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017A -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 Google Patents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017A
KR20150027017A KR20140160042A KR20140160042A KR20150027017A KR 20150027017 A KR20150027017 A KR 20150027017A KR 20140160042 A KR20140160042 A KR 20140160042A KR 20140160042 A KR20140160042 A KR 20140160042A KR 20150027017 A KR20150027017 A KR 20150027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ocking
security
engaging
indoo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형
Original Assignee
이나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나형 filed Critical 이나형
Priority to KR2014016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7017A/ko
Publication of KR2015002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4Arrangemen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ratt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Bars or rods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53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side by side in the closing plane
    • E06B9/0661Lazy tongue, pantograph or scissor-like systems in the plane of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설치된 단창에 적용되어 창문의 개방된 공간을 막아줌으로써, 외부인의 출입과 내부인의 낙상사고를 막아줄 수 있으며, 필요시 실내에서는 방범창을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건의 이동이나 비상 탈출이 용이하다. 반면 실외에서는 방범창의 분리가 불가능하여 불순한 의도를 가진자의 침입 시도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Safety window}
본 발명은 단창에 적용되어 창문을 통한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실내에서 창 밖으로 떨어지는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범창과 관련된 기술에 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창문에는 방범창을 설치함으로써, 외부인의 침입이나 불의의 낙상 사고를 방지토록 하고 있다.
통상적인 방범창은 창틀의 실외에 고정식으로 설치한다. 따라서 방범창을 한번 설치하고 나면 창문을 통해 물건을 통과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 창문을 통한 신속한 대피가 요구될 수도 있는데, 고정된 방범창 때문에 빠른 대피가 불가능하여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
또 방범창을 실외에서 볼트로 고정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불순한 의도를 가진 자가 고정볼트를 풀어버리면 방범창을 떼어내는 것도 가능하여 침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한편 방범창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118032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외에서는 방범창을 쉽게 분리하지 못하게 하며, 실내에서는 필요에 따라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은, 실외측창의 일측단부와 상기 실외측창에 대향하는 창틀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가이드; 및 상기 이동가이드가 관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세로대들이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를 따라 접힘 또는 펼침이 가능하며, 일측 끝단의 세로대는 상기 실외측창에 대향하는 창틀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의 세로대는 실내측창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실내측창을 열면 상기 세로대들이 상기 이동가이드를 따라 펼쳐지고, 상기 실내측창을 닫으면 상기 세로대들이 이동가이드를 따라 접혀지는 창살부;를 포함하되, 상기 창살부의 타측 끝단의 세로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측창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실내측창을 상기 창틀에 설치할 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창과 상기 창살부의 결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실내측창에 마련된 결합돌기는 하방으로 꺾어진 구조이며, 상기 실내측창의 상단을 상기 창틀의 위쪽 공간으로 들어올려 삽입하고, 하단을 상기 창틀의 아랫면 레일에 내려 놓으면, 상기 결합돌기의 하방으로 꺾어진 부분이 상기 창살부의 타측 끝단 세로대에 마련된 결합공 내측으로 걸림으로써 상기 실내측창과 상기 창살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창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가 완료된 실내측창이 상기 창틀 위쪽으로 들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들림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은, 실외측창의 일측단부와 상기 실외측창에 대향하는 창틀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가이드; 상기 이동가이드가 관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세로대들이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를 따라 접힘 또는 펼침이 가능하며, 일측 끝단의 세로대는 상기 실외측창에 대향하는 창틀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의 세로대에는 결합돌기가 마련된 창살부; 실내측창의 일측에 고정되되 상기 창살부의 결합돌기가 통과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부에 견인줄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공이 형성되어 있는 잠금편을 포함하는 고정용바; 및 상기 견인줄의 타단과 연결되는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잠금편을 상승시켜 상기 창살부의 결합돌기를 구속시키거나, 상기 잠금편을 하강시켜 상기 결합돌기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창살부의 결합돌기는 하방으로 꺾어진 구조이고, 상기 고정용바의 잠금편은 단면이 기억자로 꺾인 구조이며, 상기 잠금편의 