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381Y1 - 방범수단을 구비한 창문 - Google Patents

방범수단을 구비한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381Y1
KR200183381Y1 KR2019990024892U KR19990024892U KR200183381Y1 KR 200183381 Y1 KR200183381 Y1 KR 200183381Y1 KR 2019990024892 U KR2019990024892 U KR 2019990024892U KR 19990024892 U KR19990024892 U KR 19990024892U KR 200183381 Y1 KR200183381 Y1 KR 200183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lider
window frame
frame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신
Original Assignee
김중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신 filed Critical 김중신
Priority to KR2019990024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3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3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53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side by side in the closing plane
    • E06B9/0661Lazy tongue, pantograph or scissor-like systems in the plane of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Bars or rods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미닫이형 창문에 적용되는 방범수단을 구비한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창문을 일부 개방은 물론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도 방범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좌우, 또는 상하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통상의 미닫이형 창문(1)에 선택적으로 방범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범수단(2)을 제공하되, 상기 방범수단(2)은 수개의 방범기능을 수행하는 슬라이더(10,10a,10b)와, 상기 슬라이더(10,10a,10b)를 승강가능하게 축핀(12)으로 연결한 링크(11),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0,10a) 및 링크(11)가 승강 및 절첩작동시 안내되는 프레임(6)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10,10a,10b)중 최하단의 슬라이더(10a,10b)에는 창틀(3,4) 중 개방코자 하는 일측 창틀(4)에 고정되는 스토퍼(14)와 선택걸림되어 슬라이더(10,10a,10b)를 승강작동이 불가능하게 잡고서 슬라이드 안내하는 슬라이드공(13,18)을 형성하여 창문(1) 일측을 일부는 물론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도 방범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익을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방범수단을 구비한 창문{A window having guarding means}
본 고안은 방범수단을 구비한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창문을 일부 개방은 물론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도 방범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창문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에 장착되는 창문은 그 치수에 따라 개폐간격이 정해져 있으며, 이를 별도의 잠금장치로 완전히 잠그지 않는 한 개폐간격 만큼 내외부에서 개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창문은 필요에 따라 환기 등을 위하여 조금만 열어 놓고자 할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는 부득이 잠금장치를 해제하여야 하고, 방범상태가 해제되어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이다.
물론, 개폐간격을 외부에서 침입자가 침입할 수 없는 정도만 개방할 수 있는 상하 각운동 식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개폐되는 여닫이형 창문이 있으나, 이는 가격이 고가인 반면에 창틀을 별도로 분리할 수 없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하로 슬라이드 각운동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창틀이 각운동할 수 있는 공간도 필수적인 등 일반 주택이나 건물 등에 적용하기에는 문제점이 많아 그 보급률이 극히 저조한 실정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범창문을 본 고안의 고안자는 기히 선출원(출원번호: 20-1999-0022893)한 바 있으며, 그러한 선출원된 고안은 미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의 창문틀에 결합되는 일측 창틀 프레임에 결합공을 가진 슬라이드공을 창문의 개폐방향으로 형성한 안내편을 고정하고, 상기 결합공을 통하여 끼움결합되어 슬라이드공 상을 슬라이드 될 수 있는 헤더를 가진 스토퍼를 대응하는 창틀에 브라켓으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는 창문의 개폐간격을 외부에서 침입자가 들어올 수 없는 정도의 폭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의 문제점은 기존 창문의 창틀에 안내편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을 형성하여야 하고, 별도의 브라켓으로 스토퍼를 장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기에는 작업이 사실상 어려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 왔던 것이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자는 상기 선출원의 문제를 해결코자 이를 개량한 출원(출원번호: 20-1999-0023548)을 행한 바 있다.
