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248B1 - Рс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рс보의 구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접합부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Рс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рс보의 구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접합부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248B1
KR100741248B1 KR1020060125807A KR20060125807A KR100741248B1 KR 100741248 B1 KR100741248 B1 KR 100741248B1 KR 1020060125807 A KR1020060125807 A KR 1020060125807A KR 20060125807 A KR20060125807 A KR 20060125807A KR 100741248 B1 KR100741248 B1 KR 100741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piece
fixing
mold
concret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이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재 filed Critical 이승재
Priority to KR102006012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PC보-기둥 접합부의 접합방식을 개선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 연결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접합부의 역학적 강도가 크게 향상됨은 물론 접합부의 내력뿐 아니라 내진성능이 뛰어난 새로운 하프형 PC보-기둥 접합부의 접합방식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존의 접합방식인 보 단부의 돌출된 정착철근을 연결하는 대신 새로운 접합요소, 즉 『앵커피스』,『연결부재』 또는 『브레이스 연결부재』에 의한 새로운 접합방식이다. 앵커피스는 앵커피스 플랜지와 앵커피스 웨브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프형 PC보를 기둥위에 거치시키고 접합부를 X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로 접합시키게 되면 X자형 브레이스에 의하여 접합부의 전단강도가 보강되면서 내력이 증강되고 이에 따라 내진성능도 강화되는 것이다.
또한 X자형『브레이스 연결부재』와 L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의 조합에 의하여 『앵커피스』와 연결ㆍ고정하게 되면 2방향, 3방향, 4방향의 연결이 가능하고 접합부의 역학적인 성능도 그대로 유지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프리 캐스트, 보-기둥 접합부, 앵커피스, 브레이스 연결부재, X자형브레이스 연결부재, 하프형 PC보

Description

РС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РС보의 구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의 시공방법{Structure of half-type precast concrete beam for improving joining efficiency of beam-pillar and method making half-type precast concrete beam and method constructing joint of beam-pillar by it}
도1 일반적인 하프 PC보의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
도2 기존 하프 PC보의 제작과정을 보인 실제 사진
도3 본 발명의 접합부 개념도 (Type 1과 Type 2)
도4 본 발명 접합부의 공장제작 과정 및 현장조립 개념도
도5 본 발명의 접합부 상세도 (Type 1과 Type 2)
도6 본 발명 하프형 PC보-기둥 접합부의 접합 개념도
도7 본 발명의 철근 조립체와 몰드의 분해사시도
도8 본 발명의 몰드에 철근 조립체를 삽입한 상태도
도9 본 발명 하프형 PC보 구조 사시도
도10 본 발명 2개의 하프형 PC보 구조를 일자형 연결부재로 접합시킨 상태도
도11 본 발명 2개의 하프형 PC보 구조를 기둥위에서 일자형 연결부재로 접합 시킨 상태도
도12 본 발명 하프형 PC보-기둥 접합부가 접합되어 콘크리트가 채워진 상태도
도13 본 발명 내진형 하프 PC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14 본 발명 2방향 내진형 하프 PC보-기둥 접합부를 X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로 접합시킨 분해사시도
도15 본 발명 2방향 내진형 하프 PC보-기둥 접합부를 X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로 접합시킨 사시도
도16 본 발명 2방향 내진형 하프 PC보-기둥 접합부를 X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로 접합이 완료된 사시도
도17 본 발명 3방향 내진형 하프 PC보-기둥 접합부를 X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와 L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로 접합시킨 분해사시도
도18 본 발명의 L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의 사시도 및 4방향 연결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19 본 발명 4방향 내진형 하프 PC보-기둥 접합부를 4개의 L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로 접합시킨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의 구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PC(Precast Concrete, 이하 PC)공법이란 공장 생산된 콘크리트 부재를 현장으로 운반 및 조립하여 구조체를 형성하여 현장작업의 최소화와 공기단축으로 인한 경제성을 극대화한 공법이다.
