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288B1 - 천장등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천장등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288B1
KR102240288B1 KR1020200087423A KR20200087423A KR102240288B1 KR 102240288 B1 KR102240288 B1 KR 102240288B1 KR 1020200087423 A KR1020200087423 A KR 1020200087423A KR 20200087423 A KR20200087423 A KR 20200087423A KR 102240288 B1 KR102240288 B1 KR 102240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ocking piece
ceiling
bracket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소형
Original Assignee
조소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소형 filed Critical 조소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의 실내 천장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천장에 천장등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에 천장등 설치 또는 분리 시 천장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탄력적인 변형 특성을 발휘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천장측에 천장등을 설치할 수 있거나 천장측으로부터 천장등을 분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고정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천장등 설치 작업은 물론 교체 및 수리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천장등을 매달아놓을 수 있는 와이어장치를 적용하여 천장등 설치 및 분리 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천장등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장등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OVERHEAD LIGHT}
본 발명은 가정의 실내 천장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천장에 천장등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등은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을 말하며, 이렇게 실내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천장등의 경우 주로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조명부 및 그 밖의 안정기 등과 같은 전기부품이 조립되는 본체 및 본체 하부에 조립되어 빛을 투과시키는 커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천장등을 실내 천장에 설치하는 작업은 천장에 브라켓을 나사로 고정시키고, 브라켓의 하부에 돌출되어 있는 고정나사에 본체의 상부를 관통 결합시키며, 본체 상부로 관통된 고정나사에 너트를 체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천장등을 천장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나사를 일일이 조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시간이 경과되어 나사의 체결상태가 느슨해지는 경우 천장등의 설치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관계로 떨어질 위험은 물론 각종 고장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장 발생에 따른 교체 등 유지보수 시에도 여러 개의 나사를 일일이 푼 다음에 천장으로부터 천장등을 떼어내야 하고, 또 유지보수 후 재차 천장등을 천장에 설치해야 하는 등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천장에 천장등을 설치하거나 천장으로부터 천장등을 떼어내는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고개를 젖힌 상태에서 윗쪽을 바라보면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힘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518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0860호 등록특허공보 제10-1568086호 등록특허공보 제10-204235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천장에 천장등 설치 또는 분리 시 천장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탄력적인 변형 특성을 발휘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천장측에 천장등을 설치할 수 있거나 천장측으로부터 천장등을 분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고정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천장등 설치 작업은 물론 교체 및 수리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천장등을 매달아놓을 수 있는 와이어장치를 적용하여 천장등 설치 및 분리 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천장등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천장등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천장등 고정장치는 양쪽 단부에 판스프링 지지판을 가지면서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각 판스프링 지지판 상에서 양단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위아래로 누르는 힘에 의해 위로 볼록 또는 아래로 볼록되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본체를 지지하는 한쌍의 판스프링과, 조명부 및 그 밖의 안정기 등과 같은 전기부품이 조립되며 상면에는 판스프링의 윗면에 걸려지는 한쌍의 걸림편을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천장등 고정장치는 본체의 설치 시, 브라켓의 판스프링이 아래로 볼록한 호(弧) 형상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본체의 걸림편을 브라켓의 판스프링의 윗면에 수평으로 끼워서 건 다음, 본체를 