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789A -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789A
KR20230047789A KR1020210131065A KR20210131065A KR20230047789A KR 20230047789 A KR20230047789 A KR 20230047789A KR 1020210131065 A KR1020210131065 A KR 1020210131065A KR 20210131065 A KR20210131065 A KR 20210131065A KR 20230047789 A KR20230047789 A KR 20230047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lates
precast concrete
wall
concre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511B1 (ko
Inventor
김승직
김시윤
문교영
하종훈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5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47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ith anchoring or fastening elements for the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수직 접합을 위하여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적용한 수직접합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각각의 내부에 매립되어 서로 수직으로 대향하고, 상호 관통하는 일축 상에 각각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플레이트; 일축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재;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의 홀과 상기 연결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Apparatus for the vertical connection of precast concrete wall using an embedded post-tens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트 텐션을 위한 수직접합장치를 이용하여 PC 벽체 간의 일체성을 확보함으로써 강성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매립함으로써 건축물의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수직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기단축으로 인한 공사비 절감과 균일한 품질 확보를 위하여 많은 현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이하, PC) 공법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PC 공법을 활용한 구조물의 경우 PC 부재 간 접합부의 시공 완성도에 따라 구조적 성능이 좌우된다.
이러한 PC 공법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접합부의 불량으로 인한 균열 및 내구성 저하 등이 있으며 이로 인한 추가적인 보수·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국내의 아파트는 벽식구조로 부재의 크기가 크고 벽체 간 수직접합부 범위가 넓어 접합부의 결함이 발생하면 복구비용이 막대하게 발생하고 나아가 인명피해로 확대될 수 있다.
PC 공법에서 접합부에 관한 연구는 과거부터 많이 진행되었지만, 보-기둥 접합부와 관련된 기술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PC 벽체에 대한 접합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PC 벽체에 대한 수직접합부에서는 폐쇄형 및 루프근을 이용한 습식공법과 철근, 강판과 같은 철물을 이용한 건식공법이 개발되어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특히, 국내 PC 벽체의 수직접합부는 현장타설 모르타르로 접합하는 폐쇄형 및 루프근을 이용한 습식공법이 많은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습식공법은 모르타르를 활용하기 때문에 양생으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증가할 수 있으며, 부재 사이의 간격이 협소하여 철근 배근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철근 배근 및 채움 모르타르와 PC 벽체 사이의 밀실성을 육안으로 검사하기 어려워 구조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건식공법의 경우 PC 벽체 외부에 접합철물을 이용하여 용접 및 천공 등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접합장치가 외관에 모두 드러나 상품성을 저하시킨다. 게다가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됨으로써 부식으로 인한 성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노후화 및 외부 환경에 노출로 인한 접합장치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고 PC 벽체 간의 일체성 및 강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매립됨으로써 건축물의 상품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직접합부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47653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넓은 접합 면적을 가지는 PC 벽체의 수직접합부에 대하여 시공성 개선 및 일체성을 확보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개선된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포스트 텐션으로 상이한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연결하여 수직접합부에서의 높은 강성 및 밀실성을 향상시켜 지진과 같은 하중이 작용될 때 일체 거동 확보가 가능한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철물을 이용하여 부재의 외부에 용접 및 체결하는 건식접합부와 달리, 현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 수직접합장치를 매립함으로써 구조물(벽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구조물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는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면서 일괄 제작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장에서 생상된 벽체를 현장에서 수직 접합시키기 때문에 접합작업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수직 접합을 위하여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적용한 수직접합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각각의 내부에 매립되어 서로 수직으로 대향하고, 상호 관통하는 일축 상에 각각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플레이트; 일축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재;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의 홀과 상기 연결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전단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금속 및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고, 내부로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체결되어 포스트 텐션을 제공하는 고장력 볼트 및 상기 고장력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정된 위치의 내부로 빈 공간의 제1 작업공간이 마련된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작업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빈 공간의 제2 작업공간이 마련된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상술한 수직접합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접합장치는,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수직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접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을 위하여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배근된 제1 거푸집; 상기 제1 거푸집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수평축 상에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일축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 거푸집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홀에 삽입되는 연결재; 및 설정된 부피의 내부작업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거푸집의 내부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여 배치되고, 상기 연결재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홀이 형성되는 제2 거푸집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용 거푸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거푸집의 측면을 관통하여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전단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금속 및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고,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을 위하여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배근된 제1 거푸집; 상기 제1 거푸집에 인접 배치되고,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을 위하여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배근된 제2 거푸집;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어 서로 수직으로 대향하고, 상호 관통하는 일축 상에 각각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플레이트; 