본 발명은 PC 보-기둥 접합부의 접합방식에 있어서 새로운 접합요소를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접합방식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접합요소란 하프형 PC 보-기둥 접합부에서의 접합요소이므로 이에 관련된 것을 모두 포함하는 말이다. 이에 대한 실례를 기존의 접합방식으로 들어본다면 하프 PC 보의 외부로 돌출된 정착철근이 바로 접합부에서의 접합요소가 될 것이다.
돌출된 정착철근을 연결ㆍ고정함으로써 접합부를 접합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새로운 접합요소를 살펴보기에 앞서 기존의 하프형 PC 보와 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하프형 PC는 하프 PC 슬래브, 하프 PC 보 및 하프 PC 기둥으로 나누어진다.
하프슬래브를 사용할 때, 이를 지지하는 보 부분에 재래식 거푸집 공법이 사 용될 경우에는 재래식 거푸집 위에 하프슬래브를 거치하지 못하여 기둥과 보부분에 콘크리트를 먼저 타설한 후 하프 슬래브를 설치해야하므로 공법의 효율이 떨어진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하프 PC보가 이용된다. 하프 PC보는 슬래브와 연결되는 보 부재를 PC화함으로서 슬래브부분의 시공합리화를 위한 하프 슬래브 공법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하프형 PC 보는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하프 PC 보의 형상은 도 1과 같다.
기존의 하프 PC보의 제작과정은 도2에 나타나있다.
도2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하프 PC보는 정착 철근이 밖으로 돌출되어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정착 철근의 돌출은 기존 하프 PC보의 특징이면서 동시에 문제점이다. 기존 하프 PC보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정착 철근이 하프 PC보의 몰드 막음판을 관통하여 밖으로 돌출되어있기 때문에 타설 콘크리트가 정착 철근의 관통공을 통하여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② 타설 콘크리트의 누출로 인하여 하프 PC보의 표면을 재 마감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③ 정착 철근이 돌출된 상태로 하프 PC보가 운반되기 때문에 정착철근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④ 하프 PC보가 기둥 위에 거치될 때 거치부분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⑤ 기둥 위에서 하프 PC보의 조립시 철근끼리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주 철근이 비정형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조립성능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구조 역학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보와 기둥의 접합부에서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보와 기둥으로 구성된 골조의 경우, 수평하중에 의해 보와 기둥의 폭을 고려하면 접합부에서 휨모멘트가 급변한다. 휨모멘트가 급변하는 곳은 전단력이 커진다. 기둥으로부터의 모멘트는 접합부의 전단력에 의한 우력으로서 보의 모멘트와 평형을 이루게 된다. 이 전단력은 보와 기둥에서 생기는 전단력보다 크다. 접합부의 전단력은 거의 순수한 전단응력 상태를 형성하고 대각방향으로 인장과 압축의 주응력(Principal Stress)이 된다. 이러한 주응력에 저항하는 것은 띠철근과 콘크리트이다. 콘크리트는 기둥의 폭과 보의 높이 등이 커서 이에 따라 체적이 커지므로 접합부의 파괴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아지므로 구조설계 현장에서는 경시되어져 왔다. 그러나 1995년 일본의 효고현 남부지진(Hyogoken-Nanbu earthquake 1995)에서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접합부에 파괴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 접합부에 대한 새로운 설계전략이 대두되고 있다. 접합부의 파괴원인은 복잡한 배근으로 인한 콘크리트의 다짐불량, 띠철근에 의한 전단보강의 취약성 등으로 보고 되었다. 접합부의 파괴에 대한 안전성 체크는 보와 기둥으로 구성된 골조구조에서는 구조체로서의 저항능력을 완전히 상실해 버리므로 구조설계 현장에서 이용되는 강주약보(Strong column-weak beam)의 가정을 실현하기 위해서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은 기존의 하프 PC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 즉 정착철근의 외부 돌출은 정착철근의 변형과 주 철근의 비정형성을 초래하고 이로 인하여 접합부의 정착성능 및 역학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고, 동시에 보-기둥 접합부의 전단강도를 보강하여 접합부의 파괴를 방지하면서 특히 내진성능을 향상시켜 지진에 대비하고자 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접합부의 접합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접합요소의 구조를 단순화한 것이다.
