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375B1 -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375B1
KR101200375B1 KR1020100065782A KR20100065782A KR101200375B1 KR 101200375 B1 KR101200375 B1 KR 101200375B1 KR 1020100065782 A KR1020100065782 A KR 1020100065782A KR 20100065782 A KR20100065782 A KR 20100065782A KR 101200375 B1 KR101200375 B1 KR 101200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anel
emergency escape
spac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175A (ko
Inventor
나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6114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0037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Priority to KR1020100065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375B1/ko
Priority to EP11762989.9A priority patent/EP2554218B1/en
Priority to RU2012146726/12A priority patent/RU2558517C2/ru
Priority to PCT/KR2011/002122 priority patent/WO2011122817A2/ko
Priority to JP2013502465A priority patent/JP5648248B2/ja
Priority to US13/638,079 priority patent/US9409042B2/en
Priority to CN201180016965.4A priority patent/CN102946946B/zh
Publication of KR20120005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175A/ko
Publication of KR101200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JP2014102576A priority patent/JP5823570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건물의 해당층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에 대피공의 내주연을 커버하면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되는 탈출구캡; 상기 탈출구캡의 상/하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탈출구캡의 하측부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측부에 거치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강하는 하강부재; 상기 하강부재가 가이드부재를 따라 일정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완강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강된 하강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하강부재가 가이드부재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비상탈출장치{Emergency escap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대피상황 발생시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에 설치된 하강부재가 대피공에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층으로 일정속도로 하강하도록 하여 대피자의 신속한 탈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탈출장치로 많이 쓰이는 완강수단 즉, 완강기는 아파트, 호텔, 병원 등과 같은 고층건물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계단이나 하강기를 사용하기가 곤란한 경우에 창문이나 베란다 등의 외부로 통하는 부근에 설치되어 대피자의 자중에 의해 하강로프장치로 서서히 내려오는 안전피난기구이다. 즉, 완강기는 화재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출입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대피하지 못할 때 창문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대피자를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별도의 조작 없이 가슴에 안전벨트를 조이고 하강하면 자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고층건물의 하부로 하강 피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상탈출장치는,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완강기와 릴을 들고 창문 또는 베란다로 이동하여 건물에 고정된 거치대에 완강기의 클램프를 고정시키고, 로프의 일단에 연결된 안전벨트를 몸에 걸고 릴을 건물 밖으로 던져 릴에 권취되어 있는 로프가 풀어지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베란다 또는 창문을 통하여 건물 밖으로 내려가면 완강기에 의해 로프가 서서히 풀리므로 안전벨트를 통해 로프에 매달린 대피자는 천천히 하강하여 안전하게 지상에 착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완강기 등과 같은 완강수단을 한 공간에 복수의 대피자가 존재하는 경우 한 명의 대피자가 탈출을 완료한 후 다시 다른 대피자가 상기 완강수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완강수단의 하강 완료 후 안전벨트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나머지 다른 대피자들의 연속적이고 신속한 탈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로프 등을 이용하여 고층건물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하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람 등에 의해 상기 로프가 흔들리거나 하는 경우 대피자가 건물의 외벽이나 상기 외벽에 설치된 간판이나 발코니 창문 등과 같은 설치부재에 충돌하게 되어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에 설치된 하강부재가 대피공에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층으로 일정속도로 하강하도록 하여 대피자가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층으로 하강한 하강부재가 신속하게 원위치 되도록 하여 복수의 대피자가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하층으로 탈출하도록 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건물의 해당층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에 대피공의 내주연을 커버하면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되는 탈출구캡; 상기 탈출구캡의 상/하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탈출구캡의 하측부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측부에 거치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강하는 하강부재; 상기 하강부재가 가이드부재를 따라 일정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완강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강된 하강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하강부재가 가이드부재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에 설치된 하강부재가 대피공에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층으로 일정속도로 하강하여 대피자가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층으로 하강한 하강부재가 신속하게 원위치 되도록 하여 복수의 대피자가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하층으로 탈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건물의 화재대피공간 등에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시 해당 대피자들이 별도의 비상탈출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가 적용된 고층건물을 나타낸 일실시도;
