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683B1 -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 - Google Patents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683B1
KR102448683B1 KR1020220030432A KR20220030432A KR102448683B1 KR 102448683 B1 KR102448683 B1 KR 102448683B1 KR 1020220030432 A KR1020220030432 A KR 1020220030432A KR 20220030432 A KR20220030432 A KR 20220030432A KR 102448683 B1 KR102448683 B1 KR 102448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eat
toxic gas
door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03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은,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공간 경계에 마련되는 문틀에 경첩 또는 힌지로 설치되는 여닫이형 방화문으로, 물 또는 열차단재가 충진되어 화재로 인한 열을 차단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열차단부; 상기 방화문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각각의 인출홈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문틀에 밀착되어 상기 방화문을 기준으로 양쪽의 공간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 및 열기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각각의 밀폐부재; 및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 및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 작동되어 각각의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문틀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열차단부에 설치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Fire doors for building with toxic gas shut-off function}
본 발명은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하여 문틀과 방화문 사이의 틈을 밀폐시켜 유독가스 및 열기의 유동을 차단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은 화재 발생 시 화염이 비 화재 공간으로 번지지 않도록 특정 공간(화재가 발생된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단열 및 난연재가 충진된 형태의 방화문과 내부에 물을 채워 화염과 열을 차단하도록 된 방화문이 개시되 있다.
특히, 내부에 물을 채우는 방식의 방화문은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3213호(공개일 : 2009.04.06) 및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0373호(공개일 : 2008.04.04)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방화문은 소화전의 물을 방화문의 내부에 채움으로써 물이 냉각수 역할을 하여 화재로 인한 열을 차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방화문은 열을 차단할 수 있었으나 방화문과 문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의 유입이나 유출을 차단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피해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95224호(공고일 : 2010.11.17)에는 방화문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방화문은, 화재 시 내부에 물을 흐르게 하여 열기를 차단하고 문틀과 문 사이의 틈을 수팽창체로 밀폐시켜 유독가스가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방화문에 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화문은, 방화문과 문틀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 있음으로써 화재로 인한 열과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방화문과 문틀 사이의 틈을 수팽창체로 차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작동되어 틈을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수팽창체는 화재가 발생되면 수동을 문을 닫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수팽창체가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3213호(공개일 : 2009.04.06)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0373호(공개일 : 2008.04.04)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95224호(공고일 : 2010.11.17)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건축물용 방화문의 각 외측 단부면에 화재 발생 시 밀폐부재가 자동으로 각각 문틀 쪽으로 인출되어 방화문과 문틀 사이의 틈을 밀폐시킴으로써 화재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독가스와 열기의 유동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수단의 회전판을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됨으로써 작동수단이 오동작시에도 방화문의 개폐를 수동으로 가능하게 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수단에 의하여 유독가스나 열기가 방화문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작동수단이 작동되도록 하여 화재 발생 시 유독가스 및 열기의 유출을 미리 신속하게 차단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인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은,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공간 경계에 마련되는 문틀에 경첩 또는 힌지로 설치되는 여닫이형 방화문으로, 열차단재가 충진되어 화재로 인한 열을 차단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열차단부; 상기 방화문의 테두리의 상·하측 단부면 및 좌·우측 단부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인출홈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문틀에 밀착되어 상기 방화문을 기준으로 양쪽의 공간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 및 열기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출홈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인출홈의 내측에 마련되는 지지체와, 자체 탄성을 구비하여 상기 삽입 밀폐홈과 마주보는 방향의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의 인출 작동에 의해 상기 삽입 밀폐홈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패킹체로 이루어지는 밀폐부재; 상기 밀폐부재의 패킹체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상기 인출홈에 대응되는 삽입 밀폐홈이 각각 형성되는 문틀;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 및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 작동되어 각각의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문틀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열차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장자리에 4개의 돌출단이 각각 형성되고 외주면 일부분에 피동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열차단부에 중앙이 중심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과, 각 일단은 각 상기 밀폐부재에 축 결합되고 각 타단은 각 상기 돌출단에 축 결합되는 각각의 연결로드와, 상기 피동 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회전판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와, 상기 감지수단이 화재 및 