위로 밀어 올림과 동시에 걸림편의 누르는 힘에 의해 판스프링이 위로 볼록한 호(弧) 형상으로 전환되도록 한 상태에서 본체의 걸림편이 판스프링의 상면에 얹혀져 지지되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판스프링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자체적으로 발휘하는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볼록한 호(弧) 형상을 취하는 자세 또는 위로 볼록한 호(弧) 형상을 취하는 자세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아래로 볼록한 호(弧) 형상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판스프링에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천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또 위로 볼록한 호(弧) 형상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판스프링에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천장면측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천장등 고정장치는 브라켓의 판스프링 지지판의 양옆에 각각 수직 형성되면서 걸림편의 진입을 안내하는 동시에 걸림편의 이탈을 막아주는 한쌍의 걸림편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천장등 고정장치는 와이어의 한쪽 끝에 있는 고리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홈에 걸려지게 됨과 더불어 와이어의 다른 한쪽 끝의 나사체결편을 이용하여 본체의 상면에 나사체결되는 구조로 브라켓측과 본체측 사이에 연결 설치되면서 본체를 일정높이에 매닿아놓을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천장등 고정장치를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판스프링의 탄력적인 변형 특성을 이용하여 천장등을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천장등 설치 및 분리 작업을 신속하고 손쉽게 할 수 있는 등 천장등의 설치 작업성 뿐만 아니라 교체 및 수리를 위한 분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천장등의 지지를 위한 와이어장치를 이용하여 천장등을 적정 높이에 매달아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장등의 낙하 사고를 막을 수 있는 등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 부품 수리 및 교체 시에도 간편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구조가 간단한 판스프링 고정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고정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등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등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천장등을 설치(또는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등 고정장치에서 와이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등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천장등 고정장치는 원형의 천장등, 사각형의 천장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천장등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천장등 고정장치는 본체 지지를 위한 수단으로 브라켓(11)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1)은 길다란 직사각형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브라켓(11)은 수평 자세를 취하면서 다수의 슬롯 형태 홀을 이용하여 천장에 스크류 체결구조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11)의 양쪽 단부에는 브라켓 저면쪽을 향해 하향 경사지면서 앞쪽과 뒷쪽으로 서로 벌어져 있는 형태의 판스프링 지지판(10)이 각각 형성되며, 이때의 판스프링 지지판(10) 사이에 판스프링(13)이 자리를 잡으면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1)의 양쪽 끝 부분, 예를 들면 각 판스프링 지지판(10)의 한쪽 옆에는 고리홈(17)이 각각 형성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고리홈(17)에는 와이어장치(19)의 고리(16)가 걸려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브라켓(11)의 양단 부분, 예를 들면 스프링 지지판(10)의 양쪽 옆 부분에는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걸린편 지지판(21)이 각각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걸림편 지지판(21)은 본체측에 있는 걸림편(14)의 진입을 안내하는 동시에 이때의 진입한 걸림편(14)의 이탈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12)에 있는 걸림편(14)을 판스프링(13)에 걸 때, 걸림편(14)을 한쌍의 걸림편 지지판(21) 사이로 진입시키게 되면, 걸림편(14)이 판스프링(13)의 길이 중간쯤에 정확히 위치되므로 특별히 위치를 맞출 필요없이도 걸림편(14)을 판스프링(13)에 쉽게 걸 수 있게 되고, 또 걸림편(14)을 판스프링(13)에 건 상태에서도 걸림편(14)이 양쪽 한쌍씩의 걸림편 지지판(21) 사이에 위치되면서 앞뒤쪽으로 막혀 있게 되므로 걸림편(14)의 앞뒤쪽 유동이 구속되면서 결국 본체(12)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편 지지판(21)의 측단부에는 바깥쪽을 향해 벌여진 형태의 가이드 편(22)이 형성되어 있어서 걸림편 지지판(21) 사이로 걸림편(14)이 쉽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걸림편 지지판(21)은 브라켓(11)의 양단부에 있는 판스프링 지지판(10)의 양옆에 각 한쌍씩 총 네쌍이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브라켓(11)은 천장등의 형태나 크기 등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양쪽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쌍의 브라켓(11)을 적용한 예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천장등 고정장치는 실질적으로 본체(12)를 고정시켜주는 수단으로 한쌍의 판스프링(13)을 포함한다.