꺾어진 부분 중 일면에 상기 본체의 결합공과 마주하는 상기 잠금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의 조작으로 상기 잠금편이 상승하면 상기 결합돌기의 꺾어진 부분이 상기 잠금공 내측으로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용바의 본체는 볼트를 통해 상기 실내측창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용바의 잠금편에서 상기 꺾어진 부분의 다른 일면에 상기 볼트에 진입할 수 있는 볼트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잠금편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볼트안내공이 상기 볼트와 마주하여 상기 볼트의 해제가 가능하고, 상기 잠금편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상기 볼트가 가려져서 상기 볼트의 해제가 불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은, 상기 이동가이드가 관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세로대들이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를 따라 접힘 또는 펼침이 가능하며, 일측 끝단의 세로대는 상기 창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의 세로대에는 결합돌기가 마련된 창살부; 상기 창틀의 타측에 고정되되 상기 창살부의 결합돌기가 통과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부에 견인줄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공이 형성되어 있는 잠금편을 포함하는 고정용바; 및 상기 견인줄의 타단과 연결되는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잠금편을 상승시켜 상기 창살부의 결합돌기를 구속시키거나, 상기 잠금편을 하강시켜 상기 결합돌기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은, 일단은 창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결합돌기가 마련된 고정식 창살형 방범창; 상기 창틀의 타측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식 창살형 방범창의 결합돌기가 통과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부에 견인줄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공이 형성되어 있는 잠금편을 포함하는 고정용바; 및 상기 견인줄의 타단과 연결되는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잠금편을 상승시켜 상기 고정식 창살형 방범창의 결합돌기를 구속시키거나, 상기 잠금편을 하강시켜 상기 결합돌기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된 단창에 적용되어 창문의 개방된 공간을 막아줌으로써, 외부인의 출입과 내부인의 낙상사고를 막아줄 수 있으며, 필요시 실내에서는 방범창을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건의 이동이나 비상 탈출이 용이하다. 또한 실외에서는 방범창의 분리가 불가능하여 불순한 의도를 가진자의 침입 시도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이 창틀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측창을 제거하고 실내에서 바라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에서 창살부, 이동가이드 및 실내측창에 설치되는 결합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을 설치한 후 실내측창이 개방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을 설치한 후 실내측창이 닫힌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에서 실내측창의 결합돌기에 삽입안내편을 설치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에서 실내측창에 들림방지수단을 설치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에서 잠금장치와 견인줄이 실내측창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실내측창을 실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에서 고정용바가 실내측창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실내측창을 실외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에서 창살부와 고정용바의 잠금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에서 창살부와 고정용바의 잠금편 및 본체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11은 도10에서 A-A'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에서 실내측창에 설치되는 고정용바의 본체와 잠금편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을 설치한 후 실내측창이 개방된 상태를 실외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
도14는 도13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을 설치한 후 실내측창이 닫힌 상태를 실외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
도16은 도15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을 창틀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을 창틀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이하 '방범창'이라 함)이 창틀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측창을 제거하고 실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에서 창살부, 이동가이드 및 실내측창에 설치되는 결합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을 설치한 후 실내측창이 개방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을 설치한 후 실내측창이 닫힌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에서 실내측창의 결합돌기에 삽입안내편을 설치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에서 실내측창에 들림방지수단을 설치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은 크게 이동가이드 및 절첩식 창살부로 이루어지며, 기 설치된 창문에 장착되어 기능을 수행한다.
실외측창(120)의 일측단부의 상측 및 하측에는 이동가이드(150)를 지지하기 위한 이동가이드설치편(121)이 각각 고정 설치된다.
창살부(160)는 복수개의 세로대(161,162,163)들과 링크(164)로 이루어지는데, 도1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세로대를 결합 세로대(161),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세로대를 고정 세로대(163), 그리고 결합 세로대(161)와 고정 세로대(163) 사이에 위치하는 세로대들을 중간 세로대(162)라고 정의하도록 한다.
