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580B1 - 전선관 권출기 - Google Patents

전선관 권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580B1
KR100942580B1 KR1020080031033A KR20080031033A KR100942580B1 KR 100942580 B1 KR100942580 B1 KR 100942580B1 KR 1020080031033 A KR1020080031033 A KR 1020080031033A KR 20080031033 A KR20080031033 A KR 20080031033A KR 100942580 B1 KR100942580 B1 KR 100942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seating
frame
unwind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5523A (ko
Inventor
박삼진
Original Assignee
(주)강화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강화이엔씨 filed Critical (주)강화이엔씨
Priority to KR1020080031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580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30Swifts or skein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Handcart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관 권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권출기의 안착부를 구성하여 전선관을 안착시킴과 아울러 보관 및 이동시 용이하도록 한 전선관 권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롤형 전선관을 안착시켜 권출시키도록 회전되게 결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전선관의 내주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을 포함하는 롤형 전선관 권출기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0)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판(15)의 상부면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주연부에 일정 간격으로 끼움공(23)이 형성된 베이스판(22)과; 상기 베이스판(22)의 끼움공(23)에 일측이 끼움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안착프레임(25)과; 상기 안착프레임(25)의 타측 단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안착프레임(25)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고리형의 연결프레임(2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선관, 베이스판, 안착프레임, 안착홈, 연결프레임