상기 판스프링(13)은 직사각형의 띠 형태로서, 이러한 판스프링(13)은 양단 부분의 평면부(13a)와 나머지 중간 부분의 곡면부(13b)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브라켓(11)에 형성되어 있는 판스프링 지지판(10)의 양단 부분의 평면부(13a)를 이용하여 핀 체결 또는 용접 접합 등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판스프링(13)의 양단 고정점 간의 간격(양단 부분의 평면부 간의 간격)은 스프링 자체 길이 대비 짧은 간격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판스프링(13)은 길이 중간 부분이 호(弧) 형상을 이루면서 위로 볼록되는 형태 또는 아래로 볼록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판스프링(13)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자체적으로 발휘하는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볼록한 호(弧) 형상을 취하는 자세 또는 위로 볼록한 호(弧) 형상을 취하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13)이 위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는 상태에서 판스프링(13)의 길이 중간부분을 아래로 누르게 되면, 이때의 판스프링(13)은 자체 탄력 특성을 발휘하면서 아래로 볼록한 형태로 전환되고, 반대로 판스프링(13)이 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는 상태에서 판스프링(13)의 길이 중간부분을 위로 누르게 되면, 이때의 판스프링(13)은 자체 탄력 특성을 발휘하면서 위로 볼록한 형태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천장등 고정장치는 LED 등의 조명부(미도시), 안정기(미도시), 파워 서플라이(미도시) 등과 같은 천장등 관련 전기부품 등을 수용하는 수단으로 본체(1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2)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케이스 형태로서, 이러한 본체(12)의 상면에는 양쪽 가장자리 위치에 한쌍의 걸림편(14)이 각각 설치되고, 이때의 걸림편(14)을 이용하여 브라켓(11)에 있는 판스프링(13)에 걸려지면서 브라켓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편(14)는 본체(12)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ㄱ"자 형태를 이루는 수평판(14a)과 수직판(14b)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이때의 걸림편(14)의 수직판(14b)에는 한쪽이 개방되고 끝이 막혀 있으면서 수평으로 길게 절개된 형태의 걸림홈(14c)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편(14)은 수직판(14b)에 있는 걸림홈(14c)을 통해 판스프링(13)에 끼워지면서 걸려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걸림편(14)은 천장등의 형태나 크기 등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양쪽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쌍의 걸림편(14)을 적용한 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본체(12)의 저면에는 커버(20)가 결합되며, 이때의 커버(20)는 본체(12)의 저면에 장착되는 조명부, 즉 다수 개의 LED를 마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등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천장등을 설치(또는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11)을 이용하여 본체(12)를 천장측에 고정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천장등 설치 시, 상기 본체(12)의 걸림편(14)과 브라켓(11)의 판스프링(13) 간의 위치와 높이를 맞춘 다음, 본체(12)를 수평방향을 따라 옆으로 밀어서 본체(12)의 걸림편(14)을 브라켓(11)의 판스프링(13), 즉 아래로 볼록한 호(弧) 형상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판스프링(13)에 끼워서 걸어준다.
즉, 상기 판스프링(13)이 아래로 볼록한 호(弧) 형상의 자세를 취함에 따라 천장면과의 사이에 조성되어 있는 공간을 통해 걸림편(14)의 수직판(14b)을 집어넣으면서 걸림편(14)의 수직판(14b)에 있는 걸림홈(14c) 내로 판스프링(13)이 들어오게 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13)에 걸림편(14)을 끼워서 걸 때, 걸림편(14)의 수직판(14b)을 걸림편 지지판(21) 사이로 진입시키면서 걸림편(14)을 끼우게 되므로, 걸림편(14)을 판스프링(13)의 정위치에 정확하고 손쉽게 걸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본체(12)의 상면은 천장면(100)과 일정간격 떨어져 있게 된다.
다음, 상기 본체(12)에 힘을 주어 위로 밀어 올리게 되면, 걸림편(14)에 의해 판스프링(13) 또한 윗쪽으로 힘을 받게 되고, 그 결과 판스프링(13)은 걸림편(14)에 의해 윗쪽으로 밀려나면서 변형되어 위로 볼록한 호(弧) 형상의 자세로 전환됨과 동시에 자체 탄력 특성에 의해 위로 볼록한 호(弧) 형상의 자세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본체(12)는 천정측의 브라켓(11)에 얹혀져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2)의 상면은 천장면(100)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한편, LED 교체 등의 이유로 천장등을 천장에서 분리하는 경우, 상기 본체(12)에 힘을 주어 아래로 당겨 내리게 되면, 걸림편(14)에 의해 판스프링(13) 또한 아래쪽으로 힘을 받게 되고, 그 결과 판스프링(13)은 걸림편(14)에 의해 아래쪽으로 밀려나면서 변형되어 아래로 볼록한 호(弧) 형상의 자세로 전환됨과 동시에 자체 탄력 특성에 의해 아래로 볼록한 호(弧) 형상의 자세를 유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본체(12)를 수평방향을 따라 옆으로 빼내서 브라켓(11)측과 걸림편(14)을 분리하게 되면, 천장으로부터 본체(12)를 쉽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천장등 설치 시 또는 분리 시 천장등을 수평으로 건 후에 위로 눌러서 올려주거나 또는 천장등을 수평으로 빼낸 후에 