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040B1 -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040B1
KR102082040B1 KR1020180036956A KR20180036956A KR102082040B1 KR 102082040 B1 KR102082040 B1 KR 102082040B1 KR 1020180036956 A KR1020180036956 A KR 1020180036956A KR 20180036956 A KR20180036956 A KR 20180036956A KR 102082040 B1 KR102082040 B1 KR 102082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lowering
lifting
door fram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364A (ko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박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태 filed Critical 박종태
Priority to KR1020180036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04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짝이 설치되는 문짝틀에서 문짝틀의 문턱을 길이방향으로 3분할하여 양측은 고정문턱으로 형성하고, 중앙은 승하강중앙문턱으로 형성하여, 상기 승하강중앙문턱을 승하강중앙문턱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의해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문턱자동승하강장치는 자동 또는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이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승하강중앙문턱을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의해 하강시켜 문턱의 높이를 낮춰줌으로써 통행경로를 원활하게 확보하여 낮춰진 문턱을 통해 이삿짐이나 휠체어 및 침대 등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인명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고, 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승하강중앙문턱을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의해 승하강중앙문턱을 승강시킨 상태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방화문짝을 억류 지지시키고 연기를 차단하여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A Threshold Rise-fall Apparatus for Fire Prevention Door}
본 발명은 화재의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방화문에서 방화문짝이 설치되는 문짝틀의 문턱을 휠체인를 탑승한 사람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승하강시키는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방화문짝이 설치되는 문짝틀에서 문짝틀의 문턱을 길이방향으로 3분할하여 양측은 고정문턱으로 형성하고, 중앙은 승하강중앙문턱으로 형성하여, 상기 승하강중앙문턱을 승하강중앙문턱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의해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문턱자동승하강장치는 자동 또는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승하강중앙문턱을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의해 하강시켜 문턱의 높이를 낮춰줌으로써 통행경로를 원활하게 확보하여, 낮춰진 문턱을 통해 이삿짐, 휠체어 및 침대 등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인명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고, 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승하강중앙문턱을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의해 승하강중앙문턱을 승강시킨 상태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방화문짝을 억류 지지시키고 연기를 차단하여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된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방화문(防火門)은 화재의 확대 및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에 설치하는 문으로서, 건물 위주의 개구부에 설치하는 경우는 주로 연소를, 내부의 방화벽 등의 방화구획에 있는 개구부에 설치하는 경우는 화재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방화문(防火門)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통행이 가능하지만, 화재시에는 화염의 침투를 방지하므로 화재 피해의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고, 화염의 전파를 최소화하며, 피난 경로를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시설이다.
도 5는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종래의 방화문을 보인 예시도이다.
종래의 방화문은 건물에 고정 설치되는 문짝틀(20)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방화문짝이 경첩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문짝틀(20)의 문턱(25)은 문턱블록(25)의 상면 중앙에 중앙문턱(27)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턱(25)은 문턱블록(26)의 상면 중앙에 중앙문턱(27)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 돌출된 중앙문턱(27)이 피난경로를 방해하게 되어 휠체어 및 침대 등의 이동을 방해하게 되며, 따라서 피난시간을 지체시키게 되어 인명 및 안전 사고를 유발시키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으로는,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557호(선박의 승선자 편의를 위한 문턱기구), 등록특허 제10-0986060호(도장공장용 방화도어), 등록특허 제10-1464627호(방화문의 문턱 승강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등록특허 제10-0986060호(도장공장용 방화도어)는, 상부가 개방된 커버부재를 작업장 바닥면의 피트 내부에 설치하고, 커버부재의 내부에는 캠유닛이 등간격으로 장착된 회전샤프트를 굴대 설치하여 피니언베벨기어 및 베벨기어를 이용한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시키며, 캠유닛의 상측부에는 바닥문틀프레임을 베벨기어의 회전샤프트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회전샤프트에 장착된 캠유닛(지지편)에 의해 바닥문틀레임(문턱)을 평상시에는 상향시켜 주고 있으므로 바닥문틀레임(문턱)을 지지하는 캠유닛(지지편)이 약하여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캠유닛이 쉽게 손상되고 바닥문틀레임(문턱)도 쉽게 변형되며, 바닥문틀레임(문턱)의 변형에 의해 바닥문틀레임(문턱)이 원활하게 작동되지 못하여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557호(선박의 승선자 편의를 위한 문턱기구)는, 선박의 데크상에서 프레임의 하측에는 문턱을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문턱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편심캡을 등간격으로 유지시켜 각 편심캡의 중심을 축으로 굴대 