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536B1 - 인명 피난 장비 - Google Patents

인명 피난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536B1
KR100476536B1 KR1020040068186A KR20040068186A KR100476536B1 KR 100476536 B1 KR100476536 B1 KR 100476536B1 KR 1020040068186 A KR1020040068186 A KR 1020040068186A KR 20040068186 A KR20040068186 A KR 20040068186A KR 100476536 B1 KR100476536 B1 KR 100476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braking
drum
life
prime m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달
Original Assignee
(주)아이 에스 피 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 에스 피 엘 filed Critical (주)아이 에스 피 엘
Priority to KR102004006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536B1/ko
Priority to CN200580000669XA priority patent/CN101119770B/zh
Priority to PCT/KR2005/002802 priority patent/WO2006022519A1/en
Priority to JP2007529695A priority patent/JP4672017B2/ja
Priority to RU2007111125/12A priority patent/RU2342175C1/ru
Priority to US11/574,306 priority patent/US8181741B2/en
Priority to EP05781202A priority patent/EP1784241A1/en
Priority to AU2005275639A priority patent/AU2005275639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 인명 피난 장비는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 화재나 긴급상황 발생시 귀중한 인명을 신속 안전하게 옥외 지상으로 피난시킬 수 있는 무동력 장비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실 사용되고 있는 위 형태의 무동력 장비나 기구는 건물이나 아파트 10층까지만 사용할 수 있는 1회 1인용으로 피난인 허리에 벨트를 매고 건물창이나 아파트 베란다 밖으로 뛰어 내려오는 벨트형 완강기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비교하여 본 인명 피난 장비는 보다 고차원적인 성능으로 발명되어 피난인이 사용하기에 간편하고 안전하게 구성된 승강기형 장비로서 표준형이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 25층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1회 사용하중도 500kg으로 한가족이 다함께 탑승기에 같이 타고 피난할 수 있는 승강기형 무동력 인명 피난 장비이다.
주문형은 25층이상 높은 건물이나 아파트에도 제작, 설치, 사용이 가능하며 1회 사용하중도 1000kg까지 제작, 설치, 사용이 가능하다.
본 인명 피난 장비는 건물창이나 아파트 베란다 내측에 설치되어 평상시 비, 눈, 바람, 태풍, 지진 및 외부 충격에 파손이나 추락할 위험이 없으며 사용시 줄 하나만 당기면 자동으로 장비가 옥외로 돌출되면서 한가족 다수의 피난인이 쉽게 피난용 탑승기에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기가 승강기형으로 되어 있고 피난인이 다 탄후에도 탑승기 내 스타트 핸들 하나만 당기면 상기 원동기틀 내에 있는 와이어 로우프 감기 드럼 2칸에 감겨있는 와이어 로우프 2줄이 풀리면서 2줄 끝에 연결된 탑승기가 출발 하강하도록 되어 있으며 탑승기 출발과 동시에 다음과 같은 5가지 안전장치가 차례대로 자동으로 작동되어 피난인이 안전하게 옥외 지상까지 피난할 수 있도록 발명된 무동력 인명 피난 장비이다.
첫째, 탑승기는 원동기틀 내에 제동 드럼 하면에 장치된 제동장치기에 의하여 와이어 로우프 감기 드럼 회전이 안전한 속도로 제어되어 드럼에서 탑승기 하강용 와이어 로우프가 풀리면서 와이어 로우프 끝에 연결된 탑승기도 안전한 속도로 하강하도록 발명되어 있다.
둘째, 탑승기는 출발과 동시에 건물 벽체에서 30cm정도 떨어져서 아랫층 건물창이나 장애물을 피하면서 탑승기가 안전하게 하강하도록 발명되어 있다.
셋째, 탑승기가 높은 건물에서 하강하면서 발생하는 가속도가 절대로 발생되지 않고 오히려 감속되어 탑승기가 안전하게 하강하도록 발명되어 있다.
넷째, 탑승기가 지상 3m 지점까지 내려왔을 때 원동기틀 내에 장치된 감속장치기 4대가 자동으로 차례대로 작동하여 탑승기 하강속도가 점차적으로 감속되어 지면 30cm 지점에서 탑승기가 안전하게 정지하도록 발명되어 있다.
다섯째, 탑승기가 정지할 때 탑승한 피난인의 신체에 작은 충격도 받지 않도록 완충작용이 발생되어 탑승기가 더 한층 안전하게 정지하도록 발명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인명 피난 장비는 신속 안전하게 피난인이 탑승 피난할 수 있도록 건물의 엘리베이터와 같은 승강기형태로 구성되어 피난인이 탑승할 때나 탑승기가 하강할 때나 그리고 정지할 때 절대로 불안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된 무동력 인명 피난 장비이다.

