탄성스프링이 형성되어 일정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 에어부스부(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챔버승하강부(700)의 챔버승하강수단(71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부스부(500)는 챔버승하강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챔버승하강부(700)는 전자장비(P)의 용접 및 사상 등의 작업시 전자장비(P)를 상승시키거나, 회전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챔버승하강부(700)는 챔버승하강수단(710)과 챔버회전수단(750)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승하강수단(710)은 전자장비(P)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챔버승하강수단(710)은 고정프레임(711), 승하강프레임(712), 승하강스크류(720), 스크류모터(721), 스크류부재(722), 높낮이감지센서(72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711)은 안착부재(561)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승하강스크류(720)의 회전시 고정프레임(711)을 기준으로 승하강프레임(712)이 상승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며, 승하강프레임(712)에 안착되는 전자장비(P)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711)은 안착부재(561)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안착부재(561)에서 이탈시 챔버회전수단(750)이 부착되어 사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프레임(712)은 승하강스크류(720)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프레임(712)은 고정프레임(711) 상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프레임(712)은 승하강스크류(720)의 일측방향 회전으로 상승되며, 타측방향 회전시 하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프레임(712)은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승하강스크류(720)의 동시 회전에 의해 승하강프레임(712)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스크류(720)는 승하강프레임(712)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스크류(720)는 고정프레임(711)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며, 승하강프레임(712)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승하강스크류(720)의 회전시 승하강프레임(712)이 고정프레임(711)을 기준으로 승하강되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모터(721)는 승하강스크류(7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프레임(711)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부재(722)는 승하강스크류(720) 하부 일측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부재(722)는 스크류모터(721)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부재(722)와 승하강스크류(720)는 랙피니언 방식 또는 베벨기어방식 또는 웜기어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웜기어방식으로 사용된다.
상기 높낮이감지센서(723)는 고정프레임(711)으로부터 승하강되는 승하강프레임(712)의 높낮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높낮이감지센서(723)는 승하강프레임(712)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높낮이감지센서(723)를 통해 감지되는 방식은 고정프레임(711)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을 광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 에어부스부(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챔버승하강부(700)의 챔버회전수단(75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부스부(500)는 챔버회전수단(750)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회전수단(750)은 전자장비(P)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챔버회전수단(750)은 회전프레임(751), 회전플레이트(752), 회전레일(753), 회전롤러(754), 롤러지지대(755), 회전각도센서(760), 회전고정핀(770), 고정핀스토퍼(771), 핀홈(772)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프레임(751)은 안착부재(561)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안착부재(561) 상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프레임(751)은 챔버승하강수단(710)의 고정프레임(711)의 이탈시 회전프레임(751)을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회전프레임(751)의 이탈시 고정프레임(711)이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752)는 회전프레임(751)을 기준으로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선택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752)는 회전프레임(751) 상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회전플레이트(752)와 회전프레임(751) 간의 일정 간격은 회전레일(753)과 회전롤러(754)의 결합 높이를 나타낸다.
상기 회전레일(753)은 회전롤러(754)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레일(753)은 회전프레임(751) 상부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레일(753)에 안착되는 회전롤러(754)는 도면과 같이 ∪형태로 형성되거나, ∩형태, ∧형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롤러(754)는 회전레일(753)에 안착되어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롤러(754)는 회전플레이트(752) 하부로 형성되는 롤러지지대(755)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롤러(754)는 회전레일(753)과 동일하게 도면과 같이 ∪형태로 형성되거나, ∩형태, ∧형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지지대(755)는 회전롤러(754)를 회전플레이트(752)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지지대(755)의 일측은 회전플레이트(752)에 고정되며, 타측은 회전롤러(754)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지지대(755)는 회전롤러(754) 양측으로 형성되어 전자장비(P)를 지지하는 회전롤러(754)가 이동시 회전롤러(754)가 일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각도센서(760)는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752)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각도센서(760)는 회전플레이트(752)와 회전프레임(751) 둘레로 일정 각도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각도센서(760)에 입력되는 각도에 따라 회전하여 회전플레이트(752)에 형성되는 회전각도센서(760)와 회전프레임(751)에 형성되는 회전각도센서(760)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이 완료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고정핀(770)은 회전각도센서(760)를 통해 일정 각도로 회전이 완료되는 경우 회전프레임(751)에서 회전플레이트(752)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고정핀(770)은 회전프레임(751)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핀스토퍼(771) 상부로 형성되어 고정핀스토퍼(771)의 작동시 회전고정핀(770)이 회전플레이트(752) 측으로 전진하거나, 초기 위치로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핀스토퍼(771)는 회전고정핀(770)이 회전플레이트(752) 상에 형성되는 핀홈(77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핀스토퍼(771)는 회전각도센서(760)에 따라 설정된 회전각도록 이동되는 회전플레이트(752)가 회전프레임(751) 상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홈(772)은 회전고정핀(7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홈(772)은 회전플레이트(752) 둘레로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해당각도록 회전플레이트(752)가 회전프레임(751)을 기준으로 회전이 완료되는 경우 고정핀스토퍼(771)가 작동되어 회전고정핀(770)이 해당 핀홈(772)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전자장비제조시스템