설치하며, 각 편심캡의 하단부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원상태(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로드에 회전가능하게 축설하며, 상기 로드는 도어의 힌지축과 연결되는 치차에 의해 좌우 이동하도록 된 것으로서, 선박에서 도어의 하단에 설치된 문턱이 도어와 연동으로 승하강하도록 구성하여 폐쇄시 기밀 기능을 유지하고 개방시 통행 편의성을 얻도록 된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464627호(방화문의 문턱 승강장치)는, 바닥문틀에 힌지 결합된 문턱부재와, 바닥문틀과 수직문틀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로드가 방화문의 여닫음에 따라 이동(좌우)하되 개방되는 방화문에 의해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을 가하는 복원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며, 이동 로드에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된 가압부는 이동 로드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문턱부재의 밑면에 형성된 직감삭형홈을 따라 좌우 이동하면서 문턱부재를 상승 또는 하향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도어를 개방할 때마다 문턱을 낮춰주므로 승선자 또는 통행자가 용이하게 승선할 수 있으나, 빈번한 작동으로 인하여 쉽게 손상되고, 도어를 닫고 있을 때에는 문턱(문턱부재)을 높여 주기 위해 코일스프링이 항상 늘려져 있으므로 기간이 경과할수록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이 현저히 약화되어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하지 못하여 도어가 개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문턱(문턱부재)을 낮춰주지 못하게 되며, 이와 같이 문턱(문턱부재)을여 인위적으로 낮춰주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안출된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화문짝이 설치되는 문짝틀에서 문짝틀의 문턱을 길이방향으로 3분할하여 양측은 고정문턱으로 형성하고, 중앙은 승하강중앙문턱으로 형성하여, 상기 승하강중앙문턱을 승하강중앙문턱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의해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상시에는 승하강중앙문턱을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의해 하강시켜 문턱의 높이를 낮춰줌으로써 통행경로를 원활하게 확보하여 낮춰진 문턱을 통해 이삿짐, 휠체어 및 침대 등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인명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고, 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승하강중앙문턱을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의해 승하강중앙문턱을 승강시킨 상태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방화문짝을 억류 지지시키고, 연기를 차단하여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된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방화문짝이 설치되는 문짝틀의 문턱을 길이방향에서 3분할 하여 양측의 분할문턱은 고정문턱블럭으로 형성하고, 중앙의 분할문턱은 승하강중앙문턱블럭으로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중앙문턱블럭을 승하강중앙문턱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삭제
삭제
상기 승하강중앙문턱을 승하강시키는 문턱자동승하강장치는;
하나의 동력원인 감속모터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문턱승하강장치들의 양방향이중스크루봉이 연결소켓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문턱승하강장치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는, 방화문짝이 설치되는 문짝틀에서 문짝틀의 문턱을 길이방향으로 3분할하여 양측은 고정문턱으로 형성하고 중앙은 승하강중앙문턱으로 형성하여, 상기 승하강중앙문턱을 승하강중앙문턱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의해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문턱자동승하강장치는 자동 또는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문턱자동승하강장치는 자동 또는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승하강중앙문턱을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의해 하강시켜 문턱의 높이를 낮춰줌으로써 통행경로를 원활하게 확보하여 낮춰진 문턱을 통해 이삿짐, 휠체어 및 침대 등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인명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고, 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승하강중앙문턱을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의해 승하강중앙문턱을 승강시킨 상태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방화문짝을 억류 지지시키고 연기를 차단하여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가 설치된 방화문을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를 정면에서 본 구성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를 측면에서 본 구성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종래 방화문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의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가 설치된 방화문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를 정면에서 본 구성 및 작동관계 설명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를 측면에서 본 구성 및 작동관계 설명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짜여진(조립된) 문짝틀(20)의 문짝틀(20)을 내측에 방화문짝(10)을 경첩(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장착(설치)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된 방화문에서, 상기 문짝틀(20)에서 건물바닥면(1)에 설치되는 하측의 문턱을 양측의 고정문턱블록(21)과 중앙의 승하강중앙문턱블록(31)으로 분할하여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할된 양측의 고정문턱블록(21)과 중앙의 승하강중앙문턱블록(31)에서 승하강중앙문턱블록(31)은 도 2a 내지 도 3b에 예시된바와 같이 승하강중앙문턱블록(31)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에 의해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승하강중앙문턱블록(31)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배면의 상단부에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된 이물질침투방지용 가스켓(31-1)을 각각 설치하여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비롯하여 연기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는 