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151B1 -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151B1
KR100526151B1 KR10-2003-0090668A KR20030090668A KR100526151B1 KR 100526151 B1 KR100526151 B1 KR 100526151B1 KR 20030090668 A KR20030090668 A KR 20030090668A KR 100526151 B1 KR100526151 B1 KR 100526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fire door
fire
screen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9424A (ko
Inventor
이동명
원희섭
Original Assignee
이동명
주식회사 새한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명, 주식회사 새한공조 filed Critical 이동명
Priority to KR10-2003-009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151B1/ko
Publication of KR2005005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2007/202Actuator connected to wing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화재 시 발생되는 연기(유독가스) 및 열을 차단하기 위한 방재용 차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열이 다른 공간으로 옮겨가 화재구역이 확대되거나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개구부와 틈새를 통하여 다른 구역으로 누출되어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 화재에서 발생되는 연기 및 열이 다른 구역으로 침입,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이고, 기존 제연문(방화문)의 구조적 결함, 누설틈새, 폐쇄, 해정방법 등을 개선할 수 있는 고기능의 방재용 연기 및 열 차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시적 개방이나 고정 개방으로 사용하는 제연문을 화재 시 발생되는 연기가 연기감지기로부터 감지되면 그 감지신호에 의해 액추에이터로부터 자동으로 해정할 수 있고, 또 제연문을 고임목이나 기타 버팀물로 제연문을 고정시키지 않아도 임의 회전각도 만큼 액추에이터로 고정이 가능하며, 문턱제거로 생긴 바닥면과 제연문 사이의 틈새와 제연문 설치 시 바닥면과 제연문 사이에 발생한 틈새를 구조변경 없이 본 발명 시스템을 제연문의 하단부에 설치함으로서 틈새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연문을 열고 닫을 때 연기 및 열을 차단시스템으로 인한 불편함과 차단 시스템의 불확실 운동을 해소하였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A cutout gear of smoke and heat to be installed at a fire door}
본 발명은 건물화재 시 발생되는 연기(유독가스) 및 열을 차단하기 위한 방재용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건축물의 방화문이 열린 상태에서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문이 닫히고, 방화문 저단과 바닥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화재에 의해 발생된 연기 및 열이 방화문이 열린 개구부나 방화문의 틈새를 통하여 다른 구역으로 침입 및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발명된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발생시 화재로 인한 인명안전은 화재발생장소에서 발생한 화열(火熱)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화재기류에 의해 운반되어 건물 내로 확산되는 연기에 의하여 호흡곤란으로 인한 질식사로 이어져 인명피해거 더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고층 또는 대규모 건축물의 화재에서 수많은 희생자가 나올 때는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만큼 연기가 주요원인이다. 건물의 화재로부터 발생되는 연기가 인명안전에 매우 위험한 요소로 작용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연기는 연소가스가 유통과정에서 혼합되는 공기에 의해 희석된 것으로 화염이나 연소직후의 가스보다 위험도는 낮지만, 연기가 인명위험의 가장 중대한 원인이 되는 것은 화염에 비해 연기가 건물 내에서 확산되는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기와 열의 제어수단과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건물화재에서 인명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그 기술적 대책 중의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화재 시 화열이 다른 공간으로 옮겨가 화재구역이 확대되거나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다른 구역으로 침입 또는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 내 구획된 공간의 비상구에 방화문을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방화문(제연문)은 항상 닫혀 있어야만 연기나 열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방화문과 문틀에 도어 클로저를 설치하여 방화문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규정하고 있지만, 사용상의 이유로 방화문을 고임목이나 기타 버팀물로 고정시켜 열린 