G : 권출전선 P : 전자장비
100 : 전선권출장치부 110 : 안전프레임
120 : 권출프레임 130 : 권출바
140 : 바고정단
200 : 권출조절부 210 : 구동기어
220 : 이동기어 230 : 구동체인
240 : 구동모터 250 : 고정단부재
260 : 위치감지센서 270 : 기어스토퍼
300 : 전선안착이동부 310 : 슬라이드수단
311 : 지면프레임 312 : 슬라이드플레이트
313 : 롤러고정부재 314 : 롤러부재
315 : 슬라이드실린더 350 : 롤승하강수단
351 : 승하강플레이트 352 : 롤고정부재
353 : 안착실린더 354 : 안착탄성부재
400 : 전선텐션부 410 : 지지대
420 : 밀착롤러 421 : 롤러고정대
422 : 밀착고정바 430 : 텐션감지센서
500 : 에어부스부 510 : 부스챔버
520 : 부스프레임 530 : 부스개폐문
540 : 확인창 560 : 레일수단
561 : 안착부재 562 : 이동레일
563 : 체인고정함 564 : 회전체인
565 : 체인기어 566 : 회전풀리
600 : 챔버이동부 610 : 안착플레이트
611 : 챔버고정핀 612 : 핀실린더
620 : 플레이트실린더 630 : 플레이트이송롤러
640 : 롤러레일 650 : 레일모터
660 : 이동홈 670 : 안전탄성체
700 : 챔버승하강부 710 : 챔버승하강수단
711 : 고정프레임 712 : 승하강프레임
720 : 승하강스크류 721 : 스크류모터
722 : 스크류부재 723 : 높낮이감지센서
750 : 챔버회전수단 751 : 회전프레임
752 : 회전플레이트 753 : 회전레일
754 : 회전롤러 755 : 롤러지지대
760 : 회전각도센서 770 : 회전고정핀
771 : 고정핀스토퍼 772 : 핀홈

Claims (2)

  1. 전자장비에 사용되는 전선을 권출시키기 위한 전선권출장치부를 포함하는 전선권출장치 및 에어부스를 포함하는 전자장비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선권출장치부는,
    작업자가 권출되는 권출전선 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안전프레임;
    권출전선이 안착되며, 안착된 권출전선을 지지하도록 안전프레임 내부 지면에 형성되는 권출프레임;
    권출전선이 권출되는 전선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며, 바고정단에 안착 될 수 있도록 권출전선 중앙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권출바;
    권출바가 안착 고정되도록 권출프레임 일측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바고정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선권출장치부는,
    권출되는 전선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권출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권출조절부는,
    구동체인을 회전시키기 위해 권출프레임 일측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구동기어;
    회전되는 구동체인 사이에 결합되어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이동기어;
    이동기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권출프레임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구동기어에 연결 형성되는 구동체인;
    구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권출프레임 일측으로 구동기어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구동기어와 연결 형성되는 구동모터;
    바고정단과 이동기어 간 연결을 위해 이동기어 일측과 바고정단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권출장치부는,
    안착되는 권출전선을 바고정단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선안착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안착이동부는,
    권출전선을 권출프레임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수단; 및
    권출프레임 측으로 이동되는 권출전선을 바고정단의 위치 측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롤승하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수단은,
    슬라이드플레이트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슬라이드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권출프레임 내부에서 외부측 지면에 형성되는 지면프레임;
    지면프레임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지면프레임에서 일전 간격을 두고 상부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플레이트;
    복수개의 롤러부재를 각각 고정하기 위해 지면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
    복수개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에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롤러부재;
    지면프레임을 기준으로 슬라이드플레이트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면프레임 일측에 형성되어 실린더 축이 슬라이드플레이트 일측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롤승하강수단은,
    권출전선이 안착되어 승하강되도록 슬라이드플레이트 상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승하강플레이트;
    안착되는 권출전선이 흔들림에 의해 승하강플레이트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승하강플레이트 상부로 형성되는 롤고정부재;
    권출전선을 승항강시키기 위해 승하강플레이트 하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안착실린더;
    승하강플레이트의 하강시 안착실린더에 가해지는 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해 슬라이드플레이트 상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안착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권출장치부는,
    전자장비 측으로 권출되는 전선의 텐션을 감지하여 설정되는 텐션값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전선텐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텐션부는,
    밀착롤러를 지지하도록 권출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대;
    권출되는 전선을 밀착시키기 위해 전선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밀착롤러;
    전선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밀착롤러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밀착롤러 일측으로 형성되는 밀착고정바;
    밀착고정바를 지지대 측으로 연결 시키기 위해 밀착고정바 하부로 형성되는 롤러고정대;
    권출되는 전선의 텐션을 감지하도록 권출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텐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전선권출장치 및 에어부스를 포함하는 전자장비제조시스템.