유독가스를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회전판을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각각의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문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문틀 쪽으로 밀어 상기 삽입 밀폐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작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체는 난연기능을 갖는 실리콘재,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심축의 양단에는 상기 회전판을 수동으로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손잡이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열차단부의 양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열차단부의 양면 상부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유독가스 감지센서 및 화재로 인한 열을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용 방화문의 각 외측면에 화재 발생 시 밀폐부재가 자동으로 각각 문틀 쪽으로 인출되어 방화문과 문틀 사이의 틈을 밀폐시킴으로써 화재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독가스와 열기의 유동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수단에 손잡이가 구비됨으로써 작동수단이 오작동 하거나, 외부전원이 차단되고 배터리가 방전 상태인 경우에 방화문의 개폐를 수동으로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수단에 의하여 유독가스나 열기가 방화문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작동수단이 작동되도록 하여 화재 발생 시 유독가스 및 열기의 유출을 미리 신속하게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을 도시한 투시 정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작동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작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밀폐부재가 문틀에 밀착되는 상태를 표현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작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밀폐부재가 문틀에 밀착되는 상태를 표현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작동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을 도시한 투시 정면도이고, 도 2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작동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작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밀폐부재가 문틀에 밀착되는 상태를 표현한 일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작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밀폐부재가 문틀에 밀착되는 상태를 표현한 일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작동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20)은,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공간 경계에 마련되는 문틀(10)에 경첩 또는 힌지로 설치되어 화재로 발생된 유독가스 및 열기가 화재가 발생한 공간(S1)에서 비 화재 공간(S2)으로 유입되거나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20) 열차단재가 충진되어 화재로 인한 열을 차단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열차단부(22)와, 방화문(20) 테두리의 상·하측 단부면 및 좌·우측 단부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인출홈(24)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고 선택적으로 문틀(10)에 밀착되어 방화문(20)을 기준으로 양쪽의 공간(S1,S2)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 및 열기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각각의 밀폐부재(30)와,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 및 열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40)의 감지신호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 작동되어 각각의 밀폐부재(30)를 문틀(10)에 밀착시키도록 열차단부(22)에 설치되는 작동수단(5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1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문틀(10)은 방화문(20)이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공간(S1,S2)을 구획하는 영역의 벽체에 설치된다.
방화문(20)의 상·하측 단부면 및 좌·우측 단부면에 대응되는 문틀(10)의 상·하측 단부 내측면 및 좌·우측 단부 내측면에는, 밀폐부재(30)의 패킹체(34)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인출홈(24)에 대응되는 삽입 밀폐홈(14)이 각각 형성된다. 즉, 방화문(20)의 상·하측 단부면 및 좌·우측 단부면에는 인출홈(24)이 각각 형성되는데, 각각의 인출홈(24)에 대응되는 삽입 밀폐홈(14)이 문틀(10)의 상·하측 단부면 및 좌·우측 단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이 삽입 밀폐홈(14)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밀폐부재(30)의 패킹체(34)가 빈틈없이 삽입되도록 밀폐부재(30)의 폭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된다. 또한, 문틀(10)의 상·하측 단부면 및 좌·우측 단부면에 형성된 각 삽입 밀폐홈(14)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문틀(10)의 한쪽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20)이 상,하부의 힌지(11)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닫혔을 때 방화문(20)의 한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8)가 마련되고, 이 지지부(18)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방화문(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의 상,하부가 힌지(11)에 의해 문틀(10)에 결합되는 여닫이 구조를 갖는다. 다른 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한쪽 수직부가 경첩에 의해 문틀(10)에 결합되는 여닫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방화문(20)은 항시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어 클로저(미도시)를 구비한다.
방화문(20)은 외측패널(21A)과 내측패널(21B)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 가장자리가 시밍(Shimming)되거나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구조에 의해 외측패널(21A)과 내측패널(21B) 사이에 열차단부(22)가 형성된다.
열차단부(22)는 화재가 발생한 화재 공간(S1)의 열이 비 화재 공간(S2)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외측패널(21A)과 내측패널(21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열차단을 위한 열차단재가 충진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열차단재는 유리섬유인 글라스울이나 기타 열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밀폐부재(30)는, 도 1,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20)의 상·하측 단부면 및 좌·우측 단부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인출홈(24)에 직선 왕복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밀착부재(30)가 작동수단(50)에 의해 자동으로 문틀(10)에 밀착되어 방화문(20)을 기준으로 양쪽의 공간(S1, S2), 즉 화재가 발생한 공간(S1)과 비 화재 공간(S2)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 및 열기의 유동을 차단한다.