기존 하프 PC보에서는 접합요소가 돌출된 정착철근인데 대하여 본 발명 하프형 PC보에서는 정착철근은 접합요소가 아니다. 본 발명 하프형 PC보의 접합요소는 『앵커피스(Anchor piece)』, 『연결부재(Connect piece)』 및 『브레이스(Brace) 연결부재』이다.
본 발명 하프형 PC보의 접합방식을 도3의 접합 개념도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앵커피스』는 앵커피스 플랜지와 앵커피스 웨브로 이루어져있다.
『앵커피스』는 정착성능 확보를 위한 부재이고, 『연결부재』는 기둥과 보의 일체화를 위한 부재이며, 『브레이스(Brace) 연결부재』는 접합부의 전단파괴를 방지하는 부재이고, 고력볼트는 각 접합요소를 긴결시키는 부재이다.
『앵커피스』와, 『연결부재』와, 그리고 『브레이스(Brace) 연결부재』는 강재 또는 강판이다.
Type 1의 『일자형 연결부재』는 비 내진용 접합부에 사용되고, Type 2의 『 브레이스 연결부재』는 내진용 접합부에 사용된다.
본 발명 하프 PC보의 공작 제작과 현장조립과정의 개념도는 도 4와 같다.
본 발명의 하중조건을 도3과 같이 가정하고 접합부의 세부 상세도를 도5와 같이 하여 산정된 접합요소별 설계내력은 표1과 같다.
보의 인장철근의 연성파괴를 유도하기 위한 내력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91685111-pat00001
여기서, Tsv : 인장측 주근의 항복강도, T1 1 : 부착강도, T2 : 앵커피스용 판의 항복강도, T3 : 커넥트 피스의 항복강도, T4 : 고력볼트의 항복강도 이다.
표 1. 접합요소별 설계내력(단위: tonf)
접합요소 내력 주근 4-D16 앵커피스와 주근용접부 앵커피스 플랜지 앵커피스 웨브 커넥트피스 브레이스 고력볼트
Type 1 15.9 16.2 17.7 90 17.3 17.3
Type 2 31.8 32.3 35.4 90 34.6 34.2
본 발명 하프형 PC보-기둥 접합부의 접합 개념도는 도6과 같다.
기둥(B)상면의 양측에 하프형 PC보(C)(D)가 거치된다.
음영부분(E)은 하프형 PC보(C)(D)와 기둥(A)(B)이 접합되는 접합부이다. 이 접합부에는 『앵커피스』와, 그리고 『연결부재』 또는 『브레이스 연결부재』가 연결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또한 음영부분(E)은 기둥(A)(B)의 축방향 철근(F)이 통과하는 공간이다.
음영부분(G)(H)는 하프형 PC보(C)(D)와 슬라브가 연결되는 곳이다.
도4에서 철근이 보이는 부분이 바로 상기 음영부분(G)(H)에 해당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기존의 접합방식인 보 단부의 정착철근을 새로운 접합요소로 대체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접합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접합부의 내력뿐 아니라 내진성능이 뛰어난 접합부를 형성하고자함에 첫 번째 목적이 있다.
⒝ 하프형 PC보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시멘트 몰탈의 누출이 없도록 함으로써 하프형 PC보의 표면을 재 마감 처리할 필요가 전혀 없도록 함에 두 번째 목적이 있다.
⒞ 축방향 철근의 위치를 변경시킬 필요가 없도록 하여 접합부가 구조 역학적으로 불리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에 세 번째 목적이 있다.
⒟ 하프형 PC보의 연결부재로서 강판으로 된 브레이스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접합부의 내력과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함에 네 번째 목적이 있다.
⒠ 새로운 접합요소에 의하여 2방향, 3방향, 4방향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에 다섯 번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접합요소이다. 접합요소는 앵커피스』,『연결부재』 또는 『브레이스 연결부재』, 그리고 고력볼트이다.