복수개의 세로대(161,162,163)들은 링크(164)로 연결되는데, 링크(164)의 일단이 하나의 세로대의 특정지점에서 회전만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링크(164)의 타단은 인접한 세로대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세로대들(161,162,163)을 양쪽에서 잡아 당기면 링크(164)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공간을 가로 막는 형태로 펼쳐지고, 세로대들(161,162,163)을 모으면 링크(164)가 접히면서 세로대들(161,162,163)이 한 데 모아지게 된다.
창살부(160)의 각 세로대(161,162,163)의 상부 및 하부에는 이동가이드(150)가 관통되는 삽입공a(16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공a(161a)으로 이동가이드(150)가 관통된 상태에서, 이동가이드(150)의 일단은 실외측창(120)의 이동가이드설치편(121)에 고정되고 타단은 창틀(110)에 고정된다. 또한 창살부(160)의 세로대 중 결합 세로대(161)와 중간 세로대(162)는 이동가이드(150)를 따라 이동 가능하지만, 고정 세로대(163)는 창틀(110)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이 불가능하다.
이동가이드(150)는 내부가 빈 중공구조이며 내부공간에 가느다란 철선을 다수개 꼬아서 밧줄과 같이 만든 연선을 내장시키면 커터로도 쉽게 끊을 수 없어 방범에 큰 효과가 있다.
이동가이드(150) 및 창살부(160)의 설치가 마쳐지면, 창살부(160)가 이동가이드(150)를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러한 창살부(160)에서 결합 세로대(161)는 실내측창(130)에 고정된다.
도2는 실내측창(130)을 설치하기 전의 모습을 실내측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이다. 즉 도2를 기준으로 가장 좌측에 위치한 결합 세로대(161) 정면에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공(16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내측창(130)의 프레임(131) 우측에는 결합 세로대(161)의 결합공(161b)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돌기(132)가 상측과 하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결합돌기(132)는 기억자로 아래로 꺾어진 형상을 가진다.
이동가이드(150) 및 창살부(160)가 창틀(110)에 먼저 설치된 상태에서, 결합 세로대(161)의 결합공(161b)에 실내측창(130)의 결합돌기(132)를 걸어서 결합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실내측창(130)을 창틀(110)에 설치할 때, 실내측창(130)의 상단을 창틀(110)의 위쪽 공간으로 삽입하고, 실내측창(130)의 하단을 창틀(110)의 아랫면 레일에 정렬한 후 실내측창(130)을 레일 위에 내려 놓음으로써, 실내측창(130)의 하단이 레일에 걸리고 실내측창(130)의 상단은 창틀(110)의 상부의 홈에 걸려서 실내측창(130)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방범창을 설치할 시, 실내측창(130)의 상단을 창틀(110)의 위쪽 공간에 삽입하기 위해 실내측창(130)을 위로 들어올리게 되는데, 실내측창(130)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꺾어진 구조의 결합돌기(132)가 결합 세로대(161)의 결합공(161b)과 마주하여 삽입 되고, 실내측창(130)의 하단을 창틀(110)의 레일 위에 내려 놓으면 결합돌기(132)의 기억자로 꺾어진 부분이 결합 세로대(161)의 결합공(161b) 내측으로 걸림으로써 실내측창(130)이 창살부(160)와 결합되는 것이다.
실내측창(130)을 창틀(110)에 설치할 시, 실내측창(130)의 결합돌기(132)와 창살부(160)의 결합 세로대(161)에 형성된 결합공(161b) 위치를 맞추는 작업이 어려울 수도 있는데, 잠시 도5를 참조하면, 실내측창(130)의 결합돌기(132) 좌우에 삽입안내편(133)을 설치하면 삽입안내편(133)의 내측으로 창살부(160)의 결합 세로대(161)가 쉽게 안내될 수 있어서, 실내측창(130)의 결합돌기(132)를 결합 세로대(161)의 결합공(161b)에 삽입시키는 작업이 수월해진다.