밀폐부재(30)는, 인출홈(24)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인출홈(24)의 내측에 마련되는 지지체(32)와, 자체 탄성을 구비하여 삽입 밀폐홈(14)과 마주보는 방향의 지지체(32)에 결합되어 지지체(32)의 인출 작동에 의해 삽입 밀폐홈(14)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패킹체(34)로 이루어진다. 지지체(32)에 패킹체(34)가 결합된 상태의 전체 높이(H1)는 인출홈(24)의 깊이(D1)보다 작도록 한다. 이는 지지체(32)가 인출홈(24)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패킹체(34) 자체의 높이(H2)는 삽입 밀폐홈(14)의 깊이(D2)보다 더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패킹체(34)가 삽입 밀폐홈(14)에 삽입되었을 때 틈이 발생하지 않고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패킹체(34)는, 난연기능을 갖는 실리콘재,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패킹체(34)를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지지체(34)가 패킹체(34)를 삽입 밀폐홈(14)으로 가압하여 삽입할 때 삽입 밀폐홈(14)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작동수단(50)은, 도 1 및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 및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40)의 감지신호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 작동되어 각각의 밀폐부재(30)를 문틀(10)에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열차단부(22)에 설치된다.
작동수단(50)은, 가장자리에 4개의 돌출단(52A)이 각각 형성되고 외주면 일부분에 피동 기어(52B)가 형성되며 열차단부(22)에 중앙이 중심축(52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52)과, 각 일단은 각 밀폐부재(30)의 지지체(32)에 축 결합되고 각 타단은 각 돌출단(52A)에 축 결합되는 각각의 연결로드(54)와, 피동 기어(52B)와 맞물리는 구동기어(56A)를 구비하여 감지수단(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자동 작동되어 회전판(52)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56)를 포함한다. 작동수단(50)은 열차단부(22) 내부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51)의 내부에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 경우에 하우징(51)은 열차단부(22)의 한쪽 내부에 마련된다.
열차단부(22)에 설치되는 하우징(51)의 내부에는, 충전용 배터리(56B)가 마련되고, 구동부재(56)는, 배터리(56B) 및 외부전원과 각각 연결되며, 외부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만 배터리(56B)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될 경우에도 작동수단(50)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방화문(20)에는 배터리(56B)의 충전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작동수단(50)은, 감지수단(40)이 화재 및 유독가스를 감지하면 구동부재(56)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52)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키고, 회전판(52)의 회전으로 각각의 연결로드(54)가 문틀(1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밀폐부재(30)를 문틀(10) 쪽으로 밀어 패킹체(34)가 삽입 밀폐홈(14)에 삽입되도록 작동된다. 즉, 회전판(52)이 소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각 연결로드(54)를 문틀(10)의 각 상,하부 내측면 및 좌,우 내측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밀폐부재(30)의 각 패킹체(34)가 삽입 밀폐홈(14)으로 각각 삽입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회전판(52)의 중심축(52C) 양단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52)을 수동으로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손잡이(60)가 각각 결합된다. 각각의 손잡이(60)는 열차단부(22)의 양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작동수단(50)의 회전판(52)을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손잡이(60)가 구비됨으로써 감지수단(40)이 오작동하거나, 외부전원이 차단되고 배터리(56B)가 방전 상태인 경우에 회전판(52)을 용이하게 회전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화재 발생 시 작동수단(50)이 구동부재(56)의 작동으로 밀폐부재(30)를 문틀(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도 피난자가 손잡이(60)를 이용하여 방화문(10)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작동수단(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수단(40)이 감지한 감지신호와 배터리(56B)의 전압, 상시전원의 공급여부, 손잡이(60)의 작동여부 등을 토대로 구동부재(56)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제어부(5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동제어부(57)는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시간, 감지수단(40)의 유독가스 감지센서(42)가 감지한 유독가스의 농도, 열감지센서(44)가 감지한 온도 등에 대한 데이터 및 방화문(20)의 개폐여부 등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된 통신부(58)를 통하여 통제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감지수단(40)은, 열차단부(22)의 양면 상부영역, 즉 방화문(20)의 양쪽면 상부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유독가스 감지센서(42)와, 화재로 인한 열을 감지하도록 방화문(20)의 양쪽면에 각각 설치되는 열감지센서(44)를 포함한다. 유독가스 감지센서(42)와 열감지센서(44)는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독가스 감지센서(42)는 방화문(20)의 상부영역에만 설치되는 것은 아니고, 하부영역 및 중간영역에도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감지수단(4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방화문(20)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S1,S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독가스나 열기가 방화문(20)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작동수단(50)이 작동되도록 하여 화재 발생 시 유독가스 및 열기의 유출을 미리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감지수단(40)은, 방화문(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여부 감지센서(46)를 더 구비한다. 개폐여부 감지센서(46)는 문틀(10)과 방화문(20)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문(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구동제어부(57)로 전송한다. 따라서 구동제어부(57)는 개폐여부 감지센서(46)가 감지한 방화문(20)의 개폐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제부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20)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2의 (a) 및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되지 않을 때에는 작동수단(50)의 회전판(52)은 회전되지 않으므로 밀폐부재(30)의 지지체(32)는 인출홈(24)의 바닥에 안착된 상태이다.