접합요소 각각의 특징과 이들 상호간의 특징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ⅰ) 하프형 PC보 구조, ⅱ) 하프형 PC보 구조의 제작방법, ⅲ) 하프형 PC보 구조를 이용한 접합부의 시공방법
또 여기에다 비 내진형과 내진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비 내진형이든 내진형이든 『앵커피스』는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갖는다.
다만 비 내진형에서는 『앵커피스』가 1개인데 내진형에서는 2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연결부재는 비 내진형과 내진형에 따라 그 형상과 구조가 달라진다.
비 내진형의 경우에는 『일자형 연결부재』(도4 참조)를 사용하고 내진형의 경우에는 『브레이스 연결부재』(도4 참조)를 사용한다.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레이스 연결부재』는 『일자형 연결부재』보다 그 설계내력이 2배나 크기 때문에 『브레이스 연결부재』가 내진성에 아주 뛰어난 연결부재이다. 이는 『브레이스 연결부재』의 브레이스가 X자형으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브레이스 연결부재』는 X자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브레이스 연결부재』를 “X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와 “L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로 나누어 부르기로 한다. 그 기능과 역학적 성질은 동일하다. “X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는 도8에서와 같이 하나의 평면판으로 된 『브레이스 연결부재』로서 2방향과 3방향 연결에 사용된다. “L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는 도9에서와 같이 L자 형상으로 된 『브레이스 연결부재』로서 3방향과 4방향 연결에 사용된다.
ⅰ) 하프형 PC보 구조
⒜ 비 내진형
본원 발명 『하프형 PC보 구조』의 기본구성은 콘크리트의 몸체부와, 스터럽과, 그리고 『앵커피스』로 구성되어있다. 『앵커피스』는 앵커 피스 플랜지와 앵커 피스 웨브로 이루어져있고 앵커 피스 웨브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있다. 『앵커피스』는 몸체의 측면 일측 하단에 위치되어있다. 앵커 피스 플랜지는 몸체하단에 정착되는 정착철근과 일체로 고정되어있다.
스터럽은 몸체하단에 배치된 정착철근을 감싸고 상부를 향하여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면서 몸체의 상단부분만 몸체 밖으로 돌출되어있다. (도6 참조)
⒝ 내진형
내진형도 비 내진형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비 내진형은 『앵커피스』가 하단에 위치되어 콘크리트 몸체와 일체로 되어있는데 대하여 내진형은 상단에 『앵커피스』가 하나 더 있다. 상단에 배치된 스터럽에 정착철근이 배근되면서 『앵커피스』와 상기 정착철근의 단부가 서로 고정된 상태이다. (도7 참조)
ⅱ) 하프형 PC보 구조의 제작방법
⒜ 비 내진형
하프형 PC보 구조는 몰드에 의하여 제작되므로 몰드 형상과 철근 조립체에 대하여 살펴본다.
ⓐ 몰드 형상
몰드는 길게 형성된 육면체형상이고 그 상부는 개방되어있다. 일측면 하단에 정착공이 형성되어있다. 정착공은 앵커피스의 플랜지에 의하여 밀폐된다.
몰드의 내부에는 철근 조립체가 삽입되어있다.
ⓑ 철근 조립체
철근 조립체는 하부에 정착철근과, 정착철근의 수직방향으로 스터럽이 배근되어있다. 스터럽은 몰드의 높이(h)보다 약간 위로 솟아있다.
정착철근의 단부에는 앵커피스 플랜지가 고정되어있다. 앵커피스 플랜지는 정착공에 조립되어 정착공을 밀페시키는 역할을 한다. 시멘트 몰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 제작 방법
하단에 정착철근을 배근하고 정착철근의 수직방향으로 스터럽을 배치하되 몰드의 높이(h)보다 약간 위로 돌출되게 하고 정착철근의 일단에 앵커피스 플랜지를 일체로 고정시켜 철근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하단에 위치된 앵커피스 플랜지가 밖에서 안으로 걸쳐지는 상태로 조립ㆍ밀페 되도록 측면 하단에 정착공을 갖으면서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몰드를 철근 조립체를 중심으로 형성하는 단계;
몰드 내에 콘크리크 몰탈을 타설하는 단계; 이를 경화ㆍ양생시킨 다음 몰드를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 구조의 제작방법
⒝ 내진형
ⓐ 몰드 형상
몰드의 형상은 비 내진형과 동일하다.