Description

인명 피난 장비{LIFE SAVING, IMPLEMENT}
본 발명은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 화재나 긴급상황 발생시 피난인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인명 피난 장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구촌은 인구의 증가와 대지의 효율적 이용가치를 위하여 사람의 주거건물을 비롯한 모든 건물이 대형화 고층화로 건설 되어가고 있다. 경제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건물 및 주거환경의 내부가구와 내장재가 고급화로 변해 인화성과 유독성이 강한 재질을 많이 사용하여 화재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는 반면 화재시 인명을 구출하는 종래의 장비는 턱없이 미약한 상태이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 화재시 인명 피난 기구인 완강기의 성능은 고층 건물이나 고층 아파트 높이 10층까지 1회 1인용이며 그 외 종래의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 화재나 긴급상황시 인명 피난 기구 및 장비는 사용이 복잡하고 불편하여 실 화재나 긴급상황시에는 사용이 전혀 안되고 있는 실정이며, 고층 건물 및 고층 아파트 10층이상 화재나 긴급상황시 인명 피난 기구 및 장비는 세계적으로 전무한 상태이다. 고층 건물이나 고층 아파트에 화재가 발생하면 먼저 전기를 송전하는 전선이 소실되면서 엘리베이터 작동은 물론, 전기로 운전되는 안전시스템이 대부분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또 비상계단이나 복도통로는 굴뚝과 같은 기능으로 변하여 아래에서 올라오는 유독가스와 불길을 급속하게 빨아 올려 순식간에 건물 전체를 불바다로 만들어 버리는 역할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 화재시 건물 내 출입문이나 아파트 현관문은 사용할 수가 없으므로 사람들은 반대편 창문이나 아파트 베란다 쪽으로 밖에 대피할 수 없게 되었고 그 곳에서 구조를 요청하다 미처 구조를 받지 못한 사람들은 불길과 유독가스로 인해 희생되거나 건물 밖으로 뛰어 내리는 안타까운 일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화재 인명 피난 장비에 대한 재인식과 발전이 없다면 희생자는 계속 늘어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하루라도 빨리 우수한 장비를 발명하여 10층 이상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 등의 화재나 긴급상황시에도 귀중한 생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계속 거듭한 결과 10층 이상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 등의 화재나 긴급상황시에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많은 사람들을 피난시킬 수 있는 인명 피난 장비를 발명하게 되었다.
본 인명 피난 장비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명되어 화재를 비롯한 긴급상황시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인이 피난할 수 있도록 품질이 견고하고 우수하게 구성된 인명 피난 장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인명 피난 장비는 복잡하거나 어렵지 않고 간단하면서 안전하고 대피인원의 하중과 저층, 고층 건물 높이에 관계없이 탑승기(111)가 내려오면서 속도가 오히려 감속되고 지상에 다 내려오기 직전 안전한 정지 장치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인명 피난 장비 내에 모래나 이물질이 투입될 수 없으며 전기나 동력을 이용하지 않는 무동력 장비로 구성되어 장시간 사용하지 않아도 성능이나 재질에 변형이 없도록 구성되어야 한다.본 인명 피난 장비는 상기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충분히 충족하도록 발명된 인명 피난 장비이다.
1. 본 인명 피난 장비는 크게 원동기(104)와 인명피난용 탑승기(111)로 구성된다.
2. 상기 원동기(104)의 구성은 원동기(104) 내에 드럼 1개를 장치하여 드럼 양면에 탑승기(111) 하강용 와이어 로우프(26) 감기 드럼(12) 2칸을 각 각 구성하고 와이어 로우프 감기 드럼(12) 2칸을 제외한 중앙 부위 드럼에 제동 드럼(13) 칸을 구성하여 제동장치기 2대와 감속장치기 4대를 제동 드럼(13) 상, 하면에 각 각 장치하는 구조로 구성하였다.
3. 그리고 인명 피난용 탑승기(111)의 구성은 탑승기(111) 바닥틀(71)을 가벼운 알루미늄 판으로 제작하고 상부틀(72)은 4각 알루미늄 파이프로 제작하여 바닥틀(71)과 상부틀(72)을 와이어 로우프(74)로 연결한 다음 4면을 불연천으로 포장하여 사용시 아랫층 창이나 베란다에서 나오는 불길이나 유독가스에 피난인이 피해가 전혀 없도록 하고 탑승기(111) 상부에는 와이어 로우프(18-1) 2줄 끝을 각 각 양쪽으로 한줄씩 와이어 로우프 결합, 분리기(27) 내로 삽입시켜 고정핀(92) 2개에 각 각 한줄씩 스타트 핸들(28)로 결합하는 구조로 도9,10과 같이 와이어 로우프 결합, 분리기(27)를 제작하여 장치한 다음 상기 원동기(104)에 장치된 탑승기(111) 하강용 와이어 로우프 감기 드럼(12) 2칸에 감긴 와이어 로우프(26) 2줄이 풀리면서 2줄 끝이 와이어 로우프 결합, 분리기(27) 양쪽에 연결된 탑승기(111)에 피난인이 타고 내려올 수 있도록 구성된다.