이어서, 유독가스 감지센서(42) 및 열감지센서(44)가 어느 한 공간(S1)에서 화재 및 유독가스를 감지하면 구동부재(56)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56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피동 기어(52B)와 맞물린 구동기어(56A)를 회전 작동시킨다. 이 작동으로 회전판(52)은 소정각도로 회전된다.
회전판(52)이 회전 작동되면 회전판(52)의 각 돌출단(52A)이 각각의 연결로드(54)를 문틀(10) 방향으로 밀게 된다. 회전판(52)의 회전으로 각 돌출단(52A)이 각각의 연결로드(54)를 문틀(10) 방향으로 밀게 되면 각 밀폐부재(30)의 지지체(32)들은 삽입 밀폐홈(14)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4의 (a), (b) 및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체(34)를 삽입 밀폐홈(14)에 삽입시킨다.
다시 설명하면, 회전판(52)이 소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각 연결로드(54)를 문틀(10)의 각 상·하측 단부 내측면 및 좌·우측 단부 내측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밀폐부재(30)의 각 패킹체(34)가 각 삽입 밀폐홈(14)으로 삽입 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각 패킹체(34)가 각 삽입 밀폐홈(14)에 삽입되어 밀착되므로 화재가 발생한 공간(S1)과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비 화재 공간(S2)은 차단되어 유독가스 및 화염, 열기 등이 비 화재 공간(S2)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화재의 확산을 차단함은 물론 유독가스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고,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피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한편, 배터리(56A)가 방전되었거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손잡이(60)를 조작하여 방화문(20)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피난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56A)가 방전되었거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손잡이(60)를 조작하여 회전판(52)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밀폐부재(30)의 각 패킹체(34)를 각 삽입 밀폐홈(14)으로 삽입한다. 따라서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화재가 발생한 공간(S1)과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비 화재 공간(S2)을 수동으로 차단하여 유독가스 및 화염, 열기 등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문틀 14 : 삽입 밀폐홈
20 : 방화문 22 : 열차단부
24 : 인출홈 30 : 밀폐부재
32 : 지지체 34 : 패킹체
40 : 감지수단 42 : 유독가스 감지수단
44 : 열감지수단 50 : 작동수단
52 : 회전판 54 : 연결로드
56 : 구동부재 56A : 구동기어
56B : 배터리

Claims (4)

  1.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공간 경계에 마련되는 문틀에 경첩 또는 힌지로 설치되는 여닫이형 방화문으로,
    열차단재가 충진되어 화재로 인한 열을 차단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열차단부;
    상기 방화문의 테두리의 상·하측 단부면 및 좌·우측 단부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인출홈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문틀에 밀착되어 상기 방화문을 기준으로 양쪽의 공간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 및 열기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출홈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인출홈의 내측에 마련되는 지지체와, 자체 탄성을 구비하여 삽입 밀폐홈과 마주보는 방향의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의 인출 작동에 의해 상기 삽입 밀폐홈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패킹체로 이루어지는 밀폐부재;
    상기 밀폐부재의 패킹체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상기 인출홈에 대응되는 삽입 밀폐홈이 각각 형성되는 문틀;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 및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 작동되어 각각의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문틀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열차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장자리에 4개의 돌출단이 각각 형성되고 외주면 일부분에 피동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열차단부에 중앙이 중심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과, 각 일단은 각 상기 밀폐부재에 축 결합되고 각 타단은 각 상기 돌출단에 축 결합되는 각각의 연결로드와, 상기 피동 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회전판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와, 상기 감지수단이 화재 및 유독가스를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회전판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키고, 회전판이 회전 작동되면 회전판의 각 돌출단이 각각의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문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문틀 