일축으로 연장되고,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 각각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의 홀에 삽입되는 연결재; 및 설정된 부피의 내부작업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 각각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을 지지하여 배치되고, 상기 연결재의 일단부 및 타단부와 연결되는 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3 및 제4 거푸집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용 거푸집 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의 측면을 관통하여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전단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금속 및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고,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배근된 제1 거푸집 및 제2 거푸집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 각각의 내부에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 각각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의 홀에 연결재를 삽입하는 단계; 설정된 부피의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을 지지하고, 상기 연결재의 일단부 및 타단부와 연결되는 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3 및 제4 거푸집을 상기 제1 및 제2 거푸집 각각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3 거푸집 및 상기 제4 거푸집 각각이 설치된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의 홀과 상기 연결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체결하는 단계; 및 설정된 충진재로 상기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을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을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에 수직 배치하되, 상기 연결재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의 측면에 나란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전단키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거푸집을 상기 제1 및 제2 거푸집 각각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3 거푸집 및 상기 제4 거푸집 각각을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일측이 밀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을 충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콘크리트 강도 이상의 강도를 갖는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진재로 상기 제1 및 제2 작업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넓은 접합 면적을 가지는 PC 벽체의 수직접합부에 대하여 시공성 개선 및 일체성을 확보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개선된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하여 수직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장력 볼트를 이용한 포스트 텐션으로 상이한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연결함으로써, 수직접합부에서의 높은 강성 및 밀실성을 향상시켜 지진과 같은 하중이 작용될 때 일체 거동 확보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철물을 이용하여 부재의 외부에 용접 및 체결하는 건식접합부와 달리, 현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 수직접합장치를 매립함으로써 구조물(벽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구조물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을 구축하여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면서 일괄 제작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장에서 생상된 벽체를 현장에서 수직 접합시키기 때문에 접합작업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접합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접합체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좌측에서 바라본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직접합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용 거푸집 접합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된 연결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3 및 제4 거푸집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에서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을 충진재로 충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접합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접합체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좌측에서 바라본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직접합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접합체는 설정된 위치의 내부로 빈 공간의 제1 내부작업공간(30)이 마련된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내부작업공간(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빈 공간의 제2 내부작업공간(40)이 마련된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20), 및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적용하여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 및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20)를 수직 접합시키는 수직접합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 및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20) 각각은 공기 단축으로 인한 공사비 절감과 균일한 품질 확보를 위하여 많은 건설 현장 및/또는 건축 현장에서 활용되는 벽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 및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20) 각각은 상기 제1 내부작업공간(30) 및 상기 제2 내부작업공간(40)에서 상기 수직접합장치(100)의 시공을 통해 수직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접합장치(100)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20) 각각의 내부에 매립되어 서로 수직으로 대향하고, 상호 관통하는 일축 상에 각각 하나 이상의 홀(122)이 형성된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일축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의 홀(122)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재(130)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의 홀(122)과 상기 연결재(130)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은 수직 배치되되, 상기 연결재(130)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20)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은 설정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은 상기 홀(122)에 상기 연결재(130)의 일측 및 타측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전단키(115,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단키(115,125)는 표면 확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재(130)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체결부재(14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재(130)는 상기 전단키(115,125)와 함께 표면 확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재(130)는 금속 및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고, 내부로 상기 체결부재(140)가 관통하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재(130)는 복수의 관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에 결합되고, 복수의 관이 서로 맞닿거나,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재(130)는 단일 관으로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의 홀(12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40)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20) 사이에 포스트 텐션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체결부재(140)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에 체결되어 포스트 텐션을 제공하는 고장력 볼트(142) 및 상기 고장력 볼트(142)에 결합되는 너트(14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접합체는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진재(9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내부작업공간(30) 및 