Description

전선관 권출기{UNWINDING DEVICE OF ROLL TYPE ELECTRIC PIPES}
본 발명은 전선관 권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권출기의 안착부를 구성하여 전선관을 안착시킴과 아울러 보관 및 이동시 용이하도록 한 전선관 권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구조물 및 지중에 설치되는 전선관을 권출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지는 롤형 전선관 권출장치는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통상 전선관을 권출하는 수단으로 일정 직경을 갖는 지지판의 중앙부에 기둥부재를 세워 놓고, 상기 기둥부재가 전선관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기둥부재의 상측에서 전선관을 내려놓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전선관을 권출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기둥부재가 전선관의 이탈을 방지시켜 전선관을 권출시키고 있으나, 상기 기둥부재가 전선관의 내주면에 밀착되지 않고 내측공간에 돌출되어 있는 관계로 전선관의 권출시 회전력에 따라 사방으로 유동되면서 권출되어 지고, 이로 인해 상기 기둥부재가 파손되거나 전선관의 표피손상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
또한, 전선관의 유동에 따라 용이하게 권출되지 않음으로써 작업시간을 연장시킬 수 밖에 없으며,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가 전선관을 잡고 있는 상태로 전선관을 권출시키고 있으나, 이 또한 인건비의 낭비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전선관의 회전력을 버티기 어려워 결국 사방으로 유동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작업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749551호(2007.08.08, 발명의 명칭: 롤형 전선관 권출장치)를 출원하여 등록받은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권출장치의 경우 안착부가 분리되지 않아 이동시 어려움이 많았으며, 특히 사용 후 보관시에는 큰 부피로 인해 보관장소가 마땅치 않았을 뿐만 아니라 넓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여 큰 부피로 인한 보관시 어려움이나 이동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시 누구든지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취급이 용이한 전선관 권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롤형 전선관을 안착시켜 권출시키도록 회전되게 결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전선관의 내주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을 포함하는 롤형 전선관 권출기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0)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판(15)의 상부면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주연부에 일정 간격으로 끼움공(23)이 형성된 베이스판(22)과; 상기 베이스판(22)의 끼움공(23)에 일측이 끼움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안착프레임(25)과; 상기 안착프레임(25)의 타측 단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안착프레임(25)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고리형의 연결프레임(2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프레임(25)의 타측단부는 상측이 사분원형으로 절개되어 안착홈(2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27)은 두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봉(30)은 상기 안착프레임(25)의 측면에 직각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지지봉고정홈(35)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전선관의 적재량에 따 라 그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관 권출기의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여 큰 부피로 인한 보관시 어려움이나 이동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시 누구든지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선관 권출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권출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안착프레임을 보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착프레임에 연결프레임이 결속된 상태를 보인 단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끼움턱을 보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고정밴드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봉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권출기와 이송수레를 보인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권출기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판(15)과, 상기 지지판(15)의 상부에 전선관이 안착되는 안착부(20)와, 상기 안착부(20)에 안착되는 상기 전선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3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판(15)의 상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상기 안착부(20)에 상기 전선관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안착부(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전선관을 권출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전선관의 권취 및 권출과정 등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설명하지 않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 구성으로서, 상기 안착부(20)는 상기 지지판(15)의 상부면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주연부에 일정 간격으로 끼움공(23)이 형성된 베이스판(22)과, 상기 베이스판(22)의 끼움공(23)에 일측이 끼움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안착프레임(25)과, 상기 안착프레임(25)의 타측 단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안착프레임(25)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고리형의 연결프레임(27)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끼움공(23)에 상기 안착프레임(25)의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안착프레임(25)의 타측에 연결프레임(27)이 구비되어 상기 전선관을 안착 지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착프레임(25)의 타측 단부는 상기 연결프레임(27)의 정확한 안착을 위해 상측이 사분원형으로 절개되게 안착홈(2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27)은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수단에 의해 두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은 도 4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27)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턱(28)일 수 있으며, 상기 끼움턱(28)의 상호 결합으로 원형의 고리를 형성시키게 됨과 아울러 상기 안착홈(2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와 같이 통상의 고정밴드(29)일 수 있으며, 상기 고정밴드(29)의 동작원리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판(15)의 저부에는 용이하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40)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동수단의 내측은 상기 지지판(15)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대로 결합된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인 이동수단(40)의 진행방향으로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지봉(30)은 상기 안착프레임(25)의 측면에 직각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지지봉고정홈(35)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전선관의 적재량에 따라 그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수의 전선관을 적재시키는 경우에는 하나의 전선관을 안착부(2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봉(30)으로 지지하고, 다시 다른 전선관을 이미 적재된 전선관의 상부로 올려놓은 후 상기 지지봉(30)의 내부에 인입된 보조지지봉(36)을 인출시켜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30)은 상기 전선관의 내경에 따라 상기 지지봉고정홈(35)에서 그 위치를 바꾸어 가면서 결속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권출기의 사용시 베이스판(22)에 형성된 각각의 끼움공(23)에 안착프레임(25)을 하나씩 끼워놓고, 상기 안착프레임(25)의 단부로 서로 연결시키도록 연결프레임(27)을 걸쳐놓는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27)은 도 4와 같이 두개의 사분원형의 연결프레 임(27)을 안착프레임(25)에 구비시킨 상태로 상호 결합시키거나 도 5와 같이 고정밴드(29)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키면 된다.
따라서, 권출기의 사용시 안착부(20)를 손쉽게 조립하여 완성시켜 놓은 상태에서 안착부(20)의 상부에 전선관을 올려놓고 지지봉(30)으로 지지한 상태로 권출시키고자 하는 길이만큼 권출시켜 사용하면 되며, 미 사용시에는 안착부(20)를 분리시킨 다음 일정 장소에 보관하면 되는데, 이 경우 부피의 감소로 장소가 협소하더라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권출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안착프레임을 보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착프레임에 연결프레임이 결속된 상태를 보인 단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끼움턱을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고정밴드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봉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권출기와 이송수레를 보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5: 지지판 20: 안착부
22: 베이스판 23: 끼움공
25: 안착프레임 26: 안착홈
27: 연결프레임 28: 끼움턱
29: 고정밴드 30: 지지봉
35: 지지봉삽입홈 40: 이동수레

Claims (3)