이는 창문에 설치될 수 있는 개폐제어수단을 구성하되, 창문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창틀의 중첩부 상에 설치한 것으로서, 일측 창틀에는 단부에 걸림턱을 갖는 가이드스토퍼를 스토퍼와 일체로 형성하여 창틀에 고정하고, 상기 창틀에 대응하는 창틀에 고정되는 브라켓상에는 축핀에 의해 회전조절이 가능한 회전조절편을 설치하되, 상기 회전조절편에는 가이드스토퍼 상으로 걸림상태로 안내될 수 있는 안내개구를 중앙에 갖는 호형 스토퍼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는 설치가 보다 용이하고 경제적인 이점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것이었으나,
상기한 선출원들은 창문을 완전개방 할 시에는 방범기능이 수행될 수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창문의 잠금장치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코자 기존의 창문에 적용되어 창문을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도 방범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창문용 방범수단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창문에 적용되는 방범수단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발췌 사시도 도 1a는 본 고안의 도 1에 있어서 링크의 작동상태를 발췌한 정면도 도 1b는 본 고안의 도 1에 있어서 B부의 확대 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방범수단중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방범수단에 사용되는 프레임을 발췌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작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창문 2:방범수단
3:창문틀 4,5:창틀
6:프레임 7:걸림턱
8:슬라이드홈 9:걸림편
10,10a,10b:슬라이더 11:링크
12:축핀 13:슬라이드공
13a:결합공 14:스토퍼
14a:헤더 15:축핀
16:걸림공 16a:결합공
17:스토퍼 17a:헤더
18:슬라이드공 18a:결합공
A:개방부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방범 창문(1)에 적용되는 방범수단(2)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발췌 사시도이며, 도 1a는 링크의 작동상태를 발췌한 정면도, 도 1b는 도 1에 있어서 B부의 확대 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방범수단(2)을 구성하는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방범수단(2)의 일요부인 프레임(6)을 발췌한 횡단면도 등으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고안은 좌우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미닫이형 창문, 또는 도 7과 같이 상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미닫이형 창문 등에 선택적으로 적용되는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좌우로 개폐되는 미닫이 창문에 본 고안을 적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키로 한다.
즉, 창문(1)을 구성하는 창문틀(3)에 좌우로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창틀(4,5)로 구성되는 통상의 창문(1)에 있어서, 상기 창틀(4,5)의 일측 개방부(A), 즉 일측의 창틀(4)이 개방되었을 때 개방된 개방부(A)상에 본 고안의 방범수단(2)이 적용된다. 창문틀(3)의 개방부(A)에 일치하는 치수를 가진 개략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6)은 그 단면이 개략 '⊂'형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프레임(6)의 일단에는 걸림턱(7)을 형성하여 슬라이드홈(8)을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드홈(8)에 걸림될 수 있는 걸림편(9)을 가진 수개의 슬라이더(10,10a)를 좌우단에서 링크(11)를 사용하여 축핀(12)으로 각각 연결하여 상기 슬라이더(10,10a)가 슬라이드홈(8)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시 링크(11)는 내측으로 축핀(12)을 기점으로 각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0)중 최하단의 슬라이더(10a)에는 횡방향으로 결합공(13a)을 가진 슬라이드공(13)을 형성하여 창틀(4)에 출몰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더(14a)를 가진 스토퍼(14)가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상기 창틀(4)을 개방시 스토퍼(14)의 헤더(14a)가 슬라이드공(13)에 걸림상태로 결합되어 창틀(4)과 함께 이탈불가한 상태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발췌 사시도이며, 도 5는 이의 요부 작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등으로서, 이는 전기한 도 1,2,3에서 개시한 방범수단(2)을 가진 창문(1)에서 프레임(6)을 사용치 않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예이다.