4. 상기 제동장치 구성은 자동차 제동라이닝패드와 재질이 동일한 2개의 제동용 라이닝패드(17)를 제동 드럼(13) 하면에 접촉이 되도록 장착하고 라이닝패드(17) 하면에 이탈 방지용 연결판(16) 2개가 각 각 장치되었으며 이 연결판(16) 2개의 하면에는 제동용 용수철(15)이 각 각 2개씩 4개가 장치된다. 그리고 용수철(15) 4개를 담아서 윗쪽으로 상승 운동할 수 있는 제동기틀(14)이 용수철(15) 하면에 장치되고 제동기틀(14)과 탑승기(111)를 결합 연결하여 탑승인 하중보다 용수철(15)의 압축력을 증가시키는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19) 2대가 발명 제작되어 원동기틀(11) 상부 양면에 각 각 1대씩 설치된다. 상기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19)의 구성은 지름 80mm 큰 드럼(201)과 지름 40mm 작은 드럼(202)을 제작하여 2드럼을 부착 회전이 같이 되도록 한 다음 큰 드럼(201) 2개에 와이어 로우프(18-1)를 1줄씩 각 각 3바퀴씩 감아서 연결하고 반대쪽 끝은 탑승기(111) 상부에 장치된 와이어 로우프 결합, 분리기(27) 고정핀(92) 2개 양면으로 각 각 결합시키고 사용시 스타트 핸들(28)을 당기면 분리될 수 있도록 도9,10과 같이 장치한 다음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19) 작은 드럼(202) 2개에 각 각 고정 연결한 와이어 로우프(18-2) 2줄 반대쪽 끝은 제동기틀(14) 양면에 각 각 연결하는 구조로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19)는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후 탑승기(111)에 피난인 하중 300kg을 탑승시키면 탑승기(111) 상부 와이어 로우프 결합, 분리기(27) 고정핀(92)에 결합 연결된 와이어 로우프(18-1) 반대쪽 끝이 미리 3바퀴씩 감아둔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19) 큰 드럼(201)에서 당겨져 풀리면서 큰 드럼(201)과 부착된 작은 드럼(202)이 같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는 작은 드럼(202)에 고정된 와이어 로우프(18-2)는 감기면서 와이어 로우프(18-2) 반대쪽 끝에 연결된 제동기틀(14)을 상승하게 하는데 이때 제동기틀(14)과 제동라이닝패드 연결판(16) 사이에 장치된 용수철(15)에 발생하는 압축력은 탑승인 하중 300kg보다 2드럼(201, 202) 지름(80mm:40mm) 크기 비율인 2:1에 의하여 600kg으로 크게 발생하게 된다. 상기 원리를 본 인명 피난 장비에 적용하여 탑승인 하중보다 크게 발생된 용수철(15) 압축력이 제동라이닝패드(17)에 전달되어 접촉된 제동 드럼(13)과 제동 드럼(13) 양면에 구성된 와이어 로우프 감기 드럼(12) 2칸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탑승인 하중에 적합한 탑승기(111) 하강속도가 발생되도록 제동장치를 구성하였다.
5.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명 피난 장비 설치는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의 외관미를 손상시키지 않고 비, 눈, 바람, 태풍, 지진 및 외부 충격에 파손되거나 추락할 위험을 배제하기 위하여 고층 건물창이나 고층 아파트 베란다 쪽 건물 내측에 장치하고 사용시에만 원동기틀(11) 하면이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장치로 아래와 같이 구성하였다. 먼저 건물 창틀이나 아파트 베란다 휀스 일부분을 철거하고 건물 천장 콘크리트(101)과 바닥판 콘크리트(102) 중간에 철재 4각 기둥(103) 2개를 세운다.
6. 상기 세워진 2개의 기둥(103) 상부와 원동기틀(11) 전면에 구멍을 뚫은 다음 원동기틀(11)을 2기둥(103) 중간 상부에 올려놓고 힌지봉(106)을 상기 뚫은 구멍에 끼워서 연결 장치하고 원동기틀(11) 후면 상부 중앙지점과 건물 천장 콘크리트(101) 부위에 걸림 장치기(112)를 설치하여 원동기틀(11) 후면 상부를 걸어서 평상시에는 고정이 되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걸림 장치기(112) 풀림 손잡이(113)를 당겨서 걸림 장치기(112)가 풀리면서 원동기틀(11)이 연결된 힌지봉(106) 위치의 장비 중량 무게 중심 원리에 의하여 원동기틀(11) 하면이 건물 밖으로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원동기틀(11)은 원동기틀(11) 양면에 장치된 고정 장치기(109)에 의하여 다시 들어가지 못하도록 구성한다.
7. 상기 탑승기(111)는 보관함(105)을 제작하여 보관하는데 접어지는 부분에는 장석(107)을 장치하여 펴졌다 접어졌다 할 수 있도록 제작하고 상기 제동 장치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19) 2대의 큰 드럼(201)에 3바퀴씩 감아서 고정된 와이어 로우프(18-1) 2줄 반대쪽 끝과 탑승기(111) 하강용 와이어 로우프 감기 드럼(12) 2칸에 감긴 와이어 로우프(26) 2줄 반대쪽 끝을 각 각 한줄씩 탑승기(111) 상부에 장치된 와이어 로우프 결합, 분리기(27) 양면에 각 각 결합 또는 연결한 다음 탑승기(111)를 접어서 보관함(105)에 보관하고 탑승기 보관함(105)을 원동기틀(11) 하면에 부착한 후 보관함(105) 후면 위 중간지점과 원동기틀(11) 하면에 잠금 장치기(108)를 달아서 평상시에는 잠겨있게 하고 사용시에는 잠금 장치기(108) 열림 손잡이(113)를 당겨서 원동기틀(11) 하면과 부착된 탑승기 보관함(105)이 건물 밖으로 같이 돌출되고 탑승기 보관함(105)은 돌출되면서 열리어 접어서 보관된 탑승기(111)가 펴지면서 아래로 내려와 피난인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도16과 같이 구성하였다.