하나의 동력원인 감속모터(40)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문턱승하강장치(30-1)들의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이 연결소켓(43)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문턱승하강장치(30-1)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감속모터(4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이미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감지장치의 감지센서와 연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화재가 감지되면 경보음과 함께 감속모터(40)가 작동되도록 하거나, 또는 감속모터(40)에 조작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감속모터(40)이 작동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의 승하강중앙문턱(31)을 하향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감속모터(40)의 회전축에는 유니버셜조인트와 같은 연결소켓(41)을 이용하여 플렉시블와이어(42)를 연결하여 감속모터(40)의 정역작동에 의해 플렉시블와이어(42)를 정역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플렉시블와이어(42)의 타단은 유니버셜조인트와 같은 연결소켓(43)에 의해 장치판(38)의 상측에 일렬종대로 연결하여 설치된 복수개의 문턱승하강장치(30-1)중에서 인접하는 문턱승하강장치(30-1)의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에 연결하였으며, 장치판(38)의 상측에 일렬종대로 연결하여 설치된 복수개의 문턱승하강장치(30-1)는 각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을 유니버셜조인트와 같은 연결소켓(43)으로 연결하여 문턱승하강장치(30-1)들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문턱승하강장치(30-1)는 다음과 같이 형성(구성)하였다.
장치판(38)의 상면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반대방향의 기어로 형성된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의 양단을 지지블럭(44)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굴대 설치하여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의 정역 회전에 의해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하였고, 상기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의 양측 스크루봉에는 한 쌍의 이동블럭(36)을 각각 나사 결합하였다.
상기 양측 이동블럭(35)의 하측에서 지지블럭(44)과 지지블럭(44)과의 사이에는 가이드레일(37)을 고정 설치하였고, 상기 각 양측 이동블럭(35)이 가이드레일(37)에 의해 억류 및 가이드되면서 이동(근접 및 이격)하도록 하였다.
상기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의 중앙 상측에서 승하강중앙문턱(31)의 밑면에는 장착금구(32)를 고정 설치하였으며, 상기 각 이동블럭(36)의 상단과 장착금구(32)의 양측에는 각 로드(33)의 양단을 축(34)(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굴대 설치하였다.
특히, 상기 양측의 지지블럭(21) 중에서 어느 일측의 지지블럭(21)의 내면 중간부와 하단부에는 상측센싱수단(SEN1)과 하측센싱수단(SEN2)을 각각 구비하였고, 이동블럭(31)의 승하강을 상측센싱수단(SEN1)과 하측센싱수단(SEN2)에 의해 감지하여 감속모터(40)의 정역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상측센싱수단(SEN1)과 하측센싱수단(SEN2)으로는 근접센서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들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상기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는 하나의 동력원인 감속모터(40)를 이용하여 연결소켓(43)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문턱승하강장치(30-1)를 동시에 작동시켜 승하강중앙문턱(31)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속모터(40)는 이미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감지장치의 감지센서(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와 연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화재가 감지되면 경보음과 함께 감속모터(40)이 작동되거나, 또는 감속모터(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수동 조작에 의해 감속모터(40)를 작동시켜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의 승하강중앙문턱(31)을 상향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는 평상시에 도 2b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중앙문턱(31)이 하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하강중앙문턱(31)이 하향된 상태는 통상적으로 생활할 때의 상태로서 승하강중앙문턱(31)이 하향되어 건물바닥면(1)과 거의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고, 고정문턱(21)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휠체어를 비롯하여 바퀴가 부착된 침대 등은 하향된 상태의 승하강중앙문턱(31)을 쉽게 넘어갈 수 있으며, 따라서 휠체어 및 침대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승하강중앙문턱(31)이 하향된 상태에서,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하여 화재감지장치의 감지센서(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가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음과 함께 감속모터(40)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사용자가 감속모터(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하여 감속모터(40)를 작동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감속모터(40)가 작동하면 연결소켓(41)으로 연결된 플렉시블와이어(42)가 회전하게 되고, 플렉시블와이어(42)가 회전하면 연결소켓(43)으로 연결되어 일렬로 정렬 설치된 각 문턱승하강장치(30-1)들의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들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각 문턱승하강장치(30-1)들의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들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면,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양측의 이동블럭(36)들이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의 각 스크루봉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양측의 이동블럭(36)들이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의 각 스크루봉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할 때에 가이드레일(37)에 억류되어 있는 양측의 이동블럭(36)들은 회전하지 않고, 가이드레일(37)을 따라(가이드되면서) 이동하여 집결된다.