도 2는 도 1의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의 비상탈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 투시도, 측단면 투시도 및 평단면 투시도;
도 7과 도 8은 각각 도 1의 비상탈출장치를 이용한 비상탈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1의 비상탈출장치가 적용된 고층건물을 나타낸 다른 실시도;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 투시도 및 평단면 투시도; 및
도 12와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 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가 적용된 고층건물을 나타낸 일실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의 비상탈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 투시도, 측단면 투시도 및 평단면 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고층건물의 해당층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P)에 대피공(P)의 내주연을 커버하면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되는 탈출구캡(110), 상기 탈출구캡(110)의 상/하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20), 상기 탈출구캡(110)의 하측부에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상측부에 거치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하강하는 하강부재(130), 상기 하강부재(130)가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일정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완강부재(140),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하강된 하강부재(13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150) 및 상기 하강부재(130)가 가이드부재(12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부재(16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화재대피공간이란, 예를 들면, 아파트 등의 세대와 세대간의 발코니 경계 구역 등에 마련되는 안전대피구역으로서, 위층과 아래층을 수직하게 연통하며 상기 비상탈출장치를 이용하여 대피자가 해당층으로부터 아래층으로 대피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대피공(P)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출구캡(110)은, 해당층의 화재대피공간 바닥면에 형성된 대피공(P)에 상기 대피공(P)의 내주연을 커버할 수 있도록 대피공(P)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대피공(P)이 형성된 슬라브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삽입구(111), 상기 삽입구(111)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며 삽입구(111)가 대피공(P)에 삽입되는 경우 대피공(P) 주위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플랜지(112), 상기 플랜지(112)의 하측단에 구비되어 플랜지(112)가 바닥면에 지지되는 경우 플랜지(112)와 바닥면 사이에 완충을 제공하는 완충스프링(미부호), 상기 삽입구(111)의 내측에 형성되어 후술된 완강부재(140)가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완강부재위치공간(114) 및 상기 완강부재위치공간(114)의 격벽에 설치되어 후술된 가이드부재(120)가 대피공(P)의 상하측에 수직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구(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완강부재위치공간(114)은 후술된 완강부재(140)의 설치후 판넬 등을 통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구(115)는 상기 완강부재위치공간(114)의 격벽에 설치되는 연결편(115a), 상기 연결편(115a)에 볼팅 결합되는 연결구(115b) 및 상기 연결구(115b)의 상측단부와 하측단부에 후술된 가이드부재(120)에 삽입되는 삽입지지구(115c)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탈출구캡(110)에 의하면, 해당층의 바닥면에 형성된 대피공(P)에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구(111)가 삽입되어 후술된 하강부재(130)를 이용하여 대피자의 하강시 대피자의 신체가 대피공(P)의 벽면에 긁히거나 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스프링(미부호)을 통하여 해당층의 천정으로부터 하강하는 하강부재(120)가 바닥면에 위치되는 경우 쿠션을 제공하여 대피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탈출구캡(110)의 상/하측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후술된 하강부재(130)의 안전한 하강과 상승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탈출구캡(110) 지지구(115)의 상측단부와 하측단부에 각각 위치된 삽입지지구(115c)에 화재대피공간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21,12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지지구(115)의 상측단부에 위치된 삽입지지구(115c)에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이 삽입되기 이전에, 후술된 하강부재(130)가 가이드프레임(111,112)을 따라 하강 완료시 하강부재(13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스프링(123)과 상기 완충스프링(123)의 상단부에 고정 연결되어 가이드프레임(121,122)의 하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구(124)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120)에 의하면, 상기 탈출구캡(110) 지지구(115)의 상하측단에 각각 가이드프레임(121,122)이 삽입되어 상기 탈출구캡(110)을 대피공(P)의 주위 바닥면 또는 천정면을 매개로 지지하기 때문에 대피자가 하강부재(130)를 이용하여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하강하더라도 가이드프레임(121,122)이 흔들리지 않는 안전한 상태를 가질 수 있고, 단순히 지지구(115)의 삽입지지구(115c)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하여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은, 상기 탈출구캡(110)들의 거리 즉, 층고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탈출구캡(110)의 지지구(115)의 상하측단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복수개의 층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탈출구캡(110)과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21,122)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상측단에는 후술된 락킹부재(160)가 하강부재(130)를 지지 또는 지지 해제할 수 있는 상태로 위치되도록 하는 설치공(1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은, 대피자가 하강부재(130)를 통하여 아래층으로 하강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여 대피자로 하여금 안전한 탈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21,122)은, 상기 탈출구캡(110)의 격벽(115) 측에 대응되는 개방부위 즉,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중앙부위가 별도의 마감판넬(미도시) 등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위를 밀폐하여 