8. 상기 옥외로 돌출된 탑승기(111)에 피난인이 탑승하여 스타트 핸들(28)을 잡아당기면 상기 원동기틀(11) 내에 장치된 제동 장치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19) 2대 큰 드럼(201)에 3바퀴씩 감아서 고정된 와이어 로우프(18-1) 2줄 반대쪽 끝이 탑승기(111) 상부에 장치된 와이어 로우프 결합, 분리기(27) 고정핀(92)에서 분리되고 탑승기(111)는 이때부터 와이어 로우프 결합, 분리기(27) 양면에 연결된 하강용 와이어 로우프(26) 2줄이 원동기틀(11) 내의 와이어 로우프 감기 드럼(12) 2칸에서 풀리면서 탑승기(111)가 하강용 와이어 로우프(26)가 통과하는 도17의 로울러(110)에 의하여 건물 벽에서 30cm 정도 떨어지면서 벽쪽 장애물을 피하여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탑승기(111)가 하강할 때는 상기 제동 드럼(13) 하면에 장치된 제동장치 제동력에 의하여 제동 드럼(13)이 제어되어 안전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서 제동 드럼(13) 양면에 설치된 와이어 로우프 감기 드럼(12) 2칸도 안전하게 회전하여 감긴 하강용 와이어 로우프(26)가 안전한 속도로 풀리면서 와이어 로우프(26) 2줄 끝에 연결된 탑승기(111)도 안전한 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9. 상기 탑승기(111)가 하강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가속도를 방지하고 오히려 속도가 감속되도록 하는 방법을 2차로 연구 발명하여 본 장비에 적용하였다. 즉 표준형 아파트 25층 높이 75m용 인명 피난 장비 원동기틀(11) 내에 지름이 300mm인 드럼을 설치하고 드럼 양면에 와이어 로우프(26)가 감기는 드럼(12) 2칸을 구성하면서 와이어 로우프 감기 드럼(12) 2칸의 가로변을 각 각 20mm로 적게 구성하여 지름이 5mm 되는 와이어 로우프(26)를 각 각 1줄씩 감을 때 드럼(12) 1칸에 와이어 로우프(26)가 4바퀴 감기면 감긴 와이어 로우프(26) 위로 다시 와이어 로우프(26)가 겹 감기어 75m의 와이어 로우프(26)가 다 감기게 되면 약 18층의 겹이 생긴다. 그래서 다 감긴 반지름이(18×5=90) 90mm정도 커지면서 전체 지름(300+(90×2)=480)이 약 480mm정도로 커진다. 당초 지름 300mm보다 약(480÷300=1.6) 1.6배가 증가된 것이다. 상기 원리대로 구성된 탑승기(111)에 300kg의 탑승인 하중을 탑승시키고 현 지름 300mm에서 탑승기(111) 하강속도를 초속 0.5m로 제동장치기에 제동력을 조정한 다음 상기와 같이 다시 75m의 와이어 로우프(26)를 더 감아서 지름이 480mm로 증가한 상태에서 탑승기(111)를 하강시키면 처음 하강속도는 당초 지름 300mm보다 1.6배로 커진 지름 480mm의 변형된 하중 힘 480kg에 의하여 하강속도도 당초 조절된 제동력 초속 0.5m보다 1.6배가 증가한 초속 0.8m의 빠른 속도로 탑승기(111)의 하강이 시작되어 와이어 로우프(26)가 풀리면서 감축되는 지름에 의하여 탑승기(111)의 하중 힘과 속도도 차츰 감속이 되어 와이어 로우프(26)가 다 풀리는 지름 300mm 지점에서는 당초 조정된 제동력에 의하여 초속 0.5m 속도로 감속된다는 원리를 발견하게 되었다. 상기 새로 발명된 감속 장치 원리를 적용하여 탑승기(111)가 하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가속도를 방지하고 오히려 탑승기(111)에 안전한 감속 작용이 발생되도록 구성하여 본 장비에 적용하였다.
10. 상기 탑승기(111)가 위의 구성에 의하여 안전한 속도로 하강하여 지상 3m 지점까지 내려왔을 때 상기 원동기(104) 내 제동 드럼(13) 상면에 장치된 4대의 감속장치기 중 1대의 감속장치기가 탑승기(111) 하강용 와이어 로우프(26)에 미리 장치한 매듭(31)에 연결고리(24)가 걸려서 당겨져 연결고리(24) 반대쪽에 연결된 감속장치기 받힘 막대(23)가 받힘판(25)에서 이탈되면 제동 드럼(13) 상면에 받힘 막대(23)에 의하여 2mm정도 떠 있던 감속라이닝패드(22)가 제동 드럼(13) 상면에 밀착되고 감속장치기 연결판(21) 위에 미리 압축 장치된 용수철(20)의 압축력에 의하여 제동 드럼(13)에 마찰 제동력이 발생하여 1차로 제동 드럼(13) 회전을 감속시킨다. 그리고 탑승기(111)가 다시 1.5m 내려왔을 때 감속장치기 1대가 위 방법대로 다시 작동하여 제동 드럼(13) 회전을 2차로 감속한 후 탑승기(111)가 지면 위 80cm정도까지 내려왔을 때 나머지 2대의 감속장치기가 작동하여 탑승기(111)를 지면 약 30cm 지점에서 안전하고 정확하게 정지하도록 구성하였다.
11. 상기 탑승기(111)가 정지할 때 피난인 신체에 작은 충격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와이어 로우프 드럼(12) 외부에 감긴 와이어 로우프(26)가 다 풀리어 그 끝이 와이어 로우프 드럼(12)에 뚫려 있는 구멍(64)으로 드럼(12) 내에 삽입되고 드럼(12) 내에 설치된 완충기 용수철(61) 가운데로 다시 삽입되어 용수철(61) 양쪽 끝 가로대(62, 63)에 걸은 다음 그 끝을 중심축 봉(29)에 고정시킨 와이어 로우프(26) 끝이 당겨지면서 발생한 용수철(61) 압축력으로 탑승기(111)에 완충작용이 발생되어 탑승한 피난인의 신체에 작은 충격도 받지 않고 탑승기(111)가 안전하게 정지되도록 안전을 1단계 2단계 3단계까지 최우선적으로 연구하여 발명된 무동력 인명 피난 장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현재 국내외적으로 사용 중인 화재 인명 피난 기구보다 고차원적인 월등한 기술과 성능으로 연구 개발된 본 인명 피난 장비는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에 관계없이 건물의 화재나 긴급상황시 대피인 다수가 다함께 신속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발명이 되었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 등의 화재나 긴급상황으로 인한 귀중한 생명이 더 이상 무고하게 희생되는 일이 없도록 인명 피난 장비 최고의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도 1은 인명 피난 장비 대표도이고,
도 2는 사용 전 인명 피난 장비 원동기 정면 내부 상세 투시도이며,
도 3은 사용시 인명 피난 장비 원동기 내 제동장치기(제동장치기 용수철, 제동라이닝패드, 제동기틀)와 감속장치기(감속라이닝패드)가 작동된 정면 상세 투시도이다.