ⓑ 철근 조립체
비 내진형의 철근 조립체와 동일하다. 여기에다 몰드의 높이(h)보다 약간 돌출되어있는 스터럽에 상단 정착철근을 배근하고 배근된 상단 정착철근의 단부에 또 하나의 앵커피스 플랜지를 연결ㆍ고정한 철근 조립체이다.
ⓒ 제작 방법
하단에 정착철근을 배근하고 정착철근의 수직방향으로 스터럽을 배치하되 몰드의 높이(h)보다 약간 위로 돌출되게 하고 정착철근의 일단에 앵커피스 플랜지를 일체로 고정시켜 철근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하단에 위치된 앵커피스 플랜지가 밖에서 안으로 걸쳐지는 상태로 조립ㆍ밀페 되도록 측면 하단에 정착공을 갖으면서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몰드를 철근 조립체를 중심으로 형성하는 단계;
몰드의 높이(h)보다 약간 돌출되어있는 스터럽에 상단 정착철근을 배근하고 배근된 상단 정착철근의 단부에 앵커피스 플랜지를 연결ㆍ고정시키는 단계;
몰드 내에 콘크리크 몰탈을 타설하는 단계; 이를 경화ㆍ양생시킨 다음 몰드를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 구조의 제작방법
ⅲ) 하프형 PC보 구조를 이용한 접합부의 시공방법
⒜ 비 내진형
콘크리트 몸체와 그 상부에 스터럽이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부 하단에 앵커피스 웨브가 돌출된 하프형 PC보 2개를 기둥위에 서로 맞대어 거치시키는 단계;
돌출된 앵커피스 웨브의 결합공에 일자형 연결부재를 양면에 맞대고 고력볼트로 고정시키는 단계; 접합부를 중심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 구조를 이용한 접합부의 시공방법
⒝ 내진형
ⓐ 2방향 접합
콘크리트 몸체와 그 몸체의 일측부 하단에 앵커피스 웨브가 돌출되고 또 몸체의 상부에 돌출된 스터럽에 배근된 상부 정착철근의 단부에 상부 앵커피스 플랜지가 연결ㆍ고정되어 있으면서 앵커피스 웨브가 돌출된 하프형 PC보 2개를 기둥위에 서로 맞대어 거치시키는 단계; 돌출된 앵커피스 웨브의 결합공에 X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를 양면에 맞대고 고력볼트로 고정시키는 단계; 접합부를 중심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 구조를 이용한 접합부의 시공방법
ⓑ 3방향 접합
콘크리트 몸체와 그 몸체의 일측부 하단에 앵커피스 웨브가 돌출되고 또 몸체의 상부에 돌출된 스터럽에 배근된 상부 정착철근의 단부에 상부 앵커피스 플랜지가 연결ㆍ고정되어 있으면서 앵커피스 웨브가 돌출된 하프형 PC보 2개는 서로 맞대고 하프형 PC보 1개는 직각방향으로 기둥위에 거치시키는 단계; 서로 맞대어 놓은 2개의 하프형 PC보의 앵커피스 웨브의 결합공에는 1개의 X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를 고력볼트로 고정시키고, 직각방향으로 놓인 하프형 PC보의 앵커피스 웨브의 결합공과 서로 맞댄 2개의 앵커피스 웨브의 결합공에는 L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를 고력볼트로 고정시키는 단계; 접합부를 중심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콘크 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 구조를 이용한 접합부의 시공방법
ⓒ 4방향 접합
콘크리트 몸체와 그 몸체의 일측부 하단에 앵커피스 웨브가 돌출되고 또 몸체의 상부에 돌출된 스터럽에 배근된 상부 정착철근의 단부에 상부 앵커피스 플랜지가 연결ㆍ고정되어 있으면서 앵커피스 웨브가 돌출된 하프형 PC보 4개가 각기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2개씩 서로 맞대어 있는 상태로 기둥위에 거치시키는 단계;
직각을 이루고 있는 앵커피스 웨브의 결합공에 L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를 고력볼트로 고정시키는 단계; 접합부를 중심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 구조를 이용한 접합부의 시공방법
기존의 접합방식인 보 단부의 정착철근을 앵커피스로 대체한 구성이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접합 작업이 용이하다. 앵커피스가 몰드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하프형 PC보의 역할도 하는 2중의 기능을 하므로 구조가 그만큼 간단해진다.
