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384B1 - 대피용 수직 하강기 - Google Patents

대피용 수직 하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384B1
KR100702384B1 KR1020060022492A KR20060022492A KR100702384B1 KR 100702384 B1 KR100702384 B1 KR 100702384B1 KR 1020060022492 A KR1020060022492 A KR 1020060022492A KR 20060022492 A KR20060022492 A KR 20060022492A KR 100702384 B1 KR100702384 B1 KR 100702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unit
power control
evacu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한
Original Assignee
(주)로보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보아트 filed Critical (주)로보아트
Priority to KR1020060022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피용 수직 하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층건물의 화재발생시 상층에서 하층으로 비상대피하기 위한 수직하강기에 있어서,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로프에 연결된 동력제어부; 상기 동력제어부와 일단이 로프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하층의 바닥에 고정된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로 건물의 특정층에 화재 등이 발생했을 때 본 발명인 대피용 수직하강기를 이용하여 아랫층으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종래의 대피장비 또는 시설과 비교할 때 별도의 전기, 기름 등을 이용한 동력원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설치 및 유지비용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동력제어부, 동력전달부, 승강부

Description

대피용 수직 하강기{Vertical drop machinery for shel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벽 OB:상층바닥
UB:하층바닥 R:로프
100:승강부 120:승하차문
140:이동바퀴
200:동력전달부
300:동력제어부 320:제 1기어
340:제 2기어
400:탄성부 ` 420:탄성부의 일단
440:탄성부의 타단
500:완충장치
본 고안은 고층 건물의 화재시에 미처 옥외로 대피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생명 유지가 어려운 경우에 긴급 구명을 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용 수직 하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의 발생과 진행의 형태는 천차만별하게 다양하나 인명구제의 가장 안전한 방법은 화재지점으로부터 빠른 시간안에 멀리 탈출 대피하는 방법이다.
특히 최근 20여년간 급속한 신도시개발로 인한 고층건물의 수가 매년 격증함에 따라 화재가 빈번히 증가되고 따라서 귀중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입는 것을 타개하기 위하여 종래에 각종 하강기가 안출된 바 있었으나 그중 몇 가지를 열거하여 다음과 같다.
종래 고층 건물에서 화재 발생등의 비상시 긴급 대피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가지의 기구와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비상구나 창문 또는 옥상등에 일단을 가설하고 다른 일단은 지상으로 늘어뜨려 탈출통로를 구성하게 하는 비상탈출대를 설치하거나, 또는 줄사다리나, 로프를 이용하는 완강기 등을 설치하는 예를 들 수 있으나, 이들은 모두가 구조적으로 안정된 탈출수단이 되지 못 할 뿐 아니라 긴급한 상황하에서 그 이용 또는 설치에 익숙치 못하여 소기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폐단이 있으며 또한 일시에 많은 인원을 신속히 대피시킬 수 없고 또 사용높이에 제한을 받는 등의 결함이 있는 것이다. 특히 개개인이 사용하게된 완강기등의 경우에는 그 구성이 개개인 즉 1인씩만을 탈출시키게 되는 것이어서 대피 인원이 극히 제한되고 탈출시 위험이 따라 특히 아동들이나 아녀자들에게는 심적인 불안감이 매우 크게 작용하여 안정되게 탈출을 기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 대피 도중에 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하강기는 고층빌딩에서의 비상탈충용으로 고안되기는 하였으나 실제의 화재등에서의 신속한 탈출에는 미흡한 면이 많았고 또한 실제의 빌딩에 적용되는 사례가 극히 드문 현실에 비추어 실용성에 대한 의문이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탄성체의 복원력을 이용한 1인의 대피자를 위한 재난발생시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유지비용이 적게 드는 대피용 수직하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난 발생시의 대피용 수직하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층건물의 화재발생시 상층에서 하층으로 비상대피하기 위한 수직하강기에 있어서,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로프에 연결된 동력제어부; 상기 동력제어부와 일단이 로프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하층의 바닥에 고정된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부와 상기 동력제어부 사이에 로울러가 구비된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동력제어부는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어 구동하는 제1기어; 및,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구동하는 제2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부와 상기 동력제어부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부는 벽을 상하로 움직이는 이동바퀴 및 승하차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즉, 본 발명은 상층(OB)에서 하층(UB)으로 비상대피하기 위한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부(100), 동력제어부(300), 탄성부(4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100)와 동력제어부(300) 사이에 동력전달부(200)를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도 2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승강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자가 타고 내리는 승강기몸체, 승하차문(120)과 상층과 하층사이의 벽(W)을 움직이는 이동바퀴(140)로 구성된다.
이때 승하차문(120)은 위아래로 움직여서 작동된다. 다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일뿐, 좌우로 움직이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동바퀴(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벽(W)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이동바퀴(140)를 설치하여 승강부(100)의 이동이 원할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2에서는 이동바퀴(140)를 3개가 나타나도록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이동바퀴(140)의 숫자를 자유로이 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승강기들과 달리 1인승으로 구성하였다. 즉 1사람씩 타고 대피하고 다시 승강부(100)가 상층으로 올라오고 다시 다른 대피자가 승강부(100)를 타고 내려오도록 구성하였다. 바람직하게는 2인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발명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력전달부(200)는 승강부(100)와 동력제어부(300) 사이에서 동력(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동력전달부(200)에는 로울러를 설치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동력전달부(200)는 승강부(100)와 동력제어부(300) 사이의 힘(동력)의 전달에서 힘(동력)의 방향을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도르래와 같은 원리로서 힘의 이득은 없지만, 도 2와 같이 힘의 방향을 동력제어부(300) 또는 동력전달부(200)로 동력의 손실 없이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동력전달부(200)와 탄성부(400) 사이에 위치하여 동력을 제어하는 동력제어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320) 및 제2기어(34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동력제어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320) 및 제2기어(340)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동력을 탄성부(400) 또는 동력전달부(200) 내지는 승강부(100)로 전달하는 동시에 전달하는 동력에 의해 제1기어(320) 및 제2기어(340)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에너지를 소비하게 하여 동력을 제어하는 역할도 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동력을 제어함으로써 급격하게 승강부(100)가 낙하하거나 위로 솟아오르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의 숫자를 2개로 하였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조건에 따라 상기 기어의 숫자를 2개 이상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동력제어부(300)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층(UB)의 바닥에 고정되는 탄성부(400)는 승강부(100)의 하강 후 다시 원위치인 상층으로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400)로써 강성이 큰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피자가 승강부(100)에 탑승하여 하강하는 경우 스프링이 늘어나고, 대피자가 하층에 안착한 후 승강부(100)에서 내린 후 승강부(100)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늘어났던 스프링이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되는 원리이다.
이때 복원력은 F=kx 이다. 여기서 F는 힘(복원력), k는 스프링상수, x는 스프링의 늘어난 길이이다.
다만, 주의할 것은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이 상실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즉 1회용이 아닌 계속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부(400)에 쓰이는 스프링은 강성이 매우 크고 또한 복원력의 상실이 극히 적은 특수제작한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400)와 동력제어부(3000 사이에 완충장치(500)를 더 부가하여 사용함으로써 탄성부의 수축 및 이완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일실시예에 따라 발생하는 특유의 효과 및 현저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의 특정층에 화재 등이 발생했을때 본 발명인 대피용 수직하강기를 이용하여 아랫층으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종래의 대피장비 또는 시설과 비교할 때 별도의 전기, 기름등을 이용 한 동력원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설치 및 유지비용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고층건물의 화재발생시 상층에서 하층으로 비상대피하기 위한 수직하강기에 있어서,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로프에 연결되어 상층에 설치하는 동력제어부;
    상기 동력제어부와 일단이 로프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하층의 바닥에 고정된 탄성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수직하강기.
  2. 제 1항에서,
    상기 승강부와 상기 동력제어부 사이에 로울러가 구비된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수직하강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동력제어부는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어 구동하는 제1기어;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구동하며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수직하강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탄성부와 상기 동력제어부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수직하강기.
  5. 제 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승강부는 벽을 상하로 움직이는 이동바퀴; 및,
    승하차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수직 하강기.
KR1020060022492A 2006-03-10 2006-03-10 대피용 수직 하강기 KR100702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492A KR100702384B1 (ko) 2006-03-10 2006-03-10 대피용 수직 하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492A KR100702384B1 (ko) 2006-03-10 2006-03-10 대피용 수직 하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384B1 true KR100702384B1 (ko) 2007-04-02