상기 제2내부작업공간(40)를 채워 상기 제1내부작업공간(30) 및 상기 제2내부작업공간(40)에 매립된 상기 수직접합장치(100)를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진재(90)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20)의 콘크리트 강도 이상의 강도를 갖는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충진재(90)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20)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수직접합장치(100)가 설치된 수직접합부의 밀실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용 거푸집 접합체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용 거푸집 접합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된 연결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3 및 제4 거푸집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용 거푸집 접합체는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을 위하여 내부에 복수의 철근(51)이 배근된 제1 거푸집(50), 상기 제1 거푸집(50)에 인접 배치되고,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을 위하여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배근된 제2 거푸집(60), 상기 제1 거푸집(50) 및 상기 제2 거푸집(60)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어 서로 수직으로 대향하고, 상호 관통하는 일축 상에 각각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일축으로 연장되고,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제1 거푸집(50) 및 상기 제2 거푸집(60) 각각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의 홀에 삽입되는 연결재(130) 및 설정된 부피의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30,40)을 가지며, 상기 제1 거푸집(50) 및 상기 제2 거푸집(60) 각각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을 지지하여 배치되고, 상기 연결재(130)의 일단부 및 타단부와 연결되는 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3 및 제4 거푸집(70,8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거푸집(50) 및 제2 거푸집(60) 각각은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을 위하여 설정된 내부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배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거푸집(50) 및 상기 제2 거푸집(60)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상기 연결재(130)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은 수직 배치되되, 상기 연결재(130)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20)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은 설정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은 상기 홀(122)에 상기 연결재(130)의 일측 및 타측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전단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단키는 표면 확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재(130)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재(130)는 상기 전단키와 함께 표면 확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재(130)는 금속 및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고, 내부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재(130)는 복수의 관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에 결합되고, 복수의 관이 서로 맞닿거나,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재(130)는 단일 관으로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의 홀(12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거푸집(70) 및 상기 제4 거푸집(80)은 상기 체결부재(140)를 삽입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30,40)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 상기 제1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0)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거푸집(70) 및 상기 제4 거푸집(80) 각각은 전면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거푸집(70)의 우측 또는 상기 제4 거푸집(80)의 좌측이 상기 제1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0)의 후면(상기 전단키가 없는 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1 거푸집(50) 및 상기 제2 거푸집(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거푸집(70) 및 상기 제4 거푸집(8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고장력 볼트(142)의 체결작업 수행을 위한 상기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30,40)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고장력 볼트(142)의 길이 보다 가로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4 거푸집(80)은 상기 제1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0)에 고장력 볼트를 체결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가로길이가 약 300mm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3 거푸집(70) 및 상기 제4 거푸집(80) 각각은 상기 제1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0)에 접촉하는 측면에 상기 연결재(130)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홀(미도시)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1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0)에 밀착하여 콘크리트가 침투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직접합장치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용 거푸집 접합체를 참조하여 세부적인 특징을 설명하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에서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을 충진재로 충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시공방법은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배근된 제1 거푸집 및 제2 거푸집을 준비하는 단계(S110),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 각각의 내부에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S120),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 각각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의 홀에 연결재를 삽입하는 단계(S130), 설정된 부피의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을 지지하고, 상기 연결재의 일단부 및 타단부와 연결되는 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3 및 제4 거푸집을 상기 제1 및 제2 거푸집 각각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S140), 상기 제3 거푸집 및 상기 제4 거푸집 각각이 설치된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S150),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의 홀과 상기 연결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체결하는 단계(S160), 설정된 충진재로 상기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을 충진하는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110에서는,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을 위한 구조로 형성된 제1 거푸집(50)의 내부에 복수의 철근(51)을 배근하고,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을 위한 구조로 형성된 제2 거푸집(60)의 내부에 복수의 철근(61)을 배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거푸집(50) 및 상기 제2 거푸집(60)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상기 연결재(130)가 관통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단계 S120에서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을 상기 제1 거푸집(50) 및 상기 제2 거푸집(60)에 수직 배치하되, 상기 연결재(130)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 거푸집(50) 및 상기 제2 거푸집(60)의 측면에 나란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은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전단키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130에서는, 상기 연결재(130)로 상기 제1 거푸집(50) 및 상기 제2 거푸집(60) 각각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 각각의 홀에 삽입시킬 수 있다.