상태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화재와 같은 비상 시 방화문이 설치된 하부의 문턱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대피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문턱을 설치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방화문과 바닥 사이에는 틈이 생기게 됨으로서 화재 시 연기 및 열이 침입 및 확산되고 있고 건물의 제연구역에는 차압이 전혀 형성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화문(제연문)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려면 연기감지기와 연동되는 고가의 도어 클로저를 사용해야 하고, 기존의 도어 클로저는 문을 임의의 각도만큼 제어할 수 없는 완전 개폐형임으로 방화문을 임의의 각도만큼 열어 놓을 수가 없고, 제연문을 고임목이나 기타 버팀물로 고정시켜 열어 놓은 경우 화재시 자동으로 해정이 안 됨으로 연기와 열을 모두 다른 구역으로 침입?확산시켜 인명과 재산피해를 가중시키게 되며, 제연문의 하부 틈새 또한 화재 시 연기와 열이 침투하여 다른 구역으로 침입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방화문의 하단부에 섬유 또는 합성수지류의 유연성이 있는 판을 부착하여 틈을 막거나 석면류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 및 열의 침입과 확산을 방지하고 있지만, 섬유나 합성수지류는 열에 약하고, 석면류는 열에는 강하지만 인체에 해가 있다는 점에서 사용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인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등록 한 실용신안등록 제0279145호 "방화문"은 열기또는 가스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방화문 본체를 닫는 화재감지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필요시에 방화문 본체의 닫힘작동을 원격제어하는 중앙관제부로 구성되는 방화문의 틈새를 차단토록 하는 차단부재를 개발하여 화재발생시 연기를 차단하여 화재가 확산되고 질식사에의한 인명피해를 방지토록된 방화문을 제공하고 있었으나 선등록된 제0279145호 "방화문"의 경우 화재발생시 차단부재가 자중으로 하강토록하고 있는 관계롤 작동시 일측부가 주변구성품에 의해 걸리면 완전하강되지 못하여 방화문 하단부와 바닥사이의 틈새를 완전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방화문의 힌지부재에 의해 방화문이 닫히도록하고 있는 관계로 담힘속도가 늦어 화재발생시 문을 폐쇄하는데 다소의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시적 개방이나 고정 개방으로 사용하는 방화문을 연기감지기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를 사용함으로서 화재발생 시 자동으로 해정할 수 있도록 하고, 고임목이나 기타 버팀물로 제연문을 고정시키지 않아도 임의 회전각도 만큼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문턱의 제거로 생긴 바닥면과 제연문 사이의 틈새와 제연문 설치 시 바닥면과 제연문 사이에 발생한 틈새를 구조변경 없이 본 발명 시스템을 방화문의 하단부에 설치가능토록하고 이로부터 틈새를 막아 연기 및 열의 침입과 확산방지는 물론 제연구역의 차압형성으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화문을 열고 닫을 때 연기 및 열을 차단시스템으로 인한 불편함과 차단 시스템의 불확실 운동을 해소하였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단양측 단부에 방화문 내외패널(61)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지지홈(13)과, 내부천장에는 하향되도록 다수 설치되어 가압스프링(12 )이 끼워진 가이드봉(11)과, 일측 단부에 신호 입출력부(22)를 갖는 액추에이터(21)에 의해 상하 구동되도록 설치된 방화문 고정축(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몸체(10)와;
상면에 다수의 가이드공(35)과 사각통공(34)이 형성되고 타측면보다 하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하단부에 끼움부(33)를 형성한 차단 스크린(31)으로 이루어진 스크린 가동부재(30)와;
상기 스크린 가동부재(30) 일측 개구부(36)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10) 일측단에 설치된 방화문 고정축(20)의 래크기어(23)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 이동기어(25)와;
상기 하우징 몸체(10)의 가이드봉(11)이 끼워지도록 다수의 장공(42)을 형성하고 상면에 스크린 가동부재(30)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이동돌기부(41)를 갖는 슬라이드편(40)과;
상기 하우징몸체(10)의 내부에 스크린 가동부재(30)가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 가동부재(30) 내부에는 슬라이드편(40)이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방화문의 여닫이에 따라서 스크린 가동부재(30)가 승하강되도록 방화문(60)하단에 설치된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 몸체(10) 일측 단에 설치된 방화문 고정 축(20)은 상부에 설치된 액추에이터(21) 축의 피니언기어(24)와 래크기어(23)로 이루어져 방화문 고정축(20)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화문 고정축은 하단부에 고정지지부(20')가 설치되어 방화문을 개구시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화문 고정축은 몸체 일면에 이동기어(25)와 맞물리도록 래크기어(23')를 형성하여 방화문 고정축(20)이 승하강시 스크린 가동부재(30)의 차단 스크린(31)이 함께 