또한 실내측창(130)과 창살부(160)가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실내측창(130)을 들어올려 창살부(160)와의 결합을 해제하려는 시도가 있을 수도 있는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창(130)을 창틀(110)에 결합시킨 이후, 실내측창(130) 상단에 설치된 들림방지수단(134)을 회전시켜, 들림방지수단(134)의 일단이 창틀(110)에 닿도록 함으로써 실내측창(130)을 들어올리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실내측창(130)을 창틀(110)에서 들어올리지 못하면 결과적으로 실내측창(130)을 창틀(110)에서 분리할 수 없으며, 실내측창(130)과 창살부(160)의 결합도 해제할 수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들림방지수단(134)으로서 회전식 편자를 이용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설치된 실내측창(130)의 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이렇게 실내측창(130)과 창살부(160)의 결합까지 마쳐진 상태에서, 도3과 같이 실내측창(130)을 열면 복수의 세로대들(161,162,163)이 링크(164)에 연결된 상태로 펼쳐지면서 열려진 공간을 차단하기 때문에 실외에서 실내로 사람이 침입하지 못한다. 더불어 실내에서도 아이들이 실외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반면 도4와 같이 실내측창(130)을 닫으면 창살부(160)의 세로대들(161,162,163)이 접혀지면서 실내측창(130)을 완전히 닫을 수 있다.
도2 및 도3의 개념도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외측창(120)의 프레임 내측으로 이동가이드설치편(121)이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부분은 항상 실내측창(130)의 프레임(131)에 의해 가려져 있어서 외부인이 손이나 공구를 이동가이드설치편(121)의 볼트 부분으로 진입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이동가이드설치편(121)의 볼트를 풀어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반면 실내에서는 들림방지수단(134)의 잠금을 해제한 후 실내측창(130)을 들어올리면 실내측창(130)의 결합돌기(132)를 창살부(160)의 결합 세로대(161)에 형성된 결합공(161b)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서, 방범창을 열어 물건을 드나들게 하거나 비상시 탈출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이하 '방범창'이라고 함)에서 잠금장치와 견인줄이 실내측창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실내측창을 실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에서 고정용바가 실내측창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실내측창을 실외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에서 창살부와 고정용바의 잠금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에서 창살부와 고정용바의 잠금편 및 본체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11은 도10에서 A-A'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에서 실내측창에 설치되는 고정용바의 본체와 잠금편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을 설치한 후 실내측창이 개방된 상태를 실외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14는 도13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을 설치한 후 실내측창이 닫힌 상태를 실외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16은 도15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도7을 참조하면, 실내측창(230)을 실내측에서 바라볼 때, 프레임(231)의 좌측에는 견인줄(270)을 조작하기 위한 잠금장치(280)가 설치되어 있고, 반대쪽에는 고정용바(290)가 설치된다. 즉 실내측창(230)을 실외에서 바라본 도8의 좌측에 잠금편(292)이 내장된 고정용바(290)가 도시되어 있다.
잠금장치(280)는 스위치(281), 걸림돌기(282) 및 해제버튼(283)을 포함한다. 스위치(281)의 상단에는 견인줄(270)이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걸림편(28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281)의 아래에 걸림돌기(282)가 고정되어 있어서 스위치(281)를 하강시키면 스위치(281)의 걸림편(281a)이 걸림돌기(282)에 걸려서 스위치(281)가 위로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해제버튼(283)은 걸림돌기(282)에 걸린 스위치(281)의 걸림편(281a)을 밀어서 스위치(281)의 걸림을 해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견인줄(270)의 일단은 잠금장치(280)의 스위치(281)에 고정되어 있고, 견인줄(270)은 프레임(231)에 설치된 보호커버(232)의 내부 공간을 따라 연장되어 실내측창(230)의 프레임(231) 반대쪽 외측면에 형성된 관통공(231a)을 통해 고정용바(290)의 잠금편(292)에 연결된다.
고정용바(290)는 실내측창(230)의 프레임(231) 외측에서 볼트(293)로 고정되는 본체(291)와, 본체(291) 내부에서 일정구간 상하 이동이 가능한 잠금편(292)으로 구성된다. 고정용바(290)의 본체(291)에는 도8에서 볼 때 좌측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창살부(260)의 결합돌기(261b)가 진입되는 결합공(291a)이 형성되어 있다(도10의 사시도 참조). 이러한 고정용바(290)의 본체(291)는 실내측창(230)의 프레임(231)에 볼트(291d)로 고정된다.