즉, 상기와 같은 슬라이더(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더(10b)를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축핀(15)으로 회동가능케 축설치하고, 슬라이더(10b)의 좌우단부에는 결합공(16a)을 가진 호형의 걸림공(16)을 원주방향으로 반호형으로 형성하여 창문틀(3)의 상면부에 형성된 헤더(17a)를 가진 스토퍼(17)에 선택걸림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슬라이더(10b)에는 횡방향으로 결합공(18a)을 가진 슬라이드공(18)을 형성하여 창틀(4)에 출몰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더(14a)를 가진 스토퍼(14)가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상기 창틀(4)을 개방시 스토퍼(14)의 헤더(14a)가 슬라이드공(18)에 걸림상태로 결합되어 창틀(4)과 함께 이탈불가한 상태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의 부호 19는 볼트, 20은 접착제 등을 도시한 것이며, 21은 슬라이더(10,10a,10b)를 상측으로 접었을 때 이를 잡아줄 수 있는 홀더, 22는 창틀의 무단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방범 창문(1)은 창문을 좌우 또는 상하 일측으로 활짝 열어 놓은 상태에서도 방범기능이 가능한 것으로서, 이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방범수단(2)은 창문틀(3)에 좌우 또는 상하로 슬라이드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창틀(4,5)중 개방되는 창틀(보통은 실내측에 위치되는 창틀), 즉 도면상에서는 창틀(4) 외측 전면에 설치되는바, 도 1,2,3에서 개시한 바와 같은 방범수단(2)의 경우 프레임(6)을 창틀(4)의 외측전면에 끼움설치하여 볼트(19) 또는 접착제(20) 등의 고정수단으로 프레임(6)을 창문틀(3)에 견고히 고정시킨 후 창문(1)을 사용하게 되는데, 방범기능이 불필요 할 때는 창틀(4)에 설치된 스토퍼(14)를 슬라이더(10a)와 분리상태에서 창틀(4)을 좌우로 개방작동하면 일반적인 창틀의 개방작동과 동일하게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때 창틀(4)의 전면에 위치한 방범수단(2)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슬라이더(10,10a)는 상방으로 올려서 홀더(15)로 프레임(6)의 상측부에 고정시켜 두거나 창틀(4)의 전면에 적정 간격으로 슬라이더(10,10a)가 유지되도록 전개상태로 두어도 된다.
물론, 상기한 슬라이더(10,10a)의 상부를 향한 접는 작동 및 하부로의 전개작동은 상기 슬라이더(10,10a)가 각각 링크(11)와 축핀(12)으로 축결합되어 있어 슬라이더(10,10a)의 상하 슬라이드 작동시 링크(11)는 각운동되면서 자바라식으로 전개 및 접어지는 작동이 수행되는 것이며, 슬라이더(10,10a)의 승강작동시 프레임(6)상에 형성된 걸림턱(7) 내측의 슬라이드홈(8)을 따라 슬라이더(10,10a)의 걸림편(9)이 안내되면서 전후로는 이탈불가한 상태로 승강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사용중 방범기능을 적용한 상태로 창문을 개방코자 할 시는 창틀(4)을 완전히 폐쇄한 상태에서 스토퍼(14)를 밀어서 스토퍼(14)의 헤더(14a)가 최하단의 슬라이더(10a) 상에 형성된 결합공(13a) 상으로 진입되도록 한 후 창틀(4)을 개방하여 창문을 열게 되면 창틀(4)에 결합된 스토퍼(14)의 헤더(14a)가 슬라이더(10a)상에 형성된 슬라이드공(13)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창문이 개방되는 것이며, 외부인이 슬라이더(10,10a)를 상부로 올리고 건물 내부로 침입하려고 하여도 이때는 스토퍼(14)가 슬라이더(10a)를 잡고 있는 상태가 되어 슬라이더(10,10a) 전체는 정위치를 유지하게 되어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외부인이 내부로 침입할 수 없는 상태, 즉 방범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5와 같은 경우도 기본적인 슬라이더(10,10b)의 승강작동은 동일한 것이나, 이러한 경우는 프레임(6)이 부재하므로 최하단의 슬라이더(10b)를 잡아주기 위하여 창문틀(3)에는 헤더(17a)를 가진 스토퍼(17)를 고정설치하였으므로 슬라이더(10b)를 하측으로 내려 상기 스토퍼(17)의 대응위치에 형성된 결합공(16a)을 통하여 스토퍼(17)의 헤더(17a) 부분을 끼움한 후 슬라이더(10b)를 축핀(15)을 기점으로 회전시켜 걸림공(16)의 단부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더(10b)에 형성된 결합공(18a)을 가진 슬라이드공(18)이 전면으로 위치된 상태로 전환되며, 이때는 슬라이더(10,10b)를 밖에서 외부인이 상부로 들어올려 이를 제거하려고 해도 최하단의 슬라이더(10b)가 창문틀(3)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방범기능을 1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더(10b)의 결합공(18a)으로 창틀(4)에 부착된 스토퍼(14)의 헤더(14a)를 끼워넣은 후 창틀(4)을 잡고서 창문을 열면 전기와 같이 방범수단(2)에 의해 완벽하게 방범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도 6,7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창문이 상하로 승강개폐되는 창문에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이의 작용은 좌우로 개폐되는 창문과 방향만 상이할 뿐 전자와 동일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좌우, 또는 상하로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통상의 미닫이형 창문(1)에 선택적으로 방범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범수단(2)을 제공하되, 상기 방범수단(2)은 수개의 방범기능을 수행하는 슬라이더(10,10a,10b)와, 상기 슬라이더(10,10a,10b)를 승강가능하게 축핀(12)으로 연결한 링크(11),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0,10a) 및 링크(11)가 승강 및 절첩작동시 안내되는 프레임(6)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10,10a,10b)중 최하단의 슬라이더(10a,10b)에는 창틀(3,4)중 개방코자 하는 일측 창틀(4)에 고정되는 스토퍼(14)와 선택걸림되어 슬라이더(10,10a,10b)를 승강작동이 불가능하게 잡고서 슬라이드 안내하는 슬라이드공(13,18)을 형성하여 창문(1) 일측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방범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익을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3)