승하강되도록 하여 내외부의 차압에 의해 차단 스크린(31)이 들리는 것을 방지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 가동부재(30)는 일측 차단 스크린(31)의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부(33)에는 화염과 열에 타지않는 재질로 차단막(32)이 설치되어 연기가 인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크인 가동부재는 양측면에 반원형의 요홈을 갖는 보강리브(15)가 일체로 형성되어 내외부의 압력차이에 의해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는 방화문 저단에 하우징 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에는 스크린 가동부재(30)가 결합되어 하우징 몸체(10) 일측단의 방화문 고정축(20)이 승강시 이동기어를 하부로 구륜시켜 스크린 가동부재의 차단스크린(31)이 하강되어 방화문(60)과 바닥사이의 틈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개발된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창치는 크게 하우징 몸체(10)와 차단스크린(31)을 갖는 스크린 가동부재(30), 차단스크린(31)을 제어할 수 있도록된 슬라이드편(40) 및 액추에이터(21)와 결합된 방화문 고정축(2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몸체(10)는 방화문(제연문) 저단에 설치한다.
상기 방화문(제연문) 저단에 설치되는 하우징 몸체(10)는 양측 하단부에 형성된 지지홈(13)이 방화문 하단부의 내외 금속패널(61)에 끼워지도록 방화문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하우징 몸체(10)내부에 스크린 가동부재(30)를 설치하되 스크린 가동부재(30)의 일면을 이루고 있는 차단스크린(31)이 방화문 외부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스크린 가동부재(30)의 차단스크린(31) 하단의 끼움부에는 불과 열에 견될 수 있는 테프론 재질의 차단막(32)이 차단스크린(31) 길이 만큼설치된다.
상기 차단막(32)은 화재시 외부에서 내측으로 들어오는 연기를 차단하여 내부에서 연기에 의해 질식사 또는 호흡장애를 일으켜 화재로부터 발생되는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막아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스크린 가동부재(30)를 하우징 몸체(10)에 위치시킨 후에는 스크린 가동부재(30) 내부에 방화문(60)의 여닫이에 따라서 좌우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편(40)을 설치한다.
상기 스크린 가동부재(30)와 슬라이드편(40)은 하우징 몸체(10) 내부에 설치시 하우징 몸체(10) 내부에 하향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봉(11)이 스크린 가동부재(3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공(35)과 슬라이드 편(40)의 장공(42)에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가이드봉(11)에 결합되는 슬라이드편(40)은 장공(42)내에서 죄우 이동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 몸체(10)내면과 스크린 가동부재(30)사이의 가이드 봉(11)에는 코일형태의 가압스프링(12)이 개재되어 스크린 가동부재(30)를 하향으로 밀어 차단스크린(31)이 하향되어 방화 문(60)과 바닥사이의 틈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판 저부 양측에는 당김스프링(44)을 설치하되 당김 스프링(44)일측단은 가이드봉(11)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슬라이드편(40)의 저부에 연결되어 방화문을 여닫을 때 일측으로 돌출된 이동 제어축(43)과 문틀과의 접촉여부에 따라서 슬라이드판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우징 몸체(10) 일측단 상부에는 입력부(22)를 갖는 액추에이터(21)가 방화문 고정축(20)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액추에이터(21)와 방화문 고정축(20)의 연결은 액추에이터(21) 축에 피니언 기어가 설치되고 이와 대응되는 방화문 고정축(20)상단에는 래크기어가 형성되어 맞물린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는 평소에 방화문을 열은 상태에서는 일측에 설치된 방화문 고정축(20)이 하강되어 바닥을 지지하여 방화문이 열려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바닥을 지지하는 방화문 고정축의 하단에는 고정지지부(20')가 구비되어 바닥으로 부터 미끄러지지 않는 부재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된 본 발명은 방화문(제연문)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건물에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감지기의 감지신호가 중앙처리제어반의 조정실로 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하우징 몸체(10) 일측에 설치된 액추에이터(21)의 신호 입출력부(22)로 신호가 입력되면서 액추에이터(21)가 구동하여 방화문 고정축(20)을 승강시킨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축에는 피니언을 이루는 기어가 고정축 일면의 래크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어 액추에이터가 구동하면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면서 래크기어를 승강시켜 방화문 고정축이 승강되므로 방화문은 바닥으로부터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므로 방화문은 자동으로 닫히게된다.