Family

ID=3816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492A KR100702384B1 (ko) 2006-03-10 2006-03-10 대피용 수직 하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375B1 (ko) 2010-07-08 2012-11-12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534A (ko) * 2003-10-10 2003-10-22 이현달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 화재 인명 피난 기구
KR200381379Y1 (ko) * 2005-01-25 2005-04-11 신재희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20050115806A (ko) * 2004-09-10 2005-12-08 안재현 완강기
KR20190000830A (ko) * 2017-06-23 2019-01-03 유니버셜 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유기 전계발광 물질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534A (ko) * 2003-10-10 2003-10-22 이현달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 화재 인명 피난 기구
KR20050115806A (ko) * 2004-09-10 2005-12-08 안재현 완강기
KR200381379Y1 (ko) * 2005-01-25 2005-04-11 신재희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20190000830A (ko) * 2017-06-23 2019-01-03 유니버셜 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유기 전계발광 물질 및 디바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375B1 (ko) 2010-07-08 2012-11-12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995615U (zh) 一种逃生设备
KR100476536B1 (ko) 인명 피난 장비
CN101279121B (zh) 高楼逃生器
CN201978366U (zh) 楼房多功能救生舱
CN209548555U (zh) 一种新型高层建筑安全防护逃生装置
KR100702384B1 (ko) 대피용 수직 하강기
CN106924894A (zh) 一种架设在高楼外墙的逃生循环链条
CN202289241U (zh) 消防逃生救生设备
RU2725993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здания в случае чрезвычайной ситуации
KR100723612B1 (ko)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
CN214527516U (zh) 一种公共场合下的双轨高层建筑火灾逃生装置
KR101898984B1 (ko) 고층건물의 긴급 대피용 엘리베이트장치
CN108543240B (zh) 一种高楼层快速逃生设备
CN211774507U (zh) 一种适用于多层建筑套建高层建筑的建筑结构
CN107657882A (zh) 一种高空逃生培训装置
CN109350872A (zh) 高层安全防护逃生装置
CN205031771U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106267600A (zh) 一种多人高空集体逃生器
CN212425060U (zh) 一种移动式建筑消防紧急避险装置
KR100737197B1 (ko) 인명 피난 장비 쎄이빙선
CN213466548U (zh) 一种高楼逃生救生设备
RU2348441C1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7715318A (zh) 一种用于楼宇逃生出口缓降装置
CN106823166B (zh) 高空救援装置
JPH01305970A (ja) 無電源降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