미관을 좋게 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을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120)에 의하면,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P)에 설치되는 탈출구캡(110)의 지지구(115)에 수직하게 연결된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서 하강부재(120)가 하강되도록 하여, 종래의 로프를 이용한 탈출장치와 달리 외부의 바람 등에도 흔들리지 않아 대피자의 탈출시 건물 외벽의 설치부재와의 충돌 등을 방지하여 대피자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강부재(130)는, 상기 탈출구캡(110)의 삽입구(111) 하측단에 접촉되거나 대피공(P)이 형성된 해당층의 천정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120)에 거치되어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하강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일측 외형에 대응되는 한 쌍의 개구공간(131a)을 가지는 하강판넬(131), 상기 하강판넬(131)의 내부에 매설되는 한 쌍의 매설부(132a)를 통하여 하강판넬(131)을 지지하고 상기 개구공간(131a)에 대응된 가이드공간(132b)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에 가이드되도록 하며 후술된 완강부재(140)에 연결부(132c)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하강판넬(131)이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하는 노출부(132d)로 구성된 거치편(132), 상기 거치편(132)의 가이드공간(132b)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공간(132b)에 삽입된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접촉 회전되는 제1가이드롤러(133)와 제2가이드롤러(134) 및 상기 하강판넬(131)의 일측에 관통 구비되어 하강판넬(131)의 하측부를 가이드프레임(121,122)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상측단에 지지하기 위해 위치된 후술된 락킹부재(160)의 하강판넬(131) 지지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버튼(13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강판넬(131)은, 상기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P) 보다 큰 면적과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내구성이 강하고 무게가 비교적 가벼운 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벌집 형상 등과 같은 허니컴 구조를 가지는 중판이 상호간 접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강판넬(131)의 상측면에는, 상기 탈출구캡(110)의 삽입구(111) 내측에 대응되는 형상과 높이를 가지는 보조판넬(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에 접촉시 각각 회전되는 제1/2가이드롤러(133,134)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과의 접촉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지의 구성과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해제버튼(135)은, 비상상황 발생시 아래층으로 탈출을 위해 하강판넬(131)의 상측면에 올라선 대피자의 발에 의해 가압되는 헤드(135a), 상기 하강판넬(131)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헤드(135a)로부터 연장되어 헤드(135a)의 가압시 하강되어 후술된 락킹부재(160)의 후퇴경사면(164)을 가압하여 상기 하강판넬(131)을 지지하는 지지경사면(163)에 연결된 몸체(162)가 해당 가이드프레임의 설치공(125) 내측으로 후퇴되도록 하는 가압축(135b) 및 상기 가압축(135b)을 감싸는 상태로 하강판넬(131)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압축(135b)을 다시 상승시키는 탄성스프링(135c)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해제버튼(135)이 위치되는 하강판넬(131)의 개구공간(131a) 일측벽에는 후술된 락킹부재(160)의 지지경사면(163)이 출입되기 위한 출입공(131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하강부재(130)에 의하면,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서 하강판넬(131)이 하강되어 대피자가 건물 벽 등에 충돌하지 않고 안전하게 해당층으로부터 아래층으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완강부재(140)는, 상기 하강부재(130)가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일정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탈출구캡(110)의 삽입구(111) 내측에 형성된 완강부재위치공간(114)에 위치되는 하우징(미도시), 상기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풀리(142)를 구비하는 대기어(143), 상기 대기어(143)에 치합되도록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감속휠(144)을 구비하는 소기어(145), 상기 감속휠(144)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감속피스(146), 상기 감속휠(144)과 감속피스(146)를 감싸도록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고정되는 감속커버(147) 및 상기 풀리(142)에 감긴 상태에서 하우징(미도시)의 하부로 인출되는 일단이 상기 하강판넬(131)의 거치편(132) 중 연결부(132c)의 중심부에 고정되고 하우징(미도시)의 하부로 인출되는 타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이격공간에 위치되는 후술된 복귀부재(150)의 무게추(151)에 연결된 로프(14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미도시)은, 상기 탈출구캡(110)의 완강부재위치공간(114)에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로프(148)의 일단과 타단이 인출되기 위한 인출구(미도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기어(143)는, 상기 하우징(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비상대피시 상기 로프(148)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이러한 대기어(143)에는 로프(148)를 걸어 돌릴 수 있도록 풀리(142)가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축에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풀리(142)는 대기어(143)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소기어(145)는, 상기 대기어(143)와 치합되도록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비상대피시 대기어(143)를 통해 회전하는 것으로, 이러한 소기어(145)에는 회전시 대기어(143)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감속휠(144)이 구비되고, 상기 감속휠(144)에는 감속피스(146)를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돌기(144a)가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소기어(145)의 중앙부에는 축에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속휠(144)은 소기어(145)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다수개의 감속피스(146)는, 상기 감속휠(144)의 구획돌기(144a) 사이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하강판넬(131)의 하강시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개의 감속피스(146)는 상기 감속휠(144)의 회전시 원심력을 통해 각각 외측으로 밀려나가 감속커버(147)의 내면에 접촉되면서 강한 마찰력을 부여하여 감속휠(144)을 제동하게 된다.