상기 방화문은 상단부에 문을 닫을 수 있도록하는 장치가 부설된 관계로 고정축의 지지상태를 해제하면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방화문을 시공할 때 자동닫힘장치가 설치되도록 소방 법규로 지정된 관계로 아파트 현관문 또는 별도의 방화문등은 이러한 닫힘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방화문의 열림지지장치만 해제시키면 자동으로 닫히게된다.
상기와 같이 화재시 방화문 고정축이 액추에이터에 의해 승강되는 동시에 방화문 고정축(20) 중앙부 일면에 형성된 래크기어(23')가 스크린 가동부재(30)일측 개구부(36)에 설치된 이동기어(25)를 회전시키면서 승강되므로 이동기어를 고정한 스크린 가동부재가 하강된다.
상기와 같이 방화문 고정축이 작동되는 동시에 방화문이 닫히면서 스크린 가동부재(30) 타측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편(40)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축(43)이 방화문(60) 틀과 접촉되는 순간 일측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슬라이드편(40)을 밀어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 제어축(43)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편(40)이 밀리면 이동돌기부(41)가 상부에 위치한 스크린 가동부재(30)의 상면에 형성된 사각통공(34)내로 인입되면서 스크린 가동부재를 내측에서 받치고 있는 상태를 해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편(40)의 이동돌기부(41)가 스크린 가동부재의 사각통공(34)으로 인입되는 순간 하우징 몸체(10) 저면과 스크린 가동부재(30)상면 사이의 가이드공(35)에 개재된 가압스프링(12)이 탄발되면서 스크린 가동부재(30)를 밀어 하향시켜 방화문과 바닥의 틈새를 차단스크린(31)과 차단막(32)으로 차단하게된다.
상기 슬라이드판은 일측으로 밀려 이동돌기부(41)가 스크린 가동부재의 사각 통공(34)으로 인입되어 스크린 가동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해재하는 순간 슬라이드판 저부양측에 설치된 당김스프링(44)은 슬라이드편(40)이 일측으로 밀리면서 늘어난 상태가 된다.