도9를 함께 참조하면, 잠금편(292)은 기억자로 꺾여진 형상이며 좌측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잠금공(292a)이 형성되고, 뒤쪽면에는 볼트안내공(292b)이 설치된다. 잠금편(292)과 본체(291)가 함께 도시된 도10을 참조하면, 잠금편(292)의 볼트안내공(292b)에 대응하여 본체(29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볼트진입부(291c)와 볼트고정부(291d)가 형성되어 있다.
도10의 A-A' 절단면을 도시한 도11을 참조하면 실내측(도11의 하단)에서는 본체(291) 전방의 볼트진입부(291c), 잠금편(292)의 볼트안내공(292b) 및 본체(291) 후방의 볼트고정부(291d) 순서로 드라이버를 진입시켜 볼트(293)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이때 잠금편(292)이 잠금 해제된 상태(잠금편이 내려간 상태)에서는 잠금편(292)의 볼트안내공(292b)이 본체(291)의 볼트고정부(291d)와 마주하게 되어, 본체(291)의 볼트진입부(291c)로 드라이버를 진입시켜 볼트를 조이거나 해제시킬 수 있고, 반면 잠금편(292)이 잠금 상태(잠금편이 들어올려진 상태)가 되면 잠금편(292)의 볼트안내공(292b)이 본체(291)의 볼트고정부(291d)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본체(291)의 볼트진입부(291c)를 통해 드라이버를 진입 시키더라도 볼트고정부(291d)가 잠금편(292)에 가려져 있어서, 볼트(293)를 풀어주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 잠금편(292)은 단면이 기억자로 꺾인 상태로 제작되는 것이다. 즉 잠금편(292)의 기억자로 꺾어진 부분중 그 일면은 본체(291)의 결합공(291a)과 마주하여 결합돌기(261b)를 구속시켜야 하며, 또 다른 일면은 본체(291) 후면의 볼트고정부(291d)를 가려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창살부(260)가 결합 세로대(261), 중간 세로대(262), 고정 세로대(263) 및 링크(264)로 이루어져 있고, 각 세로대들(261,262,263)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삽입공a(261a)을 통해 이동가이드(250)가 관통된 상태에서 이동가이드(250)의 일단은 창틀(210)에 고정되고, 타단은 본체(291)의 삽입공b(291b)와 잠금편(292)의 삽입공c(292c)를 관통하여 실외측창(220)에 고정된다. 또한 창살부(260)의 세로대들(261,262,263) 중 고정 세로대(263)는 창틀(210)에 고정되고, 결합 세로대(261)의 측면에는 고정용바(290)에 삽입 고정되기 위한 결합돌기(261b)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10 및 도12의 (a)에서와 같이, 창살부(260)의 결합 세로대(261)에 형성된 결합돌기(261b)를 고정용바(290)의 본체(291)의 결합공(291a)과 잠금편(292)의 잠금공(292a)을 연달아 통과하도록 삽입한 상태에서, 잠금장치(280)의 스위치(281)를 아래로 당겨 견인줄(270)을 당겨주면, 도12의 (b)와 같이 잠금편(292)이 위로 올려지면서 결합돌기(261b)의 기억자로 꺾여진 부분이 잠금편(292)의 잠금공(292a) 내측으로 걸려서 구속된다. 따라서 창살부(260)의 결합 세로대(261)가 실내측창(230)에 설치된 고정용바(290)에 결합되는 것이다.