상기 감속커버(147)는 상기 감속휠(144)과 감속피스(146)를 감싸는 것으로, 중앙부와 하측에는 축에 각각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기어(143)와 소기어(145)의 기어비는 약 3 대 1 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대기어(143)의 회전이 너무 빠른 경우 대기어(143)에 치합된 소기어(145)의 회전을 빠르게 하여 감속피스(146)를 통한 감속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기어(143)와 소기어(145)는, 각각 베벨기어나 웜기어 또는 헬리컬기어 등의 형상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미도시)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든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완강부재(140)에 의하면, 대피자가 해당층의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P) 하측부에 위치된 하강판넬(131)의 상측면에 위치되어 대피자의 체중에 의해 하강판넬(131)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대기어(143)에 치합된 소기어(145)의 감속부재들을 통하여 상기 하강판넬(131)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항상 일정한 속도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귀부재(150)는,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하강된 하강부재(1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완강부재(140)의 하우징(미도시)으로부터 인출되는 로프(148)의 타단에 연결되는 무게추(15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게추(151)는, 통상의 추(錘)로써,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하강 완료된 하강판넬(131)이 다시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상승 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하강부재(130)의 무게 보다 무거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게추(151)는, 막대 바 형상을 가지며 막대 바의 하단부에 로프(148)의 타단이 연결되며, 하강판넬(131)의 승강 동작에 따라 막대 바의 상단부가 상기 탈출구캡(110)의 완강부재위치공간(114)에 형성된 가이드공(116)을 따라 출입 승강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공(116)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층의 한 쌍의 가이드공(116)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공에 무게추(151)가 출입되는 경우, 해당 층의 윗층 또는 아래층은 다른 하나의 가이드공에 무게추(151)가 출입되도록 하는 지그재그 방식을 통하여 층별 무게추(151)의 승강 동작에 따른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귀부재(150)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하강된 하강판넬(131)이 신속하게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원위치로 상승함으로써, 해당층의 다른 대피자가 신속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락킹부재(160)는, 상기 하강부재(130)가 가이드부재(12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21,122)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상측단에 형성된 설치공(125)에 위치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싱(161), 상기 케이싱(161) 내부에 위치되는 몸체(162), 상기 몸체(162)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하여 설치공(125)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강판넬(131)의 일측이나 하측 즉, 출입공(131b)을 지지하여 하강판넬(131)의 하강을 방지하는 지지경사면(163), 상기 지지경사면(163)의 일측에 상기 지지경사면(163)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설치공(125)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해제버튼(135)의 가압축(135b) 하강에 따라 상기 몸체(162)가 케이싱(161)의 개구부 반대쪽으로 후퇴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경사면(163)의 하강판넬(131) 지지를 해제시키는 후퇴경사면(164) 및 상기 몸체(16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후퇴경사면(164)에 의해 케이싱(161)의 개구부 반대쪽으로 후퇴된 몸체(162)를 다시 전진시켜 상기 지지경사면(163)이 설치공(125)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상승하는 하강판넬(131)이 지지되도록 하는 회복스프링(16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경사면(163)은, 상기 해제버튼(135)의 가압시 프레임의 설치공(125) 내측으로 이동되어 하강판넬(131)이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안정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며, 상기 하강판넬(131)이 상기 락킹부재(160)가 위치된 부분을 통과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경사면(163)이 회복스프링(165)에 의해 다시 프레임의 설치공(125) 외측으로 이동되어 하강판넬(131)의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경사면(163)은, 상기 하강판넬(131)의 하강 완료 후 상기 복귀부재(150)에 의해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다시 상승되는 하강판넬(131)의 접촉면에 따라 다시 프레임의 설치공(125) 내측으로 이동되어 하강판넬(131)이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안정적으로 상승되도록 하며, 상기 하강판넬(131)이 상기 락킹부재(160)가 위치된 부분을 통과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경사면(163)이 회복스프링(165)에 의해 다시 프레임의 설치공(125) 외측으로 이동되어 하강판넬(131)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킹부재(160)에 의하면, 대피자가 상기 하강부재(130)의 하강판넬(131)에 위치된 상태에서 해제버튼(135)의 가압시 하강판넬(131)이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하강되도록 하여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대피자의 하강 완료후 다시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상승하는 하강판넬(131)이 지지경사면(163)에 지지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부주의로 대피자가 하강판넬(131)에 올라서더라도 하강판넬(131)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강부재(140)는, 로프(148)의 마찰력에 의하여 풀리(142)를 가지는 대기어(143)가 하강판넬(131)의 하강 또는 상승시 모두 회전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복귀부재(150)에 의해 하강판넬(131)이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상승하는 경우 상기 하강판넬(131)이 신속하게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상측부에 원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대기어(143)와 풀리(142) 사이에 라체트부재(미도시)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풀리(142)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화재 등과 같은 비상대피상황 발생시 정전 등에 의하여 상기 화재대피공간에 조명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대피자의 원활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조명부재(미도시)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상측에 설치된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에 동작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가 상기 완강부재(140)의 대기어(143) 또는 소기어(145)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대기어(143) 또는 소기어(145)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자석, 상기 자석의 외주면과 미세하게 이격된 코일함의 내부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양극선으로부터 상기 조명등까지 연결되는 전선 등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의 회전에 따라 그 극성과 교차되는 코일에 자력이 생기면서 발생되는 전기가 상기 조명등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재(150)는, 상기 완강부재(140)의 하우징(미도시)으로부터 인출되는 로프(148)의 타단에 연결되는 무게추(151)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하강된 하강부재(1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복귀부재(150)의 무게추(151) 대신에 공지의 태엽스프링이나 벨트 리트랙터 등과 같은 권취부재(미도시)가 상기 로프(148)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이격공간 상측부 또는 탈출구캡(110)의 삽입구(111)에 위치되어 상기 하강판넬(131)의 하강에 따라 권해되는 로프(148)가 신속하게 원상태로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프(148)의 일단이 움직도르레 또는 이동도르레를 통하여 하강판넬(13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탈출구캡(110)의 삽입구(111)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권취부재가 상기 하강판넬(131)을 상승시키는 경우 보다 적은 힘으로 하강판넬(131)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과 도 8은 각각 도 1의 비상탈출장치을 이용한 비상탈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층과 아래층을 수직하게 연통하는 대피공(P)이 형성된 화재대피공간에 있어서, 해당층의 천정에 위치된 대피공(P)과 바닥면에 위치된 대피공(P)에 각각 탈출구캡(110)이 설치된 후 상기 탈출구캡(110)의 상하측에 가이드부재(110)인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21,122)이 삽입 지지된다.