상기 당김 스프링(44)은 일측단은 가이드봉(11) 말단부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슬라이드판 저면부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슬라이드판의 이동에 의해 늘어났다가 방화문이 열리면 일측의 이동 제어축(43)이 눌려있다가 다시 돌출되는 순간 당김스프링(44)이 슬라이드편(40)을 잡아당겨 원 위치로 이동되도록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방화문(60)과 바닥의 틈사이를 차단하는 차단스크린과 차단막의 승하강은 슬라이드판이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봉(11)에 개재된 가압스프링 (12)과 하우징몸체(10)일측에 구비된 방화문 고정축(20)의 승하강에 따라서 스크린 가동부재(30) 일측 개구부에 설치된 이동기어(25)의 회전에 의해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화재발생시 문이 닫혔는데도 불구하고 슬라이드판의 이동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지 않아 이동돌기부(41) 경사면부분에 스크린 가동부재(30)의 사각통공(34)이 걸려 스크린 가동부재(30)가 하강하지 않거나, 또는 스크린 가동부재(3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더라도 가이드봉(11)에 개재된 가압스프링(12)이 밀어주지 못해 스크린 가동부재(30)가 완전히 하강되지 않게되는 것을 일측의 방화문 고정축(20)이 승강되는 동시에 맞물린 이동기어(25)가 회전되면서 스크린 가동부재(30)를 하강시켜 방화문 하단과 바닥의 틈새를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상호보완 작용이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화재 발생시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히는 동시에 방화문 하단과 바닥 사이의 틈새를 차단스크린과 차단막으로 완벽하게 차단되므로 연기가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이 설치되는 건물의 방화문 내측 공간부에는 일측에 급기 담파가 설치되어 방화문이 닫히는 순간 자동으로 50Pa(파스칼:Pascal)의 압력으로 공기가 분사되어 에어커튼막을 형성함으로서 외부에서 발생된 연기 또는 열기는 방화문 내부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스크린 가동부재 일면을 형성하는 차단스크린(3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봉(11)과 제연구역에 차압이 형성될 경우 차압이나 화재 시 화재구역과의 유체부력의 차이에 의해 차단스크린(31)이 들리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가압스프링(12)과 하우징 몸체 양측면 하단에 지지홈(13)이 설치되어 방화문 내외패널(61)이 끼워져있다.
상기 차단스크린(31)은 방화문과 바닥면의 틈새를 막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방화문(60)과 바닥면의 틈새를 막아주는 차단막(32)과 제연구역에 형성되는 차압이나 화재시 화재구역과의 유체부력에 의해 발생하는 역학적인 힘을 견디기 위해 차단스크린(31) 양쪽 측면에 보강리브(15)를 설치하였다.
상기 차단막(32)은 바닥면의 평탄성을 고려하고 연기뿐만 아니라 연기 속에 포함된 열기류에도 견뎌내야 하기 때문에 유연성과 내화성을 함께 갖춘 테프론 재질을 사용하였다.
상기 방화문(60)은 열릴 때 차단스크린(31)이 들려서 차단막(32)이 바닥면과 떨어져 있어야만 방화문(60)을 열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방화문(60)이 열리기 시작하면 방화문(60)을 닫았을 때 이동제어축(43)이 밀리면서 당김 스프링(44)에 생긴 인장력으로부터 이동제어축(43)은 원위치로 되돌아가고, 이동돌기부(41)가 밀리면서 도 과 같이 스크린 가동부재(30)속으로 들어가 차단스크린(31)이 들리게 된다.
즉, 차단스크린(31)의 상하이동은 이동돌기부(41)의 수평이동의 운동으로부터 이루지고, 방화문(60)이 열리고 닫칠 때 이동제어축(43)이 제연문의 문턱과 맞다아 수평이동을 하게 되면 이동 돌기부(41)가 함께 수평이동을 하면서 차단스크린(31)의 상하이동 운동이 이루어져 틈새를 막게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21)는 화재시나 평상시에 방화문(60)의 개폐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것에는 액추에이터(21)가 수동조작버튼이나 연기감지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전원이 인가되면 방화문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화문 고정축(20)과 방화문을 고정시키는 방화문 고정지지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21)는 방화문이 열리고 닫칠 때 방화문 고정축(20)이 상하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정역회전을 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구성하였으며, 또 방화문 고정축(20)의 원활한 상하운동을 위해 래크기어과 피니언 기어의 메커니즘을 이용하였다.