양측의 이동블럭(36)들이 가이드레일(37)을 따라(가이드되면서)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집결되면, 눕혀져 있던 로드(33)들이 세워지면서 축(34)으로 연결된 장착금구(32)와 함께 장착금구(32)가 고정(장착)되어 있는 승하강중앙문턱(31)을 상향시키게 된다.
특히 승하강중앙문턱(31)이 상승할 때에 승하강중앙문턱(31)의 하단이 고정문턱(21)의 중간부에 설치된 상측센싱수단(SEN1)를 벗어나게 되면 상측센싱수단(SEN1)은 감속모터(4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감속모터(40)의 작동에 의해 각 문턱승하강장치(30-1)들의 장착금구(32)가 상향하여 도 2a 및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중앙문턱(31)을 완전히 상향시키게 되면, 건물바닥면(1)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고 있던 승하강중앙문턱(31)은 결국 고정문턱(21)보다 h1의 이 높이만큼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하강중앙문턱(31)이 고정문턱(21)보다 h1의 높이만큼 상승하여 건물바닥면(1)으로부터 h1만큼 높게 유지하고 있으므로 닫혀지는 방화문짝(10)을 억류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결국 방화문의 방화문짝(10)은 문짝틀(20)에 완전히 닫혀있는 상태로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화재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를 완전히 차단시키게 된다.
반면에 상기와 같이 승하강중앙문턱(31)이 상승된 상태에서 감속모터(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역으로 조작하게 되면, 연결소켓(41)으로 연결된 플렉시블와이어(42)와 함께 각 문턱승하강장치(30-1)들의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들을 역회전시키게 되고, 각 문턱승하강장치(30-1)들의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들을 역회전되면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의 중앙으로 집결되어 있던 이동블럭(36)들이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의 양측으로 이격된다.
집결되어 있던 이동블럭(36)들이 양방향이중스크루봉(45)의 양측으로 이격되면서 세워져 있던 양측의 로드(33)들을 눕혀주게 되고, 양측의 로드(33)들이 눕혀지면서 장착금구(32)와 함께 상향되어 있던 승하강중앙문턱(31)을 하향시키게 되며, 승하강중앙문턱(31)이 하향하게 되면 하측센싱수단(SEN2)에 의해 하향상태가 감지되며, 승하강중앙문턱(31)의 하향상태가 하측센싱수단(SEN2)에 의해 감지되면 감속모터(40)의 역회전 작동을 정지시킨다.
하향된 승하강중앙문턱(31)은 도 2b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하향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승하강중앙문턱(31)이 하향된 상태는 통상적으로 생활할 때의 상태로서 승하강중앙문턱(31)이 하향되어 건물바닥면(1)과 거의 동일한 높이 에 있는 고정문턱(21)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삿짐을 옮기거나 휠체어를 비롯하여 바퀴가 부착된 침대 등을 용이하고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턱자동승하강장치(30)는 하나의 동력원인 감속모터(40)를 정역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연결소켓(43)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문턱승하강장치(30-1)를 동시에 작동시켜 승하강중앙문턱(31)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승하강중앙문턱블록(31)은 전면과 배면의 상단부에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된 이물질침투방지용 가스켓(31-1)을 각각 설치하였으므로 승하강중앙문턱블록(31)과 고정문턱블럭(21)과의 사이(틈 사이)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비롯하여 연기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건물바닥면 10: 방화문짝
20: 문짝틀 21: 고정문턱블럭
25: 문턱 26: 문턱블럭
30: 문턱자동승하강장치 30-1: 문턱승하강장치
31: 승하강중앙문턱 32: 장착금구
33: 로드 36: 이동블럭
37: 가이드레일 38: 장치판
40: 감속모터 41. 43: 연결소켓
42: 플렉시블와이어 44: 지지블럭
45: 이중스크루봉 SEN1: 상측센싱수단
SEN2: 하측센싱수단

Claims (7)

  1. 삭제
  2. 방화문짝이 설치되는 문짝틀의 문턱을 길이방향에서 3분할 하여 양측의 분할문턱은 고정문턱블럭으로 형성하고, 중앙의 분할문턱은 승하강중앙문턱블럭으로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중앙문턱블럭을 승하강중앙문턱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문턱자동승하강장치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중앙문턱을 승하강시키는 문턱자동승하강장치는;
    하나의 동력원인 감속모터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문턱승하강장치들의 양방향이중스크루봉이 연결소켓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문턱승하강장치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문턱자동승하강장치의 각 문턱승하강장치는;
    장치판의 상면에는 양방향이중스크루봉의 양단을 지지블럭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굴대 설치한 것과;
    상기 양방향이중스크루봉의 양측 스크루봉에는 한 쌍의 이동블럭을 각각 나사 결합시킨 것과;