쪽으로 밀어 패킹체가 상기 삽입 밀폐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작동수단;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감지수단이 감지한 감지신호와 배터리의 전압, 상시전원의 공급여부, 손잡이의 작동여부 등을 토대로 구동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의 중심축의 양단에는 상기 회전판을 수동으로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손잡이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열차단부의 양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상기 열차단부의 양면 상부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유독가스 감지센서 및 화재로 인한 열을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센서와, 문틀과 방화문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는 개폐여부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체는 난연기능을 갖는 실리콘재,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
  3. 삭제
  4. 삭제
KR1020220030432A 2022-03-11 2022-03-11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 KR102448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432A KR102448683B1 (ko) 2022-03-11 2022-03-11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432A KR102448683B1 (ko) 2022-03-11 2022-03-11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683B1 true KR102448683B1 (ko) 2022-10-04

Family

ID=8360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432A KR102448683B1 (ko) 2022-03-11 2022-03-11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68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424A (ko) * 2003-12-12 2005-06-21 이동명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KR20080000373U (ko) 2008-02-18 2008-04-04 이영배 수냉식 방화문.
KR20090003213U (ko) 2007-10-01 2009-04-06 이영배 문과 문틀 내부에 물을채워 열을차단하는 방화문.
KR100995224B1 (ko) 2009-12-15 2010-11-17 박갑환 방화문
KR101096583B1 (ko) * 2011-11-01 2011-12-20 (주)미래원씨앤엠 이단 열림구조가 있는 건축물의 현관문
JP2014043706A (ja) * 2012-08-27 2014-03-13 Oraga Hsc:Kk 間仕切システム
KR20160032612A (ko) * 2014-09-16 2016-03-24 서종용 가스 유입 방지용 개폐문
KR20180014977A (ko) * 2016-08-02 2018-02-12 주식회사 티앤씨 철도터널 피난구에 설치되는 풍압 방연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424A (ko) * 2003-12-12 2005-06-21 이동명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KR20090003213U (ko) 2007-10-01 2009-04-06 이영배 문과 문틀 내부에 물을채워 열을차단하는 방화문.
KR20080000373U (ko) 2008-02-18 2008-04-04 이영배 수냉식 방화문.
KR100995224B1 (ko) 2009-12-15 2010-11-17 박갑환 방화문
KR101096583B1 (ko) * 2011-11-01 2011-12-20 (주)미래원씨앤엠 이단 열림구조가 있는 건축물의 현관문
JP2014043706A (ja) * 2012-08-27 2014-03-13 Oraga Hsc:Kk 間仕切システム
KR20160032612A (ko) * 2014-09-16 2016-03-24 서종용 가스 유입 방지용 개폐문
KR20180014977A (ko) * 2016-08-02 2018-02-12 주식회사 티앤씨 철도터널 피난구에 설치되는 풍압 방연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754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방방법
KR101386725B1 (ko) 크린룸용 도어
EP2273055A1 (en) Device for sealingly closing a room opening
KR102448683B1 (ko)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방화문
CN101142367A (zh) 用于门窗的监控装置
JP6547085B1 (ja) 閉止装置
JP2021533330A (ja) 冷蔵庫
KR100755399B1 (ko)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
JP2011038330A (ja) 開閉体装置
US7109959B2 (en) Multi-task window
KR20070076874A (ko) 창호용 환기장치
CN211851536U (zh) 一种方便拆卸逃生的防火窗结构
KR20090001149A (ko) 릴리프 기능을 갖는 기밀도어
KR20060125272A (ko)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
CN217428616U (zh) 一种旋转门电磁屏蔽室
CN215520514U (zh) 一种基于传感器的可自动开关窗
CN219411396U (zh) 一种可旋转百叶隔断装置
CN212716356U (zh) 一种新型防火门
JP2020066948A (ja) 建具
JP4443747B2 (ja) ヒンジ型ドアの自動閉鎖装置
JP4797268B2 (ja) 換気装置
KR100982937B1 (ko)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JP7178308B2 (ja) ブローアウトパネル
JP7433066B2 (ja) 引戸式ドア装置
JP5610756B2 (ja) 開閉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