상기 이동기어(25)는 스크린 가동부재(30) 일측 개구부 내측에 부착되어있고, 이동기어(25)는 방화문 고정축(20)이 상하운동을 할 때 래크기어(23)와 피니언 기어(24)의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차단 스크린(3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슬라이드편(40)에 부착된 당김 스프링(44)의 복원력만으로 차단 스크린(31) 이동시키는 불확실한 운동을 해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력과 무동력의 방법으로 차단 스크린(31)을 움직여 틈새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 신호 입출력부(22)는 수동조작버튼이나 연기감지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액추에이터(21)가 작동하도록 해줌과 동시에 액추에이터(21)가 작동된 신호를 중앙처리제어반으로 보내어 방화문의 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는 문턱의 제거로 생긴 바닥면과 방화문 하부 사이의 틈새와 방화문 설치 시 바닥면과 방화문의 하부 사이에 발생한 틈새를 구조변경 없이 방화문 하단 부 밑면의 패널과 지지홈(13)과 끼워 맞춤으로 간단하게 설치를 할 수 있다.
상기 방화문(60)이 닫칠 경우에는 슬라이드편(40)의 이동제어축(43)이 도 와 같이 방화문의 문틀과 맞다아 눌려지면 도 과 같이 스크린 가동부(30)를 바치고 있던 이동돌기부(41)가 동시에 이동되어 도 와 같이 슬라이드편(40)의 이동돌기부가 사각통공(34)을 통과하게 되고, 도 과 같이 차단스크린(31)은 자중과 가압스프링(12)의 힘에 의해 아래로 이동되면서 스크린 가동부의 일면을 형성하는 차단스크린(31)에 부착된 차단막(32)이 바닥면과 대응되면서 틈새를 막게 된다. 또 가압스프링(12)은 제연구역에 형성되는 차압이나 화재 시 화재구역과의 유체부력에 의해 발생하는 역학적인 힘에도 차단 스크린(31)이 들리지 않도록 스크린 가동부(30)를 누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열려진 방화문(60)은 수동조작버튼(on/off)(도시없음)이나 연기감지기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액추에이터(21)의 피니언 기어와 방화문 고정축(20)의 래크기어가 작동되고, 방화문 고정지지부(20')가 도 과 같이 들어 올려지면 방화문 고정축(20)과 고정지지부(20')에 작용되었던 수직하중이 제거되면서 문은 자동으로 닫치게 된다.
이때 스크린 가동부재 일측 개구부(36) 내에 부착된 이동기어(25)는 도 과 같이 방화문 고정축(20)이 위로 움직이면 래크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메커니즘에 의해 스크린 가동부재(30)는 아래로 움직여 차단스크린(31)의 차단막(32)이 바닥면과 맞다으면서 틈새를 막게 해줌과 동시에 부가적으로 제연구역이나 화재구역에 발생한 유체부력에 의한 힘을 제한역할도 한다.
즉, 스크린 가동부재 일측 개구부에 설치된 이동기어(25)는 차단 스크린(31)의 이동을 도와주고, 유체부력에 의한 힘을 제한하는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한다. 이때 신호 입 출력부(22)로부터 액추에이터(21)가 작동된 신호를 중앙처리제어반으로 보냄으로서 방화문(60)의 닫힘 상태를 항상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화문이 열릴 경우에는 방화문의 문틀과 맞다아 눌려져 있던 스크린 가동부재를 제어하는 슬라이드편(40)의 이동제어축(43)이 도 과 같이 해제됨과 동시에 방화문(60)이 닫칠 때 이동제어축(43)이 이동되면서 당김 스프링(44)에 저장된 탄성 복원력으로부터 슬라이드편(40)이 도 과 같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때 이동돌기부(41)는 도 의 상태에서 스크린 가동부의 사각통공(34)을 빠져나와 도 과 같이 스크린 가동부재(30)를 다시 받쳐주게 되고, 차단스크린(31)과 하부에 부착된 차단막(32)은 바닥면과 떨어져 임의의 틈새가 다시 생기게 된다. 따라서 방화문을 열 때 차단막(32)으로 생기는 간섭현상이 없게 됨으로서 문을 열고 닫을 때의 불편함이 전혀 없다.