도 4는 사용 전 인명 피난 장비 원동기 측면 내부 상세도이고,
도 5는 인명 피난 장비 사용시 원동기 내 제동장치기와 감속장치기가 작동된 측면 상세 투시도이다.
도 6은 사용 전 인명 피난 장비 원동기 내에 설치된 완충기의 상세 투시도이고,
도 7은 사용시 인명 피난 장비 원동기 내에 설치된 완충기 용수철이 수축하여 완충작용이 발생한 상태의 상세 투시도이다.
도 8은 원동기 내의 제동기틀이 사용시 상승하였을 때 다시 내려오지 못하도록 정지하는 제동기틀 정지기의 상세도이다.
도 9는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와 탑승기를 연결한(탑승기 상부에 설치된) 와이어 로우프 결합, 분리기의 결합상태 상세도이고,
도 10은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와 탑승기를 연결한(탑승기 상부에 설치된) 와이어 로우프 결합, 분리기의 분리 상태 상세도이다.
도 11은 인명 피난용 탑승기 상세도이고,
도 12는 하강하는 탑승기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장치기용 와이어 로우프 매듭 및 고리의 상세도이다.
도 13은 건물창이나 아파트 베란다 내측에 설치된 인명 피난 장비 정면도이고,
도 14는 건물 내측에 설치된 인명 피난 장비 후면도이다.
도 15는 건물 내측에 설치된 인명 피난 장비 상태와 사용시 건물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측면 상세도이다.
도 16은 사용시 인명 피난 장비 탑승기 출발 전 상태 측면 상세도이고,
도 17은 사용시 인명 피난 장비 탑승기 출발 후 상태 측면 상세도이다.
도 18은 건물 위, 아랫층 탑승기 여러대가 동시 하강시 안전상태를 나타낸 측면 상세도이다.
도 19는 제동 장치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 상세도이다.
도 20은 와이어 로우프 드럼, 와이어 로우프 감기 지름 증가 정면 상세도이며,
도 21은 와이어 로우프 드럼, 와이어 로우프 감기 지름 증가 측면 상세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1의 부호(11)은 본체를 구성하는 원동기틀의 구조물이고 부호(12)는 전체 드럼 중 와이어 로우프를 감고 있는 양면 2칸 드럼을 도시한 것이고 부호(13)은 제동장치기와 감속장치기를 장치한 제동 드럼을 도시한 것이다. 부호(14)는 제동기틀을 도시한 것이고 부호(15)는 제동장치기용 용수철을 도시한 것이며 부호(16)은 제동라이닝패드 연결판을 도시한 것이고 부호(17)은 제동라이닝패드를 도시한 것이다. 부호(18-1)은 원동기틀 상부에 장치된 제동 장치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 큰 드럼에 미리 3바퀴 감아서 고정하고 반대쪽 끝은 탑승기 상부에 장치된 와이어 로우프 결합, 분리기의 고정핀에 고정한 와이어 로우프를 도시한 것이며 부호(18-2)는 원동기틀 상부에 장치된 제동 장치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 작은 드럼에 연결하고 반대쪽 끝은 원동기 내 제동기틀에 연결한 와이어 로우프를 도시한 것이다. 부호(19)는 제동 장치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를 도시한 것이다. 부호(20)은 미리 압축 장치된 감속장치기용 용수철을 도시한 것이고 부호(21)은 감속장치기용 연결판을 도시한 것이며 부호(22)는 감속장치기용 감속라이닝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4의 부호(23)은 감속장치기용 받힘 막대를 도시한 것이고 부호(24)는 감속장치기 받힘 막대와 와이어 로우프를 고리로 연결한 연결고리를 도시한 것이며 부호(25)는 받힘 막대를 지지하는 받힘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1의 부호(26)은 탑승기 하강용 와이어 로우프를 도시한 것이고 부호(27)은 탑승기 상부에 장치된 와이어 로우프 결합, 분리기를 도시한 것이며 부호(28)은 탑승기 출발용 스타트 핸들을 도시한 것이다. 부호(29)는 원동기틀의 드럼을 지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드럼 중심축 봉을 도시한 것이고 도2의 부호(30)은 원동기 내의 제동기틀이 상승하면 다시 내려오지 못하게 하는 제동기틀 정지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5 및 도12의 부호(31)은 감속장치기 작동용 와이어 로우프 매듭을 도시한 것이고 도8의 부호(81)은 제동기틀 정지기의 정지핀을 차단하는 정지판을 도시한 것이며 부호(82)는 제동기틀 정지기의 정지판을 열렸다 닫혔다 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철을 도시한 것이다.
도9의 부호(92)는 와이어 로우프 결합, 분리기의 고정핀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의 부호(71)은 탑승기 바닥틀을 도시한 것이고 부호(72)는 탑승기 상부틀을 도시한 것이며 부호(73)은 탑승기 중간 벨트를 도시한 것이다. 부호(74)는 탑승기 바닥틀과 상부틀을 연결한 와이어 로우프를 도시한 것이고 부호(75)는 탑승기 중간 벨트를 열었다 닫았다 하는 훅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의 부호(101)은 건물 천장 콘크리트를 도시한 것이고 부호(102)는 건물 바닥판 콘크리트를 도시한 것이며 부호(103)은 인명 피난 장비를 장치하기 위하여 세운 2개의 철재 4각 기둥을 도시한 것이다. 부호(104)는 인명 피난 장비 원동기를 도시한 것이고 부호(105)는 탑승기 보관함을 도시한 것이며 부호(106)은 인명 피난 장비를 미리 세운 2개의 기둥에 연결 장치한 힌지봉을 도시한 것이다.