몰드의 정착공을 앵커피스 플랜지가 조립 밀폐시키므로 시멘트 몰탈이 누출이 방지되어 그 표면을 재 마감 처리할 필요가 전혀 없다.
접합요소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접합부 공간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 축방향 철근의 위치가 변경될 염려가 없으므로 접합부가 구조 역학적으로 불리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프형 PC보의 연결부재로서 X자형으로 된 브레이스 연결부재를 기본으로 사용하므로 접합부의 내력과 내진성이 향상된 뛰어난 효과가 있다.
X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와 L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의 조합에 의하여 2방향, 3방향, 4방향의 연결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8)

  1. 콘크리트의 몸체부와, 스터럽과, 그리고 앵커피스로 구성되고 앵커피스는 앵커피스 플랜지와 앵커피스 웨브로 일체로 이루어지고 앵커피스 플랜지는 상기 콘크리트의 몸체부의 측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앵커피스 웨브가 밖으로 돌출되고 앵커피스 웨브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 구조
  2. 콘크리트의 몸체부와, 스터럽과, 그리고 2개의 앵커피스로 구성되고 하나의 앵커피스는 콘크리트의 몸체부의 측면 하단에 위치되며 다른 하나의 앵커피스는 콘크리트의 몸체부 상단에 위치된 스터럽과 연결된 정착철근의 단부에 연결ㆍ고정되어있고 앵커피스는 앵커피스 플랜지와 앵커피스 웨브로 일체로 이루어졌으며 앵커피스 웨브는 밖으로 돌출되고 앵커피스 웨브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 구조
  3. 하단에 정착철근을 배근하고 정착철근의 수직방향으로 스터럽을 배치하되 몰드의 높이(h)보다 약간 위로 돌출되게 하고 정착철근의 일단에 앵커피스 플랜지를 일체로 고정시켜 철근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하단에 위치된 앵커피스 플랜지가 밖에서 안으로 걸쳐지는 상태로 조립ㆍ밀페 되도록 측면 하단에 정착공을 갖으면서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몰드를 철근 조립체를 중심으로 형성하는 단계;
    몰드 내에 콘크리크 몰탈을 타설하는 단계; 이를 경화ㆍ양생시킨 다음 몰드를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의 제작방법
  4. 하단에 정착철근을 배근하고 정착철근의 수직방향으로 스터럽을 배치하되 몰드의 높이(h)보다 약간 위로 돌출되게 하고 정착철근의 일단에 앵커피스 플랜지를 일체로 고정시켜 철근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하단에 위치된 앵커피스 플랜지가 밖에서 안으로 걸쳐지는 상태로 조립ㆍ밀페 되도록 측면 하단에 정착공을 갖으면서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몰드를 철근 조립체를 중심으로 형성하는 단계;
    몰드의 높이(h)보다 약간 돌출되어있는 스터럽에 상단 정착철근을 배근하고 배근된 상단 정착철근의 단부에 앵커피스 플랜지를 연결ㆍ고정시키는 단계;
    몰드 내에 콘크리크 몰탈을 타설하는 단계; 이를 경화ㆍ양생시킨 다음 몰드를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 구조의 제작방법
  5. 콘크리트 몸체와 그 상부에 스터럽이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부 하단에 앵커피스 웨브가 돌출된 하프형 PC보 2개를 기둥위에 서로 맞대어 거치시키는 단계;
    돌출된 앵커피스 웨브의 결합공에 일자형 연결부재를 양면에 맞대고 고력볼트로 고정시키는 단계; 접합부를 중심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 구조를 이용한 접합부의 시공방법
  6. 콘크리트 몸체와 그 몸체의 일측부 하단에 앵커피스 웨브가 돌출되고 또 몸체의 상부에 돌출된 스터럽에 배근된 상부 정착철근의 단부에 상부 앵커피스 플랜지가 연결ㆍ고정되어 있으면서 앵커피스 웨브가 돌출된 하프형 PC보 2개를 기둥위에 서로 맞대어 거치시키는 단계; 돌출된 앵커피스 웨브의 결합공에 X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를 양면에 맞대고 고력볼트로 고정시키는 단계; 접합부를 중심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 구조를 이용한 접합부의 시공방법
  7. 콘크리트 몸체와 그 몸체의 일측부 하단에 앵커피스 웨브가 돌출되고 또 몸체의 상부에 돌출된 스터럽에 배근된 상부 정착철근의 단부에 상부 앵커피스 플랜지가 연결ㆍ고정되어 있으면서 앵커피스 웨브가 돌출된 하프형 PC보 2개는 서로 맞대고 하프형 PC보 1개는 직각방향으로 기둥위에 거치시키는 단계; 서로 맞대어 놓은 2개의 하프형 PC보의 앵커피스 웨브의 결합공에는 1개의 X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를 고력볼트로 고정시키고, 직각방향으로 놓인 하프형 PC보의 앵커피스 웨브의 결합공과 서로 맞댄 2개의 앵커피스 웨브의 결합공에는 L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를 고력볼트로 고정시키는 단계; 접합부를 중심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 구조를 이용한 접합부의 시공방법