상기 방화문은 수동조작버튼(on/off)을 이용하여 완전히 열거나 임의 각도만큼 열어 놓을 수 있다. 수동조작버튼(on/off)을 조작하면 액추에이터(21)의 피니언기어와 방화문 고정축(20)의 래크기어가 작동되고, 방화문 고정지지부(20')는 도 와 같이 바닥면을 누르면 방화문 고정축(20)과 고정지지부(20')에 수직하중이 발생되어 방화문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스크린 가동부재(30)에 부착된 이동기어(25)은 도 과 같이 방화문 고정축(20)이 아래로 움직이면 래크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메커니즘에 의해 차단 스크린(31)은 위로 움직여 차단막(32)이 바닥면과 떨어지게 되어 틈새가 다시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동기어(25)는 슬라이드편(40)에 부착된 당김 스프링(44)원력만으로 차단 스크린(31)동시키는 불확실한 운동을 해소하였고, 차단 스크린(31)의한 방화문을 열고 닫음에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하였다.
이때 신호 입 출력부(22)터 액추에이터(21)가 작동된 신호를 중앙처리제어반으로 보냄으로서 방화문의 열림 상태를 항상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된 본 발명은 건물의 방화문이 열여 있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전기적인 작동에 의해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히는 동시에 방화문 하단과 바닥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연기와 열을 차단함으로서 제3의 지역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여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방화문의 구조적인 결함해소 함으로서 오작동을 방지하고 누설틈새의 차단, 방화문의 폐쇄 및 해정방법 등을 개선할 수 있는 고기능의 방재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건물화재 시 화기나 연기가 다른 구역으로 침입과 확산되는 것을 신속하고 완벽하게 방지하여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는 동시에 화재의 전파를 지연시켜 화재진압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 및 열 차단장치의 분리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린 가동부재와 슬라이드편의 분리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 및 열 차단장치의 차단스크린이 승강되고 방화문이 열린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기 및 열 차단장치의 차단스크린이 하강되고 방화문이 닫힌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5a는 도3에따른 측면 구성도로서, 차단스크린이 승강되어 방화문과 바닥사이의 틈새가 개구된 상태의 예시도..
도 5b는 도4에 따른 측면구성도로서 방화문과 바닥사이의 틈새를 차단스크린으로 차단한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방화문이 닫히고 이동 제어축이 문틀에 눌려 틈새가 차단된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과 급기 담파의 설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연기 및 열 차단장치의 구성중 슬라리드편 없이 차단스크린이 이동기어에의해 승하강되도록 된 분리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하우징 몸체 11:가이드봉
12:가압스프링 13:지지홈
15:보강리브
20:방화문 고정축 21:액추에이터
22:신호입출력부 23,23':래크기어
24:피니언 기어 25:이동기어
30:스크린가동부재 31:차단스크린
32:차단막 33:끼움부
34:사각통공 35:가이드공
36:개구부
40:슬라이드편 41:이동돌기부
42:장공 43:이동제어축
44:당김스프링

Claims (6)

  1. 하단양측 단부에 방화문 내외패널(61)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지지홈(13)과, 내부천장에는 하향되도록 다수 설치되어 가압스프링(12 )이 끼워진 가이드봉(11)과, 일측 단부에 신호 입출력부(22)를 갖는 액추에이터(21)에 의해 상하 구동되도록 설치된 방화문 고정축(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몸체(10)와;
    상면에 다수의 가이드공(35)과 사각통공(34)이 형성되고 타측면보다 하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하단부에 끼움부(33)를 형성한 차단 스크린(31)으로 이루어진 스크린 가동부재(30)와;
    상기 스크린 가동부재(30) 일측 개구부(36)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10) 일측단에 설치된 방화문 고정축(20)의 래크기어(23)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 이동기어(25)와;
    상기 하우징 몸체(10)의 가이드봉(11)이 끼워지도록 다수의 장공(42)을 형성하고 상면에 스크린 가동부재(30)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이동돌기부(41)를 갖는 슬라이드편(40)과;