    상기 양측 이동블럭의 하측에서 지지블럭과 지지블럭과의 사이에는 가이드레일을 고정 설치한 것과;
    상기 각 양측 이동블럭이 가이드레일에 의해 억류 및 가이드되면서 이동(근접 및 이격)하도록 된 것과;
    상기 양방향이중스크루봉의 중앙 상측에서 승하강중앙문턱의 밑면에는 장착금구를 고정 설치한 것과;
    상기 각 이동블럭의 상단과 장착금구의 양측에는 각 로드의 양단을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굴대 설치한 것;
    상기 일측의 지지블럭의 내면 중간부와 하단부에는 이동블럭의 승하강을 감지하여 감속모터의 정역 작동을 제어하는 상측센싱수단과 하측센싱을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감속모터는;
    이미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감지장치의 감지센서와 연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화재가 감지되면 경보음과 함께 작동되도록 한 것과;
    조작스위치를 감속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감속모터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각 문턱승하강장치의 양방향이중스크루봉을 연결하는 연결소켓은;
    유니버셜조인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측의 지지블럭의 내면 중간부와 하단부에 설치되는 상측센싱수단과 하측센싱수단은;
    근접센서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KR1020180036956A 2018-03-30 2018-03-30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KR102082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956A KR102082040B1 (ko) 2018-03-30 2018-03-30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956A KR102082040B1 (ko) 2018-03-30 2018-03-30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64A KR20190114364A (ko) 2019-10-10
KR102082040B1 true KR102082040B1 (ko) 2020-02-26

Family

ID=6820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956A KR102082040B1 (ko) 2018-03-30 2018-03-30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0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077B1 (ko) 2020-05-20 2021-05-28 주식회사 한라에프에스디 방화문의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5664B (zh) * 2020-05-07 2021-05-28 武汉第二船舶设计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船用可升降门槛
CN111392102B (zh) * 2020-06-04 2020-08-18 新三和(烟台)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食品生产的包装装置
CN112302475B (zh) * 2020-12-08 2022-09-16 中国建筑标准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手电两用的环形升降门槛
KR102303498B1 (ko) * 2021-03-12 2021-10-19 주식회사 아키그린 장애인용 문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491A (ko) * 2007-07-23 2009-0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화문틀
KR20150000557U (ko) * 2013-07-26 2015-02-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승선자 편의를 위한 문턱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077B1 (ko) 2020-05-20 2021-05-28 주식회사 한라에프에스디 방화문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64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040B1 (ko) 방화문용 문짝틀의 문턱자동승하강장치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US43566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or protection
US5111906A (en) Retractable ladder apparatus
KR102193112B1 (ko) 전선권출장치
KR20090084190A (ko) 이동식 작업장
JP6355356B2 (ja) 防水扉
JP6570838B2 (ja) 防水シャッター
JP6174304B2 (ja) 引き戸用手摺、引き戸装置
EA036861B1 (ru)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фасадов зданий
JP7066500B2 (ja) 防水扉
CN212334331U (zh) 一种基于ups不间断电源的升降机逃生用门控装置
KR102193123B1 (ko) 에어부스
JP6190719B2 (ja) 防水扉の動作制御装置及び防水扉
JP5808196B2 (ja) 開閉制御装置
US3903647A (en) Automatic sliding door
JP7066501B2 (ja) 防水シャッター
KR100850317B1 (ko) 문턱 승강장치
JP6489748B2 (ja) 防水扉
JP5713838B2 (ja) 開閉制御装置
JP6735141B2 (ja) 扉装置における補強中柱の設置構造
RU197339U1 (ru) Вертикально-подъемные ворота
RU220579U1 (ru) Вертикально-подъемные ворота
TWM547504U (zh) 月台門裝置
JP6735373B2 (ja) 防水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