도15의 부호(107)은 탑승기 보관함이 사용시 열릴 수 있도록 장석을 도시한 것이고 부호(108)은 탑승기 보관함 잠금 장치기를 도시한 것이며 도16의 부호(109)는 인명 피난 장비가 건물 외로 돌출된 후 다시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고정 장치기를 도시한 것이다. 부호(110)은 제동장치기용 와이어 로우프와 하강용 와이어 로우프를 통과시키는 로울러를 도시한 것이고 부호(111)은 탑승기를 도시한 것이다. 부호(112)는 인명 피난 장비가 사용 전에 건물 외로 돌출되거나 흔들리지 않게 천정 벽에 고정한 걸림 장치기를 도시한 것이며 부호(113)은 천정 벽에 고정한 걸림 장치기와 탑승기 보관함 잠금 장치기를 인명 피난 장비 사용시 당겨서 풀리게 하고 열리게 하는 열림 및 풀림 손잡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19의 부호(201)은 제동 장치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의 큰 드럼을 도시한 것이고 부호(202)는 작은 드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20의 부호(203)은 와이어 로우프 감기 드럼에 와이어 로우프가 감기어 지름이 커진 것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9)

  1. 건물창이나 아파트 베란다 내측에 장치된 인명 피난 장비에 있어서
    원동기(104) 전체를 구성한 원동기틀(11);과
    상기 원동기(104);와 인명 피난용 탑승기(111);와 탑승기 보관함(105);과
    상기 원동기(104)와 탑승기(111)를 결합 또는 연결한 와이어 로우프(18-1, 18-2, 26);와
    상기 인명 피난 장비의 원동기틀(11)과 원동기틀(11) 하면에 부착된 탑승기(111) 보관함(105)을 건물창이나 아파트 베란다 내측 천장 콘크리트(101)와 바닥판 콘트리트(102) 중간에 장치되도록 한 철재 기둥(103) 힌지봉(106);과
    상기 건물 내측에 장치된 인명 피난 장비 사용시 힌지봉(106)의 위치에 의한 원동기틀(11)과 탑승기 보관함(105)이 무게 중심 원리에 의하여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걸림 장치기(112) 풀림 손잡이(113);와
    상기 원동기틀(11) 내에 장치된 제동장치용 제동라이닝패드(17);와
    상기 제동라이닝패드(17)에 압축력이 발생되도록 장치한 제동장치 용수철(15);과
    상기 제동장치용 용수철(15)을 담고 압축력이 발생되게 상승운동을 하도록 장치한 제동기틀(14);과
    상기 인명 피난 장비 사용시 상기 제동장치용 용수철(15) 압축력이 탑승기(111)에 탑승한 피난인 하중보다 더 크게 발생되도록 장치한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19);와
    상기 원동기틀(11) 내 장치된 드럼 양면에 각 각 탑승기(111) 하강용 와이어 로우프(26)를 감도록 장치한 와이어 로우프 감기 드럼(12)칸;과
    상기 드럼 양면에 각 각 설치된 와이어 로우프 감기 드럼(12)칸을 제외한 중앙 부위 남은 드럼 상,하면에 제동장치기와 감속장치기를 장치한 제동 드럼(13);과
    상기 제동 드럼(13) 회전속도를 탑승기(111)에 탑승한 피난인 하중에 적합한 하강속도가 되도록 제동기틀(14)에 담긴 용수철(15)에 발생한 압축력이 제동 드럼(13) 하면에 접촉된 제동라이닝패드(17)에 전달되도록 장치한 연결판(16);과
    상기 탑승기(111) 사용시 원동기틀(11) 내에 장치된 용수철 압축력 증가기(19) 큰 드럼(201)에 감아서 고정한 와이어 로우프(18-1) 반대쪽 끝이 결합 연결된 탑승기(111) 상부에서 스타트 핸들(28)을 당기면 분리되도록 장치한 와이어 로우프 결합, 분리기(27);와
    상기 인명 피난 장비 사용시 탑승기(111)가 하강할 때 건물 외벽에서 떨어져 아랫층 창이나 외벽에 돌출된 장애물을 피하면서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원동기틀(11)에 하강용 와이어 로우프(26)가 통과하도록 장치한 로울러(110);와
    상기 인명 피난 장비 사용시 탑승기(111)가 하강할 때 원동기틀(11)과 감속장치기 라이닝패드(22) 중간에 미리 압축된 용수철(20)이 장치되어 있고 감속라이닝패드(22)가 제동 드럼(13) 상면에서 받힘 막대(23)에 의하여 미리 떠 있게 한 후 탑승기(111)가 지상 2∼5m 지점까지 내려왔을 때 제동 드럼(13) 상면에 감속라이닝패드(22)가 접촉되도록 하여 제동 드럼(13) 회전속도가 감속 정지되도록 장치한 감속장치기 연결판(21);과
    상기 탑승기(111)가 감속장치기에 의하여 정지할 때 탑승기(111)에 탑승한 피난인의 신체에 작은 충격도 받지 않도록 와이어 로우프(26) 끝이 드럼(12) 내로 삽입되어 당겨지면서 완충작용이 발생되도록 드럼 내에 장치된 완충장치용 용수철(61);과
    상기 원동기틀(11)에 구성되어 와이어 로우프 감기 드럼(12)과 제동 드럼(13)의 회전축이 되도록 장치한 드럼 중심축 봉(29);을 특징으로 한 인명 피난 장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명 피난 장비 사용시 원동기틀(11) 하면과 부착된 탑승기 보관함(105)이 건물 외로 돌출된 후 다시 건물 내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장치한 고정 장치기(109);를 특징으로 한 인명 피난 장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기(111) 하강용 와이어 로우프(26) 감기 드럼(12) 칸의 가로변을 적게 하여 와이어 로우프(26)가 겹 감기면서 커진 지름이 와이어 로우프(26)가 풀리면서 다시 작아지는 지름크기의 변형에 의하여 발생되는 하중 힘의 변형원리에 제동장치 제동력을 적용하여 높은 건물에서 탑승기(111)가 하강할 때 가속도가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안전하게 속도가 감속이 되도록 와이어 로우프(26)가 감기는 부위 가로변을 적게 조정하여 장치한 와이어 로우프 감기 드럼(12)칸;을 특징으로 한 인명 피난 장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명 피난 장비 사용시 감속장치기 받힘판(25)에 구성되어 감속장치기 연결판(21)을 제동 드럼(13) 상면에서 떠 있게 지지하는 받힘 막대(23)가 와이어 로우프(26)에 미리 장치한 매듭(31)에 의하여 이탈되도록 장치한 감속장치기 연결고리(24);를 특징으로 한 인명 피난 장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명 피난 장비 사용시 탑승기(111)에 탑승한 피난인 하중에 의하여 상승된 제동기틀(14)이 담긴 용수철(15) 압축력에 의하여 다시 내려오지 않게 장치한 제동기틀(14) 정지기(30);를 특징으로 한 인명 피난 장비.