    상기 하우징몸체(10)의 내부에 스크린 가동부재(30)가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 가동부재(30) 내부에는 슬라이드편(40)이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방화문의 여닫이에 따라서 스크린 가동부재(30)가 승하강되도록 방화문(60)하단에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10) 일측 단에 설치된 방화문 고정 축(20)은 상부에 설치된 액추에이터(21) 축의 피니언기어(24)와 래크기어(23)로 이루어져 방화문 고정축(20)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 고정축은 몸체 일면에 이동기어(25)와 맞물리도록 래크기어(23')를 형성하여 방화문 고정축(20)이 승하강시 스크린 가동부재(30)의 차단 스크린(31)이 함께 승하강되도록 하여 내외부의 차압에 의해 차단 스크린(31)이 들리는 것을 방지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가동부재(30)는 일측 차단 스크린(31)의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부(33)에는 화염과 열에 타지않는 재질로 차단막(32)이 설치되어 연기가 인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인 가동부재는 양측면에 반원형의 요홈을 갖는 보강리브(15)가 일체로 형성되어 내외부의 압력차이에 의해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는 방화문 저단에 하우징 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에는 스크린 가동부재(30)가 결합되어 하우징 몸체(10) 일측단의 방화문 고정축(20)이 승강시 이동기어를 하부로 구륜시켜 스크린 가동부재의 차단스크린(31)이 하강되어 방화문(60)과 바닥사이의 틈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KR10-2003-0090668A 2003-12-12 2003-12-12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KR100526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668A KR100526151B1 (ko) 2003-12-12 2003-12-12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668A KR100526151B1 (ko) 2003-12-12 2003-12-12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424A KR20050059424A (ko) 2005-06-21
KR100526151B1 true KR100526151B1 (ko) 2005-11-08

Family

ID=3725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668A KR100526151B1 (ko) 2003-12-12 2003-12-12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1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346Y1 (ko) * 2010-06-09 2012-02-15 한동수 도어 발끼임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229B1 (ko) * 2010-07-30 2011-03-18 (주)명인건축사사무소 소음차단기능이 있는 건축물 문의 스톱퍼 구조
KR101505426B1 (ko) * 2013-06-27 2015-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음도어
KR101523639B1 (ko) * 2015-04-14 2015-05-29 조석민 승강 가능한 모헤어가 구비된 창문 프레임
KR102448683B1 (ko) * 2022-03-11 2022-10-04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346Y1 (ko) * 2010-06-09 2012-02-15 한동수 도어 발끼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424A (ko) 2005-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894B1 (en) Self-closing single-sided accordion fire door
JP6181051B2 (ja) 火災避難待避施設
KR900004810B1 (ko) 자폐도어의 밀폐장치
US20200254287A1 (en) Escape system
KR100526151B1 (ko)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KR102078663B1 (ko) 계단실 화재확산 방지 장치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TWM496677U (zh) 防火捲門之捲幕箱布幕氣密結構改良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KR101326440B1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102082224B1 (ko) 계단실을 통한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 구조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101637979B1 (ko) 방화겸용 롤스크린
KR102521344B1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KR102078668B1 (ko) 건물외벽 화재확산 방지 장치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KR101511607B1 (ko) 가정용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101958912B1 (ko) 제연용 창호의 개폐장치
KR200424828Y1 (ko)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KR102458610B1 (ko) 수평형 방화셔터
KR20170019517A (ko) 방화문용 연기 및 열차단장치
JP2009281130A (ja) 避難用両袖扉の同時連動シャッター閉鎖装置
CN218563532U (zh) 一种具备消防疏散功能的防火卷帘
CN214943830U (zh) 一种带有锁定机构的防火卷帘门
CN214943734U (zh) 一种应急疏散防火卷帘门
KR102627547B1 (ko) 접이식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