다음, 단계 S140에서는, 상기 제1 거푸집(50) 및 상기 제2 거푸집(60) 각각의 내부에 설정된 부피의 상기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30,40)을 갖는 제3 거푸집(70) 및 제4 거푸집(80)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거푸집(70) 및 상기 제4 거푸집(80) 각각은 상기 제1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일측이 밀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150에서는, 상기 제1 거푸집(50) 및 상기 제2 거푸집(60) 각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3 거푸집(70) 및 상기 제4 거푸집(8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30,40)이 형성된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2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160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20)에 마련된 상기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30,4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재(130)를 관통하는 고장력 볼트(142)를 삽입하고, 상기 고장력 볼트(142)에 너트(144)를 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0,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장력 볼트(142)는 접합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20)에서 포스트 텐션을 발휘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170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30,40)을 충진재(90)로 충진시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20)를 접합시키는 수직접합장치(100)를 매립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170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20)의 콘크리트 강도 이상의 강도를 갖는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진재로 상기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30,40)을 충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20)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수직접합장치(100)가 설치된 수직접합부의 밀실을 유지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S170 이후, 상기 수직접합장치(100)가 설치된 수직접합부에서 누수 및 소음 방지와 단열을 위하여 마감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넓은 접합 면적을 가지는 PC 벽체의 수직접합부에 대하여 시공성 개선 및 일체성을 확보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개선된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하여 수직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장력 볼트를 이용한 포스트 텐션으로 상이한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연결함으로써, 수직접합부에서의 높은 강성 및 밀실성을 향상시켜 지진과 같은 하중이 작용될 때 일체 거동 확보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철물을 이용하여 부재의 외부에 용접 및 체결하는 건식접합부와 달리, 현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 수직접합장치를 매립함으로써 구조물(벽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구조물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을 구축하여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면서 일괄 제작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장에서 생상된 벽체를 현장에서 수직 접합시키기 때문에 접합작업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20: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30: 제1 내부작업공간
40: 제2 내부작업공간
50: 제1 거푸집
60: 제2 거푸집
70: 제3 거푸집
80: 제4 거푸집
90: 충진재
100: 수직접합장치
110: 제1 플레이트
120: 제2 플레이트
130: 연결재
140: 체결부재
142: 고장력 볼트
144: 너트

Claims (15)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수직 접합을 위하여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적용한 수직접합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각각의 내부에 매립되어 서로 수직으로 대향하고, 상호 관통하는 일축 상에 각각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플레이트;
    일축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재;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의 홀과 상기 연결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전단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금속 및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고, 내부로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체결되어 포스트 텐션을 제공하는 고장력 볼트 및 상기 고장력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5. 설정된 위치의 내부로 빈 공간의 제1 작업공간이 마련된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작업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빈 공간의 제2 작업공간이 마련된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수직접합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접합장치는,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수직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접합체.
  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을 위하여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배근된 제1 거푸집;
    상기 제1 거푸집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수평축 상에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일축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 거푸집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홀에 삽입되는 연결재; 및
    설정된 부피의 내부작업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거푸집의 내부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여 배치되고, 상기 연결재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홀이 형성되는 제2 거푸집;
    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용 거푸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거푸집의 측면을 관통하여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전단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용 거푸집.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금속 및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고, 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용 거푸집.
  9.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을 위하여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배근된 제1 거푸집;
    상기 제1 거푸집에 인접 배치되고,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을 위하여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배근된 제2 거푸집;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어 서로 수직으로 대향하고, 상호 관통하는 일축 상에 각각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플레이트;
    일축으로 연장되고,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 각각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의 홀에 삽입되는 연결재; 및
    설정된 부피의 내부작업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 각각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을 지지하여 배치되고, 상기 연결재의 일단부 및 타단부와 연결되는 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3 및 제4 거푸집;
    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용 거푸집 접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의 측면을 관통하여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전단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용 거푸집 접합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금속 및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고, 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용 거푸집 접합체.