KR1020040068186A 2004-07-03 2004-08-27 인명 피난 장비 KR100476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186A KR100476536B1 (ko) 2004-07-03 2004-08-27 인명 피난 장비
CN200580000669XA CN101119770B (zh) 2004-08-27 2005-08-25 人命救助装备
PCT/KR2005/002802 WO2006022519A1 (en) 2004-08-27 2005-08-25 Life saving implement
JP2007529695A JP4672017B2 (ja) 2004-08-27 2005-08-25 救命装備
RU2007111125/12A RU2342175C1 (ru) 2004-08-27 2005-08-25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11/574,306 US8181741B2 (en) 2004-08-27 2005-08-25 Life saving implement
EP05781202A EP1784241A1 (en) 2004-08-27 2005-08-25 Life saving implement
AU2005275639A AU2005275639B2 (en) 2004-08-27 2005-08-25 Life saving imp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816 2004-07-03
KR1020040068186A KR100476536B1 (ko) 2004-07-03 2004-08-27 인명 피난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6536B1 true KR100476536B1 (ko) 2005-03-17

Family

ID=3596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186A KR100476536B1 (ko) 2004-07-03 2004-08-27 인명 피난 장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81741B2 (ko)
EP (1) EP1784241A1 (ko)
JP (1) JP4672017B2 (ko)
KR (1) KR100476536B1 (ko)
CN (1) CN101119770B (ko)
AU (1) AU2005275639B2 (ko)
RU (1) RU2342175C1 (ko)
WO (1) WO2006022519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197B1 (ko) 2005-04-04 2007-07-11 (주)아이 에스 피 엘 인명 피난 장비 쎄이빙선
KR100883838B1 (ko) 2007-12-06 2009-02-13 박병천 무동력 하강 제어장치
CN102729659A (zh) * 2011-04-08 2012-10-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动力源固定装置
CN106310546A (zh) * 2016-09-30 2017-01-11 广西大学 一种建筑安全逃生窗
CN108721796A (zh) * 2018-04-12 2018-11-02 霍盛红 一种救生设备
CN109011232A (zh) * 2018-07-17 2018-12-18 王刚 一种高层建筑逃生装置
KR20230013882A (ko) 2021-07-20 2023-01-27 (주)컴퍼니에스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47789A (ko) 2021-10-01 2023-04-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
KR20230047790A (ko) 2021-10-01 2023-04-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소산형 c형 댐퍼를 이용한 pc 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30047788A (ko) 2021-10-01 2023-04-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c 벽체의 손상방지를 위한 도그본 수직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9042B2 (en) * 2010-04-02 2016-08-09 Asia Fire Protection Co., Ltd. Emergency escape device
DE202010008582U1 (de) * 2010-09-20 2011-12-27 Dirk Bergmann Rettungs-Abseilvorrichtung
RU2615250C2 (ru) * 2016-04-08 2017-04-04 Николай Николаевич Барбашов Способ эвакуации из буровой платформы и устройство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1782139B1 (ko) * 2017-06-16 2017-10-12 주식회사 에스엠텍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CN107510902B (zh) * 2017-08-29 2023-04-07 孙长海 楼房救生装置及使用方法
RU182404U1 (ru) * 2017-11-21 2018-08-16 Алексей Егорович Сорокин Устройство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из здания
CN108146302B (zh) * 2017-12-20 2020-02-07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座椅自动缓降阻尼铰链
RU2739646C1 (ru) * 2020-02-26 2020-12-28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акетно-космическая корпорация "Энергия" имени С.П. Королёва" Ограничитель скорости относи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я
RU2760114C1 (ru) * 2020-05-28 2021-11-2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ЛайтТек» Система эвакуации и навигации в зданиях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422A (en) 1882-07-04 Fire-escape
US916823A (en) * 1906-04-24 1909-03-30 Henry P Young Automatic fire-escape.
US1141995A (en) * 1914-07-27 1915-06-08 George F Upton Fire-escape.