반면 잠금장치(280)의 해제버튼(283)을 누르면 해제버튼(283)의 후단이 스위치(281)의 걸림편(281a)을 밀어, 스위치(281)의 걸림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잠금편(292)의 무게에 의해 견인줄(270)이 당겨지면서 스위치(281)는 상승한다. 반대로 잠금편(292)은 도12의 (a)와 같이 하강하여 잠금편(292)에 대한 결합돌기(261b)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창살부(260)의 결합 세로대(261)를 실내측창(230)의 고정용바(29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범창 설치가 마쳐진 후 실외측에서 바라본 도13과 개념적인 평면도를 도시한 도14를 참고하면, 잠금장치(280)의 스위치(281)를 당겨서 창살부(260)의 결합 세로대(261)가 고정용바(2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실내측창(230)을 열어주면 창살부(260)의 세로대들(261,262,263)이 링크(264)로 연결된 상태로 펼쳐지면서 창문의 열려진 공간이 차단된다.
반면 실외측에서 바라본 도15와 개념적인 평면도를 도시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창(230)을 닫아주면 창살부(260)의 세로대들(261,262,263)이 접히면서 서로 밀착하게 되고, 실내측창(230)을 완전히 닫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장치(280)의 스위치(281) 조작만으로 창살부(260)의 결합 세로대(261)를 실내측창(230)의 고정용바(290)와 결합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즉 창살부(260)의 결합돌기(261b)를 고정용바(290)의 결합공(291a) 및 잠금공(292a)에 삽입시킨 후 스위치(281)를 내려 걸림편(281a)이 걸림돌기(282)에 걸리도록 고정시키면, 실내측창(230)을 열고 닫을 때 창살부(260)가 함께 펼쳐지거나 접혀져 외부인의 출입과 내부인의 낙상 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고, 잠금장치(280)의 해제버튼(283)을 눌러 창살부(260)와 고정용바(290)의 결합을 해제시키면, 실내측창(230)을 열더라도 창살부(260)가 펼쳐지지 않아, 개방된 공간으로 물건을 옮기거나 비상시 탈출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창살부(260)가 실내측창(23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실내측창(230)이 열린 상태라 하더라도 외부에서 손을 뻗어 개방된 공간의 반대쪽 끝에 설치된 잠금장치(280)까지 손이 닿지 않아 스위치(281)를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스위치(281)가 잠금된 상태에서는, 잠금편(292)이 들어올려져 본체(291)와 실내측창(230)의 프레임(231)을 고정시키고 있는 볼트(293)가 잠금편(292)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기 때문에 볼트(293) 해제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실외에서는 방범창의 분해가 절대 불가능하다.
<제3실시예>
도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이하 '방범창'이라고 함)을 창틀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범창을 실외측창 또는 실내측창에 관계없이 창틀(310) 전체에 설치하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17 상에서 창틀(310)의 상단 및 하단 전체를 연장하는 이동가이드(350)가 설치되고, 이동가이드(350)에는 결합 세로대(361), 중간 세로대(362), 고정 세로대(363) 및 링크(364)로 이루어진 창살부(36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 세로대(363)는 창틀(310)의 좌측에 고정 설치되며, 결합 세로대(361)의 우측면에는 결합돌기(361b)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 세로대(361)의 결합돌기(361b)는 창틀(310)의 우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용바(390)의 본체(391) 및 잠금편(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고정용바(290)와 동일한 원리로 결합 세로대(361)의 결합돌기(361b)가 구속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즉 잠금장치(380)의 작동으로 견인줄(370)을 잡아당겨 잠금편(미도시)을 상승 시켜 결합돌기(361b)를 구속시키거나, 잠금장치(380)의 해제버튼을 눌러 잠금편(미도시)이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돌기(361b)의 구속을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측창의 열고 닫음과 관계없이 창틀(310) 전체를 창살부(360)로 가려주어 외부인의 침입 또는 내부인의 낙상 사고를 막아줄 수 있으며, 필요시 잠금장치(380)의 해제버튼을 눌러 창살부(360)를 고정용바(390)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창살부(360)를 접어 물건이 드나들거나 비상시 탈출이 가능하다.
물론 잠금장치(380)를 창틀(310) 주변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면 외부에서는 잠금장치(380)를 조작할 수 없게 된다.