아래로 당겨서 내려주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천장등을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천장등 설치 및 분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등 고정장치에서 와이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천장등 설치 시 또는 분리 시에 천장등 낙하를 막거나 중량물인 천장등을 임시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와이어장치(19)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와이어장치(19)는 일정길이의 와이어(15) 및 이러한 와이어(15)의 양단부에 각각 부착되는 고리(16)와 나사체결편(18)으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15)의 한쪽 끝에 있는 고리(16)는 브라켓(11)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홈(17)에 걸려지게 되고, 와이어(15)의 다른 한쪽 끝에 있는 나사체결편(18)는 본체(12)의 상면 가장자리에 있는 나사 체결부위에 나사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천장등, 즉 본체(12)는 와이어장치(19)에 의해 일정높이에서 천장측의 브라켓(11)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본체(12)를 브라켓(11)측에서 분리한 후에 아래로 내리게 되면, 본체(12)는 브라켓(11)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장치(19)에 의해 일정높이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될 수 있고, 따라서 교체 작업 시 또는 설치를 위한 준비 작업 시에 본체(12)를 안전하게 또 힘들이지 않고 취급할 수 있게 되며, 본체(12)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등의 사고 또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천장등을 설치할 때나 분리할 때 탄력적을 특성을 발휘하면서 자세 전환 및 전환된 자세 유지가 가능한 판스프링을 이용한 원터치 방식으로 천장측에 천장등을 설치할 수 있거나 천장측으로부터 천장등을 분리할 수 있는 새로운 천장등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천장등 설치 작업은 물론 교체 및 수리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장등을 매달아놓을 수 있는 와이어장치를 활용하여 용이하고 안전하게 천장등 설치 및 분리 작업을 할 수 있다.
10 : 판스프링 지지판
11 : 브라켓
12 : 본체
13 : 판스프링
14 : 걸림편
14a : 수평판
14b : 수직판
14c : 걸림홈
15 : 와이어
16 : 고리
17 : 고리홈
18 : 나사체결편
19 : 와이어장치
20 : 커버
21 : 걸림편 지지판
22 : 가이드 편

Claims (5)

  1. 양쪽 단부에 판스프링 지지판(10)을 가지면서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11);
    상기 브라켓(11)의 각 판스프링 지지판(10) 상에서 양단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위아래로 누르는 힘에 의해 위로 볼록 또는 아래로 볼록되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본체(12)를 지지하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자체적으로 발휘하는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볼록한 호(弧) 형상을 취하는 자세 또는 위로 볼록한 호(弧) 형상을 취하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한쌍의 판스프링(13);
    조명부 및 그 밖의 안정기 등과 같은 전기부품이 조립되며 상면에는 판스프링(13)의 윗면에 걸려지는 한쌍의 걸림편(14)을 가지는 본체(12);
    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편(14)는 본체(12)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ㄱ"자 형태를 이루는 수평판(14a)과 수직판(14b)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편(14)의 수직판(14b)에는 한쪽이 개방되고 끝이 막혀 있으면서 수평으로 길게 절개된 형태의 걸림홈(14c)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편(14)은 수직판(14b)에 있는 걸림홈(14c)을 통해 판스프링(13)에 끼워지면서 걸려질 수 있게 되고,
    상기 본체(12)의 설치 시, 브라켓(11)의 판스프링(13)이 아래로 볼록한 호(弧) 형상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본체(12)의 걸림편(14)과 브라켓(11)의 판스프링(13) 간의 위치와 높이를 맞춘 다음, 본체(12)를 수평방향을 따라 옆으로 밀어서 본체(12)의 걸림편(14)을 아래로 볼록한 호(弧) 형상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판스프링(13)에 끼워서 걸어주되, 상기 판스프링(13)이 아래로 볼록한 호(弧) 형상의 자세를 취함에 따라 천장면과의 사이에 조성되어 있는 공간을 통해 걸림편(14)의 수직판(14b)을 집어넣으면서 걸림편(14)의 수직판(14b)에 있는 걸림홈(14c) 내로 판스프링(13)이 들어오게 한 후, 본체(12)를 위로 밀어 올림과 동시에 걸림편(14)의 누르는 힘에 의해 판스프링(13)이 위로 볼록한 호(弧) 형상으로 전환되도록 한 상태에서 본체(12)의 걸림편(14)이 판스프링(13)의 상면에 얹혀져 지지되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1)의 판스프링 지지판(10)의 양옆에 각각 수직 형성되면서 걸림편(14)의 진입을 안내하는 동시에 걸림편(14)의 이탈을 막아주는 한쌍의 걸림편 지지판(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와이어(15)의 한쪽 끝에 있는 고리(16)를 이용하여 브라켓(11)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홈(17)에 걸려지게 됨과 더불어 와이어(15)의 다른 한쪽 끝의 나사체결편(18)을 이용하여 본체(12)의 상면에 나사체결되는 구조로 브라켓(11)측과 본체(12)측 사이에 연결 설치되면서 본체(12)를 일정높이에 매닿아놓을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장치(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고정장치.