이후, 상기 탈출구캡(110)의 삽입구(111) 내측에 형성되는 완강부재위치공간(114)에 완강부재(140)가 구비되고, 상기 완강부재(140)의 로프(148)의 양단에 각각 하강부재(130)의 하강판넬(131)과 복귀부재(150)의 무게추(151)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하강부재(13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이 탈출구캡(110)에 삽입 지지되기 전에 하강판넬(131)과 거치편(132)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공간(132b)에 가이드프레임(121,122)이 삽입 가이드되는 상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로프(148)의 일단이 거치편(132)의 연결부(132c)에 연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151)에 연결된 로프(148)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상기 하강판넬(131)이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21,122)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프레임의 설치공(125)에 설치되는 락킹부재(160)의 지지경사면(163)에 지지되어 하강이 방지된 상태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화재대피공간에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대피상황이 발생되어 대피자가 해당층의 화재대피공간으로 이동한 후, 해당층의 바닥면에 형성된 대피공(P)의 하측 즉, 아래층의 천정에 접촉된 상태를 가지는 하강부재(130)의 하강판넬(131)에 위치한다.
이후, 대피자가 상기 하강부재(130)의 하강판넬(131) 상측부에 위치된 해제버튼(135)을 발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하강판넬(131)을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상측단 즉, 해당층의 천정면에 설치된 탈출구캡(110)의 하측단에 접촉되도록 지지하는 상기 지지경사면(163)의 지지 상태가 해제되게 되고, 대피자의 체중에 의해 상기 하강판넬(131)은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강판넬(131)의 하강시, 상기 복귀부재(150)의 무게추(151)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이격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해당 층의 바닥면 대피공(P)에 위치된 상기 탈출구캡(110)의 완강부재위치공간(114)에 형성된 가이드공(116)을 따라 출입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하강판넬(131)과 무게추(151)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 로프(148)의 마찰력에 의해 풀리(142)가 구비된 완강부재(140)의 대기어(143)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대기어(143)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대기어(143)에 치합된 소기어(145)의 감속휠(144)에 배치된 감속피스(146)가 감속휠(144)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감속휠(144)의 외측으로 밀려나가면서 감속커버(147)의 내면에 접촉되어 감속휠(144)의 회전을 제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대기어(143)가 서서히 회전하기 때문에 하강판넬(131)의 하강 속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강판넬(131)의 하강시 하강판넬(131)의 거치편(132)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1/2가이드롤러(133,134)가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접촉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하강판넬(131)이 흔들림이나 큰 마찰 없이 가이드프레임(111,112)을 따라 하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하강판넬(131)이 아래층의 바닥면에 형성된 대피공(P)에 설치된 탈출구캡(110)의 상측에 접촉될 때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대피자가 하강판넬(131)로부터 하차하면, 상기 하강판넬(131)에 가해지던 대피자의 체중이 해제되면서 상기 하강판넬(131)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강판넬(131)은, 상기 복귀부재(150)의 무게추(151)가 해당 층의 바닥면 대피공(P)에 위치된 상기 탈출구캡(110)의 가이드공(116)을 따라 출입 하강하게 됨에 따라, 상기 무게추(151)의 하강 높이에 대응되는 거리를 가지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강판넬(131)의 상승시 상기 완강부재(140)의 대기어(143)와 풀리(142) 사이에 구비된 라체트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대기어(143)는 회전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하강판넬(131)은 신속하게 원래의 위치 즉, 해당층의 천정에 형성된 대피공(P)의 하측에 접촉되는 상태를 가질 때까지 신속하게 상승하게 되어 해당층의 다른 대피자들이 신속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강판넬(131)이 해당층의 천정에 형성된 대피공(P)의 하측에 접촉되는 상태를 가질 때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기 하강판넬(131)은 상기 락킹부재(160)의 지지경사면(163)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하강판넬(131)의 해제버튼(135)의 가압 전까지 하강이 방지된 상태를 가진다.