  2. 삭제
KR1020200076219A 2020-06-23 2020-06-23 전선권출장치 KR102193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19A KR102193112B1 (ko) 2020-06-23 2020-06-23 전선권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19A KR102193112B1 (ko) 2020-06-23 2020-06-23 전선권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112B1 true KR102193112B1 (ko) 2020-12-18

Family

ID=7404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19A KR102193112B1 (ko) 2020-06-23 2020-06-23 전선권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1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8757A (zh) * 2021-01-13 2021-05-07 白银有色长通电线电缆有限责任公司 一种多组电缆盘放线装置
CN115108390A (zh) * 2022-08-05 2022-09-27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电力施工用的放线装置
CN117602449A (zh) * 2024-01-23 2024-02-27 盛世华通(山东)电气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光伏电站的移动电缆安装导引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331B1 (ko) * 2001-02-15 2003-09-03 한국산업안전공단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KR100942580B1 (ko) 2008-04-03 2010-02-16 (주)강화이엔씨 전선관 권출기
JP2014024112A (ja) * 2012-07-30 2014-02-06 Hirotec Corp 自動車用排気系部品の自動溶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331B1 (ko) * 2001-02-15 2003-09-03 한국산업안전공단 용접전선 송급 및 회수장치
KR100942580B1 (ko) 2008-04-03 2010-02-16 (주)강화이엔씨 전선관 권출기
JP2014024112A (ja) * 2012-07-30 2014-02-06 Hirotec Corp 自動車用排気系部品の自動溶接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8757A (zh) * 2021-01-13 2021-05-07 白银有色长通电线电缆有限责任公司 一种多组电缆盘放线装置
CN112758757B (zh) * 2021-01-13 2022-06-28 白银有色长通电线电缆有限责任公司 一种多组电缆盘放线装置
CN115108390A (zh) * 2022-08-05 2022-09-27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电力施工用的放线装置
CN115108390B (zh) * 2022-08-05 2023-09-08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电力施工用的放线装置
CN117602449A (zh) * 2024-01-23 2024-02-27 盛世华通(山东)电气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光伏电站的移动电缆安装导引装置
CN117602449B (zh) * 2024-01-23 2024-04-09 盛世华通(山东)电气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光伏电站的移动电缆安装导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112B1 (ko) 전선권출장치
KR102452199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
JPH0885603A (ja) 保管装置
WO2011024612A1 (ja) ゲート装置
US7234502B2 (en) Overhead door apparatus with enclosed counterbalance mechanism
KR102193123B1 (ko) 에어부스
KR102082040B1 (ko)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JP4353898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0079603A1 (ja) 昇降装置
US6688374B2 (en) Barrier with movable curtain
KR20130101698A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2560658B1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KR20090084190A (ko) 이동식 작업장
JPH0586775A (ja) 上下式カーテン型物品搬出入ドアの取外し可能の密封装置
CN107916805A (zh) 快速升降结构的防尘作业棚
CN107724726A (zh) 一种基于防尘作业棚的无尘作业方法
KR101306648B1 (ko) 상해방지장치를 갖는 로프형 플랫폼 안전장치
KR101547894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EP2123196A1 (en) Retractable bed structure
CN108447577B (zh) 屏蔽帘防护装置、方法、设备及检测系统
JP5612865B2 (ja) 電動昇降式収納庫ユニット
JP2000248767A (ja) 立体駐車設備のゲート装置
KR102446293B1 (ko) 사다리차 탑승장치
KR102446299B1 (ko) 고소작업대탑승장치
JP2019156558A (ja) 搬器ユニット、及び、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