  8. 콘크리트 몸체와 그 몸체의 일측부 하단에 앵커피스 웨브가 돌출되고 또 몸체의 상부에 돌출된 스터럽에 배근된 상부 정착철근의 단부에 상부 앵커피스 플랜지가 연결ㆍ고정되어 있으면서 앵커피스 웨브가 돌출된 하프형 PC보 4개가 각기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2개씩 서로 맞대어 있는 상태로 기둥위에 거치시키는 단계;
    직각을 이루고 있는 앵커피스 웨브의 결합공에 L자형 브레이스 연결부재를 고력볼트로 고정시키는 단계; 접합부를 중심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콘크 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 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 PC 보 구조를 이용한 접합부의 시공방법
KR1020060125807A 2006-12-11 2006-12-11 Рс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рс보의 구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접합부의 시공방법 KR100741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807A KR100741248B1 (ko) 2006-12-11 2006-12-11 Рс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рс보의 구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접합부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807A KR100741248B1 (ko) 2006-12-11 2006-12-11 Рс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рс보의 구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접합부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248B1 true KR100741248B1 (ko) 2007-07-19

Family

ID=3849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807A KR100741248B1 (ko) 2006-12-11 2006-12-11 Рс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рс보의 구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접합부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24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591B1 (ko) 2009-08-24 2010-05-14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및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골보와 이의 시공방법
WO2011049260A1 (ko) * 2009-10-23 2011-04-28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및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골보와 이의 시공방법
CN108978887A (zh) * 2018-06-27 2018-12-11 中建八局第建设有限公司 一种钢管混凝土柱环梁节点及其钢筋绑扎施工方法
CN109296069A (zh) * 2018-10-25 2019-02-01 安徽建筑大学 一种预制装配钢结构可修复的抗震耗能连接节点
JP2020063635A (ja) * 2018-10-19 2020-04-23 株式会社安藤・間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KR102156661B1 (ko) 2020-05-12 2020-09-16 이호찬 단부균열이 제어된 강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CN112710568A (zh) * 2020-12-17 2021-04-27 哈尔滨汽轮机厂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轮机定中心梁强度检测方法
CN114382182A (zh) * 2020-10-16 2022-04-22 润弘精密工程事业股份有限公司 梁柱结构及其制造方法
CN114876059A (zh) * 2022-05-19 2022-08-09 上海师范大学 一种纤维增强混凝土梁柱节点多层式锚固连接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254A (ja) 1997-05-29 1998-12-15 Ohbayashi Corp Src大梁とpc小梁の建方用仕口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254A (ja) 1997-05-29 1998-12-15 Ohbayashi Corp Src大梁とpc小梁の建方用仕口構造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591B1 (ko) 2009-08-24 2010-05-14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및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골보와 이의 시공방법