US2274000A (en) * 1941-10-16 1942-02-24 Otis Elevator Co Elevator safety apparatus
JPS42595Y1 (ko) 1965-11-10 1967-01-16
JPS49130099A (ko) 1973-04-19 1974-12-12
JPS5118192A (ja) 1974-04-19 1976-02-13 Atsuo Kamya Tsurubeshikitsutsujosuichokukokakinkyuhinangu
JPS5319698A (en) * 1976-08-05 1978-02-23 Masatoshi Kaneko Slow dropping rescue device
US4290503A (en) * 1980-01-16 1981-09-22 Briles Wayne A Portable security fire escape
US4406351A (en) * 1981-02-13 1983-09-27 Littlejohn Charles E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in multistoried buildings
JPS58157476A (ja) 1982-03-16 1983-09-19 金子 良一 ビル災害等における避難ロ−プ下降制動機
JPS58177673A (ja) 1982-04-14 1983-10-18 長崎船舶装備株式会社 ビル脱出装置
US4457400A (en) * 1982-09-16 1984-07-03 Gernnimo Industries, Ltd. Emergency descent device
JPS6136645A (ja) 1984-07-28 1986-02-21 Showa Denko Kk 熱環境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136645U (ja) * 1984-08-06 1986-03-06 松田 昌子 避難用篭収納構造
US4653609A (en) * 1984-11-30 1987-03-31 Devine Millard J Controlled descent apparatus
US4702348A (en) * 1984-11-30 1987-10-27 Lew Hyok S Sky-ride vertical mobility system
DE3609824A1 (de) * 1986-03-22 1987-09-24 Hans Neuendorf Personen-abseilgeraet
JPS6379674A (ja) 1986-09-24 1988-04-09 松田 昌子 避難装置の制動操作装置
JP2935230B2 (ja) 1989-08-04 1999-08-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呼出し検出装置及び呼出し検出方法
JPH08502Y2 (ja) * 1989-10-27 1996-01-10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のヘッドカバーの防音装置
CN1053558A (zh) * 1990-01-18 1991-08-07 崔学亮 高楼疏散安全梯
US5127491A (en) * 1991-02-05 1992-07-07 Just Buddy Hayaldree P Terra firma exterior-mount fire/rescue elevator
EP0820954A1 (en) * 1996-07-25 1998-01-28 Chiu Nan Wang Elevator emergency escape device
US6561318B1 (en) * 2001-09-14 2003-05-13 Inventio Ag Emergency manual elevator drive
CN2535083Y (zh) * 2002-04-29 2003-02-12 高庸龄 高层速降安全索
KR20030082534A (ko) * 2003-10-10 2003-10-22 이현달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 화재 인명 피난 기구
KR200357393Y1 (ko) 2004-01-13 2004-07-23 이현달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 화재 인명 피난 특수 장비
KR200357938Y1 (ko) * 2004-05-20 2004-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엠에이를 이용한 이중화 메모리의 업데이트장치
US7392885B2 (en) * 2006-08-14 2008-07-01 Chiu Nan Wang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elevator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197B1 (ko) 2005-04-04 2007-07-11 (주)아이 에스 피 엘 인명 피난 장비 쎄이빙선
KR100883838B1 (ko) 2007-12-06 2009-02-13 박병천 무동력 하강 제어장치
WO2009072828A2 (en) * 2007-12-06 2009-06-11 Byung Chun Park Non-power apparatus for controlling descent
WO2009072828A3 (en) * 2007-12-06 2009-09-03 Byung Chun Park Non-power apparatus for controlling descent
CN102729659A (zh) * 2011-04-08 2012-10-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动力源固定装置
CN106310546A (zh) * 2016-09-30 2017-01-11 广西大学 一种建筑安全逃生窗
CN108721796A (zh) * 2018-04-12 2018-11-02 霍盛红 一种救生设备
CN109011232A (zh) * 2018-07-17 2018-12-18 王刚 一种高层建筑逃生装置
KR20230013882A (ko) 2021-07-20 2023-01-27 (주)컴퍼니에스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47789A (ko) 2021-10-01 2023-04-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
KR20230047790A (ko) 2021-10-01 2023-04-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소산형 c형 댐퍼를 이용한 pc 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30047788A (ko) 2021-10-01 2023-04-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c 벽체의 손상방지를 위한 도그본 수직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19770B (zh) 2011-07-06
JP4672017B2 (ja) 2011-04-20
AU2005275639A1 (en) 2006-03-02
US20070246694A1 (en) 2007-10-25
AU2005275639B2 (en) 2009-05-14
JP2008510564A (ja) 2008-04-10
RU2007111125A (ru) 2008-10-10
WO2006022519A1 (en) 2006-03-02
US8181741B2 (en) 2012-05-22
EP1784241A1 (en) 2007-05-16
CN101119770A (zh) 2008-02-06
RU2342175C1 (ru) 200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536B1 (ko) 인명 피난 장비
CN101249300A (zh) 用于高层建筑的升降机逃生救生系统
US20130206505A1 (en) Tower rescue emergency module
KR100737197B1 (ko) 인명 피난 장비 쎄이빙선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WO2006085790A2 (fr) Dispositif et systeme d'evacuation d'urgence d'un batiment
KR101898984B1 (ko) 고층건물의 긴급 대피용 엘리베이트장치
KR20050122928A (ko) 인명 피난 장비
WO2005035063A1 (en) Life saving implement
RU2455040C2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спасения
CN106552335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2167734Y (zh) 一种用于救险的升降装置
CN106552337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106552363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106552365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106552354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106267597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114699664A (zh) 一种多用途火灾逃生救援设备
CN103801027B (zh) 一种楼房
RU80881U1 (ru) Подоконник со средством само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CN106552344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106552341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106552360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106552367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106552353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