한편, 도 9는 도 1의 비상탈출장치가 적용된 고층건물을 나타낸 다른 실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화재대피공간에 대피공(P)이 각 층마다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대피공간에 복수개의 대피공(P)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대피공(P)이 지그재그로 형성되어도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 투시도 및 평단면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탈출구캡(110)의 상/하측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하강부재(130)의 안전한 하강과 상승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120)가 상기 탈출구캡(110)의 지지구(115)에 설치되고 하강부재(130)가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승강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의하면,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가이드프레임(121)이 탈출구캡(110)에 구비된 단일의 지지구(115)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강부재(130)가 상기 단일의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의 정면과 배면 및 좌우 측면에는 하강부재(130)의 하강판넬(131) 가이드공간(132b)에 구비된 제1가이드롤러(133), 제2가이드롤러(134), 제3가이드롤러(136) 및 제4가이드롤러(137)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변형예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이 단일로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짐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151)는 막대 바 형상이 아닌 통상의 추(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완강부재위치공간(114)의 하측에는 상기 무게추(151)의 승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밀폐용 프레임이 무게추(151)의 승강 범위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12와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하강부재(130)가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일정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완강부재(140)가 상기 복귀부재(150)에 의해 하강판넬(131)이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상승하는 경우 상기 하강판넬(131)이 신속하게 가이드부재(120)의 상측부에 원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대기어(143)와 풀리(142) 사이에 라체트부재(미도시)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풀리(142)만 회전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의하면,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강부재(140)가 라체트부재 대신에, 대피자의 발에 의해 상기 하강판넬(131)이 가압되는 경우에만 상기 대기어(143)가 소기어(145)에 치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대기어(143)의 하측부에 치합된 상태를 가지는 피동기어(149a), 상기 피동기어(149a)의 고정축과 대기어(143)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대기어(143)를 지지하는 지지편(149b), 상기 지지편(149b)에 형성되어 상기 하강판넬(131)의 가압시 대기어(143)에 전달되는 힘의 방향으로 대기어(143)가 이동되도록 하여 대기어(143)와 소기어(145)의 치합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치합공(149c)을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로프(148)의 일단이 대기어(143)의 풀리(142)에 감긴 상태에서 하강판넬(131)의 일측에 고정되고 로프(148)의 중간부위가 무게추(151)에 구비된 회전도르레(149d)에 감기며 로프(148)의 타단이 대기어(143)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풀리(149e)에 감긴 상태에서 상기 하강판넬(131)의 타측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무게추(151)는 막대 바 형상이 아닌 통상의 추(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로프(148)의 중간부위에 회전도르레(149d)를 통해 연결되는 무게추(151)의 높이는, 상기 하강판넬(131)이 가이드부재(120)의 상측단에 락킹부재(160)의 지지경사면(163)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가질 때는 가이드부재(120)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하강판넬(131)이 가이드부재(120)의 하측단으로 하강하였을 때는 가이드부재(120)의 상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완강부재(140)에 의하면, 상기 대기어(143)가 소기어(145)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대피자의 발에 의해 상기 하강판넬(131)이 가압되는 경우, 즉, 하강판넬(131)에 대피자가 올라선 경우 하강판넬(131)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된 로프(148)의 힘의 방향이 상기 대기어(143)가 소기어(145)측을 향하도록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대기어(143)가 상기 소기어(145)측을 향하여 상기 대기어(143)가 피동기어(149a)의 고정축과 연결된 지지편(149b)의 치합공(149c) 공간을 이동하게 되어 대기어(143)와 소기어(145)가 치합됨으로써, 상기 대기어(143)에 치합된 소기어(145)의 감속부재들을 통하여 상기 하강판넬(131)이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항상 일정한 속도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강부재(140)에 의하면, 상기 대기어(143)가 소기어(145)에 치합된 상태에서 대피자의 발에 의한 상기 하강판넬(131)의 가압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즉, 하강판넬(131)에서 대피자가 내려선 경우 하강판넬(131)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된 로프(148)의 힘의 방향이 상기 대기어(143)가 회전풀리(149e)측을 향하도록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대기어(143)가 상기 회전풀리(149e)측을 향하여 피동기어(149a)의 고정축과 연결된 지지편(149b)의 치합공(149c) 공간을 이동하게 되어 대기어(143)와 소기어(145)가 이격됨으로써, 상기 하강판넬(131)이 신속하게 가이드부재(120)의 상측부에 원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에 삽입된 탈출구캡들에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층으로 일정속도로 하강하는 하강부재를 이용하여 대피자가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층으로 하강한 하강부재가 신속하게 원위치되도록 하여 복수의 대피자가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하층으로 탈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건물의 화재대피공간 등에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시 해당 대피자들이 별도의 비상탈출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을 시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6)