  1. 미닫이식으로 개폐되는 통상의 창문(1)에 적용되어 방범기능을 수행하는 방범수단(2)을 구성함에 있어서;
    창틀(4,5)의 일측 개방부(A) 상측에 고정되는 슬라이더(10)와 상기 슬라이더(10)와 링크(11)로 연결되어 승강이 가능한 수개의 슬라이더(10,10a,10b),
    상기 슬라이더(10a,10b)에는 결합공(13a,18a)을 가진 슬라이드공(13,18)을 창틀(4,5)의 개폐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공(13,18)의 결합공(13a,18a)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는 헤더(14a)를 가진 스토퍼(14)를 창틀(4,5)에 출몰가능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수단을 구비한 창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0,10a)의 좌우단에는 걸림편(9)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편(9)이 걸림되어 상하로 승강시 걸림안내될 수 있는 걸림턱(7)을 가진 슬라이드홈(8)을 형성한 프레임(6)을 창문틀(3)의 개방부(A)상에 결합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수단을 구비한 창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0b)를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축핀(15)으로 회동가능케 링크(11)에 축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더(10b)의 좌우단부에는 결합공(16a)을 가진 호형의 걸림공(16)을 형성하여 창문틀(3)의 상면부에 고정되는 헤더(17a)를 가진 스토퍼(17)에 선택걸림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수단을 구비한 창문.
KR2019990024892U 1999-11-13 1999-11-13 방범수단을 구비한 창문 KR200183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892U KR200183381Y1 (ko) 1999-11-13 1999-11-13 방범수단을 구비한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892U KR200183381Y1 (ko) 1999-11-13 1999-11-13 방범수단을 구비한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381Y1 true KR200183381Y1 (ko) 2000-05-15

Family

ID=1959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892U KR200183381Y1 (ko) 1999-11-13 1999-11-13 방범수단을 구비한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3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2868B2 (en) 2008-07-23 2014-06-17 Jeong Hwan Kim Locking device for window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2868B2 (en) 2008-07-23 2014-06-17 Jeong Hwan Kim Locking device for window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30126A1 (en) Latch mechanism
KR101514272B1 (ko)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KR20090098943A (ko)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US4437694A (en) Sliding door with security apparatus
KR200183381Y1 (ko) 방범수단을 구비한 창문
KR102389099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KR200413716Y1 (ko) 현관 방화문과 그 문틀의 구조
KR20150027017A (ko)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KR101003230B1 (ko) 미닫이창문 자동잠금장치
KR200246124Y1 (ko) 출입문용 방범창
KR102061730B1 (ko) 양방향 개방형 여닫이문
KR20220000692U (ko) 현관문용 안전고리
KR100632994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JPH0137095Y2 (ko)
KR100365297B1 (ko) 슬라이드 접이식 창호용 롤러
KR200273588Y1 (ko) 문의 로크장치
KR200222848Y1 (ko) 자바라셔터식방범창문
KR101195925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CN213297767U (zh) 一种折叠防盗逃生窗
KR200205791Y1 (ko) 출입문 잠금장치의 개폐기
JPH0543187Y2 (ko)
KR200362926Y1 (ko) 여닫이창문용 스테이
KR102542957B1 (ko) 차량용 윈도우커튼 장치
CN201460637U (zh) 火灾事故逃生自救防盗窗
CN2926407Y (zh) 防撬门边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