WO2011049260A1 (ko) * 2009-10-23 2011-04-28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및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골보와 이의 시공방법
CN108978887A (zh) * 2018-06-27 2018-12-11 中建八局第建设有限公司 一种钢管混凝土柱环梁节点及其钢筋绑扎施工方法
JP2020063635A (ja) * 2018-10-19 2020-04-23 株式会社安藤・間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JP7158997B2 (ja) 2018-10-19 2022-10-24 株式会社安藤・間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CN109296069A (zh) * 2018-10-25 2019-02-01 安徽建筑大学 一种预制装配钢结构可修复的抗震耗能连接节点
KR102156661B1 (ko) 2020-05-12 2020-09-16 이호찬 단부균열이 제어된 강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CN114382182A (zh) * 2020-10-16 2022-04-22 润弘精密工程事业股份有限公司 梁柱结构及其制造方法
CN114382182B (zh) * 2020-10-16 2024-05-24 润弘精密工程事业股份有限公司 梁柱结构及其制造方法
CN112710568A (zh) * 2020-12-17 2021-04-27 哈尔滨汽轮机厂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轮机定中心梁强度检测方法
CN112710568B (zh) * 2020-12-17 2024-05-28 哈尔滨汽轮机厂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轮机定中心梁强度检测方法
CN114876059A (zh) * 2022-05-19 2022-08-09 上海师范大学 一种纤维增强混凝土梁柱节点多层式锚固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248B1 (ko) Рс보-기둥 접합에 있어서 접합성능을 개선한 하프형рс보의 구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접합부의 시공방법
KR100797194B1 (ko)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2079008B1 (ko) 단부모멘트 및 휨 저항력이 보강된 보와 기둥의 이-지(ez) 결합구조
KR20060024850A (ko) 철골-콘크리트 샌드위치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합성 구조 시스템
KR101663132B1 (ko) 자립 기둥구조체
KR20190072336A (ko) 중앙에 기둥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코어 시스템
KR102298544B1 (ko) 선조립 기둥 구조물
KR10060918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 구조
KR20120087640A (ko) 건물 보-기둥 골조 내부구간에 외벽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끼움형으로 설치하는 리모델링 시공방법 및 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CN113513089B (zh) Frp外包交叉型钢骨混凝土柱-h型钢梁连接节点及安装方法
KR20180112241A (ko) 강콘크리트 합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코어전단벽 시스템
CN206971554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柱插入式螺栓拼接节点
KR20230047789A (ko) 매립형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pc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시공방법
JP3999591B2 (ja) 繊維補強セメント系材料によるコンクリート系構造物の制震構造
KR100578641B1 (ko) 스틸 콘크리트 합성 기둥, 이를 이용한 복합 구조 시스템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37940B1 (ko)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골 보의 결합구조
KR102461223B1 (ko) 중공 합성벽체용 선조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 합성벽체
KR20060087733A (ko) 강판-콘크리트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합성구조시스템
CN212104524U (zh) 用于螺栓连接装配式钢筋混凝土墙板水平抗弯梁节点结构
KR20190046336A (ko) 샌드위치 피씨-월 및 그 제조방법
KR101338890B1 (ko) 비용접 고정식 프레임패널을 갖는 벽체시스템, 그리고 그의 제작 및 시공방법
KR20060041428A (ko) 철관 몰탈 합성 조립골조
KR101372604B1 (ko) 무거푸집 합성기둥 및 이의 제조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