  1. 고층건물의 해당층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P)에 대피공(P)의 내주연을 커버하면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되는 탈출구캡(110);
    상기 탈출구캡(110)의 상/하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20);
    상기 탈출구캡(110)의 하측부에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상측부에 거치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하강하는 하강부재(130);
    상기 하강부재(130)가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일정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완강부재(140); 및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하강된 하강부재(13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복귀부재(150)는,
    태엽스프링 또는 벨트 리트랙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완강부재(14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구캡(110)은,
    상기 대피공(P)이 형성된 슬라브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삽입구(111);
    상기 삽입구(111)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며 삽입구(111)가 대피공(P)에 삽입되는 경우 대피공(P) 주위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플랜지(112);
    상기 플랜지(112)의 하측단에 구비되어 플랜지(112)가 바닥면에 지지되는 경우 플랜지(112)와 바닥면 사이에 완충을 제공하는 완충스프링(미부호);
    상기 삽입구(111)의 내측에 형성되어 완강부재(140)가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완강부재위치공간(114); 및
    상기 완강부재위치공간(114)의 격벽에 설치되어 가이드부재(120)가 대피공(P)의 상하측에 수직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구(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탈출구캡(110) 지지구(115)의 상측단부와 하측단부에 화재대피공간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21,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지지구(115)의 상측단부에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이 삽입되기 이전에 삽입되는 완충스프링(123)과;
    상기 완충스프링(123)의 상단부에 고정 연결되어 가이드프레임(121,122)의 하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구(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상측단에는 설치공(1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부재(13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일측 외형에 대응되는 한 쌍의 개구공간(131a)을 가지는 하강판넬(131);
    상기 하강판넬(131)의 내부에 매설되는 한 쌍의 매설부(132a)를 통하여 하강판넬(131)을 지지하고 상기 개구공간(131a)에 대응된 가이드공간(132b)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에 가이드되도록 하며 상기 완강부재(140)에 연결부(132c)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하강판넬(131)이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하는 노출부(132d)로 구성된 거치편(132); 및
    상기 거치편(132)의 가이드공간(132b)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공간(132b)에 삽입된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접촉 회전되는 제1가이드롤러(133)와 제2가이드롤러(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부재(130)는,
    상기 하강판넬(131)의 일측에 관통 구비되어 하강판넬(131)의 하측부가 가이드프레임(121,122)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상측단에 락킹 지지시 하강판넬(131)의 락킹 지지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버튼(1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135)은,
    상기 하강판넬(131)의 상측면에 올라선 대피자의 발에 의해 가압되는 헤드(135a);
    상기 하강판넬(131)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헤드(135a)로부터 연장되어 헤드(135a)의 가압시 하강되어 상기 하강판넬(131)의 락킹 지지 상태를 해제시키는 가압축(135b); 및
    상기 가압축(135b)을 감싸는 상태로 하강판넬(131)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압축(135b)을 다시 상승시키는 탄성스프링(135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강부재(140)는,
    상기 탈출구캡(110)의 삽입구(111) 내측에 형성된 완강부재위치공간(114)에 위치되는 하우징(미도시);
    상기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풀리(142)를 구비하는 대기어(143);
    상기 대기어(143)에 치합되도록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감속휠(144)을 구비하는 소기어(145);
    상기 감속휠(144)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감속피스(146);
    상기 감속휠(144)과 감속피스(146)를 감싸도록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고정되는 감속커버(147); 및
    상기 풀리(142)에 감긴 상태에서 하우징(미도시)의 하부로 인출되는 일단이 상기 하강판넬(131)의 거치편(132) 중 연결부(132c)의 중심부에 고정되고 하우징(미도시)의 하부로 인출되는 타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이격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복귀부재(150)에 연결된 로프(1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재(150)는,
    상기 태엽스프링 또는 벨트 리트랙터 대신에,
    상기 로프(148)에 무게추(151)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강부재(140)는,
    상기 대기어(143)와 풀리(142) 사이에 라체트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강부재(140)는,
    상기 대기어(143)의 하측부에 치합된 상태를 가지는 피동기어(149a);
    상기 피동기어(149a)의 고정축과 대기어(143)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대기어(143)를 지지하는 지지편(149b);
    상기 지지편(149b)에 형성되어 상기 하강판넬(131)의 가압시 대기어(143)에 전달되는 힘의 방향으로 대기어(143)가 이동되도록 하여 대기어(143)와 소기어(145)의 치합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치합공(149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148)의 일단이 대기어(143)의 풀리(142)에 감긴 상태에서 하강판넬(131)의 일측에 고정되고 로프(148)의 중간부위가 복귀부재(150)에 구비된 회전도르레(149d)에 감기며 로프(148)의 타단이 대기어(143)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풀리(149e)에 감긴 상태에서 상기 하강판넬(131)의 타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부재(130)가 가이드부재(12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16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1,122)의 상측단에 형성되는 설치공(125)에 위치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싱(161);