KR1020200087423A 2020-07-03 2020-07-15 천장등 고정장치 KR102240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847 2020-07-03
KR20200081847 2020-07-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288B1 true KR102240288B1 (ko) 2021-04-14

Family

ID=7547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423A KR102240288B1 (ko) 2020-07-03 2020-07-15 천장등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2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798B1 (ko) 2020-07-23 2022-02-14 (주)케이엔라이팅 조명등몸체 체결장치
KR20230027965A (ko) *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말타니 등기구 체결 구조
KR102629260B1 (ko) * 2023-05-24 2024-01-25 주식회사 알토 조명기구 장착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8072B2 (ko) * 1980-03-31 1987-12-03 Nippon Electric Co
JPH09306594A (ja) * 1996-05-21 1997-11-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0377519Y1 (ko) * 2004-12-09 2005-03-10 문오형 조명등용 커버 고정장치
KR20140015181A (ko) 2012-07-27 2014-02-06 이두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천장설치기구 고정장치
KR101568086B1 (ko) 2014-05-22 2015-11-12 박성진 일체 조립 설치형 천장등
KR20160050860A (ko) 2014-10-31 2016-05-11 주식회사 에이티라이팅 설치 및 유지관리가 편리한 엘이디 천장등
KR102042357B1 (ko) 2018-09-20 2019-11-07 양병모 천장등 설치용 걸이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8072B2 (ko) * 1980-03-31 1987-12-03 Nippon Electric Co
JPH09306594A (ja) * 1996-05-21 1997-11-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0377519Y1 (ko) * 2004-12-09 2005-03-10 문오형 조명등용 커버 고정장치
KR20140015181A (ko) 2012-07-27 2014-02-06 이두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천장설치기구 고정장치
KR101568086B1 (ko) 2014-05-22 2015-11-12 박성진 일체 조립 설치형 천장등
KR20160050860A (ko) 2014-10-31 2016-05-11 주식회사 에이티라이팅 설치 및 유지관리가 편리한 엘이디 천장등
KR102042357B1 (ko) 2018-09-20 2019-11-07 양병모 천장등 설치용 걸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798B1 (ko) 2020-07-23 2022-02-14 (주)케이엔라이팅 조명등몸체 체결장치
KR20230027965A (ko) *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말타니 등기구 체결 구조
KR102552306B1 (ko) * 2021-08-20 2023-07-07 주식회사 말타니 등기구 체결 구조
KR102629260B1 (ko) * 2023-05-24 2024-01-25 주식회사 알토 조명기구 장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288B1 (ko) 천장등 고정장치
KR101322809B1 (ko) 엘이디 조명기구용 고정장치
KR101749323B1 (ko) 조명기구용 고정장치
KR101660707B1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CA3135470A1 (en) Recessed lighting assembly
CA2307904C (en) Horizontal socket housing assembly
KR20160077296A (ko) 엣지형 led조명등 설비
EP3321563B1 (en) Light bar for a lighting system
KR101780694B1 (ko) 슬림형 천정등 고정구
US5387066A (en) Electrical fixture installation assist method and means
US4714162A (en) Fluorescent light bulb holder
CN113551206A (zh) 灯具安装结构及灯具
US9441369B2 (en) Fixture-supporting rail for suspended ceilings
KR20240057698A (ko) 천장등 고정장치
CN210050685U (zh) 一种便于拆卸灯罩的吊灯
KR101792944B1 (ko) 취부가 용이한 천장형 led 등기구
CN215929498U (zh) 灯具安装结构及灯具
CN215929499U (zh) 灯具安装结构及灯具
CN213840700U (zh) 一种便于固定的吸顶灯
KR102045749B1 (ko)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041409B1 (ko) 매입형 조명등의 브라켓
CN113587056A (zh) 灯具安装结构及灯具
JP5889173B2 (ja) 乗客コンベヤ欄干照明装置
KR101384808B1 (ko) 무대조명 거치용 클램핑장치
KR200468802Y1 (ko) 램프 마운팅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