<제4실시예>
도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이하 '방범창'이라 함)을 창틀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방범창을 창틀(410) 전체에 설치하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나, 제3실시예의 절첩식 창살부와는 다르게, 고정식 창살형 방범창(460)을 창틀(410)의 일측에 힌지(463) 고정시키고, 고정식 창살형 방범창(460)의 타측 단부에 결합돌기(462)가 창틀(41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고, 창틀(410)에 제2실시예에서와 같은 원리로 작동되는 고정용바(490)의 본체(491)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식 창살형 방범창(460)에 마련된 결합돌기(462)를 고정용바(490)에 삽입시킨 후 잠금장치(480)의 스위치를 내려주면 견인줄이 잠금편을 들어올려 제2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작동에 의해 고정식 창살형 방범창(460)이 고정용바(490)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잠금장치(480)를 창틀(410) 주변에서 멀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면 외부에서는 잠금장치(480)를 조작할 수 없게 되며, 실내에서는 필요시 잠금장치(480)의 해제버튼을 누르면 고정식 창살형 방범창(460)과 고정용바(490)의 결합이 해제되어, 고정식 창살형 방범창(460)을 회전시켜 창문 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된 단창에 적용되어 창문의 개방된 공간을 막아줌으로써, 외부인의 출입과 내부인의 낙상사고를 막아줄 수 있으며, 필요시 실내에서는 방범창을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건의 이동이나 비상 탈출이 용이하다. 또한 실외에서는 방범창의 분리가 불가능하여 불순한 의도를 가진자의 침입 시도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110 : 창틀
120 : 실외측창
121 : 이동가이드설치편
130 : 실내측창
131 : 프레임
132 : 결합돌기
133 : 삽입안내편
134 : 들림방지수단
150 : 이동가이드
160 : 창살부
161 : 결합 세로대
161a : 삽입공a
161b : 결합공
162 : 중간 세로대
163 : 고정 세로대
164 : 링크
<제2실시예>
210 : 창틀
220 : 실외측창
230 : 실내측창
231 : 프레임
231a : 관통공
232 : 보호커버
250 : 이동가이드
260 : 창살부
261 : 결합 세로대
261a : 삽입공a
261b : 결합돌기
262 : 중간 세로대
263 : 고정 세로대
264 : 링크
270 : 견인줄
280 : 잠금장치
281 : 스위치
281a : 걸림편
282 : 걸림돌기
283 : 해제버튼
290 : 고정용바
291 : 본체
291a : 결합공
291b : 삽입공b
291c : 볼트진입부
291d : 볼트고정부
292 : 잠금편
292a : 잠금공
292b : 볼트안내공
292c : 삽입공c
293 : 볼트
<제3실시예>
310 : 창틀
350 : 이동가이드
360 : 창살부
361 : 결합 세로대
361a : 삽입공a
361b : 결합돌기
362 : 중간 세로대
363 : 고정 세로대
364 : 링크
370 : 견인줄
380 : 잠금장치
390 : 고정용바
391 : 본체
<제4실시예>
410 : 창틀
460 : 고정식 창살형 방범창
462 : 결합돌기
463 : 힌지
480 : 잠금장치
490 : 고정용바
491 : 본체

Claims (5)

  1. 실외측창의 일측단부와 상기 실외측창에 대향하는 창틀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가이드; 및
    상기 이동가이드가 관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세로대들이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를 따라 접힘 또는 펼침이 가능하며, 일측 끝단의 세로대는 상기 실외측창에 대향하는 창틀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의 세로대는 실내측창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실내측창을 열면 상기 세로대들이 상기 이동가이드를 따라 펼쳐지고, 상기 실내측창을 닫으면 상기 세로대들이 이동가이드를 따라 접혀지는 창살부;를 포함하되,
    상기 창살부의 타측 끝단의 세로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측창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실내측창을 상기 창틀에 설치할 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창과 상기 창살부의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창에 마련된 결합돌기는 하방으로 꺾어진 구조이며, 상기 실내측창의 상단을 상기 창틀의 위쪽 공간으로 들어올려 삽입하고, 하단을 상기 창틀의 아랫면 레일에 내려 놓으면, 상기 결합돌기의 하방으로 꺾어진 부분이 상기 창살부의 타측 끝단 세로대에 마련된 결합공 내측으로 걸림으로써 상기 실내측창과 상기 창살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창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가 완료된 실내측창이 상기 창틀 위쪽으로 들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들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4. 창틀 양단 사이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이동가이드;
    상기 이동가이드가 관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세로대들이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를 따라 접힘 또는 펼침이 가능하며, 일측 끝단의 세로대는 상기 창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의 세로대에는 결합돌기가 마련된 창살부;