    상기 케이싱(161) 내부에 위치되는 몸체(162);
    상기 몸체(162)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하여 설치공(125)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강판넬(131)의 일측이나 하측을 지지하여 하강판넬(131)의 하강을 방지하는 지지경사면(163);
    상기 지지경사면(163)의 일측에 상기 지지경사면(163)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설치공(125)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해제버튼(135)의 가압축(135b) 하강에 따라 상기 몸체(162)가 케이싱(161)의 개구부 반대쪽으로 후퇴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경사면(163)의 하강판넬(131) 지지를 해제시키는 후퇴경사면(164); 및
    상기 몸체(16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후퇴경사면(164)에 의해 케이싱(161)의 개구부 반대쪽으로 후퇴된 몸체(162)를 다시 전진시켜 상기 지지경사면(163)이 설치공(125)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가이드프레임(121,122)을 따라 상승하는 하강판넬(131)이 지지되도록 하는 회복스프링(1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KR1020100065782A 2010-04-02 2010-07-08 비상탈출장치 KR101200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782A KR101200375B1 (ko) 2010-07-08 2010-07-08 비상탈출장치
JP2013502465A JP5648248B2 (ja) 2010-04-02 2011-03-29 非常脱出装置
RU2012146726/12A RU2558517C2 (ru) 2010-04-02 2011-03-29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арийной эвакуации
PCT/KR2011/002122 WO2011122817A2 (ko) 2010-04-02 2011-03-29 비상탈출장치
EP11762989.9A EP2554218B1 (en) 2010-04-02 2011-03-29 Emergency escape device
US13/638,079 US9409042B2 (en) 2010-04-02 2011-03-29 Emergency escape device
CN201180016965.4A CN102946946B (zh) 2010-04-02 2011-03-29 紧急逃生装置
JP2014102576A JP5823570B2 (ja) 2010-04-02 2014-05-16 非常脱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782A KR101200375B1 (ko) 2010-07-08 2010-07-08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75A KR20120005175A (ko) 2012-01-16
KR101200375B1 true KR101200375B1 (ko) 2012-11-12

Family

ID=4561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782A KR101200375B1 (ko) 2010-04-02 2010-07-08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3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351B1 (ko) * 2019-10-29 2020-06-04 나판주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KR102135003B1 (ko) * 2019-10-29 2020-07-16 나판주 안전 비상탈출장치
WO2021086003A1 (ko) * 2019-10-29 2021-05-06 나판주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KR20210154416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에스엠투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509B1 (ko) * 2020-10-06 2023-03-09 주식회사 에스엠이엔지 실린더를 이용한 안전 피난 장치
KR102508514B1 (ko) * 2020-10-06 2023-03-09 주식회사 에스엠이엔지 실린더를 이용한 안전 피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8056A (ja) 2003-07-05 2005-02-03 Akio Moroizumi 重力利用非常救出装置
KR100702384B1 (ko) 2006-03-10 2007-04-02 (주)로보아트 대피용 수직 하강기
JP2010051473A (ja) * 2008-08-27 2010-03-11 Naka Ind Ltd 避難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8056A (ja) 2003-07-05 2005-02-03 Akio Moroizumi 重力利用非常救出装置
KR100702384B1 (ko) 2006-03-10 2007-04-02 (주)로보아트 대피용 수직 하강기
JP2010051473A (ja) * 2008-08-27 2010-03-11 Naka Ind Ltd 避難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351B1 (ko) * 2019-10-29 2020-06-04 나판주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KR102135003B1 (ko) * 2019-10-29 2020-07-16 나판주 안전 비상탈출장치
WO2021086003A1 (ko) * 2019-10-29 2021-05-06 나판주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KR20210154416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에스엠투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75A (ko) 201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877B1 (ko) 비상탈출장치
KR101200375B1 (ko) 비상탈출장치
JP5648248B2 (ja) 非常脱出装置
KR101117277B1 (ko) 비상탈출장치
KR101040209B1 (ko)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KR100977858B1 (ko) 비상탈출장치
US4386680A (en) Emergency rescue system
US3945469A (en) Escape elevator
US4042066A (en) Portable emergency fire fighting and rescue elevator
KR20110005130A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US4828072A (en) High rise building fire escape/fire fighting and building maintenance system
US6318503B1 (en) Exterior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on a multi-storied building
US4079812A (en) Movable shelter floor type emergency escape
KR20070024457A (ko)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KR101771711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GB2522965A (en) Stairwell lift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RU23055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с высо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KR101322422B1 (ko)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102169895B1 (ko) 안전 피난장치
US4024928A (en) Fire escape installation
CN109939370B (zh) 高层建筑逃生平台
CN113081506A (zh) 一种消防救援变形担架
KR860002886Y1 (ko) 화재용 비상 탈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