  1. 롤형 전선관을 안착시켜 권출시키도록 회전되게 결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전선관의 내주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을 포함하는 롤형 전선관 권출기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0)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판(15)의 상부면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주연부에 일정 간격으로 끼움공(23)이 형성된 베이스판(22)과;
    상기 베이스판(22)의 끼움공(23)에 일측이 끼움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안착프레임(25)과;
    상기 안착프레임(25)의 타측 단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안착프레임(25)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고리형의 연결프레임(2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권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프레임(25)의 타측단부는 상측이 사분원형으로 절개되어 안착홈(2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27)은 두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권출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30)은 상기 안착프레임(25)의 측면에 직각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지지봉고정홈(35)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전선관의 적재량에 따라 그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권출기.
KR1020080031033A 2008-04-03 2008-04-03 전선관 권출기 KR10094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033A KR100942580B1 (ko) 2008-04-03 2008-04-03 전선관 권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033A KR100942580B1 (ko) 2008-04-03 2008-04-03 전선관 권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523A KR20090105523A (ko) 2009-10-07
KR100942580B1 true KR100942580B1 (ko) 2010-02-16

Family

ID=4153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033A KR100942580B1 (ko) 2008-04-03 2008-04-03 전선관 권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5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123B1 (ko) 2020-06-23 2020-12-18 김동철 에어부스
KR102193112B1 (ko) 2020-06-23 2020-12-18 김동철 전선권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372Y1 (ko) * 1985-12-31 1989-04-20 한양화학 주식회사 전선 연결박스
KR200236601Y1 (ko) 2001-04-13 2001-10-11 금호엔지니어링 (주) 지하 매설물 공동 덕트 구조체
KR200273515Y1 (ko) 2002-01-21 2002-04-25 이종문 배관 단열재 덕트용 체결장치
KR20070064535A (ko) * 2005-12-17 2007-06-21 박삼진 롤형 전선관 권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372Y1 (ko) * 1985-12-31 1989-04-20 한양화학 주식회사 전선 연결박스
KR200236601Y1 (ko) 2001-04-13 2001-10-11 금호엔지니어링 (주) 지하 매설물 공동 덕트 구조체
KR200273515Y1 (ko) 2002-01-21 2002-04-25 이종문 배관 단열재 덕트용 체결장치
KR20070064535A (ko) * 2005-12-17 2007-06-21 박삼진 롤형 전선관 권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123B1 (ko) 2020-06-23 2020-12-18 김동철 에어부스
KR102193112B1 (ko) 2020-06-23 2020-12-18 김동철 전선권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523A (ko)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36179A (ja) ホース、ケーブル、またはその他を巻き取り、また解き放つための装置
KR100942580B1 (ko) 전선관 권출기
US9126612B2 (en) Cable reel trolley
JP4034276B2 (ja) ケ−ブルリ−ル
KR200476269Y1 (ko) 전선 풀림 장치
KR100955096B1 (ko) 이동식 소방호스 두루마리 장치
KR20110106725A (ko) 절첩이 가능한 휴대용 롤형 전선관 권출장치
KR100749551B1 (ko) 롤형 전선관 권출장치
CN211521163U (zh) 一种便于放线的电缆用绕线盘
KR100982467B1 (ko) 차량 장착형 전선관 권출기 지지장치
JP6760877B2 (ja) 消防用ホース巻取具
JP4345090B2 (ja) ホースの巻取装置
JP3115793U (ja) ケーブル等の繰出装置
JP2003054845A (ja) ホース巻取機
CN216426375U (zh) 一种建筑机电安装用电缆架设装置
CN219309717U (zh) 一种稳定放卷装置
KR200274772Y1 (ko) 전선풀림장치
JP2006152567A (ja) ロール保持装置
CN215891869U (zh) 用于管道机器人的移动平台
JP3208038U (ja) 把巻管繰出装置
KR20120000626A (ko) 호스 정리기
JP3223342U (ja) 花立て支持具
JP3227768U (ja) シートロールの支持装置
JP3131023U (ja) ケーブル繰り出し装置
JP3164012U (ja) ケーブル巻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