  12.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배근된 제1 거푸집 및 제2 거푸집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 각각의 내부에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 각각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의 홀에 연결재를 삽입하는 단계;
    설정된 부피의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을 지지하고, 상기 연결재의 일단부 및 타단부와 연결되는 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3 및 제4 거푸집을 상기 제1 및 제2 거푸집 각각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3 거푸집 및 상기 제4 거푸집 각각이 설치된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의 홀과 상기 연결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체결하는 단계;
    설정된 충진재로 상기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을 충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을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에 수직 배치하되, 상기 연결재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 거푸집 및 상기 제2 거푸집의 측면에 나란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전단키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시공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거푸집을 상기 제1 및 제2 거푸집 각각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3 거푸집 및 상기 제4 거푸집 각각을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일측이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시공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작업공간을 충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콘크리트 강도 이상의 강도를 갖는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진재로 상기 제1 및 제2 작업공간을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시공방법.
KR1020210131065A 2021-10-01 2021-10-01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 KR102644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065A KR102644511B1 (ko) 2021-10-01 2021-10-01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065A KR102644511B1 (ko) 2021-10-01 2021-10-01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789A true KR20230047789A (ko) 2023-04-10
KR102644511B1 KR102644511B1 (ko) 2024-03-08

Family

ID=8598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065A KR102644511B1 (ko) 2021-10-01 2021-10-01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5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694A (ja) * 1993-05-20 1994-11-29 Ohbayashi Corp Rcセグメント覆工体及びrcセグメント
JPH0726721A (ja) * 1993-07-08 1995-01-27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鉄筋の固着構造
KR100476536B1 (ko) 2004-07-03 2005-03-17 (주)아이 에스 피 엘 인명 피난 장비
JP2009197534A (ja) * 2008-02-25 2009-09-03 Taisei Corp 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構造
CN112996966A (zh) * 2018-09-14 2021-06-18 Nxt建筑系统有限公司 用于连接预制墙板的连接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694A (ja) * 1993-05-20 1994-11-29 Ohbayashi Corp Rcセグメント覆工体及びrcセグメント
JPH0726721A (ja) * 1993-07-08 1995-01-27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鉄筋の固着構造
KR100476536B1 (ko) 2004-07-03 2005-03-17 (주)아이 에스 피 엘 인명 피난 장비
JP2009197534A (ja) * 2008-02-25 2009-09-03 Taisei Corp 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構造
CN112996966A (zh) * 2018-09-14 2021-06-18 Nxt建筑系统有限公司 用于连接预制墙板的连接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511B1 (ko)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165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1453407B1 (ko) 키홀 타입 고력볼트 접합방식의 이중 c형강을 이용한 기둥의 내진보강방법
KR100741248B1 (ko) Рс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рс보의 구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접합부의 시공방법
CN211850121U (zh) 用于连接预制墙板的连接件
JP2011511190A (ja) プレキャスト仮設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56974B1 (ko) Pc 패널을 이용하는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및 리모델링 건물
KR102306103B1 (ko) Pc 보강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70553B1 (ko) Pc벽체가 기존 건축물 외면에 접합되는 내진보강구조
JP2008266910A (ja) 緊張材の定着部または偏向部の突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H07292783A (ja) Pc部材の接続構造
JP2007197936A (ja) 壁ユニット、耐震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644511B1 (ko)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
JP2005200994A (ja) 閉鎖断面部材の接合構造
JP3137562B2 (ja) 既存柱の耐震補強構造
JP6839921B2 (ja) 柱梁接合構造
KR20220155696A (ko) 흙막이벽의 프리캐스트 외장 패널 시공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KR20000061241A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 및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의접합방법
JP3851563B2 (ja) 架構補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21173023A (ja) アンカーボルトの施工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箱抜き用型枠
KR102235422B1 (ko) 모듈유닛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3909488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685632B1 (ko) 강도와 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단 접합부
JP4045502B2 (ja) 構造物
KR102599562B1 (ko) Pc 벽체의 손상방지를 위한 도그본 수직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9173291A (ja) 耐震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