    상기 창틀의 타측에 고정되되 상기 창살부의 결합돌기가 통과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부에 견인줄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공이 형성되어 있는 잠금편을 포함하는 고정용바; 및
    상기 견인줄의 타단과 연결되는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잠금편을 상승시켜 상기 창살부의 결합돌기를 구속시키거나, 상기 잠금편을 하강시켜 상기 결합돌기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5. 일단은 창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결합돌기가 마련된 고정식 창살형 방범창;
    상기 창틀의 타측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식 창살형 방범창의 결합돌기가 통과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부에 견인줄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공이 형성되어 있는 잠금편을 포함하는 고정용바; 및
    상기 견인줄의 타단과 연결되는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잠금편을 상승시켜 상기 고정식 창살형 방범창의 결합돌기를 구속시키거나, 상기 잠금편을 하강시켜 상기 결합돌기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KR20140160042A 2014-11-17 2014-11-17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KR20150027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0042A KR20150027017A (ko) 2014-11-17 2014-11-17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0042A KR20150027017A (ko) 2014-11-17 2014-11-17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071A Division KR101514272B1 (ko) 2012-08-30 2013-08-28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017A true KR20150027017A (ko) 2015-03-11

Family

ID=5302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0042A KR20150027017A (ko) 2014-11-17 2014-11-17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70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526A (ko) 2015-03-30 2016-10-10 유은식 방충 및 방범 기능을 갖는 복합식 창호
KR102268230B1 (ko) * 2020-10-28 2021-06-23 (주)한미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안전 창문틀
EP3405639B1 (en) * 2016-01-21 2022-04-13 Metal Quartz SA Collapsible security grille and grille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526A (ko) 2015-03-30 2016-10-10 유은식 방충 및 방범 기능을 갖는 복합식 창호
EP3405639B1 (en) * 2016-01-21 2022-04-13 Metal Quartz SA Collapsible security grille and grille system
KR102268230B1 (ko) * 2020-10-28 2021-06-23 (주)한미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안전 창문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272B1 (ko)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EP2935741B1 (en) Latch mechanism
CA2758037C (en) Panel assembly for a partial drop-side crib
KR20150027017A (ko)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JP4992138B2 (ja) 遮煙用避難扉付袖扉連動シャッター開閉装置
US7793463B1 (en) Plantation style security shutters
KR200246124Y1 (ko) 출입문용 방범창
GB2276190A (en) Lock assembly
KR101330254B1 (ko) 개방형방범장치
KR20100023416A (ko) 방범창
JP2546994Y2 (ja) ブラインドシャッターにおける非常時開放装置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JPH0137095Y2 (ko)
KR100722970B1 (ko) 건축물에 설치하는 비상탈출이 가능한 방범창
KR101299493B1 (ko) 도어의 보조 잠금장치
KR200331991Y1 (ko) 아파트 베란다창의 환기장치
JP3130462U (ja) 目隠しパネル付き面格子サッシ
KR970004453Y1 (ko) 방범창
KR101483719B1 (ko) 이중 구조의 방범창
ES2258305T3 (es) Dispositivo de seguridad con blindaje simultaneo, para ventanas, puertas o similares.
KR910009331Y1 (ko) 건물용 방범후레임의 비상 개문장치
KR20170119113A (ko) 방범 및 안전 방충망을 구비하는 창호 시스템
JP4636202B1 (ja) 窓建具
KR101419441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의 도어 잠금구
KR200183381Y1 (ko) 방범수단을 구비한 창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